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428Y1 - 에어완충 포장재 - Google Patents
에어완충 포장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2428Y1 KR200492428Y1 KR2020190001348U KR20190001348U KR200492428Y1 KR 200492428 Y1 KR200492428 Y1 KR 200492428Y1 KR 2020190001348 U KR2020190001348 U KR 2020190001348U KR 20190001348 U KR20190001348 U KR 20190001348U KR 200492428 Y1 KR200492428 Y1 KR 20049242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surface portion
- inner space
- forming
- fold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4—Valve bags, i.e. with valves for fi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4—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self-locking integral or attached closure elements, e.g.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완충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충진을 통해 포장대상물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에어완충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에어충진을 통해 포장대상물이 위치하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에어완충 포장재로서, 에어충진을 위한 에어주입구(111)가 형성되는 제1옆면부(110)와, 제1옆면부(110)와 함께 내부공간(S)을 위한 옆면을 형성하는 제2옆면부(120)를 포함하는 옆면부(100)와; 제1옆면부(110)와 제2옆면부(120) 사이에 형성되며, 제1옆면부(110)와 제2옆면부(120)가 서로 마주보도록 접어져 제1옆면부(110)와 제2옆면부(120)의 가장자리가 접합됨으로써, 수평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면부(200)와; 옆면부(100) 및 하면부(200)에 형성되어, 에어주입구(111)를 통해 공급받은 에어가 충진되는 복수의 에어유로(300)들을 포함하는 에어완충 포장재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에어충진을 통해 포장대상물이 위치하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에어완충 포장재로서, 에어충진을 위한 에어주입구(111)가 형성되는 제1옆면부(110)와, 제1옆면부(110)와 함께 내부공간(S)을 위한 옆면을 형성하는 제2옆면부(120)를 포함하는 옆면부(100)와; 제1옆면부(110)와 제2옆면부(120) 사이에 형성되며, 제1옆면부(110)와 제2옆면부(120)가 서로 마주보도록 접어져 제1옆면부(110)와 제2옆면부(120)의 가장자리가 접합됨으로써, 수평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면부(200)와; 옆면부(100) 및 하면부(200)에 형성되어, 에어주입구(111)를 통해 공급받은 에어가 충진되는 복수의 에어유로(300)들을 포함하는 에어완충 포장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에어완충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충진을 통해 포장대상물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에어완충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성된 제품은 박스에 포장되어 출고되며, 이와 같이 박스에 포장된 제품은 구매자에게 인도되기 위해 택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구매자에게 보내지는 제품은 출고된 박스 그대로 택배로 배송되거나, 스티로폼, 골판지 및 에어캡 등으로 재포장되어 배송된다.
하지만, 스티로폼, 골판지 및 에어캡 형태의 재포장지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제품에 맞춰 가공하기 힘들고, 외부에서 인가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해, 포장대상물이 유리 등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물품인 경우 배송과정에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에어완충 포장재는, 에어가 충진된 후에는 충진된 에어로 인해 형상의 변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에어가 충진되는 에어유로가 전개도 상 일정한 크기를 가짐으로써, 특정 형상으로의 변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에어완충 포장재는, 포장대상물이 담길 수 있는 육면체 등의 특정 형상을 만들거나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특정 형상을 만든다 할지라도 충진된 에어로 인해 이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박스 내측면에 삽입되기 위한 육면체 형상이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10315호는, 덮개 시트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여 제품을 내부에 밀봉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접착제라는 별도의 자재가 추가로 필요하며, 덮개 시트를 고정할 뿐, 포장재 전체의 특정 형상 구현이 여전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20-2011-0010315 U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육면체 형상으로의 구현이 용이한 에어완충 포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에어충진을 통해 포장대상물이 위치하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에어완충 포장재로서, 에어충진을 위한 에어주입구(111)가 형성되는 제1옆면부(110)와, 상기 제1옆면부(110)와 함께 상기 내부공간(S)을 위한 옆면을 형성하는 제2옆면부(120)를 포함하는 옆면부(100)와; 상기 제1옆면부(110)와 상기 제2옆면부(12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옆면부(110)와 상기 제2옆면부(120)가 서로 마주보도록 접어져 상기 제1옆면부(110)와 상기 제2옆면부(120)의 가장자리가 접합됨으로써, 수평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면부(200)와; 상기 옆면부(100) 및 상기 하면부(200)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주입구(111)를 