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830Y1 - 휴대폰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830Y1
KR200480830Y1 KR2020150001136U KR20150001136U KR200480830Y1 KR 200480830 Y1 KR200480830 Y1 KR 200480830Y1 KR 2020150001136 U KR2020150001136 U KR 2020150001136U KR 20150001136 U KR20150001136 U KR 20150001136U KR 200480830 Y1 KR200480830 Y1 KR 200480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mobile phone
sliding rod
self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예
황선미
Original Assignee
김영예
황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예, 황선미 filed Critical 김영예
Priority to KR2020150001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8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8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휴대폰 보조장치는, 전면이 개방되고 휴대폰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후면에, 상기 케이싱의 길이방향로 슬라이딩 결합하며 상기 케이싱에 대하여 틸팅 가능한 슬라이딩로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보조장치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휴대폰에 장착한 상태로 휴대폰 케이스로 사용하여, 별도의 '셀프카메라' 촬영 보조도구를 소지할 필요 없이 언제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촬영자를 향하도록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구비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셀프카메라' 촬영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폰 보조장치{Assistant device for Cellular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폰을 이용하여 스스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는 것을 보조하는 휴대폰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촬영하는 행위를 이르는, 일명 '셀프카메라'가 널리 유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셀프카메라'의 유행은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통하여 자기 자신의 일상을 촬영하는 일이 일상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고화질의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어 더욱 '셀프카메라'의 편의를 돕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셀프카메라'는 전자기기의 렌즈가 촬영자를 향하도록 든 채 팔을 앞으로 뻗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는 것으로, 촬영자의 머리 혹은 상반신만 크게 나오고 뒤의 배경은 거의 나오지 않을 수 있으며, 여러 명이 함께 '셀프카메라'를 찍는 경우, 최대한 서로 붙어 촬영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셀프카메라'촬영 시, 촬영자가 전자기기를 스스로 조작하되, 촬영자와 상기 전자기기 사이의 간격을 떨어트려 그 화각을 넓힘으로써 촬영자 개인 뿐만 아니라 함께 나오는 사람까지 촬영할 수 있는 '셀프카메라' 보조기구들이 제안되었다.
위와 같은 '셀프카메라'의 보조기구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475741 호(2014.12.22)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블루투스 모듈과 촬영 버튼이 구비된 리모콘이 내장되어 있는 손잡이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재의 전방에 연결되고 다수의 폴대들이 서로 인출입 가능하게 연결된 폴대부재와, 및 상기 폴대부재의 전방에 연결되고 촬영수단이 거치되는 거치부재로 구성된 셀카스틱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셀카스틱은 '셀프카메라'를 찍지 않는 평상시에는 휴대폰과 분리한 상태로 이동 및 보관하였다가'셀프카메라'촬영 시에 상기 거치부재에 휴대폰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때 마다 상기 거치부재에 휴대폰을 장착 및 분리하여야 하여, 사용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수시로 '셀프카메라'를 촬영하는 사람들에게는 매번 셀카스틱을 소지하는 것이 큰 불편이 될 수 있다.
더불어, 대부분의'셀프카메라'는 휴대폰의 전방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데, 대체로 휴대폰의 조명장치는 휴대폰의 후방을 비추도록 설치되어 있어 어두운 곳에서는 '셀프카메라'의 촬영이 불가하나, 종래와 같은 셀카스틱은 이러한 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간편하게 소지할 수 있으며, 장착과 분리의 번거로움이 없이 촬영자의 '셀프카메라'촬영을 도울 수 있는 휴대폰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폰 보조장치는, 전면이 개방되고 휴대폰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후면에, 상기 케이싱의 길이방향로 슬라이딩 결합하며 상기 케이싱에 대하여 틸팅 가능한 슬라이딩로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로드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텔레스코픽부와, 상기 텔레스코픽부의 상단에 회전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의 하단에 마련된 걸림턱에 의하여 하향 슬라이딩이 제한되는 고정부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로드는 하단에, 하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하면에, 함몰되도록 설치되는 LED램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보조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평상시에는 휴대폰을 장착한 상태로 휴대폰 케이스로 사용하여, 별도의 '셀프카메라' 촬영 보조도구를 소지할 필요 없이 언제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다.
