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541B1 - 접이식 책상 - Google Patents

접이식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541B1
KR102223541B1 KR1020200034130A KR20200034130A KR102223541B1 KR 102223541 B1 KR102223541 B1 KR 102223541B1 KR 1020200034130 A KR1020200034130 A KR 1020200034130A KR 20200034130 A KR20200034130 A KR 20200034130A KR 102223541 B1 KR102223541 B1 KR 102223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ocking
moving unit
upper plat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태준
이민식
이석기
Original Assignee
(주)대우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가구 filed Critical (주)대우가구
Priority to KR1020200034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60B33/008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acting on rim or side portion of ty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47B2003/0835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being superimposed, hinged and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책상은, 바퀴가 구비된 이동유닛; 이동유닛 상에서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판유닛; 이동유닛 내부에서 이동되며 바퀴를 구속 가능하게 구비된 구속부와, 상판유닛에 형성되고 구속부가 이동되게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락킹유닛을 포함하며, 조절부는 상판유닛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전개되면서 구속부가 이동되어 바퀴의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책상 {FOLDING DESK}
본 발명은 접이식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판유닛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전개되면서 구속부가 이동되어 바퀴의 구속을 해제하는 접이식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사용 용도에 맞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그 크기도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특히 강의실이나 회의실 같은 곳에서 사용되는 접이식 책상의 경우에는 일반 가정용 또는 업무용 책상과 비교하여 경량이면서 이동 및 보관의 용이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접철 된 경우 바퀴의 구속 해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강의실 등에서 청소 또는 특정 행사를 위해 강의실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경량의 접이식 책상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이식 책상은 상판을 완전히 접철하는 경우에만 바퀴의 구속이 해제되기 때문에 단순히 책상을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상판을 완전히 접철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하는 높이에서 책상 상판의 고정이 가능하고 고정된 책상 높이에 대응하여 바퀴의 구속이 해제되는 접이식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접이식 책상은 바퀴가 구비된 이동유닛, 상기 이동유닛 상에서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판유닛, 상기 이동유닛 내부에서 이동되며 상기 바퀴를 구속 가능하게 구비된 구속부와, 상기 상판유닛에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가 이동되게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락킹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상판유닛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전개되면서 상기 구속부가 이동되어 상기 바퀴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상판유닛이 상기 이동유닛에 고정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상판유닛을 상기 이동유닛에 고정하고, 상기 각도에 따라 상기 구속부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은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유닛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유닛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누름판이 마련된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에 회동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레버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홈 일측에 고정되거나 상기 걸림홈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홈에서 고정해제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핀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홈의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걸림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수단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일단이 회전축을 가지고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단이 외측으로 회동 되면서 일단이 상기 걸림부재를 가압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복수로 구비되어 대칭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복수의 핸들이 서로 대칭되게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핸들을 연결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핸들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후방에 형성된 제1 연결홈 및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방에 형성된 제2 연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핸들 중 어느 하나의 제1 연결홈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복수의 핸들 중 다른 하나의 제2 연결홈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이동유닛의 상부면에 상단이 돌출되고 상기 누름판의 가압에 따라 탄력적으로 수직변위를 가지는 스토퍼가 상기 바퀴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할 수 있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이동유닛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상기 누름판과 접촉하여 가압력을 전달받는 접촉편부재; 상기 접촉편부재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승강로드부재; 상기 승강로드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로드부재의 승강 또는 하강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동하는 