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263B1 - 범용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범용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263B1
KR102148263B1 KR1020190005193A KR20190005193A KR102148263B1 KR 102148263 B1 KR102148263 B1 KR 102148263B1 KR 1020190005193 A KR1020190005193 A KR 1020190005193A KR 20190005193 A KR20190005193 A KR 20190005193A KR 102148263 B1 KR102148263 B1 KR 102148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light generating
generating device
universal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8646A (ko
Inventor
고영국
신영주
Original Assignee
고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국 filed Critical 고영국
Priority to KR1020190005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2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88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쉬 장치, 스트로보스코프 장치 등을 포함하는 광 발생 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범용 고정 장치로, 광 발생 장치가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광 발생 장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를 이동시켜 광 발생 장치의 고정을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잠금(lock)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범용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범용 고정 장치{Universal Fixing Device}
본 발명은 범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촬영용으로 사용되는 광을 발생하는 플래시라이트, 스트로보스코프 등의 광 발생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 광 발생 장치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각 기업에서 제작한 광 발생 장치와 그 광 발생 장치에 맞는 전용 고정 장치가 같이 시판되었다.
그러나, 이는 촬영 상황이나 환경에 따라서 광 발생 장치가 다른 종류로 변경되어야 할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촬영 현장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즉, 이러한 종래의 전용 고정 장치는 광 발생 장치가 교체되어야 하는 경우 그 고정 장치도 같이 교체되어야 하므로 교체시간 및 투입인력의 증가뿐만 아니라 전용 고정 장치의 구입으로 인한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동일한 기술분야는 아니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에 관한 종래기술(공개특허 제 2018-0121947호)은 파이프를 잠금하는 클램프에 관한 구성을 개시하고는 있으나, 기본적으로 다른 분야의 기술로서 광 발생 장치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와는 전혀 다른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이와 같은 종래기술 역시 파이프의 크기에 맞는 최적화된 클램프를 개시하는 것이지,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클램프를 개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기술분야의 종래기술 또한 각 광 발생 장치에 맞는 전용 고정 클램프가 존재할 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정 장치는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한, 어떠한 광 발생 장치도 범용적으로 고정 가능하며 효율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종류에 상관없이 광 발생 장치를 중앙에 고정하여 더욱 뛰어난 조명 효과를 발휘하는 범용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플래쉬 장치, 스트로보스코프 장치 등을 포함하는 광 발생 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범용 고정 장치로, 광 발생 장치가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광 발생 장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를 이동시켜 광 발생 장치의 고정을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잠금(lock)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범용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장치는 크기가 다양한 광 발생 장치를 모두 센터링시켜 고정할 수 있어 광에 의한 조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소프트박스를 체결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정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의 전(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로서, 광 발생 장치를 고정한 범용 고정 장치의 후(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의 하우징과 어댑터의 결합관계(a)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의 하우징과 어댑터의 결합관계(b)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의 잠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의 잠금부의 작동에 따른 잠금/잠금 해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의 일부가 분해된 분해사시도로, 고정부의 작동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의 고정부와 작동 메커니즘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단지 명세서를 용이하게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나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고정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광 발생 장치를 고정하는 고정용 장치의 구성을 파악할 수 있다. 종래의 고정용 장치는 광 발생 장치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의 하측에 지지파트(10)가 구비되고, 그 상측에 높이 조절가능한 조임파트(2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파트(10)는 하측에서 광 발생 장치를 지지하고, 상측에 위치한 조임파트(20)에 의해 조여져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고정용 장치는 고정되는 광 발생 장치의 크기가 잘 맞으면 고정용 장치의 중앙에 위치(센터링, centering)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으면 어느 한쪽으로 편향 배치될 수 있다. 광 발생 장치가 고정 장치의 중앙에서 편향 배치되면 최적의 조명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범용 어댑터가 없어 이 고정 장치에 맞는 전용 광 발생 장치만 고정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의 전(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로서, 광 발생 장치를 고정한 범용 고정 장치의 후(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100)는 하우징(200), 고정부(300), 조절부(400) 및 잠금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광 발생 장치가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수용공간(210)을 중앙에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210)은 하우징(200)의 중앙부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광 발생 장치(50)는 수용공간(210)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광 발생 장치(50)는 그 단면이 사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오각형, 육각형 등을 포함한 공지의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진 광 발생 장치(50)도 본 발명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10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300)는 수용공간(210)의 일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광 발생 장치(5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300)는 도면에 수용공간(210)의 양 측에 한 쌍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용공간(210)의 상측 또는 하측은 광 발생 장치(5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하측 또는 상측에 하나의 고정부가 구비되어 어느 한쪽에서 이동되어 광 발생 장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조절부(400)는 고정부(300)의 일측에 연결되어 고정부(300)를 이동시켜 광 발생 장치(50)의 고정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절부(400)는 고정부(300)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하로 이동가능하여 고정부(30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광 발생 장치(50)의 고정이 조절될 수 있다.