둘째, '셀프카메라'촬영 시에는 후방에 배치된 슬라이딩로드를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슬라이딩로드 인입하여 보관함으로써, 휴대폰의 장착 및 분리 과정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셋째, 촬영자를 향하도록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구비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셀프카메라' 촬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휴대폰 보조장치의 슬라딩로드를 슬라이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로드를 소정 각도 틸팅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에서 나타낸 휴대폰 보조장치를 휴대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보조장치(10)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휴대폰 보조장치(10)의 슬라딩로드(200)를 슬라이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로드(200)를 소정 각도 틸팅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나타낸 휴대폰 보조장치(10)를 휴대폰(H)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보조장치(10)는, 사용자가 휴대폰을 이용하여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촬영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상기 휴대폰 보조장치(10)는, 케이싱(100) 및 슬라이딩로드(20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100)은 전면이 개방되고 휴대폰(H)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휴대폰(H)은 상기 케이싱(100)에 도 4와 같이 장착되며, 전면에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내삽된다. 이때 상기 케이싱(100)은 휴대폰(H)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폰(H)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탄성소재가 일부적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소재는 실리콘 또는 합성고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후술(後術)할 슬라이딩로드(200)가 결합되는 부위는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로드(200)는 상기 케이싱(100)의 후면에, 도 2와 같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슬라이딩로드(2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00)에 대하여 소정간격 틸팅 가능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로드(200)는 텔레스코픽부(210) 및 고정부(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텔레스코픽부(210)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텔레스코픽부(210)의 상단에 상기 고정부(22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텔레스코픽 구조란, 두 개 이상의 관 또는 폴(Pole)들로 구성되며, 상기 관 또는 폴(Pole)들이 축방향으로 빼고 넣고 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말한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픽부(210)와 고정부(220)의 사이에 회전축이 개재되며, 도 3과 같이,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케이싱(100)에 고정된 채로 상기 텔레스코픽부(210)가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텔레스코픽부(210)는 전후방으로 회전이 모두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텔레스코픽부(210)는 전방으로 회전되는 경우 도 4와 같이 형성되며, 촬영자가 '셀프카메라'를 찍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로드(200)를 잡았을 때, 상기 휴대폰(H)을 상기 촬영자의 전방 상측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로드(220)를 슬라이딩되지 않은 상태에서 후방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휴대폰(H)을 세울 수 있는 거치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픽부(210)는 사용자의 힘이 가해졌을 때만 회전되도록 일정 고정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텔레스코픽부(210)와 고정부(220)의 결합부위에는 마찰력이 존재해야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축이 마찰계수가 큰 표면상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텔레스코픽부(210)와 고정부(220)가 상기 회전축에 억지 끼움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케이싱(100)의 하단에 마련된 걸림턱에 의하여 하향 슬라이딩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00)은,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로드(20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안내홈(10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안내홈(101)의 패여지는 부분이 끝나면서 생기는 둔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을 대신하여, 상기 고정부(22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별도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로드(200)는 텔레스코픽부(210)의 하단으로 연장되는 조명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230)는 하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조명부(230)의 하단에, 함몰되도록 설치되는 LED램프(23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조명부(230)는 촬영자가 '셀프카메라'를 찍는 동안 상기 촬영자의 얼굴 또는 신체를 비추어, 어두운 곳에서도 '셀프카메라'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보조장치(10)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평상시에는 휴대폰(H)을 장착한 상태로 휴대폰 케이스로 사용하여, 별도의 '셀프카메라' 촬영 보조도구를 소지할 필요 없이 언제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다.
