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614Y1 - 실험대 - Google Patents

실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614Y1
KR200445614Y1 KR2020090000291U KR20090000291U KR200445614Y1 KR 200445614 Y1 KR200445614 Y1 KR 200445614Y1 KR 2020090000291 U KR2020090000291 U KR 2020090000291U KR 20090000291 U KR20090000291 U KR 20090000291U KR 200445614 Y1 KR200445614 Y1 KR 200445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rtition plate
legs
supporting
connec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정진섭
Original Assignee
장근대
정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정진섭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2020090000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6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6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2Laboratory benches or tables; Fitt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2037/005Tables specially adapted for laborat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실험대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실험대는: 판넬과, 판넬을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와, 다리 중 인접한 한 쌍을 연결하여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지지편이 형성되는 연결브라켓과, 지지편에 안착되어 판넬과 이격되는 하부판넬과, 하부판넬과 판넬의 사이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 및 구획판의 양 끝단이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도록 연결브라켓에 형성되는 끼움홈부로 이루어져, 판넬의 하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되, 연결브라켓에 안착되는 구조에 의해 상호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성이 향상되는 실험대에 관한 것이다.
실험대, 연결브라켓, 수납공간, 구획판

Description

실험대{Laboratory table}
본 고안은 실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판넬의 하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되, 연결브라켓에 안착되는 구조에 의해 상호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성이 향상되는 실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학원 등에서 여러명이 한조가 되어 과학수업이나 미술, 가정, 의학 실습 등의 특별수업을 받는 경우에는 일반 책상이 아닌 실험대나 실습대를 별도로 마련하여 사용한다.
실험대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판 상태의 상판과 이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로 구성되어 실험자가 상판에 실험대상을 올려놓고 실험을 하게 된다.
종래에 따른 실험대에 의하면, 상판과 다리를 연결하기 위해 다수개의 브라 켓이 필요하게 되고, 조립시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작업공수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근접하는 다리 한쌍을 연결브라켓으로 결합하고, 연결브라켓에 의해 상판과 서랍판을 지지함으로써, 조립시 작업공수를 현저히 줄이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경량화할 수 있는 실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험대는 판넬과, 판넬을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와, 다리 중 인접한 한 쌍을 연결하여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지지편이 형성되는 연결브라켓과, 지지편에 안착되어 판넬과 이격되는 하부판넬과, 하부판넬과 판넬의 사이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 및 구획판의 양 끝단이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도록 연결브라켓에 형성되는 끼움홈부를 포함한다.
연결브라켓은 다리의 상단부에 볼트 결합되어 한 쌍의 다리를 연결하고, 판넬의 하면에 접하여 볼트 결합되어 판넬을 지지하는 고정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구획판은 연결브라켓의 끼움홈부에 양끝단이 끼워져 판넬과 하부판넬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장구획판과, 장구획판에 교차되도록 끼움결합되어 장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구획하는 단구획판을 포함한다.
또한, 연결브라켓의 측면에는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리 중 인접하는 한 쌍의 다리 사이에는 지지편을 지지하고, 다리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보조지지부가 결합되고, 보조지지부 사이에는 하부판넬의 하면과 접하여 하부판넬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판넬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조지지부과 하중지지판넬의 하면에는 보강대를 결합하여 뒤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험대는 종래 고안과 달리 판넬의 하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되, 연결브라켓에 안착되는 구조에 의해 상호 부품을 고정하는 작업공수를 현저히 줄이고, 조립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연결브라켓의 중앙에 구획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끼움홈부가 형성되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연결브라켓의 측면에 통기공을 형성하여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통기가 가능하여 수납공간을 청결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험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 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연결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판넬과 하부판넬의 안착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대(100)는 크게 판넬(110), 복수의 다리(120), 수납공간로 이루어진다.