잠금부(500)는 조절부(40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잠금(lock)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부(500)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100)의 전면에서 잠금부(5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잠금부(500)는 잠금부(500)를 조작하지 않는 노멀(normal) 상태에서 조절부(400)의 이동을 잠금하며, 잠금부(500)를 조작하는 작동상태에서 조절부(400)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작동될 수 있다.
다만, 잠금부(500)를 조작하지 않는 노멀(normal) 상태에서도 조절부(400)의 조작을 통해 미세한 이동이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의 하우징과 어댑터의 결합관계(a)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의 하우징과 어댑터의 결합관계(b)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00)에 어댑터(700)가 결합되는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다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형태의 어댑터(700)가 결합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하우징(200)의 어댑터(700)와 접촉 결합되는 부분의 구조가 변경되는 어댑터(700)의 형태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의 잠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의 잠금부의 작동에 따른 잠금/잠금 해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100)가 분해된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100)는 후면에 배치되는 어댑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700)는 교체될 수 있도록 분리가능하게 하우징(2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어댑터(700)는 하나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동성이 많은 촬영현장에서 경우에 따라 여러 형태의 어댑터(700)가 채택될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조절부(400)와 잠금부(500)간 결합관계 및 각각의 작동 메커니즘을 파악할 수 있다.
조절부(400)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500)는 잠금조절버튼(510), 잠금부재(520) 및 제1탄성부재(530)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조절버튼(510)은 후술하는 잠금부재(520)의 전면에 조작가능하게 배치되어 잠금부재(520)와 조절부(400)의 기둥부의 접촉을 조절할 수 있다.
잠금부재(520)는 선택적으로 조절부(400)의 기둥부와 접촉되거나 접촉해제 될 수 있다. 잠금부재(520)는 기둥부에 대응접촉하는 대응면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대응면에 기둥부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잠금부재(520)는 기둥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기둥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홈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홈의 내측면이 대응면일 수 있다.
제1탄성부재(530)는 잠금부재(520)의 후면에 배치되어 잠금부재(520)를 기둥부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탄성부재(530)에 의해 잠금부(500)를 조작하지 않은 노멀(normal)상태에서 조절부(400)가 잠금(locking)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잠금부재(520)가 기둥부에 접촉되는 경우 조절부(400)가 상하로 자유 이동할 수는 없으나,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부(400)의 회전조작을 통해 상하로 미세하게 이동가능하다. 즉, 잠금상태가 완전한 조절부(400)의 이동불가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잠금상태에서 미세한 조절을 통해 광 발생 장치의 고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a)와 같이 잠금조절버튼(510)을 조작하지 않은 노멀(normal)상태와 도 7(b)와 같이 잠금조절버튼(510)을 가압 조작하여 잠금부재(520)가 조절부(400)의 기둥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한 잠금해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의 일부가 분해된 분해사시도로, 고정부의 작동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고정 장치의 고정부와 작동 메커니즘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부(300)는 고정부재(305), 쿠션부(310) 및 고정부 작동구조(3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305)는 직접적으로 광 발생 장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그 양단에 결합되는 고정부 암(arm, 32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305)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305)는 'ㄷ'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 암(arm, 322)이 고정부재(305)의 길이방향의 양 단에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ㄷ'형태의 고정부재(305)가 서로 마주보며 대칭적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쿠션부(310)는 고정부재(305)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부(310)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고정부재(305)에 고정되는 광 발생 장치가 가압될 때 광 발생 장치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켜 광 발생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부 작동구조(320)는 고정부재(305)의 길이방향의 양 단 중 적어도 일단에 상하방향으로 연결배치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랙 기어를 포함하는 고정부 암(arm)(322) 및 고정부 암(arm)(322)의 랙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3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300)는 수용공간(2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대향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고정부 암(arm)(322)은 한 쌍이 상기 피니언 기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치합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 암(arm)(322)에 연결된 한 쌍의 고정부(30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서로 멀어지거나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300)가 도면에 도시된 한 쌍이 아닌 하나로만 구성되는 경우에도 위와 같은 작동구조(3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00)는 고정부(300)의 일측과 하우징(2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탄성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600)는 고정부(300)와 하우징(200)의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부(300)를 광 발생 장치를 고정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광 발생 장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10)의 중앙을 향해 고정부(300)를 가압할 수 있다.
