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919Y1 - 테이블 - Google Patents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919Y1
KR200323919Y1 KR20-2003-0017100U KR20030017100U KR200323919Y1 KR 200323919 Y1 KR200323919 Y1 KR 200323919Y1 KR 20030017100 U KR20030017100 U KR 20030017100U KR 200323919 Y1 KR200323919 Y1 KR 200323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leg members
frame
width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to KR20-2003-0017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9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9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00Tables of rigid construction
    • A47B7/02Stackable tables; Nest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16Trestles or trestle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2Legs
    • A47B2200/0033Securing a U-formed table leg under the table top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적층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는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형성된 한쌍의 다리부재와, 그 양측 다리부재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절곡 형성되는 양측의 다리 프레임과, 그 양측 다리 프레임의 중앙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보강 프레임과, 그 다리 프레임과 보강 프레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판으로 구성되며, 그 양측 다리부재들중 후방측에 위치한 양측 다리부재가 상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후방측 다리부재의 폭을 상판의 폭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좁은 공간내에서 다수개 적재가 가능하여 공간 활용성이 증대되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테이블{A TABLE}
본 고안은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방향으로 적층이 가능하도록 테이블의 다리 일측 부위를 다른 쪽 부위와 폭 길이가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다수개를 간편하면서 용이하게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의용이나 식탁용으로 사용되는 테이블은 보통 4개의 다리 위에 수평 상판이 고정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들 대부분의 테이블은 절첩이 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테이블들은 회의등의 용도가 완료된 후에 한곳에 정리하여 보관하고자 할 경우, 다리의 폭이 상판의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짧아서 수직으로 적층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종래 테이블의 일 예로는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2001-63662호 "폴딩 테이블"에 개시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에 한쌍의 후방 다리(12)가 세워지고, 그 후방 다리(12)의 상부에서 전방 하측으로 한 쌍의 전방 다리(14)가 세워지며, 그 후방 다리(12)의 상부에 상판(16)이 결합되고, 그 상판(16)은 폴딩수단(18)에 의해 접히도록 된 구조를 갖는다.
그 후방 다리(12)의 하단에는 폴딩 테이블을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20)가 결합되고, 그 상측부에는 후방 다리(12)의 외면에 끼워지는 4개의 클립부재(22)에 의해 다수의 통풍용 구멍(24a)이 형성된 후판(24)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폴딩 테이블의 경우, 상판을 접어 많은 수의 테이블을 서로 겹치게 적층하여 보관공간을 줄이도록 하는 유용한 기능을 갖고 있었다.
그런데, 종래 테이블은 그 하부구조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지 않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므로, 일반적인 4개의 다리를 갖는 테이블의 경우 수직방향의 적층시에는 상판의 위에 다른 테이블의 다리부재 또는 상판이 안착되어 적재 공간이 많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적층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한 종래 테이블의 적층시에는 다리부재 또는 상판이 직접 접촉되어 그 접촉에 따른 충격에 의해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직방향의 다수개 적층이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테이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종래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A : (전방측)다리부재
110B : (후방측)다리부재
120A, 120B : 다리 프레임
150 : 보강 프레임 200 : 상판
310 : 완충부재 320 : 스페이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형성된 한쌍의 다리부재와, 상기 양측 다리부재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다리 프레임과, 그 양측 다리 프레임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보강 프레임과, 상기 다리 프레임과 보강 프레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양측 다리부재들중 일측에 위치한 양측 다리부재의 폭이 상기 상판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다리 프레임과 보강 프레임의 하부에 복수개 부착되는 완충부재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양측 다리부재들중 일측의 다리부재간의 간격이 타측 다리부재의 간격과 상호 다른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도면에 도시된 양측 다리부재들중 앞의 것을 전방측 다리부재라 칭하고, 뒤에 위치한 것을 후방측 다리부재라 칭한다.
본 고안 테이블에 의한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형성된 한쌍의 다리부재(110A,110B)와, 그 양측 다리부재(110A,110B)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절곡 형성되는 양측의 다리 프레임(120A,120B)과, 그 양측 다리 프레임(120A,120B)의 중앙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보강 프레임(150)과, 그 다리 프레임(120A,120B)과 보강 프레임(15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판(200)으로 구성되며, 그 양측 다리부재(110A,110B)들중 일측에 위치한 양측 다리부재(110A,110B)가 상판(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다리부재(110A,110B)들중 일측(전방 또는 후방측, 여기서는 도면에 도시된 후방측)에 위치한 다리부재(110B)의 폭이 다른 테이블과의 수직방향 적층이 가능하도록 상판(20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것이다.
그외에도, 전방측 다리부재(110A)들의 상단 수평으로 가림판(400)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가림판(400)을 다리 프레임(120A,120B)과 상판(200)에 연결시키는 홀더(420) 및 연결구(45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 프레임(150)과 다리 프레임(120A,120B)의 하부에는 다른 테이블(100)과의 적층 보관시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31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판(200)의 하부에는 상판(200)의 적층시 충격력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페이서(320)가 개재되어 있다.
그 다리 프레임(120A,120B)은 전,후방측 다리부재(110A,110B)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일체로 용접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 양측 다리부재(110A,110B)들중 일측의 다리부재(110A, 110B)간의 간격이 타측 다리부재(110A,110B)의 간격과 상호 다른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후방측 다리부재(110B)들중 좌측의 것은 우측에 위치한 것보다 상판(200)의 외측(즉, 테두리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수직방향의 적층작업시 다리부재들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미 설명부호 "510"은 양측 다리 프레임(120A,120B)의 단부와 전,후방 다리부재(110A,110B)의 상단부에 용접된 부위를 마감하기 위한 마감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100)은 전,후방측 다리부재(110A,110B)가 다리 프레임(120A,120B)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그 일체로 연결된 전,후방 다리부재(110A,110B)와 이격된 곳에 위치한 전,후방측 다리부재(110A,110B)도 다리 프레임(120A,120B)에 일체로 연결된 하부구조를 가지며, 그 양측 다리 프레임(120A,120B)의 중간부를 수평으로 설치된 보강 프레임(150)이 일체로 결합된 후에 그 위로 상판(200)이 안착되어 고정 설치되는 조립구조를 갖는다.
이 조립과정이 완료된 테이블(100)은 후방측 다리부재(110B)의 폭이 전방측 다리부재(110A)의 폭(또한, 상판(20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판(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다수개의 테이블(100)을 수직방향으로의 적층시 후방측 다리부재(110B)가 상판(20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어 적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테이블(100)을 수평방향으로 배열할 경우, 후방측 다리부재(110B)가 다른 테이블(100)의 후방측 다리부재(110B)중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후방측 다리부재(110B)와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서로의 후방측 다리부재(110B)가 간섭되지 않게 되어 상판(200)의 테두리가 서로 밀착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앞 가림판이 없는 구조에 해당되며,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전,후방 다리부재(110A,110B)가 일체로 절곡 형성된 다리부(130A,130B)와, 그 양측 다리부(130A,130B)의 중간에 연결되는 보강 프레임(150)과, 그 보강 프레임(150)과 다리부(130A,130B)의 상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상판(200)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보강 프레임(150)과 다리부(130A,130B)의 상,하측에는 수직방향의 적층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페이서(320) 및 완충부재(31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 다리부재(110B)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도면에 도시된 좌측의 후방측 다리부재(110B)가 우측의 후방측 다리부재(110B)보다 상판(200)의 테두리측으로 위치하여 상호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테이블(100)은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기능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적층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후방측 다리부재의 폭을 상판의 폭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좁은 공간내에서 다수개 적재가 가능하여 공간 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적층시 그 충격력이 완충되어 전달되므로, 테이블의 손상을 방지하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3)