록킹로드부재 및 상기 록킹로드의 하단에 결합된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는 상기 이동유닛의 하단에 마련된 휠커버 및 상기 휠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휠을 포함하며, 상기 휠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토퍼가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책상에 따르면, 상판을 완전히 절첩시키지 않고 소정의 높이로만 고정하여 책상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단순히 책상의 이동만 필요한 경우에도 간편하게 책상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철 된 경우에도 바퀴의 구속 해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강의실 등에서 청소 또는 특정 행사를 위해 강의실의 공간을 확보하는 경우에, 다수의 책상 보관에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책상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책상의 이동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유닛의 하부에 조절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유닛을 생략하고, 상판유닛이 제1위치로 이동하여 조절부가 이동유닛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이동유닛의 내부에 마련된 구속부가 스토퍼를 통해 바퀴를 구속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의 내부에 마련된 구속부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이동유닛에 안착된 상태를 상판유닛을 생략하고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레버부재가 동작하여 걸림부재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a),(b) 및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누름판의 가압에 따라 탄력적으로 수직변위를 가지는 의해 접촉편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책상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책상의 이동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유닛의 하부에 조절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유닛을 생략하고 상판유닛이 제1위치로 이동하여 조절부가 이동유닛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의 내부에 마련된 구속부가 스토퍼를 통해 바퀴를 구속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의 내부에 마련된 구속부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이동유닛에 안착된 상태를 상판유닛을 생략하고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레버부재가 동작하여 걸림부재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a),(b) 및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누름판의 가압에 따라 탄력적으로 수직변위를 가지는 의해 접촉편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책상은 크게 이동유닛(200), 상판유닛(400), 락킹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유닛(200)은 하단에 바퀴(220)를 구비하여 지면에 대하여 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바퀴(220)는 크게 휠커버(222), 휠(224)을 포함할 수 있는데, 휠커버(222)는 구체적으로 후술할 록킹로드부재(646)와 연동되도록 이동유닛(200)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축은 이동유닛(200)의 하단에 고정되어 휠커버(222)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구조, 형상, 재질 등에 대하여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동유닛(200)의 하단에는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고 회전축의 상단이 결합되고 회전축의 하단에는 휠커버(220)의 상부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회전축의 하단 외주면에 볼베어링이 다수 형성되어 휠커버(220)의 상부가 구름 결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동유닛(200)의 하단과 휠커버(222)의 상단이 직접 접촉되어 마찰되지 않도록 회전축의 중앙측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단턱은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이동유닛(200)을 포함하는 접이식 책상(10)의 전체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휠커버(222)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에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휠(224)을 포함할 수 있는데, 휠(224)의 내주면에는 스토퍼(648)가 인입되어 맞물리거나 인출되어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유닛(200)은 상단에 걸림홈(240)이 형성되어 걸림홈(240)에 후술할 걸림부재(626)가 완전히 인입되거나 이동유닛(200)의 상부면과 걸림홈(240) 사이의 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걸림홈(240)은 이동유닛(200)의 상단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열로 마련되어 후술할 걸림부재(626)가 인입되거나 고정되는 높이를 다양하게 설계할 수도 있다.
여기서 걸림홈(240)에 인입되거나 고정되는 걸림부재(626)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고 상판유닛(400)에 대해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다.
다음으로 상판유닛(400)은 이동유닛(200)의 일측에 회동가능 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판유닛(400)은 이동유닛(200) 상에서 제1위치(420)에서 제2위치(440)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위치(420) 및 제2 위치(440)에 대해 설명 하기 위해 도 1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420)는 상판유닛(400)이 이동유닛(200)의 상부면에 인접하도록 회동 되었을 때의 상판유닛(400)의 위치이다.
다시 말하면 제1 위치(420)는 책상의 역할을 하기 위해 상판유닛(400)의 하부에 결합된 조절부(620)의 걸림부재(626)가 이동유닛(200)의 도 2에 도시된 걸림홈(220)의 일측에 고정되는 모든 경우에, 이동유닛(200)의 상부면과 이동유닛(200)에서 회동하는 상판유닛(400)이 이루는 각도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420)는 0°내지 30°의 범위 일 수 있으며 조절부(620)의 걸림부재(626)가 이동유닛(200)의 걸림홈(220)의 일측에 고정되는 기능이 수행된다면 각도에 대하여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 위치(4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강의실 등에서 청소 또는 특정 행사를 위해 강의실의 공간을 확보하는 경우에, 다수의 책상 보관이 용이하도록 이동유닛(20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회동축을 따라 제1 위치(420)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이동유닛(20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열린 또는 절첩된 경우의 상판유닛(400)의 위치를 뜻한다.