통해 공급받은 에어가 충진되는 복수의 에어유로(3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옆면부(110)는, 상기 내부공간(S)을 위한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110a)와, 상기 내부공간(S)을 위한 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부(110b, 110c)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2옆면부(120)는, 상기 내부공간(S)을 위한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부(120a)와, 상기 제1측면부(110b, 110c)와 각각 접합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S)을 위한 측면을 형성하는 제2측면부(120b, 12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에어유로(300)들은, 상기 옆면부(100)에 형성되는 제1에어유로(310)와, 상기 제1에어유로(310)와 연통되며 상기 하면부(200)에 형성되는 제2에어유로(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에어유로(320)는 상기 제1에어유로(310)보다 횡단면적이 작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에어유로(300)들은, 상기 제1옆면부(110), 상기 하면부(200) 및 상기 제2옆면부(120)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접합선(410)들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200)는, 상기 제1에어유로(310)로부터 적어도 2개의 제2에어유로(320)가 연장형성되도록, 이웃하는 상기 제1접합선(410)들 사이에 평행한 제2접합선(42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S)의 상측을 복개하기 위하여, 상기 제2옆면부(120)로부터 상기 하면부(200) 측 반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덮개부(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500)는, 상기 제2옆면부(120) 중 상기 후면부(120a)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S)을 위한 상면을 형성하며, 에어가 충진되는 제1덮개부(510)와, 상기 제2옆면부(120) 중 상기 제2측면부(120b, 120c)에서 연장형성되며 에어충진이 차단되는 제2덮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제1옆면부(110), 상기 하면부(200) 및 상기 제2옆면부(120) 각 경계에서의 절곡을 위하여, 상기 에어유로(300) 중 상기 제1옆면부(110), 상기 하면부(200) 및 상기 제2옆면부(120) 각 경계에 형성되는 접합점(3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완충 포장재는, 한번의 에어충진으로 포장대상물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에어완충 포장재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완충 포장재는, 에어가 충진되는 에어유로의 크기 및 간격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에어충진 이후에도 변형저항성을 낮춰 특정형상의 구현이 쉽게 가능하며, 특히 박스 내부에 삽입되어 포장하기 위한 육면체 형상이 쉽게 구현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완충 포장재는, 에어가 충진되는 에어유로의 크기 및 간격을 서로 다르게 하여, 특정 형상 구현을 위한 저항력을 줄여 사용자에 의해 구현된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완충 포장재는, 덮개부에 에어가 충진되지 않는 영역을 형성하여, 윗면을 안정적이고 손쉽게 절곡하여 복개하면서도, 포장대상물을 기준으로 모든면에 에어충진이 이루어져 내부에 위치하는 포장대상물이 모든면의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완충 포장재의 전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에 따른 에어완충 포장재의 에어충진 후 제작의 각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에어완충 포장재 중 하면부의 접어진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완충 포장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전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에 따른 에어완충 포장재의 에어충진 후 제작의 각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에어완충 포장재 중 하면부의 접어진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완충 포장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전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에어완충 포장재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완충 포장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충진을 통해 포장대상물이 위치하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에어완충 포장재로서, 에어충진을 위한 에어주입구(111)가 형성되는 제1옆면부(110)와, 상기 제1옆면부(110)와 함께 상기 내부공간(S)을 위한 옆면을 형성하는 제2옆면부(120)를 포함하는 옆면부(100)와; 상기 제1옆면부(110)와 상기 제2옆면부(12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옆면부(110)와 상기 제2옆면부(120)가 서로 마주보도록 접어져 상기 제1옆면부(110)와 상기 제2옆면부(120)의 가장자리가 접합됨으로써, 수평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면부(200)와; 상기 옆면부(100) 및 상기 하면부(200)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에어주입구(111)로 공급받은 에어가 충진되는 복수의 에어유로(300)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완충 포장재는, 내부공간(S)의 상측을 덮기 위하여, 제2옆면부(120)로부터 하면부(200) 측 반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덮개부(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에어완충 포장재는, 배송 등의 과정에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기 쉬운 포장대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택배 배송 과정에서의 