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782B1 -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782B1
KR101622782B1 KR1020150175589A KR20150175589A KR101622782B1 KR 101622782 B1 KR101622782 B1 KR 101622782B1 KR 1020150175589 A KR1020150175589 A KR 1020150175589A KR 20150175589 A KR20150175589 A KR 20150175589A KR 101622782 B1 KR101622782 B1 KR 101622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charging
wireless charging
smar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훈
공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티
강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티, 강동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티
Priority to KR1020150175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28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one single telescoping pillar
    • H02J17/00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카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좋은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셀카봉의 손잡이에 전지를 구비하고, 스마트기기로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촬영에 의해 전력 손실이 있더라도 안심하고 스마트기기로 촬영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충전손잡이; 무선충전용 스마트기기가 장착되는 스마트기기거치부; 및 상기 스마트기기거치부와 충전손잡이 사이를 연결하는 신장지지봉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기기거치부는, 상기 스마트기기 아래를 지지하는 하부거치부; 상기 스마트기기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스위칭거치부; 및 상기 하부거치부와 상부스위칭거치부 사이에서 대면적으로 형성되어 스마트기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스마트거치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거치베이스플레이트 내에는, 무선충전코일을 포함한 셀카무선충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SELF PHOTOGRAPHING STICK HAVING FUNCTION FOR WIRELESS CHARGING OF SMART DEVICE}
본 발명은 셀카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좋은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셀카봉의 손잡이에 전지를 구비하고, 스마트기기로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촬영에 의해 전력 손실이 있더라도 안심하고 스마트기기로 촬영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기기로는 대표적인 것이 스마트폰이 있다. 스마트노트나 테블릿PC 등도 자주 이용되며 이러한 스마트기기는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음으로써, 종래의 전화기에 의한 단순한 통화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스마트기기에서의 응용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을 별도로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면 보다 폭넓은 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스마트기기에는 특히 사진 촬영을 위해 고해상도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위 풍광도 촬영하기도 하며 특히 사용자 스스로의 모습도 주위 풍광을 배경으로 하여 촬영하기도 한다. 물론 촬영된 영상은 동호회나 SNS 등에 업로드하여 친구들 사이에 서로 공감대를 형성하곤 한다.
이처럼 사용자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촬영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지만 사용자 손에 스마트기기를 놓고 촬영할 경우엔 사용자가 가까이에서 촬영하므로 촬영 앵글이 좁아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일명 셀카봉이 자주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셀카봉은 스마트기기를 사용자로부터 어느 정도 멀리하고 높게 위치한 상태에서 촬영하기 때문에 촬영 풍광을 더욱 풍요롭게 이룰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촬영작동에는 전력 소모가 많이 이루어져 어느 정도 촬영하고나면 전지를 교환하거나 재 충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특히 좋은 풍광의 촬영 장소는 대부분 야외에 있으므로 야외에서 오랜 동안 촬영할 수 있는 조건이 제시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등록특허번호 제10-1523613호(2015년 05월 29일 공고)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78259호(2015년 09월 10일 공고)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14-0002529호(2014년 04월 30일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셀카봉에 스마트기기를 장착하여 오랜동안 사진 촬영하더라도, 전지의 전원을 무선충전 구성으로 스마트기기를 충전하게 되므로 자유롭게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촬영을 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셀카봉에 장착된 스마트기기와 가장 근접된 부분에 무선충전코일을 위치함으로서 무선충전효율이 양호하도록 하며 이로써 무선충전시 낭비되는 전력소모를 최소화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충전 구성들이 탑재된 기판이 커버를 분리하면 손쉽게 꺼내거나 교체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잡이의 스위치에 더불어, 스마트기기를 장착하는 거치에 따른 스위치에 의해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하는 최적의 상황에서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기기에서의 충전되는 상태정보를 전송받는 경우에는 충전상태에 따른 충전 