KR100775626B1 - 강의용 책상 - Google Patents

강의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626B1
KR100775626B1 KR1020070066032A KR20070066032A KR100775626B1 KR 100775626 B1 KR100775626 B1 KR 100775626B1 KR 1020070066032 A KR1020070066032 A KR 1020070066032A KR 20070066032 A KR20070066032 A KR 20070066032A KR 100775626 B1 KR100775626 B1 KR 100775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wheel
lecture
lock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상
Original Assignee
(주)대우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가구 filed Critical (주)대우가구
Priority to KR1020070066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means for, or adapted for, inclining the legs of the table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e.g. with adjustable cross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60B33/001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characterised by adaptations made to castor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의용 책상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강의용 책상은 책상 상판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수직 변위를 갖는 승강로드의 하부에 구비되어 승강시 수직방향으로 연동하는 록킹로드 및 그 하부 끝단에 결합된 스토퍼를 구비한 브레이크와, 내부에 상기 스토퍼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휠커버 및 이 휠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주면에 스토퍼의 일단이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기어이가 형성된 휠로 된 바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강의용 책상은 별도의 조작없이 상판의 회동조작에 연동하여 바퀴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강의용 책상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강의, 책상, 접힘, 펼침

Description

강의용 책상{desk for lecture}
도 1은 일반적인 강의용 책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의용 책상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의용 책상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의용 책상의 상판 접힘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의용 책상의 상판 접힘에 따른 바퀴잠김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의용 책상의 상판 펼침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의용 책상의 상판 펼침에 따른 바퀴잠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판 15 : 하우징
20 : 지지체 21,23 : 전후방 프레임
30 : 캠 브라켓트 31, 33 : 상하 걸림홀
35 : 힌지축 40 : 레버
41 : 손잡이부 43 : 걸림핀
45 : 스프링 47 : 힌지부
50 : 승강로드 60 : 브레이크
61 : 록킹로드 63 : 스프링
70 : 바퀴 73 : 휠
본 발명은 절첩 구조를 갖는 강의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소한 조작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판을 수직방향으로 회동시켜 접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강의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그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분류될 수 있으며, 학교나 강의실에서 사용하는 학생용 책상과 가정이나 회사에서 사용되는 업무용 책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의용 책상의 경우에는 제조단가와 공간의 활용을 고려하여 극히 간소화된 크기와 경량의 무게를 갖는 특징이 있으며, 가정이나 사무실용 책상의 경우에는 사용상의 편의성이 우선시 되므로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특징이 있다.
한편, 강의실이나 회의실 같은 곳에서 사용되는 강의용 책상의 경우에는 일반 가정용 또는 업무용 책상과 비교하여 경량이면서 이동 및 보관의 용이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강의실이나 회의실 등에서 사용되는 강의용 책상은 상판을 접을 수 없는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보관시 많은 면적을 차지함에 따라 보관을 위하여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이동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상판을 접을 수 있는 형태를 갖는 강의용 책상이 제안된 바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이 잦은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과정이 안정감 있게 동작되지 못하고 단순 힌지 회동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책상의 사용시 또는 보관을 위해 이동시 상판이 유동되는 것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내재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20060071133호 및 특허출원 제1020060071132호를 통해 개선된 강의용 책상을 제안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강의용 책상은 책상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체의 상단에 구비되면서 상기 책상상판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일면에 접힘 및 펼침 위치를 구속하기 위한 상·하 걸림홀이 형성되는 캠브라켓트와, 리턴스프링에 의해 상·하 걸림홈중 어느 하나에 걸림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가압 조작력에 의해 선택 적으로 걸림 해제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강의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의 하측에 결합 고정되어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접촉편 및 상기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구비되는 지지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탄력적으로 수직 변위를 가지면서 그 상단부는 