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820Y1 - 철재 파레트 - Google Patents

철재 파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820Y1
KR200263820Y1 KR2020010034578U KR20010034578U KR200263820Y1 KR 200263820 Y1 KR200263820 Y1 KR 200263820Y1 KR 2020010034578 U KR2020010034578 U KR 2020010034578U KR 20010034578 U KR20010034578 U KR 20010034578U KR 200263820 Y1 KR200263820 Y1 KR 2002638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rame
longitudinal direction
steel pallet
palle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이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민 filed Critical 이상민
Priority to KR2020010034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8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820Y1/ko

Links

Landscapes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재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돌출부와 2개의 오목부를 갖는 상부 프레임과; 양단에 상기 상부 프레임의 오목부의 배면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서포트로 이루어지는 철재 파레트에 있어서, 두개의 상부 프레임의 양단부 및 중앙을 상기 서포트에 의해 연결한 2개 이상의 조립체의 상하면에, 조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격자 형태로 배치한 3개 이상의 상부 프레임을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철재 파레트{Steel pallet}
본 고안은 철재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제품을 운반하기 위한 받침대 역할을 하는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레트는 물품을 적재하거나 운반하는 경우에 받침대로서 사용되는데, 지게차와 같은 운반수단과 함께 사용하여 물품을 보다 용이하고 빠르게 운반하거나 적재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파레트는 종래부터 목재 파레트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목재의 특성상 결합수단인 못이나 쐐기 등이 외부로 돌출되어 물품에 손상을 입히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국내에서는 대부분의 목재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바, 수입 통관시에 해충 등이 목재와 함께 들어오는 경우가 있어 검역을 거쳐야하므로, 절차가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원가 또한 상승하여 제작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한 파레트도 사용되고 있는 데, 플라스틱의 경우 파레트로서 요구되는 강도를 확보하려면 파레트가 지나치게 무거워지므로 사용 및 취급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무게 증가로 인해 운송비 또한 증가되게 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할 철재 파레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데, 철재 파레트의 경우에도 재질의 특성상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운반 중 물품이 미끄러질 위험이 있으며, 중량을 줄이기 위해 대부분 판재로 제작되고 있는 데, 이로 인해 강도가 부족한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파레트에 올려둔 물품이 쉽게 미끄러지지 않으며, 동시에 강도의 확보도 용이한 철재 파레트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철재 파레트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 중 상부 프레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 중 상부 프레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 중 서포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에 도시된 서포트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6은 도4에 도시된 서포트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 프레임, 11 … 돌출부,
12 … 오목부, 13 … 가로주름,
14 … 세로주름, 20 … 서포트,
21 … 홈.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돌출부와 2개의 오목부를 갖는 상부 프레임과; 양단에 상기 상부 프레임의 오목부의 배면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서포트로 이루어지는 철재 파레트에 있어서, 두개의 상부 프레임의 양단부 및 중앙을 상기 서포트에 의해 연결한 2개 이상의 조립체의 상하면에, 조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격자 형태로 배치한 3개 이상의 상부 프레임을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철재 파레트는 3개의 조립체 상하면에 5개의 상부 프레임을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철재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돌출부 중 중앙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표면에는 상부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개의 가로주름이 형성되어 있고, 양쪽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표면에는 상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개의 세로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철재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돌출부 상면과 오목부의 바닥면을 잇는 벽면이 오목부의 바닥면에 대해서 갖는 각도는 수직이 아닌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철재 파레트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는 16개의 상부 프레임(10)과 9개의 서포트(20)로 이루어져 있다. 즉, 3개의 상부 프레임(10)의 상부에 5개의 상부 프레임(10)을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시킨 상태에서 격자 형태로 배치한 후에, 용접 또는 볼트고정을 통해 결합하여 정사각형 형상의 상부판을 제조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하부판을 제조한다.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의 모서리 및 각 변의 중앙부 그리고 정사각형의 중심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상기 서포트(20)가 끼워진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프레임(10)은 판재를 절곡하여 3개의 돌출부(11)와 2개의 오목부(12)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1) 중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돌출부(11)의 표면에는 상부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가로주름(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쪽에 위치하는 돌출부(11)에는 상부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2줄의 세로주름(1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주름(13, 14)들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품이 이동중에 미끄러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미끄럼방지 돌기 등을 설치할 필요없이, 상부 프레임(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적은 공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1)의 표면과 오목부(12)의 바닥면을 연결하는 4개의 벽면은 오목부(12)의 바닥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어서, 상기 오목부(12)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서포트(20)는 전체적으로 사각기둥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단과 하단은 개방되어 있다.
또한, 도6을 참조하면 상기 서포트(20)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2개 씩의 홈(21)이 형성되어 있는 데, 이 홈(21)에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오목부(12) 배면이 삽입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홈(21)에 끼워지는 상부 프레임(10)의 오목부(12)는 단면이 사다리꼴이므로 상기 서포트(20)의 홈(21)의 형상 역시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홈(21)이 이루는 사다리꼴의 빗변이 이루는 각도를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오목부(12)가 이루는 사다리꼴의 빗변이 이루는 각도보다 조금 작게하는 것이 좋다. 이로 인해, 상기 홈(21)과 오목부(12)의 배면은 서로 억지끼워맞춤되므로, 상부 프레임(10)과 서포트(2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지며, 홈(21)이 끼워지지 않는 부분에서는 사다리꼴 형상이 유지되므로 상부 프레임(10)의 강성이 일반 직사각형 형상에 비해 더욱 향상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해, 별도의 돌기를 부착할 필요없이 한번의 성형에 의해 물품이 미끄러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 프레임의 돌출부 표면과 오목부 바닥면을 연결하는 벽부분이 경사져 있으므로, 기존과 동일한 두께의 판재를 사용하여도 보다 견고한 결합구조 및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돌출부(11)와 2개의 오목부(12)를 갖는 상부 프레임(10)과; 양단에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오목부(12)의 배면이 끼워지는 홈(21)이 형성된 서포트(20)로 이루어지는 철재 파레트에 있어서,
    두개의 상부 프레임(10)의 양단부 및 중앙을 상기 서포트(20)에 의해 연결한 2개 이상의 조립체의 상하면에, 조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격자 형태로 배치한 3개 이상의 상부 프레임(10)을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파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재 파레트는 3개의 조립체 상하면에 5개의 상부 프레임(10)을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파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돌출부(11) 중 중앙에 위치하는 돌출부(11)의 표면에는 상부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개의 가로주름(13)이 형성되어 있고, 양쪽에 위치하는 돌출부(11)의 표면에는 상부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개의 세로주름(14)이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파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돌출부(11) 상면과 오목부(12)의 바닥면을 잇는 벽면이 오목부(12)의 바닥면에 대해서 갖는 각도는 수직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파레트.
KR2020010034578U 2001-11-10 2001-11-10 철재 파레트 KR2002638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578U KR200263820Y1 (ko) 2001-11-10 2001-11-10 철재 파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578U KR200263820Y1 (ko) 2001-11-10 2001-11-10 철재 파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820Y1 true KR200263820Y1 (ko) 2002-02-09

