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522B1 -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522B1
KR101478522B1 KR20130141338A KR20130141338A KR101478522B1 KR 101478522 B1 KR101478522 B1 KR 101478522B1 KR 20130141338 A KR20130141338 A KR 20130141338A KR 20130141338 A KR20130141338 A KR 20130141338A KR 101478522 B1 KR101478522 B1 KR 101478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ase body
case
assembled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1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희
이정기
Original Assignee
이문희
이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희, 이정기 filed Critical 이문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외관을 보호하면서도 사진촬영 기능에 특화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10) 배면의 카메라렌즈(11) 위치와 대응되어 렌즈홀(112)이 형성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스마트폰(10)과 조립되는 케이스본체(110)와; 상기 케이스본체(110)에 반원통 형상으로 만곡되어 돌출 형성된 그립부(120);를 포함하여, 스마트폰 외관 보호와 함께 사진촬영 모드에서 사진촬영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Case for protecting a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 외관을 보호하면서도 스마트폰의 사진촬영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성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핸드폰 시장은 전용 운영체제와, 별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저장용 메모리를 갖춘 스마트폰의 등장과 함께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일반 음성 통신뿐만 아니라 전자우편, 모바일 웹 검색, 다양한 프로그램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성능의 향상도 꾸준히 이루어져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가 도입되고 있으며, HD동영상 촬영과 LED 플래시 기능을 구비한 1,000만 화소 이상의 고성능 카메라가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고기능성과 함께 휴대성과 디자인 감성을 높이기 위하여 대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채용하면서도 얇은 두께의 디자인을 채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외부 충격이나 내구성에서 취약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가의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호 케이스를 끼워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의 수요에 따라 기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도 그립감, 외관미 또는 개성미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보호 케이스가 나와 있다.
종래의 핸드폰 보호 케이스는 가죽, 우레탄(TPU), 금속, 합성수지 등과 같이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주로 그립감과 외관미 또는 개성미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일부 사용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기능성을 갖는 핸드폰 보호 케이스에 대한 제안이 있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 제10-2012-0103831호(공개일자: 2012.09.20)에는 케이스 본체 후면에 사용자가 손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핸드스크랩을 설치하여 휴대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기능성 휴대폰 케이스를 제안하고 있다.
다른 예로써, 등록특허 제10-1226084호(등록일자: 2013.01.18)에는 휴대폰이나 케이스 본체에 거울, 교통카드 또는 명함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마련된 기능성을 구비한 스마트기기용 케이스를 보여주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2-0103831호(공개일자: 2012.09.20)
등록특허 제10-1226084호(등록일자: 2013.01.18)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조립되어 스마트폰의 외관을 보호하며, 특히 사진촬영 모드에서 사진촬영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사진촬영 기능이 특화된 스마트폰용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는, 스마트폰 배면의 카메라렌즈 위치와 대응되게 렌즈홀이 형성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스마트폰과 조립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반원통 형상으로 만곡되어 돌출 형성된 그립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는, 스마트폰의 상면 테두리를 감싸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스마트폰 배면에서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는, 스마트폰 배면에서 스마트폰과 수평하게 슬라이딩 조립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반원통 형상으로 만곡되어 돌출 형성된 그립부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케이스본체에 조립되는 스마트폰를 가압 고정하게 되는 잠금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사진촬영 