판넬(11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다리(120)는 각각 판넬(110)의 가장자리 하면에 지지되어 판넬(110)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다리(120)는 중공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경량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리(120)의 상단부에는 고정브라켓(122)이 형성되고, 고정브라켓(122)에 의해 판넬(110)과 연결된다.
판넬(110)의 하부에는 별도의 물품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수납공간은 판넬(110)과 일정간격 이격된 하부판넬(130)과 판넬(110)과 하부판넬(130)의 사이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15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판넬(130)은 연결브라켓(140)에 의해 지지된다.
연결브라켓(140)은 다리 중 인접한 한 쌍을 연결하여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내측으로 하부판넬(130)이 지지되도록 지지편(142)이 절곡 형성된다.
연결브라켓(140)은 다리(120)의 상단부에 볼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브라켓(140)은 판넬(110)의 하면에 접하여 볼트 결합되어 판넬(110)을 지지하는 고정편(144)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브라켓(140)은 상하부가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단부에는 고정편(144)을 형성하고, 하단부에는 지지편(142)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단면형상이 'ㄷ'자 형상을 갖는다.
이처럼 판넬(110)과 하부판넬(130)은 연결브라켓(140)에 의해 이격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이 수납공간은 구획판(150)에 의해 구획된다.
구획판(150)은 수납공간을 횡으로 구획하는 장구획판(152)과, 장구획판(152)과 교차되도록 끼움결합되어 수납공간을 종으로 구획하는 단구획판(15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브라켓(140)의 중앙에는 장구확판(152)의 양 끝단이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도록 끼움홈부(145)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판넬(13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끼움홈부(145)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장구획판(152)은 끼움홈부(145)와 하부판넬(130)의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장구획판(152)과 단구획판(154)의 중앙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절개홈(152a,154a)이 형성되어 맞물려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단구획판(154)과 장구획판(152)이 결합된 후 단구획판(154)의 양 끝단은 하부판넬(130)과 볼트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브라켓(140)의 측면에는 통기공(14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리(120) 중 인접하는 한 쌍의 다리(120) 사이에는 지지편(142)을 지지하고 다리(120)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보조지지부(160)가 결합되고, 보조지지부 (160)사이에는 하부판넬(130) 사이의 장구획판(152)의 하면과 접하여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판넬(17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지지부(160)와 하중지지판넬(170)의 하면에는 각각 보강대(180)가 결합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인접하는 다리(120) 한 쌍의 상단부를 연결브라켓(140)과 볼트 조립하고, 한 쌍의 다리(120)사이에는 보조지지부(160)를 결합한다.
그리고, 마주하는 보조지지부(160)를 하중지지판넬(170)에 의해 연결한다.
이후, 보조지지부(160)와 하중지지판넬(170)의 하면에 보강대(180)를 결합하여 뒤틀림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하부판넬(130)을 연결브라켓(140)의 지지편(142)에 안착한다.
지지편(142)의 하부에는 보조지지부(160)가 접하고 있어 하중이 지지된다.
이후, 장구획판(152)의 양 끝단을 연결브라켓(140)의 중앙에 형성된 끼움홈부(145)와, 한 쌍의 하부판넬(130) 사이에 끼워 결합하고, 단구획판(154)은 장구획판(152)과 교차되도록 각각의 절개홈(152a,154a)을 이용하여 끼워 결합된다.
그리고, 단구획판(154)의 양 끝단은 하부판넬(130)과 볼트 조립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에 판넬(110)을 안착한다.
판넬(110)은 4개의 다리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브라켓(122)에 의해 연결되고, 판넬(110)의 양측 하면은 연결브라켓(140)의 고정편(144)에 접하여 볼트 조립되어 조립이 완성된다.
한편, 연결브라켓(140)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통기공(147)이 형성되어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통기되어 쾌적한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145)에 의해 판넬(110)과 하부판넬(130)을 이격시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연결브라켓(140)의 끼움홈부(145)와, 하부판넬(130) 사이에 끼워지는 방식에 의해 구획판(150)을 고정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고 부품수를 현저히 줄여 경량화뿐만 아니라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연결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판넬과 하부판넬의 안착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실험대 110 : 판넬
120 : 다리 122 : 고정브라켓
130 : 하부판넬 140 : 연결브라켓
142 : 지지편 144 : 고정편
145 : 끼움홈부 147 : 통기공
150 : 구획판 152 : 장구획판
152a, 154a : 절개홈 154 : 단구획판
160 : 보조지지부 170 : 하중지지판넬
180 : 보강대

