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113B1 -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113B1
KR101718113B1 KR1020150122721A KR20150122721A KR101718113B1 KR 101718113 B1 KR101718113 B1 KR 101718113B1 KR 1020150122721 A KR1020150122721 A KR 1020150122721A KR 20150122721 A KR20150122721 A KR 20150122721A KR 101718113 B1 KR101718113 B1 KR 101718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self
photographing
pres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776A (ko
Inventor
심형석
Original Assignee
심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형석 filed Critical 심형석
Priority to KR1020150122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1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4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피사체의 상을 반사부를 통해 휴대단말기 렌즈로 반사시켜 촬영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반사부를 지지부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별도의 악세사리 없이 셀프 촬영이 가능하며, 반사부가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Portable terminal case able to take selfie}
본 발명은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사체의 상을 반사부에 반사시켜 휴대단말기의 렌즈로 투영하는 방식의 셀프 촬영 기능을 갖춘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SNS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휴대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셀프 촬영이 가능한 악세사리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른 종래 기술로는 셀카봉, 셀프 촬영용 렌즈,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등이 있다.
셀카봉은 손으로 자신의 얼굴을 셀프 촬영 하는 것 보다 더 멀리서 촬영이 가능하게 하여 손으로 찍는 것 보다 비교적 더 많이 배경을 포함하여 촬영할 수 있다. 하지만 셀카봉의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셀카봉에 직접 장착해야하는 불편함과 셀카봉 길이의 한계에 의해 셀프 촬영 시 더 큰 배경을 자신의 얼굴과 함께 사진에 담고 싶을 때에는 비효율적이다.
그리고 셀프 촬영용 렌즈는 휴대단말기의 렌즈에 휴대 가능한 렌즈를 부착되어 셀프 촬영용 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라 결과물의 화각을 다르게 찍을 수 있다. 하지만 셀프 촬영용 렌즈는 광각인 경우 사진의 왜곡이 심하고, 기존 휴대단말기의 렌즈 외에 또 다른 렌즈, 총 2개의 렌즈를 통해 피사체의 상이 센서에 투영되므로 저해상도의 결과물을 얻게 될 우려가 있고 따로 휴대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자신을 촬영하는 방법으로 타인에게 부탁해서 사진을 찍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이 경우에는 자신이 원하는 구도나 설정으로 찍어주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더불어 기존의 셀프 촬영이 가능한 악세서리는 ‘사진촬영’이라는 단편적인 기능만을 제공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소비자 구매 시 가격대비 큰 만족감을 주기 힘들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23630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4-080147호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셀프 촬영을 할때 휴대단말기에 필수라 여겨지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외에 휴대단말기 셀프 촬영용 악세사리를 따로 휴대해야 한다는 불편함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셀프 촬영 휴대단말기 케이스에서 반사부가 오염되거나 파손되어 셀프 촬영 결과물의 해상도를 훼손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울을 셀프 촬영 용도 외에도 거울 본래의 용도로 사용 가능하게 하여 구성요소의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셀프 촬영 휴대단말기 케이스가 셀프 촬영시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불편함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커버부, 지지부, 반사부를 포함한다. 커버부는 휴대단말기의 외부를 감싼다. 지지부는 일측이 커버부에 결합된다. 반사부는 지지부의 타측에 결합된다. 반사부는 거울이 될 수 있다. 셀프 촬영시 지지부는 반사부가 피사체의 상을 휴대단말기의 렌즈로 반사시키도록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에서 지지부는 위아래로 틸팅되고 스위블링 가능하도록 커버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에서 반사부는 지지부에 인출 및 삽입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반사부가 지지부에서 인출되면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화상이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구비된 반사부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악세사리 없이 휴대단말기 케이스만으로도 셀프 촬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셀프 촬영을 위한 반사부가 지지부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므로, 반사부가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부의 오염 등으로 인해 촬영 결과물의 해상도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셀프 촬영시 휴대단말기 카메라의 화상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촬영할 화상의 구도를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셀프 촬영시 구도를 제대로 알 수 없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에서 지지부가 펼쳐지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이용하여 셀프 촬영을 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셀프 촬영시 외부기기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화상을 전송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포함하는 셀프 촬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전력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에서 지지부가 펼쳐지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이용하여 셀프 촬영을 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1000)는 커버부(1100), 지지부(1200), 반사부(1300)를 포함한다.
커버부(1100)는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에 착탈 가능하며, 휴대단말기에 부착되는 경우 휴대단말기의 외부를 감싼다. 커버부(1100)는 형상이 휴대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재질도 다양한 종류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커버부(1100)에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를 노출시키기 위한 렌즈 구멍(1110)이 형성된다. 렌즈 구멍(1110)을 통해 커버부(1100)가 휴대단말기를 감싸는 경우에도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로 촬영이 가능하다. 렌즈 구멍(1110)의 크기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렌즈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커버부(1100)에는 지지부 삽입홈(1120)이 형성된다. 지지부 삽입홈(1120)에는 지지부(1200)가 장착될 수 있다.