접촉편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댐퍼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강의용 책상은, 책상 상판의 접힘 또는 펼침 동작시 급격한 회동에 의한 충격력을 댐퍼 실린더에서 흡수 완충시키므로 결과적으로 안정된 회동을 보장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종래의 접이식 책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제안한 강의용 책상을 비롯하여 보관과 운반이 필요한 대부분의 책상은 바퀴를 구비하고 있으나, 책상 사용 중 사용자 또는 주변인의 부주의로 인해 쉽게 이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는 바퀴 부분에 풋레버를 구성하여 손이나 발로 밟아 선택적으로 바퀴의 구동을 잠금 상태로 하고, 이동시에는 풋레버를 들어 올려 바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책상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바퀴 잠금장치를 구비한 책상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풋레버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발로 밟은 풋레버를 복귀시킬 때 손을 이용해야 하므로 사용을 꺼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별도의 조작없이 상판의 접힘 유무에 따라 바퀴의 잠금 상태가 자동으로 전환되게 하여 기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강의용 책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의용 책상은, 책상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체의 상단에 구비되면서 책상 상판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일면에 접힘 및 펼침 위치를 구속하기 위한 상하 걸림홀이 형성되는 캠브라켓트와, 리턴스프링에 의해 상하 걸림홈중 어느 하나에 걸림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가압 조작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걸림 해제되는 레버와, 상기 책상 상판의 하측에 결합 고정되어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접촉편 및 상기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구비되는 지지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탄력적으로 수직변위를 가지면서 그 상단부는 접촉편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승강로드를 구비한 강의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드의 하부에 구비되어 승강시 수직방향으로 연동하는 록킹로드 및 그 하부 끝단에 결합된 스토퍼를 구비한 브레이크와, 내부에 상기 스토퍼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휠커버 및 이 휠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주면에 스토퍼의 일단이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기어이가 형성된 휠로 된 바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브레이크는, 상부면에 확장된 원판 형상을 갖는 길이재의 부재로서 상부에 수직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된 록킹로드와, 상기 록킹로드가 삽입 관통되는 것으로 상부 일측에 형성된 나사구멍을 통해 나사 체결되어 그 끝단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승강거리를 제한하는 가이드볼트를 구비한 중공의 관형부재인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로드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고 휠커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바퀴는,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게 중공의 관형상을 갖는 버링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일측면이 개방된 휠커버와, 상기 휠커버의 개방된 일측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바퀴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상기 버링부의 하측에 배치된 스토퍼의 하강시 선택적으로 걸림력을 생성하는 기어이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휠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스토퍼는 일단이 상기 록킹로드의 하부에 나사부재로 결합되고, 타단은 굽힘되어 휠의 기어이에 끼움되는 고정편이 일체로 형성된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강의용 책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강의용 책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의용 책상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의용 책상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의용 책상은, 크게 각종 서적이나 필기구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소정 크기를 갖는 것으로 금속재, 목재, 플라스틱재로 성형되는 판재형상의 책상 상판(10)과, 이 책상 상판(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지지체(20)와, 상기 지지체(20)의 상단측에 구비되어 상기 책상 상판(10)이 힌지축(35)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캠 브라켓트(30)과,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는 것으로 상기 캠 브라켓트(30)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해제되는 레버(40) 그리고 책상 상판(10)의 급격한 회동에 의한 충 격과 소음 발생을 억제하는 승강로드(50)로 구성된다.
책상 상판(10)은 하부에 플라스틱 사출물로 된 하우징(15)이 일체로 결합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캠 브라켓트(30) 및 레버(40)의 일부가 구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책상 상판(10)은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지지체(20)에 의해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책상 상판(10)은 후술할 승강로드(50)에 의해 접힘 및 펼침 동작시 완충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면 일측에 접촉편(17)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편(17)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재로 된 판재형의 부재로 제공되며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돌기(17a)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이때의 상기 돌기(17a)는 후술할 승강로드(50)의 걸림구(53)에 걸림된 상태에서 탄력적인 상승력을 작용받는다.
