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158B1 -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158B1
KR101967158B1 KR1020170107160A KR20170107160A KR101967158B1 KR 101967158 B1 KR101967158 B1 KR 101967158B1 KR 1020170107160 A KR1020170107160 A KR 1020170107160A KR 20170107160 A KR20170107160 A KR 20170107160A KR 101967158 B1 KR101967158 B1 KR 101967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case
opening
charg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844A (ko
Inventor
이성수
Original Assignee
이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수 filed Critical 이성수
Priority to KR1020170107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158B1/ko
Priority to PCT/KR2018/003530 priority patent/WO2019039689A1/ko
Publication of KR20190021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H02J7/00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전극을 배치하여 휴대기기의 종류 및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액세서리를 혼용하여 사용 가능하며, 상기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기기가 오목한 전면에 결합되며, 휴대기기의 후면, 측면, 상면, 하면 중 1면 이상에 밀착되는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있어서, (a) 상기 케이스의 후면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를 관통하는 개구부; (b) 상기 케이스의 내측, 개구부 하부에 위치하고,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되며 1~50개의 평판형상 전극을 가지는 통신 및 충전용 외부단자; 및 (c) 상기 케이스의 하면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단자와 각 대응 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케이스 결합 시 휴대기기에 삽입되는 휴대기기 통신 및 충전용 내부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Case for Mobile Device for Easy Attach and Detach Accessories}
본 발명은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전극을 배치하여 휴대기기의 종류 및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액세서리를 혼용하여 사용 가능하며, 상기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 있어서 휴대기기 특히 모바일 폰(mobil phone)의 경우 사람들의 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모바일 폰의 최초 목적인 전화통화를 비롯하여, 음악 감상, 인터넷 서핑, 서류작업, 게임 등 기존의 데스크탑 컴퓨터가 수행하던 대부분의 기능들이 휴대기기로 구현되어 있다.
하지만 이렇게 다중의 기능이 구현됨에 따라, 휴대기기의 집적도가 높아지며, 각 부품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충격에 의한 손상 및 고장의 확률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휴대기기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전면 액정의 경우 전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충격에 약한 유리를 그 주 소재로 사용하고 있어, 대부분의 충격에 의한 파손은 이 전면 액정 표시장치에 집중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사용자들이 휴대기기용 케이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 휴대기기용 케이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실리콘이 플라스틱과 같은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어 휴대기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지만, 두께가 두꺼워 짐에 따라, 휴대기기 본연의 외관을 해치고 있다. 또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금속소재로 제작되는 휴대기기용 케이스도 판매되고 있지만, 전파 투과의 문제점과 더불어 충격흡수율이 낮아지고 금속 특유의 부식현상으로 인하여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기기 케이스의 근본적인 문제는 확장성을 떨어트린다는 것으로, 대부분의 휴대기기용 케이스는 각 휴대기기의 디자인에 맞춰 전용으로 제작되고 있어, 휴대기기를 변경하는 경우 휴대기기용 케이스도 변경하여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휴대기기의 경우 그 크기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확정성이 기존의 컴퓨터에 비하여 떨어지고 있다. 특히 휴대기기의 특성상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되고 있지만 배터리의 크기는 휴대기기 크기를 넘어설 수 없기 때문에 배터리 용량의 한계로 인하여 휴대기기의 사용시간이 제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의 외장 배터리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지만, 휴대기기의 휴대성을 크게 떨어트린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배터리가 내장된 제품이 출시되어 있지만, 각 휴대기기에 맞는 케이스를 사용해야함과 더불어 배터리의 교환이 불가능하며, 타기기와의 배터리호환도 불가능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
아울러 상기 확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배터리 및 외장 기기의 경우, 각 기기의 운영체계 및 기기에 비치된 커넥터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배터리 및 외장기기가 사용되고 있어 휴대기기를 교체하는 경우 호환기기를 전체적으로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전극을 배치하여 휴대기기의 종류 및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액세서리를 혼용하여 사용 가능하며, 상기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기기가 오목한 전면에 결합되며, 휴대기기의 후면, 측면, 상면, 하면 중 1면 이상에 밀착되는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있어서, (a) 상기 케이스의 후면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를 관통하는 개구부; (b) 상기 케이스의 내측, 개구부 하부에 위치하고,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되며 1~50개의 평판형상 전극을 가지는 통신 및 충전용 외부단자; 및 (c) 상기 케이스의 하면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단자와 각 대응 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케이스 결합 시 휴대기기에 삽입되는 휴대기기 통신 및 충전용 내부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는; (i) 