지지부(1200)는 일측이 커버부(110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200)는 지지부 삽입홈(1120)에 위치하며 힌지를 통해 커버부(1100)에 결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힌지 결합을 위해 커버부(1100)의 지지부 삽입홈(1120)에는 힌지 고정홈(1121a, 1121b)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00)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200)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위해 지지부(1200)가 볼헤드를 통해 커버부(1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200)는 위아래로 틸팅(tilting)되고 스위블링(swivelling)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부(1200)가 다양한 각도로 커버부(1100)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1200)가 지지부 삽입홈(11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지지부(1200)에는 고정돌기(1210a, 1210b)가 형성되며, 지지부 삽입홈(1120)에는 돌기 고정홈(1122a, 1122b)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00)가 지지부 삽입홈(1120) 내에 위치하는 경우 고정돌기((1210a, 1210b)가 돌기 고정홈(1122a, 1122b)에 삽입되어 지지부(1200)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돌기(1210a, 1210b)와 돌기 고정홈(1122a, 1122b)이 2개씩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3이상의 고정돌기(1210a, 1210b)와 돌기 고정홈(1122a, 1122b)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200)와 지지부 삽입홈(1120)에 서로 다른 극의 자석을 내장시켜 지지부(1200)와 지지부 삽입홈(1120)이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지지부(1200)를 움직이고자 하는 경우, 지지부 삽입홈(1120)에 형성된 인출홈(1123)에 손가락을 넣어 지지부 삽입홈(1120)에 삽입된 지지부(1200)를 쉽게 움직일 수 있다.
지지부(1200)가 움직이는 경우 커버부(1100)에 의해 지지부(1200)의 움직임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지지부(1200)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커버부(1100)에 경사홈(1130)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홈(1130)은 지지부(1200)가 결합된 곳에서부터 형성되며, 지지부(1200)로부터 멀어질수록 홈의 깊이가 점점 얕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홈(1130)이 형성되면, 지지부(1200)는 움직이는 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1200)에 결합된 반사부(1300)가 피사체의 상을 온전히 휴대단말기의 렌즈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부(1300)는 지지부(1200)의 타측에 결합된다. 반사부(1300)는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상을 반사시켜 휴대단말기의 렌즈로 투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반사부(1300)는 거울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피사체의 상을 반사시킬 수 있는 다양한 것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반사부(1300)는 지지부(1200)에 인출 및 삽입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지지부(1200)에는 반사부(1300)가 삽입될 수 있는 반사부 삽입홀(1220)이 형성되며, 반사부(1300)는 반사부 삽입홀(1220)에 인출 및 삽입된다. 반사부(1300)의 인출과 삽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지지부(1200)에는 개방홀(1230)이 형성되며, 반사부(1300)에는 슬라이딩 돌기(1310)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돌기(1310)는 개방홀(1230) 내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슬라이딩 돌기(1310)를 밀어서 반사부(1300)를 움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사부(1300)의 일측이 힌지를 통해 지지부(1200)에 결합되고, 힌지의 회전에 의해 반사부(1300)를 인출 또는 삽입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1000)를 이용하여 셀프 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00)를 움직여 지지부 삽입홈(1120)에서 지지부(1200)를 꺼낸다. 지지부(1200)에는 반사부(1300)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 돌기(1310)를 밀어 반사부(1300)를 지지부(1200)로부터 인출시킨다. 이후 휴대단말기 케이스(1000)를 촬영하기 좋은 위치에 놓는다. 이 때 촬영 각도는 지지부(1200)와 커버부(1100)의 결합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에서 촬영 타이머를 설정하고, 촬영 위치로 이동하여 원하는 구도로 셀프 촬영을 할 수 있다.
도 5는 셀프 촬영시 외부기기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화상을 전송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포함하는 셀프 촬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전력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촬영 시스템은 휴대단말기 케이스(2000), 휴대단말기(100), 외부기기(200)을 포함한다. 휴대단말기(100)는 휴대단말기 케이스(2000)에 탈착이 가능하다. 휴대단말기(100)는 휴대단말기 케이스(2000)에 장착된 근거리 통신모듈(2400)과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무선 통신 방식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NFC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외부기기(200)는 표시부와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200)는 스마트워치(smartwatch)가 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또 다른 휴대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외부기기(200)는 휴대단말기(1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셀프 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 자신이 촬영 피사체가 되므로, 정확하게 촬영 구도를 알 수 없다. 이 경우 휴대단말기 케이스(2000)가 셀프 촬영을 위한 설정이 완료되면, 휴대단말기(100)에 설정 완료를 통보한다. 설정 완료의 통보는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휴대단말기 케이스(2000)의 지지부에서 반사부가 인출될 때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스위치를 장착하여, 스위치가 동작하는 때 휴대단말기 케이스(2000)가 설정 완료를 휴대단말기에 통보하도록 할 수 있다.