이러한 구성의 책상 상판(10)은 후술할 지지체(20)의 지지를 받아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위치되면서 캠 브라켓트(30)와의 결합구조에 의해 접힘 및 펼침 상태로의 회동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지지체(20)는 상기 책상 상판(10)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일종의 다리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후방 프레임(21,23)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체(20)는 전방측을 향해 연장되는 전방 프레임(21)과, 이 전방 프레임(21)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부는 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후방 프레임(23)으로 구성되 며, 이들 전후방 프레임(21,23)은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가 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책상 상판(10)과 지지체(20)의 구조는 통상의 강의용 책상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은 사용자의 레버(40) 조작에 연동하여 책상 상판(10)이 수직 방향으로 접혀지거나 또는 수평 상태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여 보관 및 이동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은 지지체(20)의 상단에 상하 걸림홀(31,33)을 형성한 캠 브라켓트(30)을 결합 고정하고, 이 캠 브라켓트(30)의 상하 걸림홀(31,33)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해제되는 레버(40)를 구성하는 구조이다.
캠 브라켓트(30)는 상기 지지체(20)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일단에 상기 책상 상판(10)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축(35)으로 연결되며 일면에 책상 상판(10)이 수평 및 수직 상태에서 위치 구속될 수 있도록 상하 걸림홀(31,33)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캠 브라켓트(30)은 상기 책상 상판(10)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체(20)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책상 상판(10)에 일체로 연결되는 힌지축(35)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캠 브라켓트(30)은 일면이 원호형의 곡면을 형성하며, 이 원호형의 곡면상에 상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 걸림홀(31,33)을 형성하는 구조이며, 이때의 상기 상하 걸림홀(31,33)은 상기 책상 상판(10)이 수평 및 수직 상태에 위치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캠 브라켓트(3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높 은 강성이 요구되므로 금속재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4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길이재의 부재로서 일단이 상기 하우징(15) 내부에서 힌지부(4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레버(40)는 상기 하우징(15)에 힌지핀으로 결합되는 힌지부(47)를 구비하며, 이 힌지부(47)를 중심으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레버(40)는 일단이 하우징(15)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미부호)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돌출 구성되며, 이 돌출된 부분은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력을 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4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41)의 반대쪽인 타단은 하향 굽힘 성형되면서 상기 캠 브라켓트(30)의 원호면 일측으로 연장되는 구조이고, 그 끝단에는 상기 상하 걸림홀(31,33)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핀(43)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레버(40)는 힌지부(47)에 스프링(45)이 개재되는 구성이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레버(40)는 힌지부(47)를 중심으로 손잡이부(41)가 하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걸림핀(43) 부분은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상하 걸림홀(31,33)중 어느 하나에 걸림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레버(40)는 캠 브라켓트(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연동되게 구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동시에 레버(40)를 조작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므로 가급적 단일의 레버(4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레버(40)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는 손잡이부(41)가 상방향으로 가압되면 힌지부(47)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걸림핀(43) 부분이 상 걸림홀(31) 또는 하걸림홈(33)에서 이탈되어 구속 해제를 이루게 된다.
승강로드(5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책상 상판(10)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는 길이재의 부재로서, 단순한 샤프트 형태의 부재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나 통상의 공압 실린더, 스프링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승강로드(50)의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접촉편(17)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로 구비된다. 즉, 상기 승강로드(50)는 선단부측에 U자형의 걸림구(53)가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로서, 여기서 상기 걸림구(53)는 상술한 접촉편(17)에서 돌출된 돌기(17a)가 안정된 상태로 끼움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승강로드(50)는 공압 또는 스프링(55)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탄성변위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55)의 탄성력을 받아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구성의 승강로드(50)는 상기 스프링(55)에 의해 상승 탄성력을 받아 걸림구(53) 부분이 돌기(17a)를 구비한 접촉편(17)에 상향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모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책상 상판(10)이 펼쳐진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레버(40)는 스프 링(45)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걸림핀(43)이 하 걸림홀(33)에 삽입되어 구속 상태이므로 상기 책상 상판(10)은 회동이 불가능하므로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책상 상판(10)을 상방향으로 회동시켜 접기 위해서는 상기 레버(40)의 손잡이부(41)를 상방향으로 가압 조작력을 가하면 걸림핀(43)이 하 걸림홀(33)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책상 상판(10)의 앞부분을 잡고 상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책상 상판(10)은 힌지축(35)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레버(40)에 가하는 조작력을 해제하면 상기 레버(40)가 힌지부(47)를 중심으로 복귀 회동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걸림핀(43)이 상 걸림홀(31)에 걸림되어 구속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이때, 상기 책상 상판(10)은 접촉편(17)의 돌기(17a) 부분이 승강로드(50)의 승강로드(51)에 의해 상승 탄성지지력을 작용받는 상태이다.
