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017Y1 - 개방형 케이지 - Google Patents

개방형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017Y1
KR200377017Y1 KR20-2004-0031314U KR20040031314U KR200377017Y1 KR 200377017 Y1 KR200377017 Y1 KR 200377017Y1 KR 20040031314 U KR20040031314 U KR 20040031314U KR 200377017 Y1 KR200377017 Y1 KR 200377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late portion
horizontal bar
rods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경
Original Assignee
(주)헬파티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헬파티엘에스 filed Critical (주)헬파티엘에스
Priority to KR20-2004-0031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0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57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 B65D2519/0056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chemical connection, e.g. glued, welded, sea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7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 separate auxiliary element, e.g. screws, nails, bayo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개방형 케이지는, 가아드 프레임(20)의 일측 수평봉(26)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수직돌출되는 소정길이의 걸림핀(261)이 구비되고, 타측 수평봉(26')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상기 걸림핀(261)이 삽입되는 걸림홈(261')이 형성됨으로써, 걸림핀(261)이 걸림홈(261')에 삽입되어 양 수평봉(26)(26')이 견고하게 결속되며, 양 수평봉(26)(26')은 서로 겹쳐지는 부위의 두께가 타부위보다 얇게 형성됨으로써, 서로 조합된 상태에서 그 선단의 수평높이가 서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양 수평봉(26)(26')의 양선단에 각각 부착되며, 상방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엠보돌기(280)가 형성된 상면 플레이트부(281)와, 상기 상면 플레이트부(281)의 양 측단에 절곡형성되어 수평봉(26)의 측면을 감싸는 테두리부(282)와, 상면 플레이트부(281)의 전단에 절곡형성되어 수평봉(26)의 선단을 감싸는 덮개부(283)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 브라켓(28)을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개방형 케이지는 수평봉의 결속구조상 조립이 간편하고, 돌기받침대 등의 미끄럼 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다수개를 적층할 경우에도 적층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등, 생산성 및 사용편의성이 높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방형 케이지{open type cage}
본 고안은 개방형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효율이 향상되고, 적층시의 안정성이 향상됨으로써 생산성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개방형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지는 공장 등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적재하여 근거리내에서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임시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기능적인 특성에 따라, 개방형, 도어형 등으로 구분된다.
이중에서 개방형 케이지는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다수개의 널빤지(101)가 조합된 소정넓이의 사각패널 형태로 구성된 파레트(10)와, 상기 파레트(10)에 장착된 가아드 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아드 프레임(20)은 파레트(10)의 각 모서리 부위에 부착된 원통형의 지지브라켓(12)에 수직으로 삽입 장착된 각각의 수직봉(22)과,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한쌍의 수직봉(22)(22')의 상단에 양 선단이 각각 연결됨으로써 서로 조합배치되는 한쌍의 수평봉(24)(2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양 수평봉(24)(24')은 서로 엇갈린상태로 조합됨으로써(X 자 형태) 견고한 구성을 유지하게 되는데, 수평봉(24)(24')간의 연결구조는 양 수평봉(24)(24')의 서로 접하는 부위에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연결홈(24a)(24a')이 형성되고, 일측 수평봉(24)의 연결홈(24a)에 타측 수평봉(24')의 연결홈(24a')이 포개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도 2 참조)
여기서, 상기 각 연결홈(24a)(24a')은, 수평봉(24)(24')들이 서로 조합된 상태에서 크게 유동되지 않도록 수평봉(24)(24')의 직경을 약간 초과하는 하는 폭을 갖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봉(24)(24')은 그 양선단에 형성된 걸림홈(미도시)에 수직봉(22)의 상단이 삽입되는 형태로 수직봉(22)과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개방형 케이지에 의하면 파레트(10)위에 물건을 올려놓는 방식으로 적재하게 되며, 적재된 물건이 수직봉(22)(22')과 수평봉(24)(24')이 조합된 가아드 프레임(20)에 의해 어느정도 보호됨으로써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케이지를 옮길경우에도 비교적 안정적인 적재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개방형 케이지를 조립할 때에는 가아드 프레임(20)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양 수평봉(24)(24')의 배치관계를 연결홈(241)(241')간의 조합관계에 따라 맞추어야 한다.