둘째, '셀프카메라'촬영 시에는 후방에 배치된 슬라이딩로드(200)를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상기 슬라이딩로드(200)를 인입하여 보관함으로써, 휴대폰의 장착 및 분리 과정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셋째, 촬영자를 향하도록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230)를 구비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셀프카메라' 촬영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휴대폰 보조장치 100 : 케이싱
101 : 가이드홈 200 : 슬라이딩로드
210 : 텔레스코픽부 220 : 고정부
230 : 조명부 231 : LED램프

Claims (4)

  1. 전면이 개방되고 휴대폰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후면에, 상기 케이싱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하고, 상기 캐이싱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케이싱을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로드를 포함하는 휴대폰 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로드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텔레스코픽부와,
    상기 텔레스코픽부의 상단에 회전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의 하단에 마련되는 걸림턱에 의하여 하향 슬라이딩이 제한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휴대폰 보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로드는 하단에, 하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폰 보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하면에, 함몰되도록 설치되는 LED램프를 포함하는 휴대폰 보조장치.
KR2020150001136U 2015-02-17 2015-02-17 휴대폰 보조장치 KR200480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136U KR200480830Y1 (ko) 2015-02-17 2015-02-17 휴대폰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136U KR200480830Y1 (ko) 2015-02-17 2015-02-17 휴대폰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830Y1 true KR200480830Y1 (ko) 2016-07-11

Family

ID=56499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136U KR200480830Y1 (ko) 2015-02-17 2015-02-17 휴대폰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8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184A (ko) * 2018-09-28 2020-04-07 유병길 드로우백 투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45Y1 (ko) * 2012-06-18 2013-06-13 유재섭 휴대폰 케이스
KR101441888B1 (ko) * 2013-05-23 2014-09-23 이미화 셀프 카메라 촬영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구조체
KR200475741Y1 (ko) * 2014-07-22 2014-12-29 김기동 셀카 스틱
KR101523613B1 (ko) * 2014-12-08 2015-05-29 박승현 셀프 카메라 촬영용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45Y1 (ko) * 2012-06-18 2013-06-13 유재섭 휴대폰 케이스
KR101441888B1 (ko) * 2013-05-23 2014-09-23 이미화 셀프 카메라 촬영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구조체
KR200475741Y1 (ko) * 2014-07-22 2014-12-29 김기동 셀카 스틱
KR101523613B1 (ko) * 2014-12-08 2015-05-29 박승현 셀프 카메라 촬영용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184A (ko) * 2018-09-28 2020-04-07 유병길 드로우백 투척장치
KR102119278B1 (ko) * 2018-09-28 2020-06-04 유병길 드로우백 투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741Y1 (ko) 셀카 스틱
JP2020500327A (ja) 自撮り棒及び自撮り棒によって撮影デイバス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JP3185803U (ja) スマートフォン用撮影補助具
KR200470116Y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840741B1 (ko)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US20190121392A1 (en) Device Case With Illumination Sources
JP2009033217A (ja) 撮像装置用保持装置
WO2016183655A1 (pt) Câmera portátil, pivotante, telescópica e integrada a tripé, método para travar um suporte pivotante, método para pivotar dois corpos de igual diametro, entre si, e método para alojar e desalojar um tripé em um corpo
CN1267762C (zh) 带有照相功能的光学观察器装置
KR101533540B1 (ko) 자동 수평 유지장치가 구비된 셀프 촬영 보조장치
KR200480830Y1 (ko) 휴대폰 보조장치
KR101712724B1 (ko) 전자기기 거치대
KR101412222B1 (ko)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WO2017014227A1 (ja) 携帯通信端末用ケース
JP3200335U (ja) 撮影補助具
KR101523613B1 (ko) 셀프 카메라 촬영용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WO2018126500A1 (zh) 自拍杆
CN105681508A (zh) 便携式自拍杆
US6687460B2 (en) Focusing hood for use on a digital camera
JP2010224506A (ja) カメラの孫の手
KR101682941B1 (ko) 셀카봉
KR200362415Y1 (ko) 카메라폰 거치대
WO2016017054A1 (ja) 撮像装置
CN108980585A (zh) 一种镜头夹持装置及便携式图像采集设备
KR101718113B1 (ko)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