한편, 상기 책상 상판(10)을 접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레버(40)에 조작력을 가하여 걸림핀(43)이 상 걸림홀(31)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책상 상판(10)의 앞부분을 잡고 하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책상 상판(10)은 힌지축(35)을 중심으로 회동될 때 자중에 의해 회동속도가 증가되는데 이때, 상기 책상 상판(10)의 접촉편(17)이 승강로드(50)의 탄성 상승력을 받고 있는 상태이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책상 상판(10)이 펼쳐지는 시점에서는 회동속도가 급격하게 감속되어 완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책상 상판을 하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레버(40)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걸림핀(43)이 하 걸림홀(33)에 탄력적으로 끼움되면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강의용 책상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은 책상 상판(10)을 접힘 또는 펼침 동작시 상기 승강로드(50)에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브레이크(60)가 동작하고, 이에 바퀴(70)의 잠금 상태가 유지 또는 해제되게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구조에 책상 상판(10)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는 승강로드(50)의 하부에 설치되는 브레이크(60)와, 상기 브레이크(60)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잠금유지 또는 잠금해제되는 휠(73)를 구비한 바퀴(70)를 부가하는 구성이다.
브레이크(60)는 상기 승강로드(50)의 하부에 구비되어 승강시 수직방향으로 연동하는 것으로 상부면이 확장된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부 일측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홈(61a)이 형성된 록킹로드(61)와, 상기 록킹로드(61)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63)과, 상기 록트가 삽입 관통되는 중공의 관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상부 일측에 나사구멍(65a)을 형성하여 나사부재인 가이드볼트(66)가 나사 체결되는 하우징(65)과, 상기 하우징(65)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휠커버(7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되는 회전축(75) 그리고 상기 록킹로드(61)의 하부 끝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연동하여 승강되는 것에 의해 후술할 휠(73)의 회전을 단속하는 스토퍼(67)로 구성된다.
즉, 상기 브레이크(60)는 지지체(20)를 구성하는 전방 프레임(21)의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면에 승강로드(50)의 하부 끝단이 안정되게 접촉될 수 있게 확장된 원판부(미부호)가 형성된 록킹로드(61)를 구비하며, 이 록킹로드(61)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65)을 관통하고 그 끝단부에 스토퍼(67)가 나사부재(68)로 결합 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65)의 내부에는 상기 록킹로드(61)를 상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63)이 구성되며, 이러한 하우징(65)은 그 하측으로 회전축(75)이 나사체결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75)은 그 하단부가 후술할 휠커버(71)의 버링부(71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수직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걸림부(75a)를 형성하여 상기 버링부(71a)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홈(71a')에 끼움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의 브레이크(60)는 상기 책상 상판(10)이 펼쳐진 상태가 되면, 이에 연동하여 승강로드(50)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 승강로드(50)의 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록킹로드(61) 역시 스프링(63)을 압축하면서 하강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록킹로드(61)는 그 하부 끝단에 스토퍼(67)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스토퍼(67)가 일체로 하강하여 결과적으로 후술할 바퀴(70)의 휠(73)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이(미부호)에 걸림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67)는 일단이 상기 록킹로드(61)의 하부에 나사부재(68)로 결합되고, 타단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회 굽힘되어 휠(73)의 기어이에 끼움되는 고정편(67a)이 일체로 형성된다.