포장대상물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완충 포장재는, 택배 배송을 위한 박스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육면체 형상으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옆면부(100)는, 에어충진을 통해 포장대상물이 위치하는 내부공간(S)이 형성되도록, 옆면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다양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옆면부(100)는, 일단에 에어충진을 위한 에어주입구(111)가 형성되는 제1옆면부(110)와, 제1옆면부(110)와 함께 내부공간(S)을 위한 옆면을 형성하도록 제1옆면부(110)의 타단에 연장형성되는 제2옆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옆면부(110)는, 일단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주입되는 에어주입구(111)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며, 에어가 충진되고 내부공간(S)이 형성되도록 특정형상을 갖출 때, 옆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옆면부(110)는, 내부공간(S)을 위한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110a)와, 내부공간(S)을 위한 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부(110b, 110c)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옆면부(110)는, 내부공간(S)을 위한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110a)를 기준으로 양 옆에 각각 제1측면부(110b, 110c)가 형성되어, 내부공간(S)을 위한 옆면들 중 전면 및 측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옆면부(120)는, 후술하는 하면부(200)의 제1옆면부(110) 측 반대방향에서 연장형성되어, 에어가 충진되고 내부공간(S)이 형성되도록 특정형상을 갖출 때, 제1옆면부(110)와 함께 옆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2옆면부(120)는, 내부공간(S)을 위한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부(120a)와, 제1측면부(110b, 110c)와 각각 접합하여 연결됨으로써, 내부공간(S)을 위한 측면을 형성하는 제2측면부(120b, 120c)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옆면부(120)는, 내부공간(S)을 위하여 전면부(110a)에 대향되는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부(120a)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면부(120a)를 기준으로 양 옆에 각각 제2측면부(120b, 120c)가 형성되어, 제1측면부(110b, 110c)와 접합연결됨으로써, 내부공간(S)을 위한 옆면들 중 후면 및 측면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측면부(110b)와 제2측면부(120b)가 서로 접합하여 연결됨으로써, 좌측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측면부(110c)와 제2측면부(120c)가 서로 접합하여 연결됨으로써, 우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에어완충 포장재는, 제1옆면부(110)와 제2옆면부(120)가 서로 마주보도록 접어져 제1옆면부(110)와 제2옆면부(120)의 가장자리가 접합됨으로써 내부공간(S)를 가지는 특정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측면부(110b)와 제2측면부(120b), 제1측면부(110c)와 제2측면부(120c)가 서로 접합할 수 있으며, 이때의 접합은 시중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도 가능하다.
일예로서, 열을 가함으로써 접착하는 열접착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접착제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한편, 제1옆면부(110)와 제2옆면부(120)가 서로 마주보도록 접어질 수 있도록, 제1옆면부(110), 하면부(200) 및 제2옆면부(120) 순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부(200)를 기준으로 접어 제1옆면부(110)와 제2옆면부(120)가 서로 마주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면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대상물이 내부공간(S)에 안착할 수 있도록, 특정형상의 바닥면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하면부(200)는, 제1옆면부(110)와 제2옆면부(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옆면부(110)의 에어주입구(111)가 형성되는 일단의 반대측에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20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에어완충 포장재의 바닥면으로서, 전개도 상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부(200)는, 특정형상을 가지는 내부공간(S)에 대하여 수평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옆면부(110)와 제2옆면부(120)가 서로 마주보도록 중심선(l)을 기준으로 접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부(200)는, 수평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210)와, 바닥부(210)에 겹쳐져 접어지는 접힘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면부(200)는, 직사각형의 전개도에서 에어충진 및 제작을 통해 육면체로 형성될 때,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부(210)와, 측면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겹쳐지는 접힘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210)는, 전개도 상 제1옆면부(110)의 정면부(110a)에서 연장형성되어 내부공간(S)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바닥부(210)는, 전개도 상 제1옆면부(110)의 정면부(110a)에서 연장형성되는 직사각형으로서, 중심선(l)을 기준으로 접어져 수평의 바닥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옆면부(110)와 제2옆면부(120)가 마주보도록 접어질 수 있다.