모드에서 셔터버튼으로 기능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의 조작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의 외부커넥터로 전송하는 전송단자;를 더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단자는 상기 케이스본체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본체는, 측면부에 상기 외부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드버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버튼부는 사진촬영 모드에서 줌인 또는 줌아웃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개폐 가능한 커버가 마련되어 배터리의 수납이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를 더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 내에 마련되어 배터리의 전극 단자와 접촉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외부커넥터와 연결되는 전송단자;를 더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단자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는 볼트조립공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조립공에 삼각대의 조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는, 스마트폰 외면을 보호하도록 마련된 케이스본체에 반원통 형상으로 만곡되어 돌출 형성된 그립부;를 포함하여, 스마트폰 외관 보호와 함께 사진촬영 모드에서 사진촬영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는 그립부에 스마트폰의 사진촬영 모드에서 셔터버튼으로 기능하는 버튼부와, 줌인/줌아웃 기능을 위한 슬라이드버튼부를 더 포함하여, 보다 편리한 사진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전송단자의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기능은 화면 터치를 통하여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진촬영 시에도 화면상에서 손가락 조작을 통하여 줌인, 줌아웃이 이루어지고 셔터 버튼 역시도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앞서 배경기술에서도 언급한 것과 같이, 최근의 스마트폰은 화면 대비 두께가 상당히 얇고 가볍기 때문에 사진촬영 시에 안정된 자세로 스마트폰을 쥐고 화면을 터치하여 사진촬영을 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카메라렌즈를 가리지 않고 스마트폰을 안정되게 쥐기가 곤란하여 촬영 시에 떨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고기능의 카메라가 장착된 스마트폰임에도 불구하고 두께가 얇은 구조를 갖는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안정된 자세에서 편리하게 사진을 촬영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고, 고기능의 스마트폰 카메라의 성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사진 촬영 기능이 특화되어 사진촬영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그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보호 케이스(100)는, 스마트폰(10)의 상면 테두리를 감싸도록 걸림돌기(111)가 형성되어 스마트폰 배면에서 조립이 이루어지며, 상기 스마트폰(10) 배면의 카메라렌즈(11) 위치와 대응되어 렌즈홀(112)이 형성된 케이스본체(110)와; 상기 케이스본체(110)에 반원통 형상으로 만곡되어 돌출 형성된 그립부(120)를 포함한다.
케이스본체(110)와 그립부(120)는 우레탄, 금속,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체가 단일 소재로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또는 케이스본체(110)와 그립부(120) 각각이 서로 다른 소재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케이스본체(110)는 스마트폰(10)에 끼움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쪽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돌기(111)가 마련되며, 스마트폰(10)의 카메라렌즈(11)가 바깥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렌즈홀(112)이 형성된다. 케이스본체(110)는 고리(113)가 마련되어 끈(20)을 고정하여 사진촬영 시에 보다 편리하게 스마트폰(10)을 휴대할 수 있다.
그립부(120)는 케이스본체(110)의 가로 방향에 대해 일측에 수직하게 대략 반원통 형상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10) 배면의 카메라렌즈(11)의 반대 위치에 마련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립부(12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감아서 여유 있게 쥐고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략 그립부(120) 높이는 3 ~ 5 ㎝에서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그립부(120)는 표면에 고무판과 같은 그립패드(121)가 부착되어 그립부(120)의 파지(grip) 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안정되게 그립부(120)를 쥘 수가 있다.
다른 한편, 그립부(120)는 파지 시에 각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위에 오목하게 다수의 골(valley)(122)이 형성되어 그립부(120) 파지 시에 그립감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그립부(120)는 스마트폰(10)의 사진촬영 모드에서 셔터버튼으로 기능하는 버튼부(131)와; 버튼부(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버튼부(131)의 조작신호를 스마트폰(10)의 외부커넥터(12)로 전송하는 전송단자(140);를 포함한다.
버튼부(131)는 그립부(120) 상단 측에 마련되어 한손으로 그립부(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버튼부(131)의 조작이 가능하다.