확장용 기기 본체; (ii) 상기 확장용 기기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결합 시 상기 휴대기기 케이스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연결부; 및 (iii) 상기 연결부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결합 시 상기 휴대기기 케이스의 통신 및 충전용 외부단자와 각 대응극이 접촉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확장용기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용 기기는 배터리, 충전 수단, 저장 공간 확장 수단, 오디오 음질 개선 수단, 분실방지 알람수단 및 추가 연결단자의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용 기기와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에는 연결을 위한 추가 연결부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는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는 상기 휴대기기의 측면 또는 후면에 존재하는 센서, 조작스위치 또는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개구부가 추가로 설치되거나, 상기 휴대기기 측면 또는 후면의 10~50%가 개방되어, 휴대기기의 측면 또는 후면에 존재하는 센서, 조작스위치 또는 카메라의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기기용 케이스는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상기 액세서리가 모듈화 되어 휴대기기의 종류 및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호환하여 사용가능하므로, 휴대기기의 변경이 있어도 액세서리의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확장용 기기 및 그 결합방법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및 확장용 기기가 결합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휴대기기케이스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휴대기기가 오목한 전면에 결합되며, 휴대기기의 후면, 측면, 상면, 하면 중 1면 이상에 밀착되는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있어서, (a) 상기 케이스의 후면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를 관통하는 개구부; (b) 상기 케이스의 내측, 개구부 하부에 위치하고,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되며 1~50개의 평판형상 전극을 가지는 통신 및 충전용 외부단자; 및 (c) 상기 케이스의 하면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단자와 각 대응 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케이스 결합 시 휴대기기에 삽입되는 휴대기기 통신 및 충전용 내부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는 휴대기기가 오목한 전면(10)에 결합되며, 휴대기기의 후면, 측면, 상면, 하면 중 1면 이상에 밀착될 수 있다. 휴대기기용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휴대기기의 후면에 설치되며, 휴대기기가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전면(10)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고분자를 소재로 하여 제작된 케이스는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의 전면(10) 오목한 부분에 압착하여 휴대기기를 설치 가능하며, 상기 케이스를 금속소재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케이스가 탄성을 가지지 않으므로, 케이스의 상면 또는 일측면이 없이 제작하여 상기 상면 또는 일측면 방향에서 슬라이드하여 휴대기기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삽입된 이후 상면 또는 일측면에 설치 가능한 추가 부속품을 부착하여 마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의 재질은 고분자, 금속, 탄소 또는 세라믹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티타늄 또는 그 합금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티타늄의 경우 신체조직의 이식에 사용되는 무독성의 경금속으로 인체친화도가 높아 인체와 장기간 접촉하더라도 인체에 대한 영향이 거의 없으며, 비중이 낮아 케이시의 중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순수 티타늄의 강도는 30~75kgt/㎟이며, 티타늄 합금은 60~160kgt/㎟에 달하여 높은 강도는 가지는 케이스를 제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티타늄의 경우 표면에 자연적으로 티타늄 산화막이 생성되며, 이 티타늄 산화막은 부식에 매우 강하기 때문에 티타늄으로 케이스를 제작하는 경우, 물, 세제, 땀, 산, 전기등에 의한 부식 및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타늄 산화막은 아노다이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노다이징은 양극산화방법의 일종으로 티타늄의 경우 아노다이징시 가해지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전압의 변화에 의한 색상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아노다이징 이후 착색하여 원하는 색상의 케이스를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티타늄 산화막의 주성분인 티타늄 옥사이드(TiO2)의 경우, 촉매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미생물과 접촉하는 경우 미생물 및 유기물을 분해하는 촉매의 역할을 하므로, 티타늄 산화막을 표면에 생성하는 경우 항균 및 살균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는 상기 휴대기기의 측면 또는 후면에 존재하는 센서, 조작스위치 또는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개구부(11, 21)가 추가로 설치되거나, 상기 휴대기기 측면 또는 후면의 10~50%가 개방(11, 21)되어, 휴대기기의 측면 또는 후면에 존재하는 센서, 조작스위치 또는 카메라의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가 고분자 화합물로 제작되는 경우 일부 스위치 등의 조작은 고분자 화합물의 탄성에 의하여 가능하지만, 카메라나 센서 등의 구동에 필요한 개구부가 필요하다. 또한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가 금속재질 특히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 및 센서를 위한 개구부뿐만 아니라 스위치를 위한 개구부역시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는 각 카메라, 센서 및 스위치를 위한 개구부(11, 21)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를 설치하는 대신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스위치가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측면 또는 후면의 10~50%가 개방(11, 21)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후면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를 관통하는 개구부(100)가 설치된다. 