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934B1 -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934B1
KR101211934B1 KR1020100052388A KR20100052388A KR101211934B1 KR 101211934 B1 KR101211934 B1 KR 101211934B1 KR 1020100052388 A KR1020100052388 A KR 1020100052388A KR 20100052388 A KR20100052388 A KR 20100052388A KR 101211934 B1 KR101211934 B1 KR 101211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late
wall
wall surfaces
buffer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2831A (ko
Inventor
정군영
Original Assignee
두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2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93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2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 B65D5/200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all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opposite sides mutually interlocking to lie against othe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65D5/32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of a single blank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자본체의 수용공간에 바깥접음방식으로 접혀진 상태로 삽입되어 접합되는 완충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수납된 상품을 지지하면서 외부의 충격력으로부터 보호하며, 하중을 받아도 접힌 부분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끝단부가 상자본체의 내부로 접혀 들어가 미려한 외관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자커버를 상자본체에 결합시키도록 하는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PACKING BOX HAVING BUFFERING CASE}
본 발명은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자본체에 구성되어 수납되는 상품을 지지하는 동시에, 외부의 충격력으로부터 상품을 보호하며, 상자커버를 상자본체에 결합시키도록 하는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상품들은 종이 박스와 같은 적절한 포장 수단을 이용하여 포장되어 공장 등에서 출하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품들은 상품가치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시각적 측면에서 소비자의 관심을 유발하고, 내부에 담기는 상품의 보호와 더불어 취급 및 운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장상자 등과 같은 적당한 형태의 포장재를 사용하여 포장된다.
이러한 포장상자는 중공의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덮개면, 저면 등으로 구성되고, 통상적으로는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에는 박스에 수납되는 내용물에 따라 포장 상자의 형상이 정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상자본체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자본체를 덮을 수 있도록 하는 상자 덮개를 구비한 포장상자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포장상자의 내부에 수납되는 상품이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상자의 내부에 별도의 완충케이스를 구비하여 상품을 수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완충케이스는 보통 상품이 지지되는 수평면의 각 변으로부터 연장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부분이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각각 수평면의 안쪽으로 접혀져 틀 형상을 형성하게 되며, 각 벽면을 형성한 끝단부는 상기 수평면에 접촉되어 접착제 등을 통해 접합되거나 각 끝단부가 상기 수평면에 접촉된 상태로 끼워짐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장상자에서 내부에 구비되는 완충케이스는 보통 안쪽접음방식으로 접혀져 일정한 틀 형태로 이 적용되는 바, 접힌 부분의 끝단부가 밖으로 나온 상태에서 조립이 완료됨으로써, 외관상 접혀서 나온 끝단부가 보여 마감처리가 깔끔하지 못하게 되며, 소비자로 하여금 수려한 외관을 제공하지 못해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해 완충박스가 하중을 받을 경우, 안쪽으로 접힌 부분이 하중에 의해 무너져 버리거나 분해될 수 있어 강도와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수납된 상품이 파손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자본체의 수용공간에 바깥접음방식으로 접혀진 상태로 삽입되어 접합되는 완충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수납된 상품을 지지하면서 외부의 충격력으로부터 보호하며, 하중을 받아도 접힌 부분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끝단부가 상자본체의 내부로 접혀 들어가 미려한 외관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자커버를 상자본체에 결합시키도록 하는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는 각각 다각형의 수평판과, 수평판의 변의 수와 동일한 수의 벽판을 구비하여 상기 수평판으로부터 상기 각 벽판이 직각방향으로 세워져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포장될 상품을 수용할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상자본체; 상기 상품의 하부가 끼워지며,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상자본체로부터 소정높이로 돌출되고, 상기 각 벽판에 대응하여 바깥접음방식으로 형성되는 각 완충부의 하단이 상기 상자본체의 수편판 내부로 접혀 들어가 상기 수평판과 결합되는 완충케이스; 및 각각 다각형의 커버 수평판과, 커버 수평판의 변의 수와 동일한 수의 커버 벽판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 수평판으로부터 상기 각 커버 벽판이 직각방향으로 세워져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상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품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상자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상자본체로부터 