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422A - 팬틸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팬틸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422A
KR20130124422A KR1020120047623A KR20120047623A KR20130124422A KR 20130124422 A KR20130124422 A KR 20130124422A KR 1020120047623 A KR1020120047623 A KR 1020120047623A KR 20120047623 A KR20120047623 A KR 20120047623A KR 20130124422 A KR20130124422 A KR 20130124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 tilt
camera
unit
butt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명석
이정민
이병호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주)컨벡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컨벡스 filed Critical (주)컨벡스
Priority to KR1020120047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4422A/ko
Publication of KR20130124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40Transce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로 화상을 보면서 촬영기 또는 촬영기의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은 촬영기를 패닝 또는 틸팅 시키는 팬틸트 테이블과, 팬틸트 테이블에 구비되고 촬영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와, 촬영기 또는 팬틸트 테이블에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을 하는 통신부와,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되며 통신부를 통해 촬영기로부터 입력된 화상을 기초로 팬틸트 테이블 또는 촬영기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팬틸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Panning and tilting apparatus and wireless control system with the same for photographing}
본 발명은 팬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카메라 위치를 조정하는 팬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틸트 장치는 카메라가 장착되는 곳으로, 카메라를 좌우로 패닝시키거나 상하로 틸팅시키는 장치로, 삼각대와 같은 카메라 거치대에 제공되며, 거치대와 카메라 사이에 위치되는 장치이다.
팬틸트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는 사용자가 팬틸트 장치를 조작하여, 즉 좌우로 패닝시키거나 상하로 틸팅시켜 가면서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여 원하는 피사체의 앵글을 취득하게 된다.
특히, 팬틸트 장치의 수동 조작으로는 원하는 피사체의 앵글을 잡는데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기 자신을 포함한 사진을 앵글에 넣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팬틸트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의 타이머 기능을 사용하거나, 타인에게 촬영을 부탁하여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촬영을 할 경우 자신이 원하는 앵글이나 표정 등을 얻을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2-0067444호에는 휴대 단말기 상의 액정 화면을 보면서 휴대 단말기로 카메라에 제어 신호를 보내 제3자의 도움 없이 본인이 직접 무선으로 원격 조정하여 카메라를 촬영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카메라의 상하 각도 조절이나 좌우 각도 조절을 자동으로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단말기의 액정 화면을 통해 자신의 표정을 직접 보면서 원하는 표정으로의 촬영은 가능하지만, 단말기에 자신의 모습 및 배경 등 원하는 피사체의 앵글이 잡히지 않으면 카메라가 있는 곳까지 가서 카메라의 상하 각도 및 좌우 각도를 수동으로 조절해서 다시 돌아와 촬영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휴대용 단말기로 무선 조정하여 촬영기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팬틸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휴대용 단말기로 화상을 보면서 촬영기 또는 촬영기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장치는 촬영기를 패닝 또는 틸팅 시키는 팬틸트 테이블; 상기 팬틸트 테이블에 구비되고 상기 촬영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팬틸트 테이블이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도록 상기 팬틸트 테이블 또는 상기 촬영기와 통신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는다.