작동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충전손잡이; 무선충전용 스마트기기가 장착되는 스마트기기거치부; 및 상기 스마트기기거치부와 충전손잡이 사이를 연결하는 신장지지봉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기기거치부는, 상기 스마트기기 아래를 지지하는 하부거치부; 상기 스마트기기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스위칭거치부; 및 상기 하부거치부와 상부스위칭거치부 사이에서 대면적으로 형성되어 스마트기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스마트거치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거치베이스플레이트 내에는, 무선충전코일을 포함한 셀카무선충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손잡이는, 내부에 내재되어 상기 셀카무선충전부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 및 상기 전지가 충전손잡이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는 전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커버에는 전지 또는 셀카무선충전부 측으로 외부의 전원 공급용 외부전원플러그가 결합되는 전원플러그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셀카무선충전부는, 충전손잡이에 구비된 전지의 전원공급에 의해 무선충전코일에서 자장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충전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제어부재의 회로 부품들 및 무선충전코일은 충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스마트거치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충전제어부재는, 상기 충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무선충전코일로 전원의 인가를 제어하는 충전컨트롤러; 충전컨트롤러 작동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장치메모리; 상기 충전회로기판 일측에서 상기 무선충전코일 단자가 접속되는 코일연결부; 및 충전손잡이의 전지의 전원선이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셀카무선충전부는, 상기 스마트기기거치부에 장착된 스마트기기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스위칭거치부가 상방향으로 이동에 의해 충전손잡이의 전지의 전원회선을 연결하는 거치부스위치; 및 상기 충전손잡이 일측에 구비되어 전지의 전원회선을 연결하는 손잡이스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위치의 스위칭작동으로 전지의 전원을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스위치는, 상기 스마트기기거치부의 스마트거치베이스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된 거치왕복공간 내에서 왕복이동되는 상부스위칭거치부 일측에 구비된 소정 길이를 갖는 거치측접점부; 상기 거치왕복공간 아래 측에 고정되어 거치측접점부 아래부분과 접하는 상시접촉접점단자; 상기 거치왕복공간 상측에 고정되어 상부스위칭거치부의 상향 이동에 의해 거치측접점부와 접하는 슬라이드장착접점단자; 및 상기 상부스위칭거치부가 거치왕복공간 내부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부스위칭거치부 일측을 가압하는 거치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셀카봉에 스마트기기를 장착하여 오랜동안 사진 촬영하더라도, 전지의 전원을 무선충전 구성으로 스마트기기를 충전하게 되므로 자유롭게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촬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셀카봉에 장착된 스마트기기와 가장 근접된 부분에 무선충전코일을 위치함으로서 무선충전효율이 양호하도록 하며 이로써 무선충전시 낭비되는 전력소모를 최소화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무선충전 구성들이 탑재된 기판이 커버를 분리하면 손쉽게 꺼내거나 교체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손잡이의 스위치에 더불어, 스마트기기를 장착하는 거치에 따른 스위치에 의해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하는 최적의 상황에서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스마트기기에서의 충전되는 상태정보를 전송받는 경우에는 충전상태에 따른 충전 작동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카봉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카봉에서 셀카무선충전부재의 기판이 분리된 상태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카봉에서 스마트기기가 장착되기 전 상태에 대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셀카봉에 스마트기기가 장착된 상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셀카봉에서 스위칭 작동 중에서 스위치가 OFF 상태일 때의 연결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셀카봉에서 스위칭 작동 중에서 각 스위치들이 ON 상태로 되는 때의 연결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셀카봉에 대한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기기(100)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100)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7 등에서와 같이, 아래에 충전손잡이(20)가 마련되고, 상부로는 무선충전용 스마트기기(100)가 장착되는 스마트기기거치부(30)가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스마트기기거치부(30)와 충전손잡이(20) 사이를 연결하는 신장지지봉(12)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스마트기기거치부(30)에 도 4에서처럼 스마트폰이나 휴대용 단말기 등의 스마트기기(100)를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 스스로의 모습이나 풍광 등을 손쉽게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셀카봉(10)은 'self photographing stick'으로, 그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사용자 스스로가 자신의 모습을 좋은 풍광과 함께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 전용 촬영 보조장치인 것이다. 일반적인 스마트기기로 스마트폰, 테블릿PC, 노트 등 다양한 휴대용 장치로 촬영이 가능하지만 사용자 손으로 잡고 촬영하면 낮은 높이에서 한정된 촬영앵글에 의해 제한된 사용자 자신의 모습만 촬영하게 된다.