돌출된 상기 완충케이스가 끼워져 상기 상자본체와 결합되는 상자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케이스는 다각형의 속지 수평판; 및 상기 속지 수평판의 변의 수와 동일한 수의 완충부를 구비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속지 수평판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속지 수평판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하여 각각 바깥쪽으로 접혀져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상자커버의 삽입공간 하부로 끼워지는 다수개의 벽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판과, 커버 수평판과, 속지 수평판은 각각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벽면은 상기 속지 수평판을 기준으로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1, 제2, 제3, 제4 벽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제1, 제2 벽면은 상기 속지 수평판의 전면과 후면에 대응하여 상호 대향하는 각 변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속지 수평판으로부터 각각 직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접혀져 내벽을 형성하는 제1, 제2 내벽면; 상기 각 제1, 제2 내벽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속지 수평판의 외측을 향하여 상기 각 제1, 제2 내벽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져 완충면을 형성하는 제1, 제2 완충부; 상기 각 제1, 제2 완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완충부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져 외벽을 형성하는 제1, 제2 외벽면; 및 상기 제1, 제2 외벽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외벽면으로부터 상기 속지 수평면을 향하여 각각 안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져 상기 수평판에 접착되는 제1, 제2 접합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내벽면은 상기 속지 수평판의 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완충부와, 제1, 제2 외벽면, 및 제1, 제2 접합면은 상기 제1, 제2 내벽면을 기준으로 양측이 상기 제1, 제2 완충부의 폭과 동일하도록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제3, 제4 벽면은 상기 속지 수평판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대응하여 상호 대향하는 각 변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속지 수평판으로부터 각각 직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접혀져 내벽을 형성하는 제3, 제4 내벽면; 상기 각 제3, 제4 내벽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속지 수평판의 외측을 향하여 상기 각 제3, 제4 내벽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져 완충면을 형성하는 제3, 제4 완충부; 상기 각 제3, 제4 완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3, 제4 완충부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져 외벽을 형성하는 제3, 제4 외벽면; 상기 제3, 제4 외벽면의 양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속지 수평판을 향하여 상기 제3, 제4 외벽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접혀져 상기 제1, 제2 벽면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3, 제4 결합면; 및 상기 제3, 제4 외벽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3, 제4 외벽면으로부터 상기 속지 수평면을 향하여 각각 안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져 상기 수평판에 접착되는 제3, 제4 접합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제4 결합면은 상기 제3, 제4 외벽면으로부터 연장된 일측에 제3, 제4 절개선을 갖는 제3, 제4 걸림부가 일체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3, 제4 외벽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접혀져 상기 제1, 제2 내벽의 내부에서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3 걸림부와 제4 걸림부가 상호 엇갈린 상태로, 상기 제3 절개선과 제4 절개선을 통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제4 내벽면은 상기 속지 수평판의 변의 길이보다 상기 제3, 제4 완충부의 폭 길이만큼 양측이 각각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3, 제4 완충부와, 제3, 제4 외벽면, 및 제3, 제4 접합면은 상기 제3, 제3 내벽면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완충부의 각 양측은 상기 제3, 제4 완충부의 양측 상부를 각각 덮은 상태로 접혀져 조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에 의하면, 상자본체의 수용공간에 바깥접음방식으로 접혀진 상태로 삽입되어 접합되는 완충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자커버를 상자본체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수납된 상품을 지지하면서 외부의 충격력으로부터 보호하며, 하중을 받아도 접힌 부분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향상된 충격흡수능력으로 물품을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충케이스의 속지 수평면 각 변으로부터 연장되어 바깥접음방식으로 형성되는 각 벽면의 끝단부가 상자본체의 내부로 접혀 들어가 접착제를 통해 접착됨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구비하여 포장되는 물품의 상품가치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에 적용되는 상자본체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에 적용되는 상자커버의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에 적용되는 완충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에 적용되는 완충케이스의 전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계별 조립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에 적용되는 상자본체의 전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에 적용되는 상자커버의 