또한, 상기 팬틸트 테이블은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제1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지지대;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 지지대에 제2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촬영기가 장착되는 제2 지지대; 및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지지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촬영기가 좌우로 회전되는 패닝 방향이고, 그리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촬영기가 상하로 회전되는 틸팅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의 평면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속이 빈 중공부를 갖는 프레임이고, 그리고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제1 지지대의 측면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수직부; 및 상기 제1 수직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대의 평면 위에 위치되는 제1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수평부에는 상기 촬영기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이 체결되는 결합 볼트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지지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의 저면에는 거치대에 구비된 체결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장치를 포함한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은 상기 촬영기 또는 상기 팬틸트 테이블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을 하는 통신부;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촬영기로부터 입력된 화상을 기초로 상기 팬틸트 테이블 또는 상기 촬영기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 유닛은 상기 촬영기와 동기화시키는 제1 동기화 모드부; 상기 제1 동기화 모드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촬영기의 영신 신호를 화상으로 전환하여 표시부에 나타내는 영상 처리부; 상기 표시부에 상기 화상과 함께 팬틸트 조정 버튼을 활성화시키는 활성부; 및 상기 팬틸트 조정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팬틸트 테이블이 조정되도록 팬틸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고, 상기 팬틸트 조정 버튼은 상향 버튼, 하향 버튼, 좌향 버튼 및 우향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향 버튼, 상기 하향 버튼, 상기 좌향 버튼 및 상기 우향 버튼 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는 이에 해당하는 팬틸트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팬틸트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촬영기 또는 상기 팬틸트 테이블에 구비되는 제2 제어 유닛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에는 줌렌즈 인 아웃 버튼 또는 셔터 버튼이 상기 활성부에 의해 더 활성화될 수 있고, 상기 줌렌즈 인 아웃 버튼 또는 상기 셔터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는 이에 해당하는 촬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촬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제어 유닛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 유닛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동기화시키는 제2 동기화 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 유닛은 상기 팬틸트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팬틸트 테이블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와 떨어져 있는 촬영기가 장착된 팬틸트 테이블을 무선으로 조정할 수 있는 팬틸트 장치가 제공되므로, 촬영기가 장착된 팬틸트 테이블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한 뒤 원거리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팬틸트 장치와 통신부와 제1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이 제공됨에 따라, 촬영기의 영상 신호가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에 화상으로 나타나므로 사용자가 이 화상을 보면서 팬틸트 테이블을 조정할 수 있어, 원하는 피사체의 앵글을 잡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줌렌즈 인 아웃 버튼 또는 셔터 버튼이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에 활성되는 기술 구성을 가지므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촬영기의 줌렌즈 조절 및 셔터 제어를 할 수 있어, 즉 손으로 직접 촬영기를 들고 줌렌즈 및 셔터를 조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깨끗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장치에 삼각대 및 촬영기가 조립된 상태 및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장치를 포함한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의 사용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틸트 테이블(110)과, 그리고 커넥터(120)를 포함한다.
팬틸트 테이블(110)은 촬영기(200)가 장착되는 곳으로, 이에 장착된 촬영기(200)를 좌우로 패닝(panning)시키거나 상하로 틸팅(tilting)시키는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참고로, 촬영기(200)는 정지 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캠코더일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팬틸트 테이블(110)에는 별도의 통신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120)는 팬틸트 테이블(110)에 구비되며, 촬영기(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특히, 커넥터(120)는 팬틸트 테이블(110)이 휴대용 단말기(300)에 의해 제어되도록 촬영기(200)와 통신하는 휴대용 단말기(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촬영기(200)를 통해서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커넥터(120)는 복수의 극을 갖는 잭(jack)이거나, USB포트일 수 있으며, 연결 케이블(도 2의 "C")을 통해 촬영기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통신을 통해 촬영기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휴대용 단말기(300)는 촬영기(200)가 아닌 팬틸트 테이블(100)에 별도로 마련된 통신부(미도시)와 통신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팬틸트 테이블(11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장치에 삼각대 및 촬영기가 조립된 상태 및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팬틸트 테이블(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11)와, 제1 지지대(112)와, 제1 구동부(113)와, 제2 지지대(114)와, 그리고 제2 구동부(115)를 포함한다.
