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817B1 - 전자기기용 셀카봉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셀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817B1
KR102153817B1 KR1020190026459A KR20190026459A KR102153817B1 KR 102153817 B1 KR102153817 B1 KR 102153817B1 KR 1020190026459 A KR1020190026459 A KR 1020190026459A KR 20190026459 A KR20190026459 A KR 20190026459A KR 102153817 B1 KR102153817 B1 KR 102153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electronic device
link
selfie stick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도
Original Assignee
이승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도 filed Critical 이승도
Priority to KR1020190026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4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셀카봉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셀카봉에 있어서, 길이가 조절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의 일 측에 결합되며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자기기가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조절부의 타 측에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전자기기에 영상이 촬영될 수 있도록 하는 촬영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그립부는 상기 셀카봉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절개 하우징 및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전자기기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조절부의 일 측에 결합되는 연결링크; 상기 연결링크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에 결합되며 각도가 조절되는 고정링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셀카봉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용 셀카봉{A SELF CAMERA STICK FO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셀카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환경에서 셀카봉을 사용함에 있어서, 셀카봉의 그립부에 통풍판을 포함시킴으로써 더운 환경에서는 공기의 유·출입을 자유롭게 하여 그립부에 땀이 묻어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그립부에 발열선을 포함시킴으로써 추운 환경에서는 열이 발생되도록 하여 외부환경 변화에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셀카봉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기기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전자기기는 내부에 소형 카메라가 함께 내장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전자기기를 사용하여 주변의 풍경, 인물사진 또는 사용자 본인의 모습을 촬영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인의 모습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손에 놓인 전자기기와 사용자 간의 길이는 길어야 50cm 정도에 불과하므로 사용자 본인 외에 주위 풍경을 풍성하게 담아내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사용자 본인의 모습을 촬영하는 경우 주위 풍경을 좀더 풍성하게 담아낼 수 있도록 일명 셀카봉을 사용하고 있다.
셀카봉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긴 막대기 끝에 카메라 또는 스마트기기와 같은 전자기기를 연결함으로써, 풍경과 함께 사용자의 모습을 전자기기에 담아내는 장치이다.
이렇게 셀카봉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전자기기의 사용 시간 또한 동시에 증가함으로써 전자기기에 충전된 배터리의 용량만으로는 전자기기에 내장된 다른 기능을 함께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셀카봉이 외부에서 사용되는 만큼 사용자의 손이 노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운 날씨에는 셀카봉의 손잡이에 땀이 묻어나게 되어 쉽게 셀카봉이 손에서 미끄러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추운 날씨에는 셀카봉의 손잡이가 차가워짐으로써 셀카봉을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에 공개실용신안 2020180001704호는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셀카봉' 에 관한 것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 본체부에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보조 배터리부를 포함시킴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촬영과 동시에 충전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등록특허 1016227820000호는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개특허와 마찬가지로 스마트기기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시간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공개신용신안과 달리 스마트기기에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만, 상기 공개실용신안 및 등록특허의 경우 셀카봉을 장시간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셀카봉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는다는 어려움은 여전히 남아 있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셀카봉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외부환경에 따라 더운 환경에서는 셀카봉의 손잡이 부분이 통풍이 될 수 있도록 하며, 추운 환경에서는 열을 발생시켜 외부환경 변화에도 사용자가 셀카봉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기용 셀카봉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622782호(2016.05.1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20-20180001704호(2018.06.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환경에서 셀카봉을 사용함에 있어서, 셀카봉의 그립부에 통풍판을 포함시킴으로써 더운 환경에서는 공기의 유·출입을 자유롭게 하여 그립부에 땀이 묻어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그립부에 발열선을 포함시킴으로써 추운 환경에서는 열이 발생되도록 하여 외부환경 변화에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셀카봉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다만, 앞서 기술할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기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아래 기술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셀카봉에 있어서, 길이가 조절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의 일 측에 결합되며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자기기가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조절부의 타 측에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전자기기에 영상이 촬영될 수 있도록 하는 촬영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그립부는 상기 셀카봉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절개 하우징 및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전자기기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조절부의 일 측에 결합되는 연결링크; 상기 연결링크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에 결합되며 각도가 조절되는 고정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자기기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전자기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판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판은 이동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판은 상기 전자기기에 빛이 조사되는 것을 막는 가림판을 포함하되, 상기 가림판은 상기 가림판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 측에 결합되는 힌지 및 상기 지지부의 타 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는 상기 가림판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림판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는 열이 발생될 수 있도록 내부에 