이에 반해 셀카봉을 이용하면 사용자로부터 그만큼 멀리 이격시켜 촬영하기 때문에 주위 풍광이라던가, 함께 촬영하는 다른 사람들도 촬영할 수 있는 등, 촬영 앵글을 폭넓게 하여 촬영하게 된다. 특히 여행이나 기억하고싶은 장소에서 여러 명이 촬영할 때 더욱 유용하게 된다.
이러한 셀카봉의 상기 스마트기기거치부(30)는 스마트기기(100)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기기(100) 아래를 지지하는 하부거치부(31), 상기 스마트기기(100)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스위칭거치부(32), 및 상기 하부거치부(31)와 상부스위칭거치부(32) 사이에서 대면적으로 형성되어 스마트기기(100)의 배면을 지지하는 스마트거치베이스플레이트(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비록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 이들 하부거치부(31), 상부스위칭거치부(32), 그리고 스마트거치베이스플레이트(33) 등은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의 상부스위칭거치부(32)는 스마트기기(100) 장착을 위해 상향으로 신장되는 작동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스마트기기(100)를 이용한 촬영 중에는 전력소모가 비교적 많이 있다. 그리하여 야외에서 촬영하게 되면 쉽게 전력이 떨어져 계속적인 촬영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셀카봉(100)에 무선충전 구성을 마련하여 스마트기기(100)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마련한 것이다.
즉 상기 스마트거치베이스플레이트(33) 내에는, 무선충전코일(52)을 포함한 셀카무선충전부(50)가 구비되는 것이다. 즉 무선충전코일(52)로 전원을 공급하여 무선충전코일(52)에서 유도자기장이 발생되도록 하며, 이러한 자장을 이용하여 무선충전용 스마트기기(100)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스마트기기(100)에서의 무선충전 구성은 일반적인 무선충전기술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무선충전을 위한 셀카봉(10)에서의 상세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충전손잡이(20)는, 내부에 내재되어 상기 셀카무선충전부(5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21)가 마련된다. 될 수 있으면 이러한 전지(21)는 그 무게로 인해 셀카봉(10)의 아래 부분인 충전손잡이(20) 내에 위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실시되는 양태에 따라 다른 곳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전지(21)가 충전손잡이(20)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는 전지커버(22)를 포함하여, 전지(21) 이탈을 방지한다.
이에 더하여 도 7에서처럼 상기 전지커버(22)에는 전지(21) 또는 셀카무선충전부(50) 측으로 외부의 전원 공급용 외부전원플러그가 결합되는 전원플러그접속단자(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지(21)가 충전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전원플러그접속단자(23)를 통한 외부전원에 의해 전지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전원플러그접속단자(23)의 외부전원이 셀카무선충전부(50)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바로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100)의 충전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해당장소에서 해당 스마트기기(100)에 바로 충전할 수 있는 기구가 없는 경우에 유용할 것이다. 이에 이러한 전원플러그접속단자(23)는 외부전원으로써 110V, 또는 220V 등의 일반 전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용 단자, 차량전원의 접속을 위한 시거잭 등의 단자, 컴퓨터 등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USB 등의 단자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이 가능한 셀카봉(10)에 있어서, 상기 셀카무선충전부(50)는, 충전손잡이(20)에 구비된 전지(21)의 전원공급에 의해 무선충전코일(52)에서 자장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충전제어부재(51)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충전제어부재(51)에 의하여 전체적인 셀카봉(10)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충전제어부재(51)의 회로 부품들 및 무선충전코일(52)은 충전회로기판(501)에 실장되어 스마트거치베이스플레이트(33)에 구비되는 것이다.
즉 도 1 및 도 2에서처럼 스마트기기(100)가 장착되는 면에 충전회로기판(501)이 장착될 수 있으며, 기타 이러한 회로기판은 응용된 형태로 하여 셀카봉의 적절한 소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도 1 및 도 2에 따른 본 발명에서의 셀카봉(10)에서는, 상측의 스마트거치베이스플레이트(33) 내에 마련된 무선충전설치공간(34)에 충전회로기판(501)이 내재되도록 구비하며, 이러한 충전회로기판(501)의 보호를 위해 충전설치커버(35)가 마련된다.