받침대(111)는 제1 지지대(112)를 받치는 것으로, 제1 지지대(112)가 제1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받치는 역할을 한다. 제1 방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기(200)가 좌우로 회전되는 패닝(panning) 방향일 수 있다. 하지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방향은 촬영기(200)가 상하로 회전되는 틸팅(tilting) 방향이어도 무방하며, 이 경우 후술하는 제2 방향은 촬영기(200)가 좌우로 회전되는 패닝 방향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받침대(111)는 기존에 제품으로 나와 있는 거치대(10)(이하, "삼각대"라 함)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받침대(111)의 저면에는 삼각대(10)에 구비된 체결 볼트(10a)가 체결되는 체결홈(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대(112)는 받침대(111)에 패닝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 지지대(1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빈 중공부(112a)를 갖는 프레임일 수 있고, 중공부(112a)에는 제1 및 제2 구동부(113)(115)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구동부(113)(115)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시각 다자인이 날로 중요시 되고 있는 현 시대의 요구에 맞춰 깔끔한 외형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제1 지지대가 속이 빈 중공부(112a)를 갖는 프레임으로 구성될 경우, 제1 지지대(112)는 촬영기(200)를 지지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외장 케이스의 역할을 함께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커넥터(120)는 제1 지지대(112)에 구비되며 제1 및 제2 구동부(113)(1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구동부(113)는 제1 지지대(112)를 패닝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받침대(111)에 결합되는 제1 축(113a)과, 그리고 제1 축(113a)에 기어 결합되고 커넥터(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축(113a)의 반력으로 제1 지지대(112)가 좌우 회전되도록 제1 축(113a)에 회전력을 가하는 제1 스텝 모터(113b)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축(113a)과 제1 스텝 모터(113b) 사이에는 제1 스텝 모터(113b)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제1 감속 기어(113c)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대(114)는 제1 지지대(112)의 측면에 제2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제2 방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기(200)가 상하로 회전되는 틸팅 방향일 수 있다. 하지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방향은 촬영기(200)가 좌우로 회전되는 패닝 방향이어도 무방하며, 이 경우 상술한 제1 방향은 촬영기(200)가 상하로 회전되는 틸팅 방향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제2 지지대(114)는 제1 지지대(112)의 측면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부(114a)와, 수직부(114a)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제1 지지대(112)의 평면 위에 위치되는 수평부(11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부(114b)에는 촬영기(20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200a)에 체결되도록 결합 볼트(114c)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평부(114b)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수평부(114b)의 저면은 회전방향으로 라운드진 둥근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제1 지지대(112)의 평면 또한 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구동부(115)는 제2 지지대(114)를 틸팅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2 지지대(114)의 수직부(114a)에 결합되는 제2 축(115a)과, 그리고 제2 축(115a)에 기어 결합되고 커넥터(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축(115a)에 회전력을 가하는 제2 스텝 모터(115b)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2 축(115a)과 제2 스텝 모터(115b) 사이에는 제2 스텝 모터(115b)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제2 감속 기어(115c)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촬영기(200)를 제2 지지대(114)의 수평부(114b)에 올려 놓고 결합 볼트(114c)를 촬영기(200)의 결합홈(200a)에 나사 결합시킨다.
그리고 나서, 연결 케이블(C)을 이용하여 촬영기(200)의 출력 단자(미도시)와 팬틸트 장치(100)의 커넥터(120)를 연결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촬영기(200)의 출력 단자(미도시)가 커넥터(120)와 대응되는 구성을 갖는다면 별도의 연결 케이블(C) 없이도 촬영기(200)의 출력 단자(미도시)에 커넥터(120)를 직접 체결하여 연결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통신으로 통해 무선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300)와 무선 통신하는 촬영기(20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300)의 제어 신호가 팬틸트 장치(100)의 커넥터(120)로 입력되므로 커넥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구동부(113)와 제2 구동부(115)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즉, 휴대용 단말기(300)의 제어 신호가 좌향 또는 우향 신호이면 제1 구동부(113)가 동작되어 제1 지지대(112)를 좌우로 회전시키면서 촬영기(200)를 패닝시킬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300)의 제어 신호가 상향 또는 하향 신호이면 제2 구동부(115)가 동작되어 제2 지지대(114)를 상하로 회전시키면서 촬영기(200)를 틸팅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및 제2 구동부(113)(11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팬틸트 장치(100)에 전원부(미도시)를 별도로 마련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커넥터(120)를 통해 촬영기(200)의 전원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장치(100)를 포함한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장치를 포함한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의 사용 예를 보인 도면이다.