상기 개구부(110)는 아래에서 설명할 확장용 기기의 연결부(15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확장용 기기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150)에 설치된 연결단자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통신 및 충전용 외부단자(120)와 연결된다.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는; (i) 확장용 기기 본체; (ii) 상기 확장용 기기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결합 시 상기 휴대기기 케이스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연결부(150); 및 (iii) 상기 연결부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결합 시 상기 휴대기기 케이스의 통신 및 충전용 외부단자(120)와 각 대응극이 접촉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확장용기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용 기기는 배터리, 충전 수단, 저장 공간 확장 수단, 오디오 음질 개선 수단, 분실방지 알람수단 또는 추가 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2종이상이 조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확장용 기기는 기존의 확장용 기기와는 달리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외부단자(120)와 연결되므로, 상기 외부단자(120)와 호환되는 확장용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휴대기기의 종류 및 운영체계의 종류에 관계없이 호환하여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확장용 기기의 전면에는 “ㄱ”형상으로 제작되는 연결부(150)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측면에는 결합 시 상기 휴대기기 케이스의 통신 및 충전용 외부단자(120)와 각 대응극이 접촉되는 연결단자가 위치하므로, 상기 연결부(150)를 상기 개구부(100)에 삽입한 다음 상기 확장용 기기를 하부로 슬라이드 하면 자연스럽게 각 대응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단자는 슬라이드에 의한 삽입을 원활하게 하며, 상기 외부단자(120)와의 원활한 접촉을 위하여 스프링전극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전극은 압력에 의하여 입출이 가능한 전극으로서, 확장용 기기가 슬라이드 되어 삽입되는 동안에는 상기 연결부(150)의 움직임에 따라 수축되어 있으며, 삽입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외부단자(120)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압력을 주므로 각 전극의 접촉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확장용 기기가 연결부(150)만으로 케이스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충격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150)가 파손될 위험이 있으므로 상기 확장용 기기와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에는 연결을 위한 추가 연결부(140)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연결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가 연결부(140)는 상기 확장용 기기와 상기 케이스를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자석을 이용한 연결수단, 걸림턱,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연결바 등이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용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개구부 하부에 위치하고,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되며 1~50개의 평판형상 전극을 가지는 통신 및 충전용 외부단자(12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단자(120)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확장용기기의 연결단자와 각 대응극이 연결되어 접촉되는 부분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측, 개구부(100)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외부단자(120)가 노출되어 설치되는 경우, 단자상의 전극에 산화가 발생하여 단자의 접촉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이밖에도 상기 외부단자(120)는 충전용으로 사용되므로 상기 전극에 금속이 접촉되는 경우, 합선에 의한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단자(120)를 상기 케이스의 내측, 개구부 하부에 설치하여 부식 또는 합선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단자(120)는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되며 1~10개의 평판형상 전극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극은 상기 내부단자(130)와 각 대응극이 연결되어 상기 휴대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상기 연결부의 삽입이 원활하도록 평판형상의 전극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단자(120)는 휴대기기의 연결에 사용되는 모든 전극을 포함하도록 제작되어 휴대기기를 변경하더라도 상기 확장용 기기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상기 외부단자가 GND, TX1+, TX1-, Vbus, CC1, D+, D-, SUB1, RX2-, RX2+ 등의 전극을 포함하여 제작되는 경우 대부분의 휴대기기에서 사용되는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의 연결이 가능하므로, 상기 확장용 기기를 호환하여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하면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단자(120)와 각 대응 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케이스 결합 시 휴대기기에 삽입되는 휴대기기 통신 및 충전용 내부단자(130)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단자(130)는 각 휴대기기에 설치되는 단자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현재 휴대기기에 사용되는 단자는 USB 2.0 Micro type B, 8핀 라이트닝, USB 3.0 Micro type B, USB 3.0 type C 등이 있으며, 각 휴대기기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는 각 휴대기기의 형상에 따라 제작되므로, 각 휴대기기에 따른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 및 각 휴대기기에서 사용되는 단자와 결합 가능한 내부단자(130)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단자(130)는 상기 외부단자(120)와 각 대응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내부단자(130)를 통하여 휴대기기의 충전, 확장용 기기와의 연결 및 확장용 기기로의 전력공급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 : 휴대기기용 케이스 전면
11 : 조작용 개구부
20 : 휴대기기용 케이스 측면
21 : 측면 개구부
100 : 개구부
120 : 통신 및 충전용 외부단자
130 : 통신 및 충전용 내부단자.