전개도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에 적용되는 완충케이스의 사시도 및 전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1)는 상자본체(100)의 수용공간(103)에 바깥접음방식으로 접혀진 상태로 삽입되어 접합되는 완충케이스(3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수납된 상품(P)을 지지하면서 외부의 충격력으로부터 보호하며, 하중을 받아도 접힌 부분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끝단부가 상자본체(100)의 내부로 접혀 들어가 미려한 외관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자커버(200)를 상자본체(100)에 결합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1)는,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상자본체(100), 상자커버(200), 및 완충케이스(300)로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자본체(100)는 각각 다각형의 수평판(101)과, 수평판(101)의 변의 수와 동일한 수의 벽판(110)을 구비하여 상기 수평판(101)으로부터 상기 각 벽판(110)이 직각방향으로 세워져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포장될 상품(P)을 수용할 수용공간(103)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판(101)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상자본체(100)는 상기 수평판(101)의 각 변을 따라 4면의 벽판(110)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자본체(1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면(101)의 각 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평면(101)으로부터 접혀져 수직하게 세워져 상호 연결되는 전, 후, 및 좌, 우 면을 각각 형성하는 전면(111), 후면(113), 좌측면(115), 우측면(117)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면(111, 113, 115, 117)에는 접착면(118)이 각각 연장되어 상기 각 면(111, 113, 115, 117)으로부터 접혀져 상기 각 면과 접촉된 상태로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어 상기 각 면(111, 113, 115, 117)을 보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면(111)과 후면(113)의 양측 변에는 연결면(119)이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 후면(111, 113)의 각 양측에서 안쪽으로 접혀지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면(101)으로부터 각각 접혀져 세워진 상기 좌측면(115)과 우측면(117)에 접촉된 상태로 접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111)과 후면(113)은 상기 각 연결면(119)을 통해 상기 좌측면(115)과 우측면(117)과 상호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각 접착면(118)이 상기 각 면(111, 113, 115, 117)에 접착되어 각각 벽판(11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03)을 갖는 상기 상자본체(100)를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자커버(200)는 각각 다각형의 커버 수평판(201)과, 커버 수평판(201)의 변의 수와 동일한 수의 커버 벽판(210)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 수평판(201)으로부터 상기 각 커버 벽판(210)이 직각방향으로 세워져 상호 결합된다.
이러한 상자커버(200)는 내부에 상기 상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품(P)이 삽입되는 삽입공간(203)을 구비하며, 상기 상자본체(100)의 상부에서 상기 상자본체로(100)부터 돌출되는 상기 완충케이스(300)가 끼워져 상기 상자본체(100)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 수평판(101)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상자커버(200)는 상기 커버 수평판(201)의 각 변을 따라 4면의 커버 벽판(210)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자커버(2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 수평면(201)의 각 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버 수평면(201)으로부터 접혀져 수직하게 세워져 상호 연결되는 전, 후, 및 좌, 우 면을 각각 형성하는 전면(211), 후면(213), 좌측면(215), 우측면(217)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자커버(200)의 각 면(211, 213, 215, 217)에는 접착면(218)이 각각 연장되어 상기 각 면(211, 213, 215, 217)으로부터 접혀져 상기 각 면과 접촉된 상태로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어 상기 각 면(211, 213, 215, 217)을 보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자커버(200)의 전면(211)과 후면(213)의 양측 변에는 연결면(219)이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 후면(211, 213)의 각 양측에서 안쪽으로 접혀지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 수평면(201)으로부터 각각 접혀져 세워진 상기 좌측면(215)과 우측면(217)에 접촉된 상태로 접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자커버(200)의 전면(211)과 후면(213)은 상기 각 연결면(219)을 통해 상기 좌측면(215)과 우측면(217)과 상호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각 접착면(218)이 상기 각 면(211, 213, 215, 217)에 접착되어 각각 커버 벽판(21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삽입공간(203)을 갖는 상기 상자커버(200)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상자본체(100)와 상자커버(200)는 두께 감을 줄 수 있도록 하드보드나 골판지 등과 같이 일정 두께를 가지며, 파단강도가 우수하여 구조용으로 적합한 종류의 종이를 원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케이스(300)는, 도 1과 도 2,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품(P)의 하부가 끼워진 상태로 고정시켜 지지하고, 외부의 충격력으로부터 상기 상품(P)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수용공간(103)에 삽입되어 상기 상자본체(100)로부터 소정높이로 돌출되고, 상기 각 벽판(110)에 대응하여 바깥접음방식으로 형성되는 각 완충부의 하단이 상기 상자본체(100)의 수평판(101) 내부로 접혀 들어가 상기 수평판(101)과 결합된다.
