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780Y1 -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 - Google Patents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780Y1
KR200298780Y1 KR2020020028722U KR20020028722U KR200298780Y1 KR 200298780 Y1 KR200298780 Y1 KR 200298780Y1 KR 2020020028722 U KR2020020028722 U KR 2020020028722U KR 20020028722 U KR20020028722 U KR 20020028722U KR 200298780 Y1 KR200298780 Y1 KR 2002987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support
central
fixe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범
Original Assignee
이정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범 filed Critical 이정범
Priority to KR2020020028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7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780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앉아서 사용하는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에 관한 것으로서, 거치대를 양쪽으로 더 넓게 쓰기위한 확장부를 갖는 기대와, 각종 도구 및 필기도구등을 수납할 수 있는 간이서랍 수납부 및 간이수납실이 형성된 중앙거치대로 구성된 거치대가 설치되며, 상기 지주대의 내부에 승강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중앙거치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 {A multiusable table}
본 고안은 앉아서 사용하는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에 관한 것으로서, 양쪽으로 더 넓게 쓰기위한 확장부를 갖는 기대와, 각종 도구 및 필기도구등을 수납할 수 있는 간이서랍 수납부 및 간이수납실이 형성된 중앙거치대로 구성되며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거치대가 설치되며, 상기 지주대의 내부에 승강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중앙거치대가 상하로 이동가능한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앉아서 강의를 하거나 소모임 또는 가족회의 등이 있을때 일반적인 작은 상이나 탁자, 간이 책상 등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접이식 상 및 탁자는 삐걱거리고 필기도구를 별도로 준비하여야 하며 간이책상도 이동하여 사용하기엔 불편하고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부 손님이 동석하게 되는 회의 등에서는 격이 한층 떨어지게 된다.
또한 거치대의 면적이 한정되어 물건을 놓고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높이도 고정되어있어 사용자의 앉은키에 따라 몸을 구부리거나 다른물건을 바닥에 놓고 높이를 맞춰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거치대를 양쪽으로 더 넓게 쓰기위한 확장부를 갖는 기대와, 각종 도구 및 필기도구등을 수납할 수 있는 간이서랍 수납부 및 간이수납실이 형성된 중앙거치대로 구성된 거치대가 설치되며, 상기 지주대의 내부에 승강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중앙거치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2에 따른 래크와 피니언 구조를 나타낸 일부절개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고정편을 나타낸 일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거치대 2: 지주대
3: 받침판 4: 기대
5: 간이서랍 수납부 6: 간이수납실
7: 중앙거치대 10: 투명판
20: 간이서랍 30: 승강수단
40: 래크 50: 중앙거치대 안착부
60: 피니언 100: 고정볼트
200: 손잡이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책이나 서류를 올려놓을 수 있는 거치대(1)와, 상기 거치대(1)의 하부에 설치되어 거치대를 지지하는 지주대(2)와, 상기 지주대(2)의 하단에 설치되어 지주대를 지지하는 받침판(3)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치대(1)는 상기 지주대의 상단에 그 하면이 고정되며, 그 좌우 양측부는 거치대를 양쪽으로 더 넓게 쓰기위한 확장부로 구성되고, 그 중앙부는 하향으로 함몰된 중앙거치대 안착부로 형성된 기대(4)와;
상기 기대의 중앙거치대안착부(50)에 설치되되 그 상면은 상기 기대의 확장부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며, 그 전방부에는 간이서랍 수납부(5)가 형성되고, 그 후방부에는 간이수납실이 형성된 중앙거치대(7)로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지주대의 하단에는 받침판(3)이 설치되고, 상기 지주대(2)의 상면에는 그 중앙부에 하부로 함몰되어 중앙거치대 안착부(50)가 형성된 기대가 설치되며, 상기 기대의 중앙거치대 안착부(50) 상면에는 중앙거치대(7)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렇게 최소한의 책이나 노트, 서류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내부에 여러가지 필기구를 수납할 수 있는 간이서랍 수납부(5) 및 간이수납실(6)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를 지지하는 지주대(2)와 지주대 아래 바닥을 지탱하는 받침판(3)이 형성되어 더욱 견고하게 바닥면에 닿게 되는 것이다.