이러한 충전회로기판(501)의 안쪽면에는 충전작동을 제어하고 전원제어를 위한 후술되는 충전컨트롤러(511) 등의 제어회로 부품들이 설치된다. 그리고 충전회로기판(501)의 외측으로 스마트기기(100)가 장착되는 방향면으로는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코일(52)이 마련되는 것이며, 이러한 무선충전코일(52)의 단자는 반대면 충전회로기판(501)의 충전컨트롤러(511)가 탑재된 부분의 코일연결부(513)에 결속된다.
이러한 충전회로기판(501)의 일측으로는 충전제어를 위한 부품이 탑재되고 반대면에는 무선충전용 코일이 내재된 단일체로 하여 기판을 형성함으로써, 손쉽게 무선충전 제어 구성을 셀카봉(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단일품의 기판회로의 구성에 의하여 충전 제어 구성의 조립이 쉽고, 용이한 탑재 및 분리로 인해 수리나 신품의 교환이 손쉽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충전제어부재(51)는, 상기 충전회로기판(501)에 실장되어 무선충전코일(52)로 전원의 인가를 제어하는 충전컨트롤러(511)가 마련되어 충전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충전컨트롤러(511) 작동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장치메모리(512)가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충전회로기판(501) 일측에서 상기 무선충전코일(52) 단자가 접속되는 코일연결부(513)가 마련되고, 충전손잡이(20)의 전지(21)의 전원선이 연결되는 전원연결부(514)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셀카봉(10)에 도 3에서처럼 스마트기기(100)를 장착하기 위해 상측 상부스위칭거치부(32)를 상향으로 올린 다음에, 스마트기기(100)를 스마트거치베이스플레이트(33)에 접근한 다음에, 상부스위칭거치부(32)를 아래로 내려 스마트기기(100)를 장착한다.
그리고 난 후 충전손잡이(20)의 전지(2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전원연결부(514)를 거쳐 충전컨트롤러(511)의 제어로 코일연결부(513)를 거쳐 무선충전코일(52)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하여 도 4와 같이 장착된 스마트기기(100)에 대해, 도 6에서처럼 무선충전코일(52)에서의 자장으로 스마트기기(100)에 대한 충전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 작동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기기(100)가 장착된 경우에만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셀카무선충전부(50)에는, 도 5, 도 6에서처럼 상기 스마트기기거치부(30)에 장착된 스마트기기(100)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스위칭거치부(32)가 상방향으로 이동에 의해 충전손잡이(20)의 전지(21)의 전원회선을 연결하는 거치부스위치(53)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와 함께 상기 충전손잡이(20) 일측에 구비되어 전지(21)의 전원회선을 연결하는 손잡이스위치(56)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거치부스위치(53) 및 손잡이스위치(56)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위치의 스위칭작동으로 전지(21)의 전원이 셀카무선충전부(50)로 인가되도록 구비한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5, 도 6에서처럼 이들 거치부스위치(53)와 손잡이스위치(56)가 모두 마련될 수 있으며, 거치부스위치(53)만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작동, 손잡이스위치(56) 만으로 하는 수동 스위칭작동 등으로만 이루어져도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이에 상기 거치부스위치(53)에 대한 구성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스마트기기거치부(30)의 스마트거치베이스플레이트(33) 일측에 형성된 거치왕복공간(531) 내에서 왕복이동되는 상부스위칭거치부(32) 일측에 소정 길이를 갖는 거치측접점부(533)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왕복공간(531) 아래 측에 고정되어 거치측접점부(533) 아래부분과 접하는 상시접촉접점단자(54)가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거치왕복공간(531) 상측에 고정되어 상부스위칭거치부(32)의 상향 이동에 의해 거치측접점부(533)와 접하는 슬라이드장착접점단자(55)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상부스위칭거치부(32)가 거치왕복공간(531) 내부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부스위칭거치부(32) 일측을 가압하는 거치탄성체(532)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거치탄성체(532)에 의하여 상부스위칭거치부(32)가 항시 스마트거치베이스플레이트(33)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갖는 것이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스마트기기(100)를 장착하려고 할 때, 상향으로 잡아 당기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스위칭거치부(32)의 상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아래의 상시접촉접점단자(54)와 상측의 슬라이드장착접점단자(55)를, 거치측접점부(533)에 의해 서로 도통상태를 갖는 것이다. 즉 거치측접점부(533)에 의한 스위칭 작동으로 양측 상시접촉접점단자(54)와 슬라이드장착접점단자(55)가 스위칭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손잡이스위치(56) 및 거치부스위치(53)에 의한 전원인가 작동예에 대해서 살펴보면, 도 5에서처럼 전지(21)는 충전손잡이(20)에 장착된 경우라도, 손잡이스위치(56)나 거치부스위치(53)가 작동하지 않으면 충전작동을 하지 않을 것이다.