제1 위치(420)와 마찬가지로 제2 위치(440)는 이동유닛(200)의 상부면과 이동유닛(200)에서 회동하는 상판유닛(400)이 이루는 각도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2 위치(440)는 상판유닛(400)의 하부에 결합된 조절부(620)의 걸림부재(626)가 이동유닛(200)의 걸림홈(220)의 일측에 고정되는 경우를 제외한 상판유닛(400)의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위치(440)는 40°내지 270°의 범위일 수 있으며 되는 기능이 수행된다면 각도에 대하여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만 보관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440)의 각도는 90°, 즉, 이동유닛(200)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로 설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270°, 즉, 이동유닛(200)에 대하여 절첩된 상태로 설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라킹유닛(600)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면, 라킹유닛(600)은 크게 조절부(620), 구속부(6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조절부(620)는 서로 연계되는 두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우선 조절부(620)는 상판유닛(400)에 형성되며 구속부(640)가 이동유닛(200)의 내부에서 이동되게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부(620)는 상판유닛(400)이 제 1위치(420)에서 제 2위치(440)로 전개되면서 구속부(640)가 이동되어 바퀴(220)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반대의 경우에는 상판유닛(400)이 제 2위치(440)에서 제1 위치(420)로 고정 되면서 구속부(640)가 이동되어 바퀴(220)가 구속될 수 있다.
제2 위치(440)에서 바퀴(220)의 구속이 해제됨은 물론이고 제1 위치(420) 내에서도 상판유닛(400)이 이동유닛(200)에 고정되는 각도에 따라 구속부(640)가 이동되어 바퀴(220)가 구속되거나 구속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바퀴(220)의 구속 및 구속 해제에 대해서는 후술할 구속부(640) 및 동작과정의 설명에서 다시 한번 알아보도록 하고 조절부(620)의 두번째 기능인 고정되는 각도 조절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위치(420) 내에서 조절부(620)는 상판유닛(400)이 이동유닛(200)에 상판유닛(400)을 이동유닛(200)에 고정하고, 고정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부(620)의 걸림부재(626)가 이동유닛(200)의 걸림홈(220)에 완전히 인입되어 이동유닛(200) 및 상판유닛(400)이 고정되는 경우에 이때의 위치를 제1-1 위치라 가정하고, 조절부(620)의 걸림부재(626)가 걸림홈(220)의 상부면과 이동유닛(200)의 상부면에 접하여 상판유닛(400)을 이동유닛(200)에 고정하는 경우의 위치를 제1-2 위치라 가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걸림부재(626)의 걸림위치가 제1-1 위치 및 제1-2 위치로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동유닛(200)과 걸림부재(626)가 마련된 이동유닛(200)에서 회동하는 상판유닛(400)이 서로 다른 각도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조절부(620)의 구조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절부(620)는 크게 프레임부재(622), 레버부재(624), 걸림부재(6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재(62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판유닛(20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동유닛(200)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누름판(622a)이 마련될 수 있다.
누름판(622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요철이 마련되어 후술할 접촉편부재(642)로 전달되는 가압력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부재(622)는 커버프레임(622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커버프레임(622b)는 후술할 샤프트(624b)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레버부재(624)는 프레임부재에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외측으로 회동시켜 상판유닛(200)을 이동유닛(400)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버부재(624)의 회동에 따라 걸림부재(626)은 걸림홈(240)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홈(240)의 일측에 고정되거나 걸림홈(24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홈에서 고정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홈(240)의 일측은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재(626)이 걸림홈(240)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 또는 이동유닛(200)의 상부면과 걸림홈(240)의 상부면에 접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626)는 돌출핀(626a)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핀(626a)은 걸림부재(626)에서 걸림홈(626)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걸림부재(626)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핀(626a)은 걸림부재(626)에 일정 간격으로 2개가 형성되어 걸림홈(626)에 모두 인입될 수 있고 두개의 돌출핀(626a)중 하나의 돌출핀(626a)의 상부면은 걸림홈(626)에 인입되어 걸림홈(626)의 상부면에 접하고, 다른 하나의 돌출핀(626a)의 하부면은 이동유닛(200)의 상부면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동유닛(200)의 일측에 고정되어 이동유닛(200)에 대한 상판유닛(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돌출핀(626a)의 구조, 형상, 재질, 개수, 간격에 대하여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이동유닛(200)에 대한 상판유닛(300)의 고정 각도를 조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나 돌출핀(626a)의 개수를 추가하여 조정하는 방법이 간편할 것이다.
