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369U - 액자용 포장 박스 - Google Patents

액자용 포장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369U
KR20130003369U KR2020110010608U KR20110010608U KR20130003369U KR 20130003369 U KR20130003369 U KR 20130003369U KR 2020110010608 U KR2020110010608 U KR 2020110010608U KR 20110010608 U KR20110010608 U KR 20110010608U KR 20130003369 U KR20130003369 U KR 201300033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rear plate
frame
folded
pictur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2243Y1 (ko
Inventor
노영동
Original Assignee
발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발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0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24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3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3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2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자용 포장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액자용 포장 박스는 일정 면적으로 형성된 후판부; 상기 후판부의 양측단에 연결되며 절첩에 의해 후판부의 상부를 덮는 상판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좌,우측 상판부재; 상기 후판부의 상,하단에 연결되며 다수의 접철에 의해 막대형상으로 접어져서 후판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하부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한 장의 판지에 상,하판 및 전,후판부를 형성하여, 이를 각기 접어 박스를 만들고, 그 내부에 액자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액자를 견고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구성이 간결하고,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으며, 조립공정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어 제조 능률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자용 포장 박스{PICTURE FRAME PACKING BOX}
본 고안은 액자용 포장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자를 보호하기 위해 포장하되 완충용 충진재를 별도로 충진할 필요 없이 포장 박스의 일부위를 접어 액자에 밀착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포장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신속한 포장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액자용 포장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면적에 비해 두께가 얇은 특성이 있고, 대개 사각형으로 제작되고 있다.
또한 액자의 전면에는 유리커버가 끼워져 있어 포장시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도록 방어수단을 강구하여야 한다.
종래 액자의 포장 방식은 박스에 액자를 넣은 후 충격 완화용 비닐을 충진시키거나 신문지를 뭉쳐 넣어 액자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고, 충격을 완화하도록 하여 왔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83259호에는 "포장 및 전시용 어셈블리"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1), 상기 프론트 케이스(1)에 수용되는 상품 고정부재(3), 상기 상품 고정부재(3)를 상기 프론트 케이스(1)에 고정하는 백보드(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상품 고정부재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재료비가 많이 소요되고, 이를 조립하는 공정도 번거로우므로 제조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한 장의 판지에 상,하판 및 전,후판부에 해당되는 부분을 형성하여, 이 각 부분을 접어 박스를 만들되, 그 내부에 수납된 액자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도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액자를 견고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구성이 간결하고,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으며, 조립공정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어 제조 능률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액자용 포장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 면적으로 형성된 후판부; 상기 후판부의 양측단에 연결되며 절첩에 의해 후판부의 상부를 덮는 상판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좌,우측 상판부재; 상기 후판부의 상,하단에 연결되며 다수의 접철에 의해 막대형상으로 접어져서 후판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하부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용 포장 박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후판부와 좌,우측 상판부재의 연결된 부위에는 액자의 두께에 해당되는 높이를 갖는 측면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재의 일부분이 내측으로 접혀져 액자의 측면에 접촉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는 고정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측면부재에서 좌,우측 상판부재까지 절개되는 복수의 절개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절개선은 상,하부 마감부재와 평행되게 절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선은 측면부재에서 후판부의 4~6mm 안쪽으로 더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를 내측으로 접었을때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한 장의 판지에 상,하판 및 전,후판부에 해당되는 부분을 형성하여, 이 각 부분을 접어 박스를 만들되, 그 내부에 수납된 액자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도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액자를 견고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구성이 간결하고,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으며, 조립공정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어 제조 능률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용 포장 박스를 펼친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용 포장 박스를 접은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2에서 "I-I"선 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2에서 "II-II"선 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용 포장 박스를 펼친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용 포장 박스를 접은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2에서 "I-I"선 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2에서 "II-II"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자용 포장 박스(A)는 일정 면적을 갖는 직사각형의 골판지를 재단하여 제작되며, 후판부(1), 좌,우측 상판부재(21,22), 상,하부 마감부재(31,32)로 구성된다.
즉 사각형으로 된 후판부(1);
상기 후판부(1)의 양측단에 연결되며 절첩에 의해 후판부(1)의 상부를 덮는 상판부(2)가 형성되도록 하는 좌,우측 상판부재(21,22);
상기 후판부(1)의 상,하단에 연결되며 다수의 접철에 의해 막대형상으로 접어져서 후판부(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하부 마감부재(3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후판부(1)와 좌,우측 상판부재(21,22)의 연결된 부위에는 액자(100)의 두께에 해당되는 높이를 갖는 측면부재(4)가 형성된다.
좌,우측 상판부재(21,22)는 후판부(1)의 면적의 절반에 해당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좌,우측 상판부재(21,22)를 맞대었을 때 후판부(1)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상판부(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좌,우측 상판부재(21,22)를 맞댄 후 테이프로 접착시켜 상판부(2)가 형성된다. 이렇게 후판부(1)와 상판부(2) 및 측면부재(4)가 접어져서 박스 형상의 케이스가 완성된다.
측면부재(4) 및 좌,우측 상판부재(21,22)에는 내측으로 접혀져 액자(100)의 측면에 접촉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는 고정부재(5)가 형성된다.
고정부재(5)는 측면부재(4)에서 좌,우측 상판부재(21,22)까지 절개되는 복수의 절개선(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절개선(L)은 상,하부 마감부재(31,32)와 평행되게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판부(1)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부재(4)에 2개씩 한조를 이루어 고정부재(5)가 형성되며, 이들 양측에 형성되는 고정부재(5)는 각기 대칭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절개선(L)은 측면부재(4)에서 후판부(1)까지 4~6mm 안쪽으로 더 절개(ℓ)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5)를 내측으로 접었을때 안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경사진 형상을 띄게 됨으로써 액자(100)의 측면이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고, 액자 크기가 변동되더라도 경사각으로 인해 접지력이 능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어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하부 마감부재(31,32)는 후판부(1)의 상,하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후판부(1)의 상,하단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3개의 접이선이 형성됨으로써 이들 접이선을 따라 접었을때 4각형의 막대 형상이 된다.
이렇게 형성된 상,하부 마감부재(31,32)가 각기 후판부(1) 및 상판부(2)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결국 본 고안에 따른 액자용 포장 박스(A)의 상,하단을 폐쇄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아울러 내부에 수납된 액자(100)의 상,하단과 접촉되어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후판부(1)의 상면에 액자(100)를 올려놓고, 측면부재(4) 및 좌,우측 상판부재(21,22)를 각기 접어서 액자(100)를 덮도록 한 후 이음부를 테이프로 붙여 고정시킨다.
이후 고정부재(5)를 안쪽으로 접어서 경사진 돌출부가 되도록 내측으로 밀어 넣어 액자(100)의 양측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한다.
이후 상,하부 마감부재(31,32)를 접어서 막대형상으로 만들어 상기 후판부(1)와 측면부재(4) 및 좌,우측 상판부재(21,22)로 구성된 케이스 내로 삽입하여 액자(100)의 상,하면이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포장 박스(A)의 조립과 액자(100)의 고정 작업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게 됨으로 작업 능률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고, 별도의 충진재를 사용할 필요 없이 액자(100)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액자(100)를 고정시키는 고정력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후판부 4 : 측면부재
5 : 고정부재 21 : 좌측 상판부재
22 : 우측 상판부재 31 : 상부 마감부재
32 : 하부 마감부재