이러한 완충케이스(300)는, 도 5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각형의 속지 수평판(301)과, 상기 속지 수평판(301)의 변의 수와 동일한 수의 완충부를 구비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속지 수평판(301)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속지 수평판(301)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하여 각각 바깥쪽으로 접혀져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03)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상자커버(200)의 삽입공간(203) 하부로 끼워지는 다수개의 벽면(30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속지 수평판(301)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각 벽면(305)은 상기 속지 수평판(301)을 기준으로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1, 제2, 제3, 제4 벽면(310, 320, 330, 340)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케이스(300)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형성하는 상기 제1, 제2 벽면(310, 320)은 제1, 제2 내벽면(311, 321), 제1, 제2 완충부(313, 323), 제1, 제2 외벽면(315, 325), 및 제1, 제2 접합면(317, 327)으로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 제2 내벽면(311, 321)은 상기 속지 수평판(301)의 전면과 후면에 대응하여 상호 대향하는 각 변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속지 수평판(301)으로부터 각각 직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접혀져 내벽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내벽면(311, 321)은 상기 속지 수평판(301)의 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 완충부(313, 323)는 상기 각 제1, 제2 내벽면(311, 32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속지 수평판(301)의 외측을 향하여 상기 각 제1, 제2 내벽면(311, 32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져 완충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제2 외벽면(315, 325)은 상기 각 제1, 제2 완충부(313, 323)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완충부(313, 323)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져 외벽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접합면(317, 327)은 상기 제1, 제2 외벽면(315, 325)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외벽면(315, 325)으로부터 상기 속지 수평면을 향하여 각각 안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져 상기 수평판(103)에 접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완충부(313, 323)와, 제1, 제2 외벽면(315, 325), 및 제1, 제2 접합면(317, 327)은 상기 제1, 제2 내벽면(311, 321)을 기준으로 양측이 상기 제1, 제2 완충부(313, 323)의 폭과 동일하도록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케이스(300)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각각 형성하는 상기 제3, 제4 벽면(330, 340)은, 제3, 제4 내벽면(331, 331), 제3, 제4 완충부(332, 342), 제3, 제4 외벽면(333, 343), 제3, 제4 결합면(334, 344), 및 제3, 제4 접합면(337, 347)으로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3, 제4 내벽면(331, 341)은 상기 속지 수평판(301)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대응하여 상호 대향하는 각 변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속지 수평판(301)으로부터 각각 직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접혀져 내벽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3, 제4 내벽면(331, 341)은 상기 속지 수평판(301)의 변의 길이보다 상기 제3, 제4 완충부(332, 342)의 폭 길이만큼 양측이 각각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제4 완충부(332, 342)는 상기 각 제3, 제4 내벽면(331, 32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속지 수평판(301)의 외측을 향하여 상기 각 제3, 제4 내벽면(331, 34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져 완충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3, 제4 외벽면(333, 343)은 상기 각 제3, 제4 완충부(332, 342))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3, 제4 완충부(332, 342)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져 외벽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제4 결합면(334, 344)은 상기 제3, 제4 외벽면(333, 343)의 