상기 접힘부(220)는, 제1측면부(110b, 110c)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접힘부(220)는, 제1측면부(110b, 110c)로부터 제2옆면부(120) 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제1옆면부(110) 및 제2옆면부(120)가 서로 마주보고 가장자리가 접합됐을 때, 육면체의 측면 하부에 측면도 상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접힘부(220)는, 전개도 상 제1측면부(110b, 110c)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직사각형 부분으로서, 에어충진 및 제작을 통해 육면체를 이룰 때, 전개도 상 정면부(110a)의 하측 일 꼭지점에서 가상의 중심선(l)의 끝지점을 잇는 가상의 직선과, 후면부(120a)의 상측 일 꼭지점에서 가상의 중심선(l)의 동일 끝지점을 잇는 가상의 직선과, 정면부(110a)의 하측 일 꼭지점과 후면부(120a)의 상측 일 꼭지점을 잇는 가상의 직선이 이루는 겹쳐진 삼각형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접힘부(220)는, 육면체의 측면 하부에 측면도 상 역삼각형 형태로 겹쳐져 형성되며, 제1측면부(110b, 110c) 및 제2측면부(120b, 120c)의 밑변을 기준으로 바닥면(210) 측으로 접어져 수평의 바닥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부(200)는, 제1옆면부(110)와 제2옆면부(120)가 마주보도록 가상의 중심선(l)을 기준으로 접어질 수 있으며, 이때 에어가 충진된 상태에서 쉽게 접어질 수 있도록 가상의 중심선(l)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접합부(43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면부(200)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점선을 이루도록 복수의 제1접합부(430)들이 에어유로(30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에어유로(300)의 횡단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에어충진에 의한 변형저항력을 낮춰 쉽게 접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복수의 제1접합부(430)들은, 에어유로(300)의 횡단면적이 줄어들도록, 열접합 등을 통해 시트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접합을 통해 에어유로(300)의 횡단면적이 줄어드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면부(200)는, 접힘부(220)가 측면도 상 쉽게 역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전개도 상 정면부(110a)의 하측 일 꼭지점에서 가상의 중심선(l)의 끝지점을 잇는 가상의 직선과, 전개도 상 후면부(120a)의 상측 일 꼭지점에서 가상의 중심선(l)의 동일 끝지점을 잇는 가상의 직선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접합부(44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복수의 제2접합부(440)들 또한, 제1접합부(430)와 마찬가지로, 에어유로(300)의 횡단면적이 줄어들도록, 열접합 등을 통해 시트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접합을 통해 에어유로(300)의 횡단면적이 줄어드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에어유로(300)들은, 에어충진을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에어유로(300)들은, 제1옆면부(110), 하면부(200) 및 제2옆면부(120)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접합선(410)들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에어유로(300)들은, 평행한 복수의 제1접합선(410)들의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에어주입구(111)를 통해 공급받은 에어가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유로(300)는, 옆면부(100)에 형성되는 제1에어유로(310)와, 제1에어유로(310)와 연통되며 하면부(200)에 형성되는 제2에어유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유로(310)는, 제1옆면부(110) 및 제2옆면부(1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접합선(410)들을 통해 형성되어, 제1옆면부(110) 및 제2옆면부(120)에 동일한 횡단면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측면 외부에서 받는 충격으로부터 포장대상물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에어유로(320)는, 제1에어유로(310)와 연통되며 하면부(200)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2에어유로(320)는, 접힘부(220)가 바닥부(210) 측으로 에어가 충진된 상황에서도 쉽게 접어질 수 있도록, 제1에어유로(310)보다 횡단면적이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제2에어유로(320)는, 횡단면적을 작게하여 에어충진에 따른 변형저항을 작게함으로써 육면체를 비롯한 특정형상으로 제작될 때, 접힘부(220)가 바닥부(210) 측으로 쉽게 접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수평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포장대상물이 내부공간(S)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에어유로(320)는, 옆면부(100)에 형성되는 제1에어유로(310)로부터 연통되고, 1개의 제1에어유로(310)로부터 적어도 2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면부(200)의 이우하는 제1접합선(410)들 사이에 평행한 제2접합선(42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면부(200)는, 이웃하는 제1접합선(410)들 사이에 평행한 제2접합선(420)이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제2에어유로(320)의 횡단면을 작게하여 변형저항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에어유로(320)는, 하면부(200)의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접힘부(220)에 한정하여 형성될 수 있음은 또한 물론이다.