한편 버튼부(131)와 함께 사진촬영 모드에서 줌인/줌아웃 기능을 위한 슬라이드버튼부(132)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버튼부(132)는 케이스본체(110)의 측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버튼부(132)는 이동 방향에 따라서 스마트폰의 촬영모드에서 줌인 또는 줌아웃 기능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한 손으로 그립부(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슬라이드버튼부(132)를 조작하여 사진촬영에 필요한 줌인 또는 줌아웃 기능을 안정된 자세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버튼부(131)와 슬라이드버튼부(132) 각각은 전송단자(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작신호는 스마트폰(10)의 외부커넥터(12)로 전송되며, 이때 전송단자(140)로 연결되는 배선은 케이스본체(110)와 그립부(120) 내부에 마련되거나 케이스본체(110) 안쪽 면에 배선용 요홈에 삽입 고정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버튼부(131)와 슬라이드버튼부(132)의 조작신호는 전송단자(140)를 통해 스마트폰(10)의 외부커넥터(12)로 전송되며, 이 조작신호는 스마트폰(10)의 사진촬영 모드에서 각 기능버튼과 연동되도록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스마트폰(10) 내에서 버튼부(131) 및 슬라이드버튼부(132)의 조작신호를 인식하여 사진촬영 모드에서 셔터버튼 또는 줌인/줌아웃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별도의 구동칩이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동칩은 케이스본체(110) 내에 내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송단자(140)는 케이스본체(110)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으며, 그 위치는 스마트폰(10)의 외부커넥터(12)에 위치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전송단자(140)는 통상적으로 스마트폰(10)의 전원 충전 어댑터로 사용되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가 사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전송단자의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예시된 것과 같이, 버튼부(131) 및 슬라이드버튼부(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송단자(140)는 플렉셔블한 케이블(141)로 연결되어 스마트폰(10)의 외부커넥터(12) 설치 위치와 상관없이 전송단자(140)를 외부커넥터(12)에 고정할 수 있다.
스마트폰(10)에서 외부커넥터(12)의 위치는 상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케이스본체(110)에 전송단자(140)를 고정하지 않고 케이블(141)로 연결됨으로써, 외부커넥터(12) 위치와 상관없이 전송단자(140)를 외부커넥터(12)와 연결할 수가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는 스마트폰을 보호하면서도 사진촬영 모드 시에는 스마트폰을 안정되게 쥐고 사진 촬영이 가능하여 고기능의 스마트폰의 사진촬영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다.
제2실시예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200)는, 스마트폰 배면에서 스마트폰(10)과 수평하게 슬라이딩 조립되는 케이스본체(210)와; 상기 케이스본체(210)에 반원통 형상으로 만곡되어 돌출 형성된 그립부(220)와; 상기 케이스본체(210)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케이스본체에 조립되는 스마트폰을 가압 고정하게 되는 잠금핀(230);을 포함한다.
케이스본체(210)는 스마트폰(10)의 배면 일부와 접하게 되는 베이스플레이트(211)와, 베이스플레이트(211)의 양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스마트폰(10)의 측면과 접하게 되는 측벽(212)과, 베이스플레이트(211) 하단에서 두 측벽(212)을 연결하여 스마트폰(10) 하측면과 접하게 되는 하부벽(213)으로 구성되며, 케이스본체(210) 상부가 개방되어 케이스본체(210) 상부에서 스마트폰(10)을 수평방향으로 삽입하여 스마트폰(10)과 케이스본체(1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베이스플레이트(211)는 회동 가능하게 나사 조립되는 잠금핀(230)을 포함하며, 잠금핀(23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케이스본체(210)에 조립된 스마트폰(10)을 고정하게 된다.
스마트폰(10)과 직접 밀착되는 잠금핀(230) 전면에는 스마트폰(10)의 접촉면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고무재질의 마찰패드가 추가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잠금핀(230)은 보호 케이스(200) 바깥에서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키홈(231)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키홈(231)에 맞는 기구를 사용하여 잠금핀(230)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핀(230)의 회전 조작을 위한 기구는 동전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립부(220)는 케이스본체 일측에 수직하게 대략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고무 재질의 그립패드(221)가 부착될 수 있으며, 오목하게 다수의 골(222)이 형성되어 그립감을 높일 수 있다.
그립부(220)는 스마트폰(10)의 사진촬영 모드에서 셔터버튼으로 기능하는 버튼부(241)와, 버튼부(2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버튼부(241)의 조작신호를 스마트폰(10)의 외부커넥터(12)로 전송하는 전송단자(2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단자(250)는 케이스본체(210)의 하부벽(213) 안쪽에 고정되어 스마트폰을 보호 케이스에 끼워 조립과 함께 스마트폰(10)의 외부커넥터(12)는 전송단자(250)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전송단자는 배선에 의해 보호 케이스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214는 보호 케이스에 끈을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리이다.