형성된 발열선; 상기 발열선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발열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열선은 상기 전원부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절개 하우징은 상기 그립부의 어느 한쪽 일 측에 결합되는 이탈방지 부재 및 상기 이탈방지 부재에 결합되어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부는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기존의 셀카봉의 그립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절개부를 포함시킴으로써 절개부를 탈착하거나 접어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개부를 펼쳐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절개부에 통풍부재를 포함시킴으로써 더운 환경에 사용자가 그립부를 잡을 경우 공기의 유·출입이 자유로워 시원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쉽게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립부에 발열선을 포함시킴으로써 추운 환경에 따뜻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셀카봉에 가림판을 결합시킴으로써, 셀카봉을 사용하는 경우 전자기기에 햇빛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면이 어둡게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 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셀카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착판 및 가림판의 결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판 및 가림판의 결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개 하우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 하우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인 전자기기용 셀카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사상태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셀카봉(100)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착판(320) 및 가림판(330)의 결합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판(320) 및 가림판(330)의 결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셀카봉(100)은 조절부(200), 촬영 스위치(210), 연결부(220), 고정부(300), 그립부(400), 전원부(500) 및 절개 하우징(410)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조절부(200)는 사용자와 전자기기 간의 거리를 조절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에 전자기기가 고정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한 다단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만큼 길이를 조절하여 셀카봉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조절부(200)가 다단의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것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일뿐,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기타 다른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조절부(200)는 셀카봉(100)에 전자기기가 결합될 경우, 전자기기에 영상이 촬영될 수 있도록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는 촬영 스위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스위치(210)는 조절부(200)의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송신선에 의해 전자기기에 촬영신호를 보내며, 조절부(200)의 외부에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신선을 통해 촬영신호가 전달되는 것으로 이는 셀카봉(100)의 일반적인 촬영 방식에 해당된다.
연결부(220)는 조절부(200) 및 고정부(300)를 연결하기 위함으로, 조절부(200)의 일 측에 결합되는 연결링크(221), 고정부(300)에 결합되는 고정링크(223) 및 연결링크(221)와 고정링크(223)를 결합시킬 수 있는 회전링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링크(222)는 연결링크(221) 및 고정링크(223)를 결합시키는 목적 이외에 전자기기가 고정부(300)에 결합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사진 촬영이 될 수 있도록 고정링크(22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고정부(300)는 연결부(220)의 고정링크(223)에 결합되며, 전자기기가 셀카봉(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부(300)는 고정부재(310), 이동 프레임(311,312) 및 안착판(320)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고정부재(310)는 두 개 이상의 대응되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에 의해 좁아지거나 벌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310)가 집게 형상으로 좁아지거나 벌어지도록 하는 것은 셀카봉(100)에서 전자기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전자기기가 고정부재(310)서 이탈되지 않는 다른 어떠한 형태로 전용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부재(310)는 집게 형상이 용이하게 벌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고정부재(310)에 결합되는 이동 프레임(311,3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310)는 이동 프레임(311,312)에 의해 이동 되므로 고정부재(310)의 이동을 위한 프레임의 형상이 달라지면, 이동 프레임(311,312)의 형상도 함께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안착판(320)은 이동 프레임(311,312)에 결합되며 전자기기가 고정부(300)에 의해 고정될 경우, 고정부(300)에 전자기기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안착판(320)은 이동홀(321)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이동홀(321)은 안착판(320)의 중앙을 따라 굴곡형상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를 참고하면, 안착판(320)은 가림판(33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가림판(330)은 힌지(331), 지지부(332) 및 돌기부(333)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가림판(330)은 사용자가 셀카봉(10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전자기기에 햇빛이 조사되는 경우, 전자기기의 화면이 보이지 않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 맞춰 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든지 셀카봉(100)을 사용하더라도 전자기기 화면의 명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331)는 가림판(330)의 일 측에 결합되어 가림판(33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며, 가림판(330)과 결합되지 않은 타 측은 지지부(332)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힌지(331)에 의해 가림판(33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햇빛이 없는 환경에서는 가림판(330)을 전자기기가 안착되지 않은 안착판(320)의 후면에 밀착시켜 놓으며, 햇빛이 있는 환경에서는 가림판(330)을 회전시켜 햇빛을 차단시킴으로써 전자기기의 화면이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지지부(332)는 일 측이 힌지(331)와 결합됨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타 측은 구 형상으로 돌출된 돌기부(333)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 형상으로 돌출시키는 것은 안착판(320)의 이동홀(321)에 돌기부(333)를 삽입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지지부(332)는 가림판(33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고정부(300)에 결합되는 전자기기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가림판(330)의 거리가 달라 질 수 있도록 지지부(332)는 다단의 원통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일 예시에 불과하므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 대체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돌기부(333)는 이동홀(321)에 삽입되어 가림판(330)을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이동홀(321)의 형상을 따라 안착판(320)의 중앙부를 이동할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이동홀(321)의 형태는 굴곡형상의 홀이 아닌 다수개의 원형상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돌기부(333)를 삽입시킬 수 있다.