한편, 상기 에어유로(300)는, 에어가 충진된 상태에서 제1옆면부(110), 하면부(200) 및 제2옆면부(120) 각 경계에서의 절곡을 위하여, 에어유로(300) 중 제1옆면부(110), 하면부(200) 및 제2옆면부(120) 각 경계에 형성되는 접합점(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점(330)은, 복수개로서, 에어유로(300)의 횡단면적이 줄어들도록, 열접합 등을 통해 시트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접합을 통해 에어유로(300)의 횡단면적이 줄어드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접합점은(330)은, 제1옆면부(110)와 하면부(200)의 경계에서 에어유로(300)의 횡단면적을 줄여, 변형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절곡이 손쉽게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2옆면부(120)와 하면부(200) 사이에서도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500)는, 내부공간(S)의 상측을 복개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덮개부(500)는, 내부공간(S)의 상측을 덮기 위하여, 제2옆면부(120)로부터 하면부(200) 측 반대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덮개부(500)는, 에어충진 및 제작 시, 제2옆면부(120)와의 경계에서 접어져 내부공간(S)의 상측을 복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500)는, 내부공간(S)의 완전한 복개를 위하여 에어충진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부(500)는, 제2옆면부(120) 중 후면부(120a)에서 연장형성되어 내부공간(S)을 위한 상면을 형성하며, 에어가 충진되는 제1덮개부(510)와, 제2옆면부(120) 중 제2측면부(120b, 120c)에서 연장형성되며 에어충진이 차단되는 제2덮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덮개부(510)는, 전개도 상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제2옆면부(120) 중 후면부(120a)에 대응되어 연장형성됨으로써, 에어충진 후 육면체로 제작 시, 바닥부(210)에 대응될 수 있으며,후면부(120a)와의 경계에서 접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덮개부(520)는, 전개도 상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제1덮개부(510)의 양 측면에서 제2옆면부(120) 중 제2측면부(120b, 120c)에 대응되도록 연장형성되며, 에어충진이 차단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육면체 형상의 형성 시, 제1덮개부(510)가 제2옆면부(120)와의 경계에서 쉽게 접어질 수 있도록, 측면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제2덮개부(520)는 에어충진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이를 위해 상기 제2덮개부(520)는, 제2옆면부(120)와의 경계에서 에어유로(300)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옆면부(120) 제2측면부(120b, 120c)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접합선(450)이 형성되어 에어유로(300)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3접합선(450)은, 전술한 제1,2접합선(410, 420)과 동일하게 시트를 접착하는 구성이면 어떠한 방법으로도 형성할 수 있으며, 예로서 열접합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500)는, 제2옆면부(120) 반대측에서 에어유로(300)의 끝단을 형성하기 위한 제4접합선(35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단에 에어주입구(111)가 형성되는 에어유로(300) 내에 충진된 에어가 보관되도록, 에어유로(300)의 타단을 막기위하여 길이방향에 수직인 횡방향으로 제4접합선(3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접합선(350)은, 전술한 제1,2,3접합선(410, 420, 450)과 마찬가지로, 시트를 접착하는 구성이면 어떠한 방법으로도 형성할 수 있으며, 예로서 열접합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은 본 고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옆면부 200: 하면부
300: 에어유로 500: 덮개부
300: 에어유로 500: 덮개부
Claims (8)
- 에어충진을 통해 포장대상물이 위치하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에어완충 포장재로서,
에어충진을 위한 에어주입구(111)가 형성되는 제1옆면부(110)와, 상기 제1옆면부(110)와 함께 상기 내부공간(S)을 위한 옆면을 형성하는 제2옆면부(120)를 포함하는 옆면부(100)와;
상기 제1옆면부(110)와 상기 제2옆면부(12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옆면부(110)와 상기 제2옆면부(120)가 서로 마주보도록 접어져 상기 제1옆면부(110)와 상기 제2옆면부(120)의 가장자리가 접합됨으로써, 수평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면부(200)와;
상기 옆면부(100) 및 상기 하면부(200)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주입구(111)를 통해 공급받은 에어가 충진되는 복수의 에어유로(300)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에어유로(300)들은,
상기 옆면부(100)에 형성되는 제1에어유로(310)와, 상기 제1에어유로(310)와 연통되며 상기 하면부(200)에 형성되는 제2에어유로(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에어유로(320)는 상기 제1에어유로(310)보다 횡단면적이 작으며,
상기 복수의 에어유로(300)들은,
상기 제1옆면부(110), 상기 하면부(200) 및 상기 제2옆면부(120)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접합선(410)들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하면부(200)는,
상기 제1에어유로(310)로부터 적어도 2개의 제2에어유로(320)가 연장형성되도록, 이웃하는 상기 제1접합선(410)들 사이에 평행한 제2접합선(420)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제1옆면부(110)는,
상기 내부공간(S)을 위한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110a)와, 상기 내부공간(S)을 위한 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부(110b, 110c)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2옆면부(120)는,