140 : 추가연결부
150 : 연결부

Claims (6)

  1. 휴대기기가 오목한 전면에 결합되며, 휴대기기의 후면, 측면, 상면, 하면 중 1면 이상에 밀착되는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있어서,
    (a) 상기 케이스의 후면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를 관통하는 개구부;
    (b) 상기 케이스의 내측, 개구부 하부에 위치하고,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되며 1~50개의 평판형상 전극을 가지는 통신 및 충전용 외부단자; 및
    (c) 상기 케이스의 하면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단자와 각 대응 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케이스 결합 시 휴대기기에 삽입되는 휴대기기 통신 및 충전용 내부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는;
    (i) 확장용 기기 본체;
    (ii) 상기 확장용 기기의 하단부에 `ㄱ` 형상으로 돌출되어 결합 시 상기 휴대기기 케이스의 개구부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연결부; 및
    (iii) 상기 연결부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결합 시 상기 휴대기기 케이스의 통신 및 충전용 외부단자와 각 대응극이 접촉되는 스프링 전극으로 구성되는 연결단자;
    를 포함하는 확장용기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케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용 기기는 배터리, 충전 수단, 저장 공간 확장 수단, 오디오 음질 개선 수단, 분실방지 알람수단 및 추가 연결단자의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용 기기와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에는 연결을 위한 추가 연결부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는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는 상기 휴대기기의 측면 또는 후면에 존재하는 센서, 조작스위치 또는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개구부가 추가로 설치되거나,
    상기 휴대기기 측면 또는 후면의 10~50%가 개방되어, 휴대기기의 측면 또는 후면에 존재하는 센서, 조작스위치 또는 카메라의 조작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케이스.
KR1020170107160A 2017-08-24 2017-08-24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KR101967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160A KR101967158B1 (ko) 2017-08-24 2017-08-24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PCT/KR2018/003530 WO2019039689A1 (ko) 2017-08-24 2018-03-26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160A KR101967158B1 (ko) 2017-08-24 2017-08-24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844A KR20190021844A (ko) 2019-03-06
KR101967158B1 true KR101967158B1 (ko) 2019-08-13

Family

ID=6543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160A KR101967158B1 (ko) 2017-08-24 2017-08-24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7158B1 (ko)
WO (1) WO201903968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522B1 (ko) * 2013-07-18 2015-01-05 이문희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0482072Y1 (ko) 2016-06-08 2016-12-12 다이아소닉 테크놀로지(주)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0669A (ko) * 2011-03-30 2012-10-10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진동 및 음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386854B1 (ko) * 2013-03-28 2014-04-18 이진우 메모리장치의 수납 기능을 구비한 보호 케이스
KR101441677B1 (ko) * 2014-04-29 2014-09-23 (주)한국전자기술 휴대용 충전 케이스 구조
KR101822855B1 (ko) * 2015-11-19 2018-03-08 (주)한국전자기술 휴대용 충전 케이스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522B1 (ko) * 2013-07-18 2015-01-05 이문희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0482072Y1 (ko) 2016-06-08 2016-12-12 다이아소닉 테크놀로지(주)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9689A1 (ko) 2019-02-28
KR20190021844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732B2 (en) Switch assembly and fold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TWI255574B (en) Battery-engaging modul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20231855A1 (en) Connecting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106790796A (zh) 壳体组件及移动终端
US8241778B2 (en) Battery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4810494U (zh) 一种耳机插孔智能快捷键设备
KR101967158B1 (ko)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EP1748520A3 (en)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US9222631B2 (en) Electric torch
CN202978343U (zh) 便携式移动电源
CN204375594U (zh) 一种集成多功能墙壁开关
US8199467B2 (en) Battery ejec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211557417U (zh) 一种家用办公音响
CN209896742U (zh) 分离式车载充电器
CN208926589U (zh) 一种可更换刀头的术中解剖器
CN202855115U (zh) 内建光源的3.5mm音频插头
CN1485945A (zh) 多功能手机充电电池及其实现方法
US6816359B1 (en) Power supply casing
CN220155912U (zh) 一种usb接口盒
CN207720205U (zh) 一种对讲手机
CN203377659U (zh) 具驱蚊功能的移动电源
CN212028147U (zh) 一种带手机支架的手持式风扇
CN218448602U (zh) 一种插座
CN207553771U (zh) 一种电子锁的外接电源组件
CN210380303U (zh) 一种手机支架磁吸式充电结构充电支架底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