이렇게 돌기부(333)는 이동홀(321)에 삽입되므로,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이동홀(321)의 형태가 달라지면, 돌기부(333)의 형상도 함께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4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그립부(400)는 조절부(200)의 타 측에 결합되며, 발열선(401), 발열 스위치(미도시) 및 뚜껑(402)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립부(400)는 사용자가 셀카봉을 사용하는 때에 손잡이 부분에 해당되며, 셀카봉은 외부환경에 노출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립부(400)의 내부에 발열선(401)을 더 포함시킴으로써, 추운 환경에서 발열선(401)에 전원이 공급되어 열이 발생되고 사용자는 셀카봉(100)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발열선(401)은 추운 환경에서만 작동되어야 하므로 그립부(400)는 전원의 공급이나 차단을 조절할 수 있는 발열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발열 스위치를 제어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발열 스위치를 대체하여 열 감지 제어장치를 포함시킴으로써, 발열선(401)에 전원을 자동적으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발열선(401)의 전원은 전원부(500)에 의해 공급되는 것이 좋다.
전원부(500)는 발열선(401)에 열이 발생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나 평상시에는 전자기기에 충전량을 보완하는 보조 배터리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립부(400)는 전원부(500)가 그립부(40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립부(400)의 하단이 개구될 수 있도록 열고 닫힘이 가능한 뚜껑(4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그립부(400)의 형상은 사용자의 이용 및 편의에 따라 그 형상을 달리할 수 있으며, 전원부(500)는 그립부(400) 내부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그립부(4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은 자명할 것이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구현이 가능한 기타 어떠한 형상이 적용되더라도 무방하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개 하우징(410)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 하우징(41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절개 하우징(410)은 셀카봉(1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그립부(400)의 어느 한쪽 일 측에 결합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 그립부(4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그립부(400)에 절개 하우징(410)을 탈착시키거나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절개 하우징(410)은 그립부(400)에 결합됨과 동시에 셀카봉(100)을 지지하기 위해서 이탈방지 부재(411) 및 절개부(4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풍부제(413)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탈방지 부재(411)는 그립부(4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환형인 것이 좋다.
이때, 이탈방지 부재(411)가 그립부(400)에 삽입되어 그립부(4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단단하게 조여짐으로써 절개 하우징(410)이 그립부(400)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탈방지 부재(411)는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져 비교적 간단하게 조립되도록 할 수 있으나, 고무와 같이 패킹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그립부(4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절개부(412)는 이탈방지 부재(411)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형태로 절개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절개부(412)는 그립부(400)에 밀착될 수 있도록 그립부(400)의 형상과 대응되는 굴곡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립부(400)의 형상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그 형상을 달리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절개부(412)의 형상도 달라질 수 있으며, 절개부(412)가 그립부(400)에 완전히 밀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무방함은 당연하다.
또한, 절개부(412)를 이탈방지 부재(411)에서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탈방지 부재(411)를 그립부(400)에서 따로 분리하지 않더라도 절개부(412)만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절개부(412)를 그립부(400)에 결합시킴으로써 평지와 같은 지면에서 셀카봉(100)을 사용하는 경우 다수개의 절개부(412)를 펼쳐 셀카봉(100)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절개부(412)를 접음으로써 셀카봉(100)을 휴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그립부(400)에 밀착되지 않는 절개부(412)의 다른 면은 통풍부제(413)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통풍부제(413)는 공기의 유·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홈을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나, 이는 공기의 이동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므로 홈이 아닌 개구된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매쉬형상의 소재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절개 하우징(410)은 그립부(400)에서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절개 하우징(410)이 그립부(400)에서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이상으로 청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방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아닌 것이다.
100 : 셀카봉
200 : 조절부
210 : 촬영 스위치
220 : 연결부
221 : 연결링크
222 : 회전링크
223 : 고정링크
300 : 고정부
310 : 고정부재
311, 312 : 이동 프레임
320 : 안착판
321 : 이동홀
330 : 가림판
331 : 힌지
332 : 지지부
333 : 돌기부
400 : 그립부
401 : 발열선
402 : 뚜껑
410 : 절개 하우징
411 : 이탈방지 부재
412 : 절개부
413 : 통풍부재
500 : 전원부

Claims (5)

  1. 전자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셀카봉에 있어서,
    길이가 조절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의 일 측에 결합되며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자기기가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조절부의 타 측에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전자기기에 영상이 촬영될 수 있도록 하는 촬영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그립부는
    상기 셀카봉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절개 하우징 및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조절부의 일 측에 결합되는 연결링크;
    상기 연결링크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에 결합되며 각도가 조절되는 고정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자기기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전자기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판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판은 이동홀 및 상기 전자기기에 빛이 조사되는 것을 막는 가림판을 포함하되,
    상기 가림판은
    상기 가림판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 측에 결합되는 힌지 및
    상기 지지부의 타 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는 상기 가림판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림판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셀카봉.