한편, 식탁, 강의대, 독서대, 간이 화장대, 노트북 사용대, 간이책상, 그 밖에 장식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1 및 도2 에서와 같이 상기 중앙거치대(7)의 상면에는 투명재질의 투명판(10)이 설치되며, 상기 간이수납실(6)은 후방으로 통개되어 수납구가 형성되며, 상기 간이서랍 수납부(5)에는 간이서랍(20)이 수납되되 전방으로 인출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하다.
즉, 중앙거치대(7)의 상면에는 투명판(10)이 설치되며, 중앙거치대(7) 후방의 간이수납실(6)에는 수납구가 형성되고, 중앙거치대(7) 전방의 간이서랍 수납부(5)에는 간이서랍(20)이 설치된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거치대(7)의 상면에는 유리판 또는 아크릴판 그 밖에 각종 투명한 판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투명판(10)은 그 두께만큼 중앙거치대(7) 상면에 형성된 홈에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거치대의 상면이 투명판(10)으로 형성되면 상기 간이서랍(20)을 인출하지 않아도 간이서랍(20)속의 물품을 볼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세련미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거치대(1) 판의 두께보다 작고 상면의 투명판(10) 넓이 보다는 작은 면적으로 2개의 4각 홈이 각각 간이수납실(6) 및 간이서랍 수납부(5)로 형성되되,
상기 간이수납실(6)은 소형램프 및 각종물품을 비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간이서랍 수납부(5)는 사용자가 공책이나 필기구등의 필요한 물품을 신속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간이서랍이 수납되는 공간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2 및 도3 에서와 같이 상기 지주대(2)의 내부에 승강수단(30)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거치대(7)의 하면이 상기 승강수단(30)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수단(30)에 의해 상기 중앙거치대(7)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지주대(2)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승강하며 그 상단이 중앙거치대(7)의 하면에 고정되는 래크(40)와, 상기 지주대(2)의 내부에 설치되되 그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고 그 양단이 지주대의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200)로 형성된 피니언(60)과, 상기 지주대(2)의 측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래크(40)를 압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볼트(100)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지주대(2)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승강하는 래크(40)와, 상기 래크(40)의 기어와 맞물려 기어가 형성되되 상기 지주대(2)의 내부에 설치된 피니언(60)과, 상기 래크를 압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볼트(100)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피니언(60)과 연결된 손잡이(20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피니언(60)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피니언(60)의 기어와 맞물린 상기 레크(40) 기어가 상하로 승강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기대는 지주대(2)에 고정되어있고 중앙거치대(7)만 기대(4)면의 높이 이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운동으로 높이조절을 한 후에 상기 고정볼트(100)를 돌려서 래크(40)를 압압하게 되면 승강수단(30)과 고정볼트(100)선단이 밀착되어 일체로 고정시켜 높이조절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반대로 상기 고정볼트(100)를 압압된 것을 풀어주면 밀착되어 고정된 승강수단이 분리되어 다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승강수단(30)을 이용하면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앉은 키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4 과 도5 및 도6은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및 도4의 정면도 및 도4의 고정편을 나타낸 일요부 사시도로서 그 구조는 기본적으로 도1과 동일하나, 상기 확장부(8)는 상하로 회동가능하도록 중앙거치대안착부(50)와 경첩(500)으로 연결되며; 상기 확장부(8)가 상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주대(2)의 측면부에 고정편(300)이 설치되되, 상기 고정편(300)은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경첩(400)으로써 지주대(2)와 연결되어, 회전된 고정편(300)의 상면이 상기 확장부(8)의 하면을 받쳐서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확장부는 중앙거치대안착부(50)와 경첩(500)으로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확장부(8)가 상향으로 회전상태를 유지하도록 확장부(8)의 하면을 받쳐주는 고정편(300)이 설치된 것이다.