전술한 걸림홈(240)을 다수 열로 형성하는 형태 및 돌출핀(626a)의 개수를 다수개로 형성하는 형태는 같이 혼용될 수도 있으며 이동유닛(200)에 대한 상판유닛(300)의 고정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면 이러한 내용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돌출핀(626a)에는 하나의 자석이 형성되고, 이동유닛(200)에 돌출핀(626a)의 자석에 대응하는 위치에 세로로 길게 형성된 금속판을 부착하여 돌출핀(626a)의 개수를 조정하지 않고 이동유닛(200)에 대한 상판유닛(300)의 고정 각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조절부(6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6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628)는 걸림부재(626)가 걸림홈(240)의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628)는 걸림부재(626)의 외측면이 가이드부재(628)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되어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걸림부재(626)가 걸림홈(240)의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걸림부재(626)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수단(629)이 가이드부재(628)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레버부재(624)에 의해 가압되어 걸림홈(24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걸림부재(62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626) 외측 일면에 고정되고 가이드 부재(628)의 내측에 고정된 탄성수단(626)에 의해서 가압이 종료되는 시점부터 걸림홈(240)의 방향, 즉,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레버부재(624)의 일단은 프레임부재(622)에 회전축을 가지고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부재(624)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단이 외측으로 회동 되면서 일단이 걸림부재(626)를 가압하는 핸들(624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624a)는 누름판(622a)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레버부재에 의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길게 형성되고 손잡이에 연장형성 되는 바(bar)의 끝단은 걸림부재(626)의 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일면이 걸림부재(626)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핸들(624a)은 복수개로 대칭 형성되어 하나의 손잡이만 구동하여도 서로 대칭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레버부재(624)는 샤프트(624b)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핸들(624a)는 사용자가 상판유닛(400)의 일측 및 타측에서 동시에 파지하거나 하나만 파지하여 회전시켜도 서로 대칭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한쌍으로 형성되고 한쌍의 핸들(624a) 사이에는 샤프트(624b)가 연결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샤프트(624b)로 인해 복수의 핸들(624a)이 서로 대칭되게 회동 가능해진다.
복수의 핸들(624a)의 샤프트로(624b)인한 대칭 회동을 더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복수의 핸들(624a)은 제1 연결홈(624aa), 제2 연결홈(624ab)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연결홈(624aa)은 회전축을 기준으로 후방에 형성되며 제2 연결홈(624ab)은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전방 및 후방에 대해 설명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624a)의 손잡이 부분을 기준으로 걸림부재(626)는 손잡이 보다 후방에 있다고 정의할 수 있고,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서의 제1 연결홈(624aa)은 제2 연결홈(624ab) 보다 후방측에 위치할 수 있다고 정의할 수 있다.
이경우 샤프트(624b)는 일단이 복수의 핸들(624a) 중 어느 하나의 제1 연결홈(624aa)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복수의 핸들 중 다른 하나의 제2 연결홈(624ab)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레버부재(624)는 샤프트가이드(62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가이드(624c) 가이드는 대칭 형성된 복수의 핸들(624a)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면이 상판유닛(2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샤프트(624b)가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가이드(624c)는 복수의 핸들(624a)이 회동하는 경우에 핸들(624a)에 연결된 샤프트(624b)를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하나의 핸들(624a)만 회동시켜도 두 핸들(624a)이 대칭 회동되는 기능이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가이드(624c)는 프레임부재(622)의 일단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대칭 배치되고 대칭 배치된 샤프트가이드(624c)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가이드(624c)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부재(622)의 일단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대칭 배치된 샤프트가이드(624c)는 대칭 배치된 샤프트가이드(624c) 사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가이드(624c)를 보조하여 샤프트(624b)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624b)가 두 핸들(624a) 사이에 양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하나의 핸들(624a)만 회동시켜도 두 핸들(624a)이 대칭 회동되는 기능이 수행될 수만 있다면 샤프트가이드(624c)는 프레임부재(622)의 일단에만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대칭 배치될 수도 있으며, 프레임부재(622)의 일단에는 마련되지 않고 프레임부재(622) 사이에만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라킹유닛(600)의 구속부(640)는 이동유닛(200)의 내부에서 이동되며 바퀴(220)를 구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속부(640)는 이동유닛(200)의 상부면에 상단이 돌출되고 상기 누름판의 가압에 따라 탄력적으로 수직변위를 가지는 스토퍼가 바퀴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구속부(640)는 크게 접촉편부재(642), 승강로드부재(644), 록킹로드부재(646), 스토퍼(648)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편부재(642)는 누름판(622a)과 접촉하여 가압력을 전달받으며 이동유닛의 상부면에 돌출될 수 있다.