Claims (4)

  1. 일정 면적으로 형성된 후판부;
    상기 후판부의 양측단에 연결되며 절첩에 의해 후판부의 상부를 덮는 상판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좌,우측 상판부재;
    상기 후판부의 상,하단에 연결되며 다수의 접철에 의해 막대형상으로 접어져서 후판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하부 마감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용 포장 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판부와 좌,우측 상판부재의 연결된 부위에는 액자의 두께에 해당되는 높이를 갖는 측면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재 및 좌,우측 상판부재에는 내측으로 접혀져 액자의 측면에 접촉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는 고정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용 포장 박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측면부재에서 좌,우측 상판부재까지 절개되는 복수의 절개선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절개선은 상,하부 마감부재와 평행되게 절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용 포장 박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측면부재에서 후판부의 4~6mm 안쪽으로 더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를 내측으로 접었을때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용 포장 박스.

KR2020110010608U 2011-11-29 2011-11-29 액자용 포장 박스 KR200472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08U KR200472243Y1 (ko) 2011-11-29 2011-11-29 액자용 포장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08U KR200472243Y1 (ko) 2011-11-29 2011-11-29 액자용 포장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369U true KR20130003369U (ko) 2013-06-07
KR200472243Y1 KR200472243Y1 (ko) 2014-04-14

Family

ID=5148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608U KR200472243Y1 (ko) 2011-11-29 2011-11-29 액자용 포장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2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27Y1 (ko) * 2018-05-29 2019-11-08 주식회사 아이레즈 조명기구 포장용 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337B1 (ko) 2019-11-12 2021-06-07 주식회사 오티이 사진 및 퍼즐용 포장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스 겸용 액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6463B2 (ja) * 1996-07-01 2004-09-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キュメント管理方法及び装置
JP2000095271A (ja) * 1998-09-24 2000-04-04 Fuji Photo Film Co Ltd 感光材料の包装箱
JP2004099048A (ja) * 2002-09-05 2004-04-02 Kyodo Printing Co Ltd 周壁補強コンテナ
JP2005041528A (ja) * 2003-07-22 2005-0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媒体の包装用保持枠及び包装ケー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27Y1 (ko) * 2018-05-29 2019-11-08 주식회사 아이레즈 조명기구 포장용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243Y1 (ko) 201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207430U (zh) 展示系统
KR200472243Y1 (ko) 액자용 포장 박스
KR101211934B1 (ko)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US11661256B2 (en) Packaging system for an appliance
CN106865029A (zh) 一种用于空调包装装置的下垫块
CN110282217B (zh) 一种电风扇的绿色缓冲包装体
JP5573927B2 (ja) 梱包装置
KR200477061Y1 (ko) 원지가 낭비되지 않는 피자박스
US20060260975A1 (en) Packaging assembly
CN203033211U (zh) 用于空调包装装置的下垫块及空调包装装置
JP2009023667A (ja) コーナー用緩衝体
JP5206841B2 (ja) 梱包装置
CN106865010A (zh) 一种包装用下垫块的空调包装装置
KR101782111B1 (ko) 포장용 박스
CN211253333U (zh) 具有缓冲减震功能的包装盒体
CN215664438U (zh) 一种显示器包装纸箱
CN103786995B (zh) 太阳能模块的包装结构
KR20150024507A (ko) 접이식 충격흡수 패드가 구비되는 포장박스
KR101782522B1 (ko) 포장박스용 칸막이
CN105151484A (zh) 一种茶叶盒及其制作方法
KR200492428Y1 (ko) 에어완충 포장재
JP2011111200A (ja) 自動販売機の梱包材
JP6597977B2 (ja) 被包装物の載置トレイ
KR20090046440A (ko) 포장어셈블리
JP5494852B2 (ja) 梱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