고정부(300)가 한 쌍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300)에 제2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600)는 광 발생 장치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정부(300)가 하우징(200)과 소정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광 발생 장치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고정부(300)가 광 발생 장치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조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520)가 조절부(400)의 기둥부에 접촉하지 않은 잠금 해제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한 조절부(400)의 상하이동 또는 한 쌍의 고정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하이동에 의해 광 발생 장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10)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하는 수용공간(210)의 크기와 비슷하게 조절된 경우 잠금부재(520)를 조절부(400)의 기둥부에 접촉한 잠금 상태로 두고, 조절부(400)의 회전조작을 통해 미세하게 고정부(300)를 조절하여 광 발생 장치의 고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400)의 회전조작 시 피니언-랙 구조에 의해 한 쌍의 고정부(300)는 대칭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 발명(범용 고정 장치)
200: 하우징
210: 수용공간
300: 고정부
305: 고정부재
310: 쿠션부
320: 고정부 작동구조
400: 조절부
500: 잠금부
510: 잠금조절버튼
520: 잠금부재
530: 제1탄성부재
600: 제2탄성부재
700: 어댑터

Claims (10)

  1. 플래쉬 장치, 스트로보스코프 장치 등을 포함하는 광 발생 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범용 고정 장치로,
    광 발생 장치가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광 발생 장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를 이동시켜 광 발생 장치의 고정을 조절하며 나사산이 형성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잠금(lock)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둥부에 대응하는 대응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대응면이 상기 기둥부에 선택적 접촉되는 잠금부재, 및 상기 잠금부재의 전면에 조작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접촉을 조절할 수 있는 잠금조절버튼을 포함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조절버튼은 상기 기둥부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눌러짐으로써 상기 나사산을 가압하며,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기둥부에 접하는 잠금 상태에서, 상기 조절부의 회전 조작을 통해 상기 고정부의 상하 이동을 미세 조절할 수 있는,
    범용 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잠금부재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잠금부재를 상기 기둥부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범용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잠금조절버튼 조작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고정 장치.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를 광 발생 장치를 고정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범용 고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의 양 단 중 적어도 일단에 상하방향으로 연결배치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랙 기어를 포함하는 고정부 암(arm);
    상기 고정부 암(arm)의 랙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
    를 포함하는 범용 고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대향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 암(arm)은, 한 쌍이 상기 피니언 기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치합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고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는 경우 다른 하나가 그에 대응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고정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를 광 발생 장치를 고정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범용 고정 장치.
KR1020190005193A 2019-01-15 2019-01-15 범용 고정 장치 KR102148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193A KR102148263B1 (ko) 2019-01-15 2019-01-15 범용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193A KR102148263B1 (ko) 2019-01-15 2019-01-15 범용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646A KR20200088646A (ko) 2020-07-23
KR102148263B1 true KR102148263B1 (ko) 2020-08-26

Family

ID=7189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193A KR102148263B1 (ko) 2019-01-15 2019-01-15 범용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2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821570U (zh) * 2019-05-28 2019-12-20 深圳市神牛摄影器材有限公司 一种兼容不同灯头的摄影用灯卡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501Y1 (ko) * 2008-03-07 2008-08-22 이재열 전산볼트 직선삽입식 측면 행거
CN104730806A (zh) * 2015-03-25 2015-06-24 潘宁乐 一种闪光灯固定架结构
JP2016510906A (ja) * 2013-11-14 2016-04-11 深▲セン▼市神牛▲撮▼影器材有限公司 ソフトボックスの係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202B1 (ko) * 2016-11-25 2018-07-05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501Y1 (ko) * 2008-03-07 2008-08-22 이재열 전산볼트 직선삽입식 측면 행거
JP2016510906A (ja) * 2013-11-14 2016-04-11 深▲セン▼市神牛▲撮▼影器材有限公司 ソフトボックスの係合装置
CN104730806A (zh) * 2015-03-25 2015-06-24 潘宁乐 一种闪光灯固定架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646A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5474B2 (en) Device for quick splicing of a display screen
US5785286A (en) Apparatus for the releasable connection of a photographic or optical instrument to a tripod or the like
CN100526970C (zh) 用于视频展台的摄像机旋转支撑装置和具有该装置的视频展台
JP2010179421A (ja) バイス
CN112045602A (zh) 一种轮毂夹持装置
TWM602276U (zh) 轉接座
KR102148263B1 (ko) 범용 고정 장치
US8264771B2 (en) Tripod-connecting adapter
US20120104211A1 (en) Screw-operated clamping mechanis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50194985A1 (en) Compliance module, particularly for a manipulator for positioning a test head, and one such manipulator
JP4267054B1 (ja) 複合アリ溝摺動ステージ
JP2010271098A (ja) あおり旋回機能付き手動ステージ及びあおり旋回ステージ
CN109708850B (zh) 多轴调节检测装置
CN114326260B (zh) 一种镜头卡口更换装置
CN211667435U (zh) 一种云台组件
CN210509839U (zh) 一种同轴连接器
CN111142212A (zh) 镜头偏芯调试装置
US11441726B2 (en) Connection assembly and robot having the same
WO2020218031A1 (ja) クランプ装置
JPH0345279B2 (ko)
JP2524526Y2 (ja) レーザ入射ユニット
CN209856647U (zh) 一种平板快速对接机构
JP2019144440A (ja) レンズ装置
CN217472074U (zh) 连接组件、手术设备
JP2018193808A (ja) 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