케이스본체(210)는 버튼부(241)와 함께 사진촬영 모드에서 줌인/줌아웃 기능을 위한 슬라이드버튼부(242)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슬라이드버튼부(132)는 좌우 이동 방향에 따라서 스마트폰의 촬영모드에서 줌인 또는 줌아웃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버튼부(241)와 슬라이드버튼부(242) 각각은 전송단자(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작신호를 스마트폰(10)의 외부커넥터(12)로 전송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송단자(250)는 통상적으로 스마트폰(10)의 전원 충전 어댑터로 사용되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케이스본체(210)는 볼트조립공(223)이 형성되며, 볼트조립공(223)은 주지의 삼각대(20)에 마련된 카메라 고정용 볼트(21)와 조립이 가능하다.
볼트조립공(223)은 케이스본체(210)의 하부, 특히 그립부(220) 하단에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그립부(220)는 배터리(30)의 수납이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224)가 마련되며, 그립부(220) 하부에 배터리 수납부(224)를 개폐할 수 있도록 커버(225)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수납부(224)는 수납되는 배터리(30)의 전극 단자(31)와 접촉되는 단자부가 내측에 마련되며, 단자부는 전송단자(250)와 연결되어 배터리 수납부(224)에 수납된 배터리(30)를 이용하여 스마트폰(10)의 보조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송단자(250)는 스마트폰(10)의 외부커넥터(12)와 연결되는 USB 포트로써, 버튼부(241), 슬라이드버튼부(242)와 함께 배터리 수납부(224)에 수납되는 배터리(30)에 의한 충전은 하나의 전송단자인 USB 포트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가 마련되어 스마트폰의 배면에 끼워 조립이 이루어지는 케이스본체를 갖는 보호 케이스를 예시하였으나, 포켓식으로 스마트폰의 탈부착이 가능한 케이스본체를 갖는 다이어리 타입 등의 보호 케이스에도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스마트폰 11 : 카메라렌즈
12 : 외부커넥터 20 : 끈
100 : 보호 케이스 110 : 케이스본체
111 : 걸림돌기 112 : 렌즈홀
113 : 고리 120 : 그립부
121 : 그립패드 131: 버튼부
132 : 슬라이드버튼부 140 : 전송단자
141 : 케이블

Claims (10)

  1. 스마트폰 배면의 카메라렌즈 위치와 대응되게 렌즈홀이 형성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스마트폰과 조립되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와 동종의 소재에 의해 일체로 반원통 형상으로 만곡되어 돌출 형성된 그립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는,
    스마트폰의 상면 테두리를 감싸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스마트폰 배면에서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3. 스마트폰 배면에서 스마트폰과 수평하게 슬라이딩 조립되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와 동종의 소재에 의해 일체로 반원통 형상으로 만곡되어 돌출 형성된 그립부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케이스본체에 조립되는 스마트폰을 가압 고정하게 되는 잠금핀;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사진촬영 모드에서 셔터버튼으로 기능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의 조작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의 외부커넥터로 전송하는 전송단자;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자는 상기 케이스본체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는, 측면부에 상기 외부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드버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버튼부는 사진촬영 모드에서 줌인 또는 줌아웃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개폐 가능한 커버가 마련되어 배터리의 수납이 가능한 배터리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 내에 마련되어 배터리의 전극 단자와 접촉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외부커넥터와 연결되는 전송단자;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자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는 볼트조립공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조립공에 삼각대의 조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130141338A 2013-07-18 2013-11-20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101478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849 2013-07-18
KR20130084849 2013-07-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522B1 true KR101478522B1 (ko) 2015-01-05

Family

ID=52587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1338A KR101478522B1 (ko) 2013-07-18 2013-11-20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522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259B1 (ko) 2015-05-08 2016-08-25 이문희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이용한 무선 전력 충방전 방법 및 시스템
KR101683859B1 (ko) * 2015-06-11 2016-12-09 (주)한보이앤씨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하는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촬영방법.