  2. 삭제
  3. 삭제
  4. 전자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셀카봉에 있어서,
    길이가 조절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의 일 측에 결합되며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자기기가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조절부의 타 측에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전자기기에 영상이 촬영될 수 있도록 하는 촬영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그립부는
    상기 셀카봉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절개 하우징 및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조절부의 일 측에 결합되는 연결링크;
    상기 연결링크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에 결합되며 각도가 조절되는 고정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부는
    열이 발생될 수 있도록 내부에 형성된 발열선;
    상기 발열선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발열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열선은 상기 전원부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셀카봉.
  5. 전자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셀카봉에 있어서,
    길이가 조절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의 일 측에 결합되며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자기기가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조절부의 타 측에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전자기기에 영상이 촬영될 수 있도록 하는 촬영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그립부는
    상기 셀카봉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절개 하우징 및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조절부의 일 측에 결합되는 연결링크;
    상기 연결링크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에 결합되며 각도가 조절되는 고정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 하우징은
    상기 그립부의 어느 한쪽 일 측에 결합되는 이탈방지 부재 및
    상기 이탈방지 부재에 결합되어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부는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풍부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셀카봉.
KR1020190026459A 2019-03-07 2019-03-07 전자기기용 셀카봉 KR102153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459A KR102153817B1 (ko) 2019-03-07 2019-03-07 전자기기용 셀카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459A KR102153817B1 (ko) 2019-03-07 2019-03-07 전자기기용 셀카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817B1 true KR102153817B1 (ko) 2020-09-08

Family

ID=7247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459A KR102153817B1 (ko) 2019-03-07 2019-03-07 전자기기용 셀카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568B1 (ko) * 2021-03-17 2021-10-27 김현진 청소 상태 확인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532A (ko) * 2003-03-18 2003-04-08 고식채 디지털카메라의 엘씨디 후드
KR101622782B1 (ko) 2015-12-10 2016-05-19 주식회사 엠아이티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
KR20160097175A (ko) * 2016-08-02 2016-08-17 (주)성박 회전 셀카봉
KR101775871B1 (ko) * 2017-03-29 2017-09-06 고영화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KR20180001704U (ko) 2016-11-30 2018-06-08 조병배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셀카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532A (ko) * 2003-03-18 2003-04-08 고식채 디지털카메라의 엘씨디 후드
KR101622782B1 (ko) 2015-12-10 2016-05-19 주식회사 엠아이티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
KR20160097175A (ko) * 2016-08-02 2016-08-17 (주)성박 회전 셀카봉
KR20180001704U (ko) 2016-11-30 2018-06-08 조병배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셀카봉
KR101775871B1 (ko) * 2017-03-29 2017-09-06 고영화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568B1 (ko) * 2021-03-17 2021-10-27 김현진 청소 상태 확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16378A (ja) 自撮り用装置
US10731835B2 (en) Illumination device
KR200475741Y1 (ko) 셀카 스틱
JP6762681B2 (ja) 視角調節可能な表示装置
ES2792098T3 (es) Carcasa de fotografía para un teléfono móvil
US20150264226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electrical energy and data through a protective case
KR102153817B1 (ko) 전자기기용 셀카봉
US20160202598A1 (en) Omniview Camera Tower System
KR101967844B1 (ko) 미니 다용도 선풍기
CN109451256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网络智能电视
CN106581839B (zh) 虚拟现实的睡眠辅助设备
KR20140131641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액션캠 마운트
KR101550174B1 (ko) 시간차 비교 사진 촬영 장치
KR101914868B1 (ko) 셀카기능을 가지는 등산스틱
KR101855790B1 (ko) 전방위 카메라용 제어 워치
WO2019024118A1 (zh) 遥控器
KR100537780B1 (ko) 디지털 비행촬영장치
EP0870490A1 (en) Sauna apparatus
JP2008191419A (ja) 水中撮影機器
KR101907895B1 (ko) 셀프 촬영용 스틱
KR101018317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 버튼을 원격으로 작동시키는 디지털 카메라 지지 장치
CN211649758U (zh) 一种省力的主播用自拍杆
KR101529021B1 (ko) 도보용 모바일단말기 거치 크레이들
CN209962069U (zh) Led照相化妆美颜补光灯
CN205961285U (zh) 一种自拍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