바퀴(70)는 상부에 관형상의 버링부(71a)가 돌출 형성된 휠커버(71)와, 상기 휠커버(71)에 바퀴축(72)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한쌍의 휠(7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휠커버(71)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한쌍의 휠(73)은 상기 휠커버(71)의 양측에 배치되어 바퀴축(72)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한쌍의 휠 중 상기 휠커버(71)의 개방된 일측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휠(73)은 상기 버링부(71a)를 통과한 록킹로드(61)의 하단부에 결합된 스토퍼(67)의 고정편(67a)이 끼움될 수 있게 기어이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바퀴(70)는 사용자가 강의용 책상을 이동시키기 위해 책상 상판(10)을 접는 경우 상기 승강로드(50)의 상승 동작에 연동하여 록킹로드(61)가 상승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록킹로드(61)는 그 하부 끝단에 스토퍼(67)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승 동작에 의해 상기 바퀴(70)를 구성하는 휠(73)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이에서 분리되어 휠(73)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책상 상판(10)을 펼치는 경우에는 승강로드(50)의 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록킹로드(61)가 하강 이동하게 되고, 이 록킹로드(61)의 하부 끝단부에 구비된 스토퍼(67)가 휠(73)의 기어이에 걸림되어 제동력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바퀴(70)가 잠김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책상 상판(10)이 펼쳐진 상태에서 바퀴(70)를 구성하는 휠(73)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강의용 책상은, 사용자는 책상의 상판을 수직하게 회동시켜 접거나 또는 그 반대로 상판을 수평 상태로 펼치는 조작을 통해 자동으로 바퀴의 잠금상태가 해제 또는 유지된다.
따라서, 별도의 조작없이 상판의 회동조작에 연동하여 바퀴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강의용 책상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책상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체의 상단에 구비되면서 책상 상판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일면에 접힘 및 펼침 위치를 구속하기 위한 상하 걸림홀이 형성되는 캠브라켓트와, 리턴스프링에 의해 상하 걸림홈중 어느 하나에 걸림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가압 조작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걸림 해제되는 레버와, 상기 책상 상판의 하측에 결합 고정되어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접촉편 및 상기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구비되는 지지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탄력적으로 수직변위를 가지면서 그 상단부는 접촉편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승강로드를 구비한 강의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드의 하부에 구비되어 승강시 수직방향으로 연동하는 록킹로드 및 그 하부 끝단에 결합된 스토퍼를 구비한 브레이크와;
    내부에 상기 스토퍼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휠커버 및 이 휠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주면에 스토퍼의 일단이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기어이가 형성된 휠로 된 바퀴;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용 책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는,
    상부면에 확장된 원판 형상을 갖는 길이재의 부재로서 상부에 수직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된 록킹로드와;
    상기 록킹로드가 삽입 관통되는 것으로 상부 일측에 형성된 나사구멍을 통해 나사 체결되어 그 끝단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승강거리를 제한하는 가이드볼트를 구비한 중공의 관형부재인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로드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고 휠커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되는 회전축;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용 책상.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일단이 상기 록킹로드의 하부에 나사부재로 결합되고, 타단은 굽힘되어 휠의 기어이에 끼움되는 고정편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용 책상.