Family

ID=7308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578U KR200263820Y1 (ko) 2001-11-10 2001-11-10 철재 파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8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053A (ko) * 2002-10-14 2002-11-04 코리아에스피엔피 주식회사 파레트 상부골조 및 성형 로울러
KR102320925B1 (ko) 2021-07-15 2021-11-03 최소영 운송용 팔레트의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053A (ko) * 2002-10-14 2002-11-04 코리아에스피엔피 주식회사 파레트 상부골조 및 성형 로울러
KR102320925B1 (ko) 2021-07-15 2021-11-03 최소영 운송용 팔레트의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3355A (en) Twin-sheet thermoformed pallet with high stiffness deck
US3835792A (en) Pallet construction
US7641059B2 (en) Modular device for the support of casks
US20060113303A1 (en) Article storage case
US20060096508A1 (en) Modular pallet
KR200464149Y1 (ko) 파렛트 적재 랙
WO2023036232A1 (zh) 组合式塑胶栈板
US3605651A (en) Pallet of low-cost disposable type
KR100983828B1 (ko) 철재 팔레트
KR101115606B1 (ko) 팔레트의 강도 보강구조
KR100842801B1 (ko) 조립식 파레트
KR200263820Y1 (ko) 철재 파레트
US3442231A (en) Material handling container
JP3065500U (ja) 着脱自在な支持脚を備えた貨物保持パレット
KR100818353B1 (ko) 조립식 합성수지 팔레트
KR101612531B1 (ko) 철재 파렛트
JPH03256846A (ja) プラスチック製組立パレット
JPH0318344Y2 (ko)
KR200441940Y1 (ko) 조립식 팔레트
KR200417384Y1 (ko) 철제 팔레트의 골조구조
KR20080006142U (ko) 조립식 팔레트
KR102480926B1 (ko) 팔레트용 캡
KR101589283B1 (ko) 철재 파렛트
JPH0527861Y2 (ko)
KR102161919B1 (ko) 조립식 철재 파렛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