이는, 수평봉(24)(24')에 형성된 연결홈(241)(241')이 일측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 수평봉(24)(24')을 정해진 방향대로 조합하지 않으면 양수평봉(24)(24')의 연결홈(241)(241')이 서로 피팅(fitting)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하면 가아드 프레임의 수평봉(24)(24')을 장착하기 위해 작업자가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적재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다수개의 케이지를 적층하여 사용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나, 종래에는 수평봉(24)(24')이 단순한 파이프 형태이기 때문에 다수개의 케이지가 적층될 경우, 상측 케이지의 파레트에 대한 견고한 지지력을 하측 케이지의 수평봉(24)(24')이 발휘하지 못하여 적층상태가 극히 불안정해질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이러한 우려 때문에 종래의 케이지는 적층하여 사용되지 못한다는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수평봉의 결속구조상 조립이 간편하고, 적층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생산성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개방형 케이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개방형 케이지는, 가아드 프레임의 일측 수평봉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수직돌출되는 소정길이의 걸림핀이 구비되고, 타측 수평봉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상기 걸림핀이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됨으로써, 걸림핀이 걸림홈에 삽입되어 양 수평봉이 견고하게 결속되며, 양 수평봉은 서로 겹쳐지는 부위의 두께가 타부위보다 얇게 형성됨으로써, 서로 조합된 상태에서 그 선단의 수평높이가 서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그리고, 양 수평봉의 양선단에 각각 부착되며, 상방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엠보돌기가 형성된 상면 플레이트부와, 상기 상면 플레이트부의 양 측단에 절곡형성되어 수평봉의 측면을 감싸는 테두리부와, 상면 플레이트부의 전단에 절곡형성되어 수평봉의 선단을 감싸는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 브라켓을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진다..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3부터 도 5까지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롤케이지는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네 모서리에 지지브라켓(12)이 부착된 파레트(10)와, 상기 파레트(10)에 장착되는 가아드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아드 프레임(20)은 각 지지브라켓(12)에 삽입 장착된 수직봉(22) 및,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되어 각 수직봉(22)의 상단이 그 측면에 삽입되는 형태로 수직봉(22)과 연결되는 한쌍의 수평봉(26)(2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일측 수평봉(26)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소정길이의 걸림핀(261)(도 4 참조)이 구비되고, 타측 수평봉(26')의 중심부에는 상기 걸림핀(261)이 삽입되는 걸림홈(261')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핀(261)은 수평봉(26)의 측면에서 수직으로 돌출한 형태이며,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된다.
그리고, 양 수평봉(26)(26')의 서로 접하는 부위는 걸림핀(261)과 걸림홈(261')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구간내에서 그 두께가 타부위 보다 얇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각 수평봉(26)(26')의 양선단에는 위에 올려진 타 케이지가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적층되도록 하는 미끄럼방지 브라켓(28)이 부착되는데, 상기 미끄럼방지 브라켓(28)은 상방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엠보돌기(280)가 형성된 상면 플레이트부(281)와, 상기 상면 플레이트부(281)의 양 측단에 절곡형성된 테두리부(282)와, 상면 플레이트부(281)의 전단에 절곡형성된 덮개부(283)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끄럼방지 브라켓(28)은 수평봉(26)(26')의 선단 상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견고하게 부착되며, 상면 플레이트부(281)가 상방을 향하고, 테두리부(282) 및 덮개부(283)가 수평봉(26)(26')의 측면 및 전단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된다.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지 조립 시에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수평봉(26)(26')을 수직봉(22)(22')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일측 수평봉(26)에 구비된 걸림핀(261)을 타측 수평봉(26')에 구비된 걸림홈(261')에 끼워넣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양 수평봉(26)(26')을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양 수평봉(26)(26')의 서로 접하는 부위는 타 부위보다 두께가 얇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결속된 양 수평봉(26)(26')의 양선단은 수평면에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종래와 같이 양 수평봉(26)(26')을 결속하기 위해 수평봉(26)(26')간의 방향을 맞추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지않고 수평봉(26)(26')과 수직봉(22)(22')을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지를 다수개 적층하는 경우에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측 케이지의 지지브라켓(12) 하단이 하측 케이지의 미끄럼방지 브라켓 (28)위에 놓여지도록 하면, 미끄럼방지 브라켓(28)의 구조상 위에 놓여진 지지브라켓(12)의 수평방향이동이 엠보돌기(280)에 의해 저지되기 때문에 각 케이지의 적층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방형 케이지는, 수평봉의 결속구조상 조립이 간편하고, 미끄럼방지 브라켓을 구비함으로써 다수개를 적층할 경우에도 적층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등, 생산성 및 사용편의성이 높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개방형 케이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개방형 케이지에 적용된 수평봉의 구조 및 결속방식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개방형 케이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개방형 케이지에 적용된 수평봉의 구조 및 결속방식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개방형 케이지가 다수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파레트 12: 지지브라켓
22, 22': 수직봉 26, 26': 수평봉
261: 걸림핀 261': 걸림홈
28: 미끄럼방지 브라켓 281: 엠보돌기