접촉편부재(642)는 상단이 반구의 형태를 가지고 접촉되는 누름판(622a)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으며 하단에는 승강로드부재(644)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승강로드부재(644)는 접촉편부재(642)의 하단에 고정되어 접촉편부재(642)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로드부재(644)의 하부에는 록킹로드부재(646)가 마련될 있으며 록킹로드부재(646)는 승강로드부재(644)의 승강 또는 하강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동하여 하단에 결합된 스토퍼(648)를 승하강 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648)는 하단이 전술한 기어이(226)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경우 간섭이 발생 하지 않고 바퀴(220)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 할 수 있다면 구조, 형상, 재질에 대하여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스토퍼(648)는 록킹로드부재(646)의 스토퍼 블록과 결합하여 스토퍼 블록이 하강하면 그 끝단이 휠(224)의 기어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이 간편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유닛(200)은 하단이 꺽인 형태로 마련된 경우에, 구속부(640)는 도 5에 도시된 구속부(640)와 마찬가지로 접촉편부재(642), 승강로드부재(644), 록킹로드부재(646), 스토퍼(648)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편부재(642)는 누름판(622a)과 접촉하여 가압력을 전달받으며 이동유닛의 상부면에 돌출될 수 있으며, 접촉편부재(642)는 상단이 반구의 형태를 가지고 접촉되는 누름판(622a)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으며 하단에는 승강로드부재(644)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승강로드부재(644)는 접촉편부재(642)의 하단에 고정되어 접촉편부재(642)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승강로드부재(644)는 이동유닛(200)의 내측에 고정되는 로드고정프레임이 마련되며 승강로드부재(644)가 승하강 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승강로드부재(644)가 탄성력을 가지고 접촉편부재(642)를 지지하도록 탄성스프링이 로드고정프레임 일측에 형성되어 승강로드부재(64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로드부재(644)의 하부에는 록킹로드부재(646)가 마련될 있으며 록킹로드부재(646)는 승강로드부재(644)의 승강 또는 하강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동하여 하단에 결합된 스토퍼(648)를 승하강 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록킹로드부재(646)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막혀 있는 원통 형상이고 이동유닛(200)의 하단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고 그 끝단은 단턱지게 외경이 확장되어 이동유닛(200)의 하단에 억지끼움의 형식으로 삽입되고 하단 중앙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단에 인접하여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어 가이드편이 삽입되는 가이드 고정홀이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록킹로드부재(646)는 완충스프링과, 완충스프링의 상부에 위치하되 저면에는 축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 완충로드와, 제1 완충로드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압스프링과, 가압스프링의 상부에 위치하여 그 상단은 승강로드부재(644)의 하단과 맞닿으면서 하우징에 삽입되고 수직으로 긴 장홀이 형성되어 가이드 고정홀을 통하여 삽입된 가이드편에 의하여 일정하게 수직 운동하도록 하는 제2 완충로드로 구성되는 로킹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록킹로드부재(646)은 상부는 하우징의 나사홀과 결합하고 하부는 휠커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그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축삽입홈이 형성되는 회전축과 제1 완충로드의 축삽입홈에 상단이 삽입되어 회전축을 관통하여 휠커버(222)로 연장되는 가압축과, 가압축의 하단과 상단이 인접하여 수직운동을 하되 스토퍼 스프링에 의하여 수직방향 압력에 완충력을 가지는 스토퍼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648)는 하단이 전술한 기어이(226)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경우 간섭이 발생 하지 않고 바퀴(220)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 할 수 있다면 구조, 형상, 재질에 대하여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스토퍼(648)는 록킹로드부재(646)의 스토퍼 블록과 결합하여 스토퍼 블록이 하강하면 그 끝단이 휠(224)의 기어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이 간편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책상의 동작과정에 대해서 도면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유닛(400)의 하부에 고정 형성된 조절부(620)의 걸림부재(626)가 걸림홈(240)에 인입되어 생략된 상판유닛(400)이 이동유닛(200)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를 초기 상태라고 가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대칭 형성된 핸들(624a)의 손잡이를 모두 파지하거나 한쌍의 핸들(624a) 중 어느 한 손잡이만을 파지하여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핸들(624a)를 회동시킨 후 그 회동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걸림부재(626) 방향으로 굴절 형성된 핸들(624a)의 끝단이 걸림부재(626)를 가압하게 되고 걸림부재(626)는 걸림홈(24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판유닛(400)과 이동유닛(200)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이로인해 사용자는 상판유닛(400)을 제2 위치로 회동시킨 후 파지한 핸들(624a)을 내려 놓게 되면 상판유닛(400)은 제2 위치에 접철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책상이 있는 다양한 공간에서의 책상정리가 용이하게 된다.