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은 상술한 팬틸트 장치(100)와, 통신부(210)와, 그리고 제1 제어 유닛(310)을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휴대용 단말기(300)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촬영기(20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nfrared-ray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며, 특히 휴대용 단말기(300)의 통신 모듈(320)과 동일한 통신 모듈이 선택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통신부(210)는 촬영기(200)가 아닌 팬틸트 테이블(110)에 구비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제1 제어 유닛(310)은 통신부(210)를 통해 촬영기(200)로부터 입력된 화상을 기초로 팬틸트 테이블(110) 또는 촬영기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300)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300)는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일명, 앱)을 다운 받아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PC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은 촬영기(200)의 화상을 휴대용 단말기(300)를 통해 보면서 촬영기(200) 및 팬틸트 테이블(11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300)와 촬영기(200)를 서로 동기화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참고로, 동기화 기술은 국내공개특허 제2011-0099393이나 국내등록특허 제082845호 등 다양한 문헌에 개시되어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1 제어 유닛(31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제어 유닛(310)은 촬영기(200)와 동기화시키는 제1 동기화 모드부(311)와, 제1 동기화 모드부(311)의 선택에 따라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촬영기(200)의 영신 신호를 화상으로 전환하여 표시부(315)에 나타내는 영상 처리부(312)와, 표시부(315)에 화상과 함께 팬틸트 조정 버튼(PB)을 활성화시키는 활성부(313)와, 그리고 팬틸트 조정 버튼(PB)의 조작에 따라 팬틸트 테이블(110)이 조정되도록 팬틸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315)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고, 팬틸트 조정 버튼(PB)은 상향 버튼(PB1), 하향 버튼(PB2), 좌향 버튼(PB3) 및 우향 버튼(PB4)을 포함할 수 있고, 상향 버튼(PB1), 하향 버튼(PB2), 좌향 버튼(PB3) 및 우향 버튼(PB4) 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제어부(314)는 이에 해당하는 팬틸트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통신부(210)는 팬틸트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촬영기(200)에 구비되는 제2 제어 유닛(22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제어 유닛(220)은 팬틸트 제어 신호에 따라 팬틸트 테이블(110)의 제1 및 제2 구동부(113)(115)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제어 유닛(220)은 팬틸트 테이블(110)에 구비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표시부(315)에는 줌렌즈 인 아웃 버튼(ZB) 또는 셔터 버튼(SB)이 활성부(313)에 의해 더 활성화될 수 있고, 줌렌즈 인 아웃 버튼(ZB) 또는 셔터 버튼(SB)을 누르면 제어부(314)는 이에 해당하는 촬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통신부(210)는 촬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제어 유닛(22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제어 유닛(220)은 촬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줌렌즈(201) 및 셔터(20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유닛(220)은 휴대용 단말기(300)와 동기화시키는 제2 동기화 모드부(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300)의 제1 동기화 모드부(311)와 촬영기(200)의 제2 동기화 모드부(221)가 다 같이 선택될 경우에만 상술한 동기화 구현이 되도록 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타인의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촬영기(200)가 제어되는 우려를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장치(100)를 포함한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먼저, 촬영기(200)를 팬틸트 테이블(110)에 조립하고, 촬영기(200)와 팬틸트 테이블(110)의 커넥터(12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그리고 나서, 휴대용 단말기(300)의 제1 동기화 모드부(311)와 촬영기(200)의 제2 동기화 모드부(221)를 선택하여 단말기 통신 모듈(320)과 통신부(210)를 서로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후, 촬영할 배경 등을 선택하여 촬영기(200)가 조립된 팬틸트 테이블(110)을 삼각대(10) 등을 이용하여 그 배경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표시부(315)에 활성화된 영상을 보면서 표시부(315)에 또한 활성화된 상향 버튼(PB1), 하향 버튼(PB2), 좌향 버튼(PB3) 또는 우향 버튼(PB4)을 터치하면서 팬틸트 테이블(110)에 조립된 촬영기(200)를 패닝 또는 틸팅시켜 가며 원하는 피사체의 구도를 잡는다. 이와 더불어, 표시부(315)에 활성화된 줌렌즈 인 아웃 버튼(ZB)을 터치하면서 촬영기(200)의 줌렌즈(201)를 인 아웃시켜 가며 원하는 피사체의 원근을 조절한다.