양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속지 수평판(301)을 향하여 상기 제3, 제4 외벽면(333, 343)으로부터 각각 수직하게 접혀져 상기 제1, 제2 벽면(310, 3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제4 결합면(334, 344)은 상기 제3, 제4 외벽면(333, 343)으로부터 연장된 일측에 제3, 제4 절개선(335, 345)을 갖는 제3, 제4 걸림부(336, 346)가 일체로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3, 제4 걸림부(336, 346)는 상기 제3, 제4 결합면(334, 344)이 상기 제3, 제4 외벽면(333, 343)으로부터 각각 수직하게 접혀져 상기 제1, 제2 벽면(310, 320)의 내부에서 서로 대응하게 되는 상기 제3 걸림부(336)와 제4 걸림부(346)가 상호 엇갈린 상태로, 상기 제3 절개선(335)과 제4 절개선(345)을 통해 끼워져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걸림부(336)는 상기 제3 결합면(334)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4 걸림부(346)는 상기 제4 결합면(344)의 상부에 위치됨에 따라, 상호 엇갈린 상태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제4 접합면(337, 347)은 상기 제3, 제4 외벽면(333, 343)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3, 제4 외벽면(333, 343)으로부터 상기 속지 수평면(301)을 향하여 각각 안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져 상기 수평판에 접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제4 완충부(332, 342)와, 제3, 제4 외벽면(333, 343), 및 제3, 제4 접합면(337, 347)은 상기 제3, 제4 내벽면(331, 341)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완충케이스(300)는 두께 감을 줄 수 있도록 하드보드나 골판지 등과 같이 일정 두께를 가지며, 파단강도가 우수하여 구조용으로 적합한 종류의 종이를 원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완충케이스(300)는 상기 속기 수평판(301)을 중심으로 제1, 제2, 제3, 제4 벽면(310, 320 ,330 ,340)이 각각 바깥접음방식으로 구성된 상태로, 상기 상자본체(100)의 수용공간(103)에 삽입되어 접착되고, 상기 각 제1, 제2, 제3, 제4 벽면(310, 320 ,330 ,340)이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상품(P)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품(P)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외부의 충격력으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이 작용하여도, 바깥접음방식에 의해 각 벽면이 안쪽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의 파손을 방지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에서 상기 완충케이스의 조립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계별 조립 상태도이다.
먼저, 상기 완충케이스(300)는, 도 6과 같은 전개도 상태에서, 도 7과 도 8과 같이, 상기 속지 수평면(301)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제2, 제3, 제4 내벽면(311, 321, 331, 341)을 수직하게 접고, 상기 각 완충부(313, 323, 332, 342)와, 각 외벽면(315, 325, 333, 343)을 수직하게 접혀진 상기 각 내벽면(311, 321, 331, 341)으로부터 각각 직각을 이루도록 바깥쪽으로 접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3, 제4 결합면(334, 344)은 상기 제3, 제4 외벽면(333, 343)을 기준으로 상기 속지 수평면(301)을 향하여 수직하게 접혀진 상태로, 상기 제1, 제2 내벽면(311, 321)과 제1, 제2 외벽면(315, 325)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제3 결합면(334)과 제4 결합면(344)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내벽면(311, 321)과 제1, 제2 외벽면(315, 325) 사이의 공간에서 서로 맞닿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제3 걸림부(336)는 상기 제3 결합면(334)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4 걸림부(346)는 상기 제4 결합면(344)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3 걸림부(336)와 제4 걸림부(346)를 상호 엇갈린 상태로 상기 제3 절개선(335)과 제4 절개선(345)을 통해 끼움으로써, 상기 제3 결합면(334)과 제4 결합면(344)이 상호 결합된다.
그런 후, 상기 제1, 제2 벽면(310, 320)은 상기 제1, 제2 완충부(313, 323)의 각 양측이 상기 제3, 제4 완충부(332, 342)의 양측 상부를 각각 덮은 상태로 상기 속지 수평판(301)을 기준으로 각각 바깥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져 조립되며, 상기 제1, 제2 외벽면(315, 325)은 상기 제1, 제2 완충부(313, 323)로부터 바깥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접합면(317, 327, 337, 347)은 상기 속지 수평판(301)을 향하여 상기 각 외벽면(315, 325, 333, 343)으로부터 안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진 상태가 되며, 상기 상자본체(100)의 수평판(101)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완충케이스(300)의 조립은 완료된다.