반면 상판유닛(400)을 제2 위치로 회동시키지 않고 사용자가 걸림부재(626)에 형성된 돌출핀(626a)을 이용하여 앞서 전술한 제1-2 위치까지만 상판유닛(400)을 회동시킨 후 파지한 핸들(624a)를 내려 놓게 되면 상판유닛(400)은 제1-2 위치에서 고정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핀(626a), 복수열의 걸림홈(240) 및 자석과 세로로 길게 형성된 금속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다양한 높이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사용자가 파지한 핸들(624a)을 외측으로 회동시킨 후 상판유닛(400)을 이동유닛(200)을 기준으로 원하는 만큼 회동시켜 원하는 높이에서 상판유닛(40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조절부(620)에 의해 다양한 높이로 고정되는 상판유닛(200)이 구속부(640)와 연동하여 바퀴가 구속되거나 구속해제 되는 경우를 도 9의 (a)(b)(c)를 통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유닛(400)의 하부에 고정 형성된 조절부(620)의 걸림부재(626)가 걸림홈(240)에 인입되어 상판유닛(400)이 이동유닛(20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누름판(622a)이 접촉편부재(642)를 이동유닛(200)의 상부면에서 완전히 인입시켜, 접촉편부재(642)를 탄성지지하고 있던 승강로드부재(644)를 하강시키고 하강한 승강로드부재(644)의 끝단이 록킹로드부재(644)의 상단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록킹로드부재(646)의 스토퍼 블록과 결합된 스토퍼(648)는 그 끝단이 휠(224)의 기어이에 삽입되어 바퀴가 고정되게 된다.
정리하자면 제1-1 위치(420)에서 상판유닛(400)의 하부에 고정 형성된 조절부(620)의 걸림부재(626)가 걸림홈(240)에 인입되어 상판유닛(400)이 이동유닛(20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바퀴가 구속될 수 있다.
상판유닛(200)의 위치가 전술한 도 9의 (a) 상태에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되는 경우, 즉, 조절부(620)의 걸림부재(626)가 걸림홈(220)의 상부면과 이동유닛(200)의 상부면에 접하여 상판유닛(400)을 이동유닛(200)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누름판(622a)이 접촉편부재(642)를 이동유닛(200)의 상부면에서 다시 돌출되도록 설계하여 접촉편부재(642)를 탄성지지하고 있던 승강로드부재(644)가 승강하게 되고 승강로드부재(644)의 끝단이 록킹로드부재(644)의 상단을 가압하는 것을 막아 스토퍼(648)이 기어이(226)에서 인출되어 바퀴(220)의 구속이 해제되게 된다.