원하는 피사체의 구도 및 원근 조절이 완료되면 휴대용 단말기(300)의 셔터 버튼(SB)을 눌러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한다. 휴대용 단말기(300)로 화상을 보면서 촬영기(200) 또는 팬틸트 테이블(110)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셀프 촬영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30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300)와 떨어져 있는 촬영기(200)가 장착된 팬틸트 테이블(110)을 무선으로 조정할 수 있는 팬틸트 장치(100)가 제공되므로, 촬영기(200)가 장착된 팬틸트 테이블(110)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한 뒤 원거리에서 휴대용 단말기(300)를 통해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팬틸트 장치(100)와 통신부(210)와 제1 제어 유닛(310)을 포함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이 제공됨에 따라, 촬영기(200)의 영상 신호가 휴대용 단말기(300)의 표시부(315)에 화상으로 나타나므로 사용자가 이 화상을 보면서 팬틸트 테이블(110)을 조정할 수 있어, 원하는 피사체의 앵글을 잡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줌렌즈 인 아웃 버튼(ZB) 또는 셔터 버튼(SB)이 휴대용 단말기(300)의 표시부(315)에 활성되는 기술 구성을 가지므로, 휴대용 단말기(300)를 통해 촬영기(200)의 줌렌즈(201) 조절 및 셔터(202) 제어를 할 수 있어, 즉 손으로 직접 촬영기(200)를 들고 줌렌즈(201) 및 셔터(202)를 조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깨끗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팬틸트 장치 110: 팬틸트 테이블
120: 커넥터 200: 촬영기
210: 통신부 300: 휴대용 단말기
310: 제1 제어 유닛

Claims (13)

  1. 촬영기를 패닝 또는 틸팅 시키는 팬틸트 테이블; 및
    상기 팬틸트 테이블에 구비되며 상기 촬영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팬틸트 테이블이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도록 상기 팬틸트 테이블 또는 상기 촬영기와 통신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팬틸트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팬틸트 테이블은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제1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지지대;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 지지대에 제2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촬영기가 장착되는 제2 지지대; 및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지지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팬틸트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촬영기가 좌우로 회전되는 패닝 방향이고, 그리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촬영기가 상하로 회전되는 틸팅 방향인 팬틸트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의 평면에 좌우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속이 빈 중공부를 갖는 프레임이고, 그리고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가 배치되는 팬틸트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제1 지지대의 측면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수직부; 및
    상기 제1 수직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대의 평면 위에 위치되는 제1 수평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수평부에는 상기 촬영기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이 체결되는 결합 볼트가 구비되는 팬틸트 장치.
  6. 제2항에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지지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팬틸트 장치.
  7. 제2항에서,
    상기 받침대의 저면에는 거치대에 구비된 체결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팬틸트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팬틸트 장치를 포함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으로,
    상기 촬영기 또는 상기 팬틸트 테이블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을 하는 통신부;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촬영기로부터 입력된 화상을 기초로 상기 팬틸트 테이블 또는 상기 촬영기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서,
    상기 제1 제어 유닛은
    상기 촬영기와 동기화시키는 제1 동기화 모드부;
    상기 제1 동기화 모드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촬영기의 영신 신호를 화상으로 전환하여 표시부에 나타내는 영상 처리부;
    상기 표시부에 상기 화상과 함께 팬틸트 조정 버튼을 활성화시키는 활성부; 및
    상기 팬틸트 조정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팬틸트 테이블이 조정되도록 팬틸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 스크린이고,
    상기 팬틸트 조정 버튼은 상향 버튼, 하향 버튼, 좌향 버튼 및 우향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상향 버튼, 상기 하향 버튼, 상기 좌향 버튼 및 상기 우향 버튼 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는 이에 해당하는 팬틸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팬틸트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촬영기 또는 상기 팬틸트 테이블에 구비되는 제2 제어 유닛에 전송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
  11. 제10항에서,
    상기 표시부에는 줌렌즈 인 아웃 버튼 또는 셔터 버튼이 상기 활성부에 의해 더 활성화되고,