Claims (2)

  1. 다수개의 널빤지가 조합된 소정넓이의 사각패널 형태로 구성되며, 네 모서리에 원통형의 지지브라켓이 각각 부착된 파레트;
    상기 파레트의 각 지지브라켓에 삽입 장착되는 수직봉과,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한쌍의 수직봉 상단에 양 선단이 각각 연결됨으로써 X 자 형태로 조합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봉으로 구성된 가아드 프레임
    을 포함하는 개방형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가아드 프레임의 일측 수평봉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수직돌출되는 소정길이의 걸림핀이 구비되고, 타측 수평봉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상기 걸림핀이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됨으로써, 걸림핀이 걸림홈에 삽입되어 양 수평봉이 견고하게 결속되며,
    양 수평봉은 서로 겹쳐지는 부위의 두께가 타부위보다 얇게 형성됨으로써, 서로 조합된 상태에서 그 선단의 수평높이가 서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케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양 수평봉의 양선단에 각각 부착되며,
    상방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엠보돌기가 형성된 상면 플레이트부와, 상기 상면 플레이트부의 양 측단에 절곡형성되어 수평봉의 측면을 감싸는 테두리부와, 상면 플레이트부의 전단에 절곡형성되어 수평봉의 선단을 감싸는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 브라켓
    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케이지.
KR20-2004-0031314U 2004-11-05 2004-11-05 개방형 케이지 KR200377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314U KR200377017Y1 (ko) 2004-11-05 2004-11-05 개방형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314U KR200377017Y1 (ko) 2004-11-05 2004-11-05 개방형 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017Y1 true KR200377017Y1 (ko) 2005-03-11

Family

ID=43678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314U KR200377017Y1 (ko) 2004-11-05 2004-11-05 개방형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0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837B1 (ko) 2021-04-05 2021-06-25 (주)목양 굴곡 강도가 개선된 냉장고 케이지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837B1 (ko) 2021-04-05 2021-06-25 (주)목양 굴곡 강도가 개선된 냉장고 케이지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25077A1 (en) Shelving unit with load capacity increasing tie clips
JPH066235U (ja) 段ボール製の荷役用パレット
KR101611095B1 (ko) 접철식 파레트의 적층 연결유닛
WO2013118808A1 (ja) 金属製パレット
KR200377017Y1 (ko) 개방형 케이지
US3465898A (en) Connections for tiered storage rack units
KR101218731B1 (ko) 롤 운반박스용 판넬 지지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롤 운반용기
KR200400826Y1 (ko) 버팀목 지지구조를 갖는 파레트
KR101680773B1 (ko) 조립식 팔레트
JP2012218777A (ja) ワーク用保護部材及びワークの搬送ユニット
US20020033122A1 (en) Pallet assembly
JP3343744B2 (ja) 緩衝包装材組立体
KR101350940B1 (ko) 팔레트 지지 로드빔 고정용 타이빔 및 그 제조 방법
KR200413675Y1 (ko) 스틸팔레트
KR102151311B1 (ko) 조립식 스태킹 랙
KR200493532Y1 (ko) 적재품 미끄럼방지 기능 및 견고성이 향상된 스태킹 랙
KR102410601B1 (ko) 팔레트의 적층을 위한 보조자재
KR200263820Y1 (ko) 철재 파레트
KR102218708B1 (ko) 팔레트
KR102480926B1 (ko) 팔레트용 캡
KR101631903B1 (ko) 물품포장용 파레트
KR101150521B1 (ko) 파레트 적층을 위한 모서리연결부재
KR101298181B1 (ko) 화물적재용 팔레트
JPH08164936A (ja) 鋼製パレット
KR102241222B1 (ko) 조립식 파렛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