정리하자면 전술한 제1-2 위치(420)에서 상판유닛(400)의 하부에 고정 형성된 조절부(620)의 걸림부재(626)가 걸림홈(220)의 상부면과 이동유닛(200)의 상부면에 접하여 상판유닛(400)을 이동유닛(20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바퀴(220)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판유닛(200)을 제2 위치(440)로 완전히 회동시키지 않고 살짝만 띄워 책상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단순히 책상의 이동만 필요한 경우에도 간편하게 책상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의 (b) 상태에서 도 9의 (c)상태로 상판유닛(3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바퀴(220)의 구속 해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강의실 등에서 청소 또는 특정 행사를 위해 강의실의 공간을 확보하는 경우에, 다수의 책상 보관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200: 이동유닛
220: 바퀴
400: 상판유닛
420: 제1 위치
440: 제2 위치
600: 락킹유닛
620: 조절부
640: 구속부

Claims (11)

  1. 바퀴가 구비된 이동유닛;
    상기 이동유닛 상에서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판유닛;
    상기 이동유닛 내부에서 이동되며 상기 바퀴를 구속 가능하게 구비된 구속부와, 상기 상판유닛에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가 이동되게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락킹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조절부는 상기 상판유닛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전개 되면서 상기 구속부가 이동되어 상기 바퀴의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상판유닛이 상기 이동유닛에 고정되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상판유닛을 상기 이동유닛에 고정하고, 상기 각도에 따라 상기 구속부의 이동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동유닛은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유닛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유닛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누름판이 마련된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에 회동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레버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홈 일측에 고정되거나 상기 걸림홈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홈에서 고정해제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핀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책상.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홈의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책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걸림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수단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책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일단이 회전축을 가지고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단이 외측으로 회동 되면서 일단이 상기 걸림부재를 가압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책상.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복수로 구비되어 대칭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는
    복수의 상기 핸들이 서로 대칭되게 회동 가능하도록 복수의 상기 핸들을 연결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책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핸들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후방에 형성된 제1 연결홈 및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방에 형성된 제2 연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핸들 중 어느 하나의 제1 연결홈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복수의 핸들 중 다른 하나의 제2 연결홈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책상.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이동유닛의 상부면에 상단이 돌출되고 상기 누름판의 가압에 따라 탄력적으로 수직변위를 가지는 스토퍼가 상기 바퀴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책상.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이동유닛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상기 누름판과 접촉하여 가압력을 전달받는 접촉편부재;
    상기 접촉편부재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승강로드부재;
    상기 승강로드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로드부재의 승강 또는 하강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동하는 록킹로드부재 및
    상기 록킹로드부재의 하단에 결합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책상.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상기 이동유닛의 하단에 마련된 휠커버 및 상기 휠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휠을 포함하며,
    상기 휠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토퍼가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책상.
KR1020200034130A 2020-03-20 2020-03-20 접이식 책상 KR102223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130A KR102223541B1 (ko) 2020-03-20 2020-03-20 접이식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130A KR102223541B1 (ko) 2020-03-20 2020-03-20 접이식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541B1 true KR102223541B1 (ko) 2021-03-05

Family

ID=7516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130A KR102223541B1 (ko) 2020-03-20 2020-03-20 접이식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5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796B1 (ko) * 2021-06-04 2022-01-11 윤석균 체결 구조물을 포함하는 접이식 테이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626B1 (ko) * 2007-07-02 2007-11-13 (주)대우가구 강의용 책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626B1 (ko) * 2007-07-02 2007-11-13 (주)대우가구 강의용 책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796B1 (ko) * 2021-06-04 2022-01-11 윤석균 체결 구조물을 포함하는 접이식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0467B2 (en) Tilt adjustable keyboard support
US6845723B2 (en) Folding and tilting table
US20130061782A1 (en) Tilting Tabletop Mechanism
TWI273336B (en) Self-standing manual lifting screen
KR101239009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2223541B1 (ko) 접이식 책상
KR20060016235A (ko) 평판형 모니터
JP2013116312A (ja) 椅子
US11109671B1 (en) Height-adjustable table structure
JP5539405B2 (ja) 伸長可能な脚部を有するはしごのような装置
US20220142364A1 (en) Rotatable wall cupboard pull-out element
US8243213B2 (en) Monitor apparatus
US5799919A (en) Adjustable stand
CN101799105B (zh) 可收合锁固的支撑架
JPH0698066B2 (ja) 収納ベッドの開閉装置
JPS6249807A (ja) 昇降・傾斜調節装置
KR101483407B1 (ko) 탁자 상판의 각도 조절장치
JPH09295797A (ja) 物体の昇降装置
JP2812868B2 (ja) ロッキング機能付き上下昇降椅子
JPS586352Y2 (ja) 机等の高さ調節装置
JP6546484B2 (ja) グランドピアノの大屋根支持装置
CN220655054U (zh) 多轴调整桌
JPH11216020A (ja) 机の天板昇降装置
JP2764853B2 (ja) テーブル
JPH024784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