  1.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형성된 한쌍의 다리부재(110A,110B)와, 상기 양측 다리부재(110A,110B)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다리 프레임(120A,120B)과, 그 양측 다리 프레임(120A,120B)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보강 프레임(150)과, 상기 다리 프레임(120A,120B)과 보강 프레임(15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판(200)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양측 다리부재(110A,110B)들중 일측에 위치한 양측 다리부재의 폭이 상기 상판(20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프레임(120A,120B)과 보강 프레임(150)의 하부에 복수개 부착되는 완충부재(310)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다리부재(110A,110B)들중 일측의 다리부재(110A, 110B)간의 간격이 타측 다리부재(110A,110B)의 간격과 상호 다른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KR20-2003-0017100U 2003-05-31 2003-05-31 테이블 KR200323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100U KR200323919Y1 (ko) 2003-05-31 2003-05-31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100U KR200323919Y1 (ko) 2003-05-31 2003-05-31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919Y1 true KR200323919Y1 (ko) 2003-08-21

Family

ID=4941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100U KR200323919Y1 (ko) 2003-05-31 2003-05-31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91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614Y1 (ko) 2009-01-09 2009-08-20 장근대 실험대
KR101467694B1 (ko) * 2013-07-30 2014-12-02 송인석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식탁
KR102026104B1 (ko) 2019-05-21 2019-09-27 부호체어원(주)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KR20210000094U (ko) * 2019-07-05 2021-01-13 오수미 상판 분리형 테이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614Y1 (ko) 2009-01-09 2009-08-20 장근대 실험대
KR101467694B1 (ko) * 2013-07-30 2014-12-02 송인석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식탁
KR102026104B1 (ko) 2019-05-21 2019-09-27 부호체어원(주)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KR20210000094U (ko) * 2019-07-05 2021-01-13 오수미 상판 분리형 테이블
KR200495162Y1 (ko) * 2019-07-05 2022-03-16 오수미 상판 분리형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8532A (en) Pallet for conveying and holding glass plates
US7287730B1 (en) Foldable stand
KR200323919Y1 (ko) 테이블
CN110510260A (zh) 一种用于汽车后背门竖向放置的组合式eps包装箱
US20010027934A1 (en) Support structure for packaging
EP1853494B1 (en) Appliance base rail with m-shaped profile
US7048119B2 (en) Bottom lifting see-through baseloid handling package for appliances
EP3581520A1 (en) Speaker packaging device and package body
JP2012218777A (ja) ワーク用保護部材及びワークの搬送ユニット
JP2006240702A (ja) クッション材
JP4592525B2 (ja) 防振架台
JP7024251B2 (ja) 運搬台
CN220263515U (zh) 一种抗摔型纸箱
JPS6236299A (ja) バツテリ式フオ−クリフトのフレ−ム構造
JP3734641B2 (ja) 梱包用緩衝装置
JPH0140872Y2 (ko)
KR20130003369U (ko) 액자용 포장 박스
JP2586073Y2 (ja) 包装装置
JP3765612B2 (ja) 包装用緩衝体
JP3959458B2 (ja) パレット等用キャスター機構
CN107554461B (zh) 车用两侧加强支撑件
JP2602257Y2 (ja) ボックスパレット
JP3445626B2 (ja) 包装装置
JPH0640692Y2 (ja) 防水パンの段積み緩衝治具
KR200377017Y1 (ko) 개방형 케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