물론 손잡이스위치(56)를 ON 상태로 한다 하여도 스마트기기(100)를 장착하지 않으면 거치부스위치(53)가 작동하지 않아 무선충전코일(52)에서 자장이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이에 도 4에서처럼 스마트기기(100)를 장착하면 도 6에서처럼 거치부스위치(53)의 상시접촉접점단자(54)와 슬라이드장착접점단자(55) 사이를 거치측접점부(533)가 연결시키게 된다. 이후 손잡이스위치(56)를 작동하면, 전지의 전원선(61)의 거치부스위치전원선(62) 및 거치부스위치회로전원선(63) 등을 통해 전지(21) 전원이 셀카무선충전부(50)로 인가될 것이다.
이에 따라 충전컨트롤러(511)의 제어 작동으로 무선충전코일(52)에서 자장이 발생되어 무선충전용 스마트기기(100)에서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기기(100)에, 본 발명에 따른 셀카봉(10)과의 연동작동이 수행될 수 있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본 발명에 따른 셀카봉(1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경우에는, 스마트기기(100)의 충전 정도에 따른 상태에 따라 셀카무선충전부(50)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스마트기기(100)는 셀카봉용 어플리케이션 작동을 위한 스마트기기제어부(101)가 마련되고, 이러한 스마트기기제어부(101) 제어에 따라 셀카봉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이러한 셀카봉어플리케이션에는 스마트기기의 충전정보를 수집하여 표시하면서 셀카봉으로 전송하는 충전정보처리기능이 작동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셀카봉(10)으로 스마트기기(100)의 촬영을 수행하게 되므로, 서로의 통신에 의해 셀카봉(10)을 잡고 있는 사용자의 조작신호가 셀카봉(10)에서 스마트기기(100)로 전송되어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촬영정보처리기능이 셀카봉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스마트기기(100)와 셀카봉(10) 사이에는 유선 잭으로 하는 유선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고,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스마트기기(100)의 무선충전용 회선의 제어 및 셀카봉(10)에서의 무선충전코일(52)에서의 전력감지 및 신호 제어를 이용한 통신에 의한 무선통신 구성이 마련될 수도 있는 등, 실시되는 양태에 알맞은 통신 수단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구성들은 일반적인 유무선통신 구성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무선충전 모니터링의 구성으로써 셀카봉(10)에서의 작동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셀카무선충전부(50)는, 스마트기기(100)와 유무선통신 환경하에서, 스마트기기(100)로부터 완전충전상태의 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무선충전코일(52)로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충전모니터부(517)가 마련된다.