KR20170025776A (ko) * 2015-08-31 2017-03-08 심형석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809133B1 (ko) * 2016-06-17 2017-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848833B1 (ko) 2015-12-24 2018-04-16 박영대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
KR20180001497U (ko) * 2016-11-11 2018-05-21 김현 케이스측면에서 확대축소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20190021844A (ko) * 2017-08-24 2019-03-06 이성수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KR200491267Y1 (ko) * 2019-02-13 2020-03-12 주식회사 협력 단말기용 케이스
KR20200140995A (ko) * 2019-06-06 2020-12-17 윈너즈선플라스틱전자(선전)유한회사 촬영 보조 장치
EP3955841A4 (en) * 2019-04-15 2023-04-12 Circinus Medical Technologies LLC ATTACHMENT APPARATUS FOR ATTACHING A MEDICAL ALIGNMENT DEVICE FOR ALIGNING A TOOL
US11737828B2 (en) 2015-02-13 2023-08-29 Circinus Medical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device placement
US11832886B2 (en) 2017-08-14 2023-12-05 Circinus Medical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with shape alignment for medical device place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761A (ko) * 2005-10-19 2007-04-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한 삼각대
JP2009164455A (ja) 2008-01-09 2009-07-23 Fujifilm Corp 電子機器用筐体
KR20120040824A (ko) * 2010-10-20 2012-04-30 이광복 바타입 휴대폰의 악세사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761A (ko) * 2005-10-19 2007-04-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한 삼각대
JP2009164455A (ja) 2008-01-09 2009-07-23 Fujifilm Corp 電子機器用筐体
KR20120040824A (ko) * 2010-10-20 2012-04-30 이광복 바타입 휴대폰의 악세사리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7828B2 (en) 2015-02-13 2023-08-29 Circinus Medical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device placement
KR101651259B1 (ko) 2015-05-08 2016-08-25 이문희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이용한 무선 전력 충방전 방법 및 시스템
KR101683859B1 (ko) * 2015-06-11 2016-12-09 (주)한보이앤씨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하는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촬영방법.
KR20170025776A (ko) * 2015-08-31 2017-03-08 심형석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718113B1 (ko) 2015-08-31 2017-03-21 심형석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848833B1 (ko) 2015-12-24 2018-04-16 박영대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
KR101809133B1 (ko) * 2016-06-17 2017-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80001497U (ko) * 2016-11-11 2018-05-21 김현 케이스측면에서 확대축소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US11832886B2 (en) 2017-08-14 2023-12-05 Circinus Medical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with shape alignment for medical device placement
KR101967158B1 (ko) * 2017-08-24 2019-08-13 이성수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KR20190021844A (ko) * 2017-08-24 2019-03-06 이성수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KR200491267Y1 (ko) * 2019-02-13 2020-03-12 주식회사 협력 단말기용 케이스
EP3955841A4 (en) * 2019-04-15 2023-04-12 Circinus Medical Technologies LLC ATTACHMENT APPARATUS FOR ATTACHING A MEDICAL ALIGNMENT DEVICE FOR ALIGNING A TOOL
KR20200140995A (ko) * 2019-06-06 2020-12-17 윈너즈선플라스틱전자(선전)유한회사 촬영 보조 장치
KR102348168B1 (ko) * 2019-06-06 2022-01-11 윈너즈선플라스틱전자(선전)유한회사 촬영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522B1 (ko)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US8979398B2 (en) Wearable camera
KR101474418B1 (ko) 파우치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EP1411707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bidirectonal rotatable folder
US20090316036A1 (en) Apparatus for a Combination Camcorder-Handset Device
KR20090038300A (ko) 조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10044620A (ko)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EP2665240B1 (en)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liding door for a socket
KR20110050243A (ko) 휴대 단말기
EP1610420A2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P1484920A1 (en) Poratable communication device
US9503146B1 (en) Waterproof device for cellphones
CN101501565A (zh) 便携式电子设备
US9813599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 attachable image capturing module
KR101371033B1 (ko) 휴대 단말기
EP2816443B1 (en) Protective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KR101371032B1 (ko) 휴대 단말기
US20210389646A1 (e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US20060217163A1 (en) Cradle for portable device
KR20120040824A (ko) 바타입 휴대폰의 악세사리
WO2009091215A1 (en) Support device for electronic devices
JP3860455B2 (ja) カメラ用クレードル
KR100703266B1 (ko) 3축 힌지 폴더를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회전락킹 장치
US20060132645A1 (e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JP4348541B2 (ja) クレイ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