상기 내부공간(S)을 위한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부(120a)와, 상기 제1측면부(110b, 110c)와 각각 접합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S)을 위한 측면을 형성하는 제2측면부(120b, 120c)를 포함하며,
상기 하면부(200)는,
상기 제1옆면부(110)와 상기 제2옆면부(120)가 마주보고 가상의 중심선(l)을 기준으로 접어지도록 상기 가상의 중심선(l)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접합부(430)들이 형성되며,
상기 하면부(200)는,
전개도 상 상기 전면부(110a)의 하측 일 꼭지점에서 상기 가상의 중심선(l)의 끝지점을 잇는 가상의 직선과, 전개도 상 후면부(120a)의 상측 일 꼭지점에서 상기 가상의 중심선(l)의 동일 끝지점을 잇는 가상의 직선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접합부(440)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접합부(430)들은,
상기 하면부(200)의 중심에서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복수의 상기 제2에어유로(320)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옆면부(110)와 상기 제2옆면부(120)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하면부(200)를 상기 복수의 제1접합부(430)들을 기준으로 접은상태에서 상기 제1옆면부(110)와 상기 제2옆면부(120)의 가장자리가 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완충 포장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S)의 상측을 복개하기 위하여, 상기 제2옆면부(120)로부터 상기 하면부(200) 측 반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덮개부(5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완충 포장재.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500)는,
상기 제2옆면부(120) 중 상기 후면부(120a)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S)을 위한 상면을 형성하며, 에어가 충진되는 제1덮개부(510)와, 상기 제2옆면부(120) 중 상기 제2측면부(120b, 120c)에서 연장형성되며 에어충진이 차단되는 제2덮개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완충 포장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가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제1옆면부(110), 상기 하면부(200) 및 상기 제2옆면부(120) 각 경계에서의 절곡을 위하여, 상기 에어유로(300) 중 상기 제1옆면부(110), 상기 하면부(200) 및 상기 제2옆면부(120) 각 경계에 형성되는 접합점(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완충 포장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1348U KR200492428Y1 (ko) | 2019-04-02 | 2019-04-02 | 에어완충 포장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1348U KR200492428Y1 (ko) | 2019-04-02 | 2019-04-02 | 에어완충 포장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2428Y1 true KR200492428Y1 (ko) | 2020-10-13 |
Family
ID=72802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1348U KR200492428Y1 (ko) | 2019-04-02 | 2019-04-02 | 에어완충 포장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2428Y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03748A (ja) * | 2011-11-15 | 2013-05-30 | Sango Shigyo Kk | 段ボール製緩衝材及びこの段ボール製緩衝材が収納される段ボール製箱体 |
KR20170100471A (ko) * | 2014-06-19 | 2017-09-04 | 상하이 에어-파크 컴포지트 머티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 장방형의 공기 포장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2019
- 2019-04-02 KR KR2020190001348U patent/KR200492428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03748A (ja) * | 2011-11-15 | 2013-05-30 | Sango Shigyo Kk | 段ボール製緩衝材及びこの段ボール製緩衝材が収納される段ボール製箱体 |
KR20170100471A (ko) * | 2014-06-19 | 2017-09-04 | 상하이 에어-파크 컴포지트 머티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 장방형의 공기 포장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8001427A (ja) | 折畳み式の空気衝撃緩和装置 | |
KR101922225B1 (ko) | 충격방지용 포장박스 | |
JP6174397B2 (ja) | 緩衝中仕切り付き包装用箱 | |
KR200492428Y1 (ko) | 에어완충 포장재 | |
CN107128602A (zh) | 一种多功能纸浆模塑缓冲垫及其应用 | |
KR101373757B1 (ko) | 싸바리 포장상자 제조방법 | |
KR101692832B1 (ko) | 절첩이 용이한 포장박스 | |
JP4936933B2 (ja) | 梱包用トレイ | |
US3121525A (en) | Package wrapper | |
KR200490882Y1 (ko) | 포장박스용 속지 조립체 | |
JP7021831B2 (ja) | 緩衝構造、緩衝部材および包装箱 | |
KR200489029Y1 (ko) | 상품 포장용 상자 | |
JP4103422B2 (ja) | 緩衝板付カートン | |
KR102088838B1 (ko) | 완충 포장백을 이용한 포장 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 | |
JP4439381B2 (ja) | 包装用緩衝体および包装構造 | |
JP3191805U (ja) | 包装袋 | |
CN216140545U (zh) | 倒v型护角缓冲气柱袋 | |
US9126710B2 (en) | Carton | |
JP2008213887A (ja) | 梱包構造 | |
CN214650521U (zh) | 一种v型缓冲气柱结构 | |
CN215852359U (zh) | 一种易碎品防撞防摔的保护纸箱 | |
CN108995939B (zh) | 一种高强度灯具包装盒 | |
CN114455166B (zh) | 包装箱 | |
CN206797995U (zh) | 一种多独立空间纸盒 | |
CN113148443A (zh) | 一种v型缓冲气柱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70R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