상기 완충케이스(3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속지 수평면(301)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제2, 제3, 제4 벽면(310, 320, 330, 340)이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상품(P)을 삽입한 상태로, 상기 상자본체(100)로부터 소정간격으로 돌출된 상기 각 벽면(310, 320, 330, 340)의 외주면에 상기 상자커버(200)를 끼움으로써, 상기 상품(P)의 포장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1)에 의하면, 상자본체(100)의 수용공간(103)에 바깥접음방식으로 접혀진 상태로 삽입되어 접합되는 완충케이스(3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자커버(200)를 상자본체(100)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수납된 상품(P)을 지지하면서 외부의 충격력으로부터 보호하며, 하중을 받아도 접힌 부분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향상된 충격흡수능력으로 물품을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케이스(300)의 속지 수평면(301) 각 변으로부터 연장되어 바깥접음방식으로 형성되는 각 벽면(310, 320, 330, 340)의 끝단부가 상자본체(100)의 내부로 접혀 들어가 접착제를 통해 접착됨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구비하여 포장되는 물품의 상품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1)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상자본체(100), 상자커버(200), 및 완충케이스(300)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상자본체, 상자커버, 및 완충케이스의 형상은 오각형상이나 육각형상 등 다각형으로 변경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를 설명함에 있어 도면 및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을 기준으로 전, 후, 좌, 우를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서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의 기준은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품...P 상자본체...100
수평판...101 수용공간...103
벽판...110 상자커버...200
커버 수평판...201 커버 벽판...210
완충케이스...300 속지 수평판...301
제1, 제2, 제3, 제4 벽면...310, 320, 330, 340
제1, 제2, 제3, 제4 내벽면...311, 321, 331, 341
제1, 제2, 제3, 제4 완충부...313, 323, 332, 342
제1, 제2, 제3, 제4 외벽면...315, 325, 333, 343
제3, 제4 결합면...334, 344
제3, 제4 절개선...335, 345
제3, 제4 걸림부...336, 346
제1, 제2, 제3, 제4 접합면...317, 327, 337, 347

Claims (10)

  1. 각각 다각형의 수평판과, 수평판의 변의 수와 동일한 수의 벽판을 구비하여 상기 수평판으로부터 상기 각 벽판이 직각방향으로 세워져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포장될 상품을 수용할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상자본체;
    상기 상품의 하부가 끼워지며,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상자본체로부터 소정높이로 돌출되고, 상기 각 벽판에 대응하여 바깥접음방식으로 형성되는 각 완충부의 하단이 상기 상자본체의 수편판 내부로 접혀 들어가 상기 수평판과 결합되는 완충케이스; 및
    각각 다각형의 커버 수평판과, 커버 수평판의 변의 수와 동일한 수의 커버 벽판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 수평판으로부터 상기 각 커버 벽판이 직각방향으로 세워져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상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품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상자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상자본체로부터 돌출된 상기 완충케이스가 끼워져 상기 상자본체와 결합되는 상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케이스는 다각형의 속지 수평판; 및
    상기 속지 수평판의 변의 수와 동일한 수의 완충부를 구비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속지 수평판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속지 수평판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하여 각각 바깥쪽으로 접혀져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상자커버의 삽입공간 하부로 끼워지는 다수개의 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판과, 커버 수평판과, 속지 수평판은 각각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벽면은 상기 속지 수평판을 기준으로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1, 제2, 제3, 제4 벽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제1, 제2 벽면은 상기 속지 수평판의 전면과 후면에 대응하여 상호 대향하는 각 변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속지 수평판으로부터 각각 직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접혀져 내벽을 형성하는 제1, 제2 내벽면;
    상기 각 제1, 제2 내벽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속지 수평판의 외측을 향하여 상기 각 제1, 제2 내벽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져 완충면을 형성하는 제1, 제2 완충부;
    상기 각 제1, 제2 완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완충부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져 외벽을 형성하는 제1, 제2 외벽면; 및
    상기 제1, 제2 외벽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외벽면으로부터 상기 속지 수평면을 향하여 각각 안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져 상기 수평판에 접착되는 제1, 제2 접합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제3, 제4 벽면은 상기 속지 수평판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대응하여 상호 대향하는 각 변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속지 수평판으로부터 각각 직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접혀져 내벽을 형성하는 제3, 제4 내벽면;