KR1020070066032A 2007-07-02 2007-07-02 강의용 책상 KR100775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032A KR100775626B1 (ko) 2007-07-02 2007-07-02 강의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032A KR100775626B1 (ko) 2007-07-02 2007-07-02 강의용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626B1 true KR100775626B1 (ko) 2007-11-13

Family

ID=39061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032A KR100775626B1 (ko) 2007-07-02 2007-07-02 강의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626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833B1 (ko) 2012-09-10 2013-02-19 (주)대우가구 가림판이 구비된 상판 접이 구조
KR101420862B1 (ko) 2012-12-20 2014-07-22 최주빈 고정장치가 구비된 의자
KR20180051733A (ko) 2016-11-08 2018-05-17 계양전기 주식회사 데스크 리프트의 브레이크 구조
KR101906111B1 (ko) * 2018-04-17 2018-12-03 문임식 수강용 탁자
CN109008243A (zh) * 2018-08-16 2018-12-18 袁丁 一种可拆卸学生用课桌
KR20190026228A (ko) 2017-09-04 2019-03-13 (주)앤드코 강의용 책상 다리
KR101987829B1 (ko) 2018-12-12 2019-06-12 (주)아모스아인스가구 개선된 구조를 갖는 각도 조절 이동식 책상
KR102195529B1 (ko) * 2020-04-09 2020-12-28 (주)대우가구 락킹장치가 구비된 이동 의자
KR102223541B1 (ko) * 2020-03-20 2021-03-05 (주)대우가구 접이식 책상
CN113508799A (zh) * 2021-03-18 2021-10-19 温州大学瓯江学院 一种喷药农机的易拆卸延伸喷药架
KR102405020B1 (ko) * 2021-12-28 2022-06-07 송완수 접이식 강의용 테이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0952A (ko) * 2006-07-28 2006-08-17 이경상 강의용 책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0952A (ko) * 2006-07-28 2006-08-17 이경상 강의용 책상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833B1 (ko) 2012-09-10 2013-02-19 (주)대우가구 가림판이 구비된 상판 접이 구조
KR101420862B1 (ko) 2012-12-20 2014-07-22 최주빈 고정장치가 구비된 의자
KR20180051733A (ko) 2016-11-08 2018-05-17 계양전기 주식회사 데스크 리프트의 브레이크 구조
KR102022348B1 (ko) * 2017-09-04 2019-11-25 (주)앤드코 강의용 책상 다리
KR20190026228A (ko) 2017-09-04 2019-03-13 (주)앤드코 강의용 책상 다리
KR101906111B1 (ko) * 2018-04-17 2018-12-03 문임식 수강용 탁자
CN109008243A (zh) * 2018-08-16 2018-12-18 袁丁 一种可拆卸学生用课桌
KR101987829B1 (ko) 2018-12-12 2019-06-12 (주)아모스아인스가구 개선된 구조를 갖는 각도 조절 이동식 책상
KR102223541B1 (ko) * 2020-03-20 2021-03-05 (주)대우가구 접이식 책상
KR102195529B1 (ko) * 2020-04-09 2020-12-28 (주)대우가구 락킹장치가 구비된 이동 의자
CN113508799A (zh) * 2021-03-18 2021-10-19 温州大学瓯江学院 一种喷药农机的易拆卸延伸喷药架
CN113508799B (zh) * 2021-03-18 2022-04-26 温州大学瓯江学院 一种喷药农机的易拆卸延伸喷药架
KR102405020B1 (ko) * 2021-12-28 2022-06-07 송완수 접이식 강의용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626B1 (ko) 강의용 책상
US5971514A (en) Cabinet door prop unit
JP3930459B2 (ja) 引戸の戸閉装置
CN105146910A (zh) 高度可调桌子平台
JP2006063767A (ja) 引戸の戸閉装置。
KR101555859B1 (ko) 상판의 절첩장치
JP5168019B2 (ja) 折畳み式テーブルの天板回動装置
KR101902858B1 (ko) 한손으로 작동이 가능한 폴딩테이블
KR100840334B1 (ko) 강의용 책상
KR100869944B1 (ko) 강의용 책상
KR20060090952A (ko) 강의용 책상
JP2006220838A (ja) 鍵盤楽器のスタンド
US11473340B2 (en) Door stop mechanism
KR101008945B1 (ko) 상판 접이식 테이블
JP6688843B2 (ja) コードストッパ装置及び間仕切り装置
KR100539466B1 (ko) 절첩식 테이블
KR101234833B1 (ko) 가림판이 구비된 상판 접이 구조
KR20060090951A (ko) 강의용 책상
JP4001506B2 (ja) ベッド用テーブル装置
JP3957991B2 (ja) 収納式幼児用ベッドにおけるベッド回動構成体
KR200425221Y1 (ko) 강의용 책상
JP3123105U (ja) サイドパネルの取付装置及びその取付具
KR100317721B1 (ko)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KR102061098B1 (ko) 폴딩 구동이 가능한 테이블 장치
JP2001314257A (ja) 転倒防止機構付ワゴンおよびその付属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