이렇게 하면 상기 거치대(1)를 접철할 경우 부피가 작아져 보관이나 관리가 용이하며, 다른장소로 옮기기에도 쉬워지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의 모든 실시예에서는 도1 및 도2 에서와 같이 상기 확장부(8)의 상면에는 소정깊이로 함몰되어 각종 필기구 등을 거치할 수 있는 간이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간이수납실(6)에는 인출가능한 플랙시블 소형램프(600)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모를 빈번하게 할 경우 사용되는 도구를 들었다 놓았다를 여러번 반복하게 되는데 이때 내장된 간이서랍(20)을 몸 쪽으로 열어놓고 사용할 수 도 있으며, 사용하는 도구가 한 두 가지일 경우는 거치대(1)의 확장부(8)의 상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거치홈(9)에 각종 필기구등을 놓아둘 수 있으며, 거치대(1)의 상면 좌우로 도구들이 굴러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소형램프(600)는 플랙시블한 지지대를 가지며, 상기 간이수납실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간이수납실(6)의 내부에 비치되며, 사용시에는 지지대를 휘어서 거치대 상부로 올려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1 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대(2)의 외면에는 전원플러그와 연결되는 전원입력부(700)가 형성되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거치대 양쪽으로 더 넓게 쓰기위한 확장부를 갖는 기대와, 각종 도구 및 필기도구등을 수납할 수 있는 간이서랍 수납부 및 간이수납실이 형성된 중앙거치대로 구성된 거치대가 설치되며, 상기 지주대의 내부에 승강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중앙거치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Claims (6)

  1. 책이나 서류를 올려놓을 수 있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거치대를 지지하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하단에 설치되어 지주대를 지지하는 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치대는 상기 지주대의 상단에 그 하면이 고정되며, 그 좌우 양측부는 거치대를 양쪽으로 더 넓게 쓰기위한 확장부로 구성되고, 그 중앙부는 하향으로 함몰된 중앙거치대 안착부로 형성된 기대(基臺)와;
    상기 기대의 중앙거치대안착부에 설치되되 그 상면은 상기 기대의 확장부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며, 그 전방부에는 간이서랍 수납부가 형성되고, 그 후방부에는 간이수납실이 형성된 중앙거치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거치대의 상면에는 투명재질의 투명판이 설치되며, 상기 수납실은 후방으로 통개되어 수납구가 형성되며, 상기 간이서랍 수납부에는 간이서랍이 수납되되 전방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의 내부에 승강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거치대의 하면이 상기승강수단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중앙거치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주대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승강하며 그 상단이 중앙거치대의 하면에 고정되는 래크와, 상기 지주대의 내부에 설치되되 그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고 그 양단이 지주대의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로 형성된 피니언과, 상기 지주대의 측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래크를 압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하로 회동가능하도록 중앙거치대안착부와 경첩으로 연결되며; 상기 확장부가 상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주대의 측면부에 고정편이 설치되되, 상기 고정편은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경첩으로써 지주대와 연결되어, 회전된 고정편의 상면이 상기 확장부의 하면을 받쳐서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상면에는 소정깊이로 함몰되어 각종 필기구 등을 거치할 수 있는 간이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실에는 인출가능한 플랙시블 소형램프가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
KR2020020028722U 2002-09-25 2002-09-25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 KR2002987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722U KR200298780Y1 (ko) 2002-09-25 2002-09-25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722U KR200298780Y1 (ko) 2002-09-25 2002-09-25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780Y1 true KR200298780Y1 (ko) 2002-12-26

Family

ID=73079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722U KR200298780Y1 (ko) 2002-09-25 2002-09-25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7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505B1 (ko) 2005-09-09 2008-03-24 배석희 랩탑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505B1 (ko) 2005-09-09 2008-03-24 배석희 랩탑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2075A (en) Computer copy holder for keyboard drawer
US7585033B2 (en) Multi-functional table
CN109463902A (zh) 办公室用智能办公桌
US20110037360A1 (en) Adaptable bi-fold workstation
KR102140887B1 (ko)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
KR102269405B1 (ko) 휴대용 독서대
CN215190084U (zh) 一种带储物功能的学生课椅
KR20210007656A (ko) 서랍형 받침대 수납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독서대
KR200298780Y1 (ko)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
US20030076014A1 (en) Desk with easel drawer
US5429337A (en) Portable mini-desk
KR100805554B1 (ko) 파일형 독서대
KR200495398Y1 (ko) 휴대용 독서대
KR102037164B1 (ko) 테이블용 링크 회전식 서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KR200404514Y1 (ko) 종합 문구 비치대
CN210055248U (zh) 一种折叠收纳式电视柜
CN209252074U (zh) 一种多用途家具
KR100987521B1 (ko) 독서 지지대가 구비된 책
CN219499416U (zh) 一种便携多功能手机支架
CN212878606U (zh) 一种写作辅助装置
KR102026104B1 (ko)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KR102061098B1 (ko) 폴딩 구동이 가능한 테이블 장치
CN214904611U (zh) 一种可移动多功能收纳折叠写字台
CN218650801U (zh) 一种多功能讲桌
KR20140040573A (ko) 수납실이 형성된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