    상기 줌렌즈 인 아웃 버튼 또는 상기 셔터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는 이에 해당하는 촬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촬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제어 유닛에 전송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
  12. 제11항에서,
    상기 제2 제어 유닛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동기화시키는 제2 동기화 모드부를 더 포함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
  13. 제11항에서,
    상기 제2 제어 유닛은 상기 팬틸트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팬틸트 테이블을 제어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
KR1020120047623A 2012-05-04 2012-05-04 팬틸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 KR20130124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623A KR20130124422A (ko) 2012-05-04 2012-05-04 팬틸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623A KR20130124422A (ko) 2012-05-04 2012-05-04 팬틸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422A true KR20130124422A (ko) 2013-11-13

Family

ID=49853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623A KR20130124422A (ko) 2012-05-04 2012-05-04 팬틸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442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4883A (zh) * 2015-06-16 2015-09-16 百色学院 摄像头舵机云台控制系统
WO2016190674A1 (ko) * 2015-05-26 2016-12-01 (주)아이티버스 셀프 촬영용 스틱
KR20170004925A (ko) * 2016-12-23 2017-01-11 (주)아이티버스 셀프 촬영용 스틱
US20170318214A1 (en) * 2016-04-27 2017-11-02 Zepp Labs, Inc. Head rotation tracking device for video highlights identification
KR102155958B1 (ko) * 2019-04-05 2020-09-14 김성현 스마트 지지 장치
KR20200108692A (ko) * 2019-03-11 2020-09-21 김동영 휴대전화를 이용한 피사체 추적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674A1 (ko) * 2015-05-26 2016-12-01 (주)아이티버스 셀프 촬영용 스틱
CN104914883A (zh) * 2015-06-16 2015-09-16 百色学院 摄像头舵机云台控制系统
US20170318214A1 (en) * 2016-04-27 2017-11-02 Zepp Labs, Inc. Head rotation tracking device for video highlights identification
WO2017189036A1 (en) * 2016-04-27 2017-11-02 Zepp Labs, Inc. Head rotation tracking device for video highlights identification
US10097745B2 (en) 2016-04-27 2018-10-09 Zepp Labs, Inc. Head rotation tracking device for video highlights identification
KR20190008257A (ko) * 2016-04-27 2019-01-23 순위안 카이화 (베이징)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동영상 하이라이트 부분을 식별하기 위한 머리 회전 추적 기기
KR20170004925A (ko) * 2016-12-23 2017-01-11 (주)아이티버스 셀프 촬영용 스틱
KR20200108692A (ko) * 2019-03-11 2020-09-21 김동영 휴대전화를 이용한 피사체 추적장치
KR102155958B1 (ko) * 2019-04-05 2020-09-14 김성현 스마트 지지 장치
WO2020204433A1 (ko) * 2019-04-05 2020-10-08 김성현 스마트 지지 장치,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4422A (ko) 팬틸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
US8422875B2 (en) Remote view and controller for a camera
JP2017201827A (ja) ヘッドセットに基づく通信プラットホーム
US20100194860A1 (en) Method of stereoscopic 3d image capture using a mobile device, cradle or dongle
WO2016035421A1 (ja) パン・チルト操作装置、カメラシステム、パン・チルト操作用プログラム及びパン・チルト操作方法
KR20050085440A (ko) 원격 제어기로서 사용가능한 착탈식 디스플레이를 구비한디지털 카메라
US20180359376A1 (en) Mirror for Taking Selfies
US9348198B1 (en) Mirrored photographing system
WO2016038969A1 (ja) カメラの初期位置設定方法、カメラ及びカメラシステム
WO2018233330A1 (zh) 一种云台及具有此云台的摄像组件
KR101867928B1 (ko)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KR20160042541A (ko) 카메라 일체형 셀카봉
KR20180024752A (ko) 셀프 촬영용 스틱
US20150220114A1 (en) Devices, Systems and User Interfaces for Simplifying Control of Portable Computers
EP2394195A2 (en) Method of stereoscopic 3d image capture and viewing
EP3358402A1 (en) Mirror for taking selfies
JP2006080875A (ja) 電子機器
US20050128347A1 (en) Tripod of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CN109327763A (zh) 一种音响、播放系统和播放系统控制方法
JP2003338950A (ja) 撮像装置受け台装置
JP2015012550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KR20170004925A (ko) 셀프 촬영용 스틱
KR101023415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씨씨디카메라 및 그를 이용한사용자인증방법
JP5402075B2 (ja) カメラの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携帯型端末
KR20210060792A (ko) 단말기 거치대 및 턴테이블 이용한 3d 회전영상 생성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