Claims (6)

  1. 판넬;
    상기 판넬을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
    상기 다리 중 인접한 한 쌍을 연결하여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지지편이 형성되는 연결브라켓;
    상기 지지편에 안착되어 상기 판넬과 이격되는 하부판넬;
    상기 하부판넬과 상기 판넬의 사이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 및
    상기 구획판의 양 끝단이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브라켓에 형성되는 끼움홈부를 포함하는 실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다리의 상단부에 볼트 결합되어 한 쌍의 다리를 연결하고;
    상기 판넬의 하면에 접하여 볼트 결합되어 상기 판넬을 지지하는 고정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연결브라켓의 끼움홈부에 양끝단이 끼워져 상기 판넬과 하부판넬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장구획판;
    상기 장구획판에 교차되도록 끼움결합되어 상기 장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구획하는 단구획판을 포함하는 실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의 측면에는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중 인접하는 한 쌍의 다리 사이에는 상기 지지편을 지지하고, 상기 다리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보조지지부가 결합되고;
    상기 보조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하부판넬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하부판넬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판넬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부과 상기 하중지지판넬의 하면에는 보강대를 결합하여 뒤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대.
KR2020090000291U 2009-01-09 2009-01-09 실험대 KR200445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291U KR200445614Y1 (ko) 2009-01-09 2009-01-09 실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291U KR200445614Y1 (ko) 2009-01-09 2009-01-09 실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614Y1 true KR200445614Y1 (ko) 2009-08-20

Family

ID=4135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291U KR200445614Y1 (ko) 2009-01-09 2009-01-09 실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6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149B1 (ko) * 2013-08-12 2014-04-09 이정원 현장 조립식 실험대
KR102140749B1 (ko) 2019-09-25 2020-08-03 주식회사 신영엘에스티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실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919Y1 (ko) 2003-05-31 2003-08-21 주식회사 퍼시스 테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919Y1 (ko) 2003-05-31 2003-08-21 주식회사 퍼시스 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149B1 (ko) * 2013-08-12 2014-04-09 이정원 현장 조립식 실험대
KR102140749B1 (ko) 2019-09-25 2020-08-03 주식회사 신영엘에스티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실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6305A (en) Modular electronic desk
JPH08205935A (ja) 作業台ユニット
KR200445614Y1 (ko) 실험대
US11761194B2 (en) Modular workspace system
CN217695603U (zh) 便装式实验用台
JP4924364B2 (ja) 組立式デスク
JP5520059B2 (ja) ラック用台座及び二重床構造
JP2019063236A (ja) 天板の支持装置
KR102140749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실험대
KR102643469B1 (ko) 선반의 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가구
KR101383149B1 (ko) 현장 조립식 실험대
KR102643468B1 (ko) 끼워맞춤 타입의 조립식 가구
CN211172805U (zh) 一种便于安装的多层板护墙板
CN215368393U (zh) 一种装配式钢结构钢柱装饰结构
CN216407392U (zh) 一种连接件
JP3079325U (ja) ラック
KR102384798B1 (ko) 견고한 결합구조 갖는 모듈형 소파프레임
CN218185760U (zh) 一种桌架及桌板支撑结构
CN215225525U (zh) 一种家具的连接杆件结构
CN112315187B (zh) 一种桌子
KR20210143015A (ko) 조립식 책상
CN211703815U (zh) 一种便于拆装的大板桌
CN210093737U (zh) 一种百瓦级半导体激光器系统用工业机箱
CN218418929U (zh) 一种便于拆装课桌
CN213640026U (zh) 一种拼接式桌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