이러한 충전모니터부(517)에서는 스마트기기(100)에서 전송받은 충전정보를 별도의 충전지시램프나 디지털화면 등의 표시부재(미도시됨)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스마트기기의 충전 정도를 쉽게 살필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스마트기기(100)가 완충전된 경우에는 손잡이스위치(56)를 OFF로 하여 충전작동을 일시 정지하게 된다. 물론 스마트기기(100)의 충전이 필요한 것을 표시한 경우 다시 손잡이스위치(56)를 ON 상태로 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실시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표시부재(미도시됨)에는 셀카봉(10)의 전지(21)의 전력량도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새 전지로의 교체 또는 충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셀카봉(10)에 장착된 스마트기기(100)에 촬영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충전손잡이(20)의 촬영스위치(25)의 작동으로 스마트기기(100) 측으로 촬영의 조작신호를 전송하는 촬영작동부(518)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기기(100)에서는 촬영모드에서 촬영 대기의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셀카봉(10)에서의 촬영 신호를 전송받아 촬영하도록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손쉽게 사용자는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0 : 스마트기기 10 : 셀카봉
20 : 충전손잡이 30 : 스마트기기거치부
50 : 셀카무선충전부 52 : 무선충전코일

Claims (5)

  1. 충전손잡이; 및
    무선충전용 스마트기기가 장착되는 스마트기기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기기거치부는,
    상기 스마트기기 아래를 지지하는 하부거치부;
    상기 스마트기기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스위칭거치부; 및
    상기 하부거치부와 상부스위칭거치부 사이에서 대면적으로 형성되어 스마트기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스마트거치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거치베이스플레이트 내에는, 무선충전코일을 포함한 셀카무선충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셀카무선충전부는, 상기 스마트기기거치부에 장착된 스마트기기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스위칭거치부가 상방향으로 이동에 의해 충전손잡이의 전지의 전원회선을 연결하는 거치부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스위치는,
    상기 스마트기기거치부의 스마트거치베이스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된 거치왕복공간 내에서 왕복이동되는 상부스위칭거치부 일측에 구비된 소정 길이를 갖는 거치측접점부;
    상기 거치왕복공간 아래 측에 고정되어 거치측접점부 아래부분과 접하는 상시접촉접점단자;
    상기 거치왕복공간 상측에 고정되어 상부스위칭거치부의 상향 이동에 의해 거치측접점부와 접하는 슬라이드장착접점단자; 및
    상기 상부스위칭거치부가 거치왕복공간 내부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부스위칭거치부 일측을 가압하는 거치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거치부와 충전손잡이 사이를 연결하는 신장지지봉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손잡이는,
    내부에 내재되어 상기 셀카무선충전부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 및
    상기 전지가 충전손잡이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는 전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커버에는 전지 또는 셀카무선충전부 측으로 외부의 전원 공급용 외부전원플러그가 결합되는 전원플러그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카무선충전부는, 충전손잡이에 구비된 전지의 전원공급에 의해 무선충전코일에서 자장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충전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제어부재의 회로 부품들 및 무선충전코일은 충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스마트거치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충전제어부재는,
    상기 충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무선충전코일로 전원의 인가를 제어하는 충전컨트롤러;
    충전컨트롤러 작동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장치메모리;
    상기 충전회로기판 일측에서 상기 무선충전코일 단자가 접속되는 코일연결부; 및
    충전손잡이의 전지의 전원선이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카무선충전부는,
    상기 스마트기기거치부에 장착된 스마트기기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스위칭거치부가 상방향으로 이동에 의해 충전손잡이의 전지의 전원회선을 연결하는 거치부스위치; 및
    상기 충전손잡이 일측에 구비되어 전지의 전원회선을 연결하는 손잡이스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위치의 스위칭작동으로 전지의 전원을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
  5. 삭제
KR1020150175589A 2015-12-10 2015-12-10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 KR101622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589A KR101622782B1 (ko) 2015-12-10 2015-12-10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589A KR101622782B1 (ko) 2015-12-10 2015-12-10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782B1 true KR101622782B1 (ko) 2016-05-19