설정 완료를 통보받은 휴대단말기(100)는 외부기기(200)로 휴대단말기(100)의 카메라 화상을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기기(200)를 통해 현재 촬영할 화상의 구도를 알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기기(200)에서 촬영 신호를 입력하면, 신호가 휴대단말기(100)로 전송되어 촬영된다.
휴대단말기 케이스(2000)가 통신 등을 하기 위해서는 전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2000)는 전력단자(2500)를 포함한다. 전력단자(2500)는 휴대단말기 케이스(2000)에 휴대단말기가 장착될 때 휴대단말기의 충전단자에 삽입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 케이스(2000)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에서 필요한 전력을 가져올 수 있다. 휴대단말기 케이스(2000)의 전력단자(2500)는 휴대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전력단자(2500)는 휴대단말기 충전단자에 삽입되지 않는 일측에 휴대단말기 충전잭이 삽입될 수 있다. 삽입된 충전잭은 전력단자(2500)를 관통하여 휴대단말기의 충전단자에 연결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단말기로부터 휴대단말기 케이스(2000)를 탈거시키지 않고도 충전이 가능하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단말기 200 : 외부기기
1000, 2000 : 휴대단말기 케이스 1100 : 커버부
1110 : 렌즈 구멍 1120 : 지지부 삽입홈
1121a, 1121b : 힌지 고정홈 1122a, 1122b : 돌기 고정홈
1123 : 인출홈 1130 : 경사홈
1200 : 지지부 1210a, 1210b : 고정돌기
1220 : 반사부 삽입홀 1230 : 개방홀
1300 : 반사부 1310 : 슬라이딩 돌기
2400 : 근거리 통신모듈 2500 : 전력단자

Claims (4)

  1. 휴대단말기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부(1100); 일측이 상기 커버부(1100)에 결합된 지지부(1200); 상기 지지부(1200)의 타측에 결합된 반사부(1300);를 포함하고,
    셀프 촬영시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반사부(1300)가 피사체의 상을 상기 휴대단말기의 렌즈로 반사시키도록 움직일 수 있게 되며,
    상기 커버부(1100)에는 상기 지지부(1200)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한 경사홈(1130)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홈(1130)은 상기 지지부(1200)가 결합된 곳에서부터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200)에서 멀어질수록 홈의 깊이가 점점 얕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위아래로 틸팅되고 스위블링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지지부에 인출 및 삽입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가 인출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화상이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20150122721A 2015-08-31 2015-08-31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718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721A KR101718113B1 (ko) 2015-08-31 2015-08-31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721A KR101718113B1 (ko) 2015-08-31 2015-08-31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776A KR20170025776A (ko) 2017-03-08
KR101718113B1 true KR101718113B1 (ko) 2017-03-21

Family

ID=5840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721A KR101718113B1 (ko) 2015-08-31 2015-08-31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1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062Y1 (ko) * 2019-01-24 2019-11-04 전형우 핑거링 액세서리 및 이를 구비한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150B1 (ko) 2012-06-04 2013-04-02 곽병재 촬영보조 수단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478522B1 (ko) 2013-07-18 2015-01-05 이문희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6816U (ko) * 1989-09-12 1991-04-30
JP2004080147A (ja) 2002-08-12 2004-03-11 Denso Wave Inc カメラ付携帯端末機
KR20060070685A (ko) * 2004-12-21 2006-06-26 브이케이 주식회사 원격촬영용 촬상시스템 및 촬상방법
KR20110123630A (ko) 2010-05-07 2011-11-15 김제민 셀프 카메라 기능 부여용 핸드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150B1 (ko) 2012-06-04 2013-04-02 곽병재 촬영보조 수단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478522B1 (ko) 2013-07-18 2015-01-05 이문희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46816 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062Y1 (ko) * 2019-01-24 2019-11-04 전형우 핑거링 액세서리 및 이를 구비한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776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0619B (zh) 成像裝置
US20060152576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detachable wireless camera and camer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WM523243U (zh) 手機轉接裝置及系統
TW201503682A (zh) 成像裝置
EP3160114B1 (en) Mobile terminal and camera assembly thereof
US6710936B2 (en) Image sensor module with zooming function
CN110769161A (zh) 移动终端
KR2004009391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101718113B1 (ko)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855790B1 (ko) 전방위 카메라용 제어 워치
KR20030050046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CN211152050U (zh) 移动终端
JP2005278134A (ja) 携帯電話用の接写装置
KR102021045B1 (ko) 스마트폰 보조장치
KR100473502B1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20190134136A (ko)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04200988A (ja) 撮影装置
KR101626842B1 (ko) 접사렌즈가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101683859B1 (ko)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하는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촬영방법.
KR20190143076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JP2004229049A (ja) 撮像機能付き携帯端末
JP6852760B2 (ja) 撮像装置
KR10098091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TW200427429A (en) Display-provid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013702B1 (ko) 휴대용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