    상기 각 제3, 제4 내벽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속지 수평판의 외측을 향하여 상기 각 제3, 제4 내벽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져 완충면을 형성하는 제3, 제4 완충부;
    상기 각 제3, 제4 완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3, 제4 완충부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져 외벽을 형성하는 제3, 제4 외벽면;
    상기 제3, 제4 외벽면의 양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속지 수평판을 향하여 상기 제3, 제4 외벽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접혀져 상기 제1, 제2 벽면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3, 제4 결합면; 및
    상기 제3, 제4 외벽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3, 제4 외벽면으로부터 상기 속지 수평면을 향하여 각각 안쪽으로 수직하게 접혀져 상기 수평판에 접착되는 제3, 제4 접합면;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내벽면은 상기 속지 수평판의 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완충부와, 제1, 제2 외벽면, 및 제1, 제2 접합면은 상기 제1, 제2 내벽면을 기준으로 양측이 상기 제1, 제2 완충부의 폭과 동일하도록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4 결합면은
    상기 제3, 제4 외벽면으로부터 연장된 일측에 제3, 제4 절개선을 갖는 제3, 제4 걸림부가 일체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3, 제4 외벽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접혀져 상기 제1, 제2 내벽의 내부에서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3 걸림부와 제4 걸림부가 상호 엇갈린 상태로, 상기 제3 절개선과 제4 절개선을 통해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4 내벽면은
    상기 속지 수평판의 변의 길이보다 상기 제3, 제4 완충부의 폭 길이만큼 양측이 각각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3, 제4 완충부와, 제3, 제4 외벽면, 및 제3, 제4 접합면은 상기 제3, 제4 내벽면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완충부의 각 양측은
    상기 제3, 제4 완충부의 양측 상부를 각각 덮은 상태로 접혀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00052388A 2010-06-03 2010-06-03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KR101211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388A KR101211934B1 (ko) 2010-06-03 2010-06-03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388A KR101211934B1 (ko) 2010-06-03 2010-06-03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831A KR20110132831A (ko) 2011-12-09
KR101211934B1 true KR101211934B1 (ko) 2012-12-13

Family

ID=45500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388A KR101211934B1 (ko) 2010-06-03 2010-06-03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9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628A1 (ko) * 2018-07-13 2020-01-16 에코라이프패키징 주식회사 충격방지용 포장박스
KR20200001769U (ko)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동진제약 포장상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632B1 (ko) * 2012-03-02 2014-05-13 두선산업 주식회사 자동화 공정이 가능한 포장 상자
KR101378543B1 (ko) * 2012-03-02 2014-03-27 두선산업 주식회사 자동화 공정이 가능한 포장 상자
KR101394633B1 (ko) * 2012-03-06 2014-05-13 두선산업 주식회사 삼단 포장 상자
CN104691886A (zh) * 2015-02-16 2015-06-10 李平 收口回形方盒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628A1 (ko) * 2018-07-13 2020-01-16 에코라이프패키징 주식회사 충격방지용 포장박스
KR20200001769U (ko)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동진제약 포장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831A (ko) 201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934B1 (ko)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US4019672A (en) Packing insert and blank therefor
WO1999003741A1 (en) Double panel boxes
JP2010036925A (ja) 包装用緩衝材及び包装体
JP6356491B2 (ja) ガラス瓶の梱包装置
US20230042850A1 (en) Flat panel cardboard packaging
US20080245697A1 (en) Packaging system for carrying an item, preferably bulky and/or heavy item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20110002494U (ko) 패널제품용 포장박스
KR100781612B1 (ko) 종이 포장상자
JP5619490B2 (ja) 緩衝仕切り付包装用箱
KR102152413B1 (ko) 조립이 간편한 포장용 박스
KR20080006523U (ko) 조립식 포장상자
KR200479788Y1 (ko) 내부 완충 포장상자
JP2006096380A (ja) 梱包箱
KR101378543B1 (ko) 자동화 공정이 가능한 포장 상자
KR100976392B1 (ko) 포장 박스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47279B1 (ko) 삼단 포장 상자
JP2003026244A (ja) 段ボール製緩衝材
KR200458760Y1 (ko) 패널제품용 포장박스
JP5209450B2 (ja) 包装用枠体
KR101320411B1 (ko) 포장용 상자
KR101394632B1 (ko) 자동화 공정이 가능한 포장 상자
KR101252522B1 (ko)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KR101476706B1 (ko) 비접착방식의 포장용 상자
KR20180001386U (ko) 포장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