Family

ID=56103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589A KR101622782B1 (ko) 2015-12-10 2015-12-10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78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2344A (zh) * 2016-08-15 2017-01-11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自拍杆补光灯控制电路及自拍杆
KR101696149B1 (ko) * 2016-05-31 2017-01-13 서울특별시 등기구
WO2018032273A1 (zh) * 2016-08-15 2018-02-22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自拍杆补光灯控制电路及自拍杆
WO2018044084A1 (ko) * 2016-08-31 2018-03-08 (주)아이티버스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8101538A1 (ko) * 2016-11-30 2018-06-07 조병배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셀카봉
WO2019174018A1 (zh) * 2018-03-15 2019-09-19 深圳市固胜智能科技有限公司 可旋转无线充电的智能终端夹及三轴陀螺仪稳定器
WO2020011031A1 (zh) * 2018-07-09 2020-01-16 深圳市迪比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支架补光的无线充供电装置
KR102153817B1 (ko) 2019-03-07 2020-09-08 이승도 전자기기용 셀카봉
KR20200140995A (ko) * 2019-06-06 2020-12-17 윈너즈선플라스틱전자(선전)유한회사 촬영 보조 장치
KR20220170235A (ko) 2021-06-22 2022-12-29 김승한 탈부착형 무선충전 셀카봉과 스마트폰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084B1 (ko) 2012-05-02 2013-07-17 (주)엠에이피테크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KR101450115B1 (ko) 2013-06-17 2014-10-14 (주)엠에이피테크 호환성을 갖는 무선충전용 전원수신코일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084B1 (ko) 2012-05-02 2013-07-17 (주)엠에이피테크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KR101450115B1 (ko) 2013-06-17 2014-10-14 (주)엠에이피테크 호환성을 갖는 무선충전용 전원수신코일모듈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149B1 (ko) * 2016-05-31 2017-01-13 서울특별시 등기구
CN106332344A (zh) * 2016-08-15 2017-01-11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自拍杆补光灯控制电路及自拍杆
WO2018032273A1 (zh) * 2016-08-15 2018-02-22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自拍杆补光灯控制电路及自拍杆
WO2018044084A1 (ko) * 2016-08-31 2018-03-08 (주)아이티버스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8101538A1 (ko) * 2016-11-30 2018-06-07 조병배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셀카봉
WO2019174018A1 (zh) * 2018-03-15 2019-09-19 深圳市固胜智能科技有限公司 可旋转无线充电的智能终端夹及三轴陀螺仪稳定器
WO2020011031A1 (zh) * 2018-07-09 2020-01-16 深圳市迪比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支架补光的无线充供电装置
KR102153817B1 (ko) 2019-03-07 2020-09-08 이승도 전자기기용 셀카봉
KR20200140995A (ko) * 2019-06-06 2020-12-17 윈너즈선플라스틱전자(선전)유한회사 촬영 보조 장치
KR102348168B1 (ko) * 2019-06-06 2022-01-11 윈너즈선플라스틱전자(선전)유한회사 촬영 보조 장치
KR20220170235A (ko) 2021-06-22 2022-12-29 김승한 탈부착형 무선충전 셀카봉과 스마트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782B1 (ko)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
CN202617256U (zh) 一种蓝牙遥控式照相装置
US20130293731A1 (en) Remote controller device for self-photography using a mobile phone camera
JP2018516378A (ja) 自撮り用装置
CN204231463U (zh) 一种手机拍摄支撑杆
JP2007165960A (ja) 携帯電話装置
CN209298907U (zh) 电源握持装置
CN110850664A (zh) 一种手持云台相机
CN206161755U (zh) 绝缘观察设备
CN205377983U (zh) 一种带有照明装置的自拍杆
KR101571552B1 (ko) 보조 배터리 장치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304026B1 (ko)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장치를 위한 핸드폰 삼각대
CN105939459B (zh) 显示装置、图像显示方法以及记录介质
CN201177717Y (zh) 一种用于相机、摄像机的远程无线取景器
CN106101513A (zh) 外置摄像头和智能终端设备
KR101633865B1 (ko) 스마트폰용 셀프 카메라 촬영장치
KR200491474Y1 (ko)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
CA2882423C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 tablet device
CN205945951U (zh) 外置摄像头和智能终端设备
CN201774590U (zh) 一种具有便携式液晶显示屏的数码相机
CN211236975U (zh) 一种全景视频交互系统
CN201541306U (zh) 微型摄影装置
KR20200071524A (ko) 다기능 셀카봉
CN111405092A (zh) 电子设备
CN101539710A (zh) 一种用于相机、摄像机的远程无线取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