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072Y1 -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072Y1
KR200482072Y1 KR2020160003113U KR20160003113U KR200482072Y1 KR 200482072 Y1 KR200482072 Y1 KR 200482072Y1 KR 2020160003113 U KR2020160003113 U KR 2020160003113U KR 20160003113 U KR20160003113 U KR 20160003113U KR 200482072 Y1 KR200482072 Y1 KR 200482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sound source
case
terminal portion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환
Original Assignee
다이아소닉 테크놀로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아소닉 테크놀로지(주) filed Critical 다이아소닉 테크놀로지(주)
Priority to KR2020160003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0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072Y1/ko
Priority to JP2017002390U priority patent/JP3211886U/ja
Priority to DE202017103422.4U priority patent/DE202017103422U1/de
Priority to US15/618,118 priority patent/US2017035964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9Power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8Structural combinations of loudspeakers with built-in power amplifiers, e.g. in the same acoustic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는 내부에 모바일 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에 결합 면이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모바일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음원 재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원 재생 모듈은 상기 결합 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CASE FOR MOBILE TERMINAL}
본 고안은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 통신 분야의 발전으로, 정보 및 통신 환경은 급격한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 중 이동 통신 분야의 모바일 기기는 현대 사회에서 필수품으로 생각될 만큼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 통신 분야의 저변 확대와 함께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는 더욱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현재 음성 통화는 물론이고, 메시지(message) 송수신, 데이터(data) 저장 등을 비롯하여 인터넷(internet)을 이용할 수도 있게 되었다.
한편, 최근 들어 정보의 저장 및 존재 형태가 아날로그(analog)에서 디지털(digital)화 되어가고, 특히 동영상 데이터의 압축 표준인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지털 영상 데이터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메모리에도 많은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게 되었으며, 영상 데이터뿐 아니라 음성 데이터도 디지털화되어 가고 있다.
여기서,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디지털 음원 신호로 전환하고, 상기 MPEG 압축 기술을 오디오(audio) 압축에 적용하여 적은 크기의 디지털 데이터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MP3(MPEG Audio layer-3) 형식의 음원이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MP3 형식의 음원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MP3 음원을 이동 중에도 재생할 수 있도록 MP3 음원의 저장 수단과 MP3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MP3 플레이어(player) 또는 이를 탑재한 모바일 기기도 널리 보급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MP3 형식 이외에도 WAV, FLAC, WMA 등 다양한 음원의 저장 포맷 형식들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이용되고 있다.
MP3 음원과 같은 디지털 음원들은 데이터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낮은 비트 레이트 및 낮은 샘플링 주파수 값을 가지며, 이에 따라 MP3 음원과 같은 디지털 음원들은 저하된 음질을 가진다. 이와 같이 낮은 비트 레이트 및 샘플링 주파수 값을 가지는 MP3 디지털 음원에 대하여 고품질의 음원을 청취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는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디지털 음원들을 고품질의 음원으로 변환하여 재생하기 위한 별도의 음원 재생 장치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디지털 음원을 변환하여 재생하기 위한 음원 재생 장치는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성되어 이동 중에 음악을 감상하는 것이 주된 용도가 되는 모바일 기기의 특성상 휴대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게 된다. 또한,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모바일 기기와 음원 재생 장치를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하는 경우 다양한 종류를 가지는 모바일 기기에 각각 대응하는 음원 재생 장치를 별도로 제작하게 되어 호환성 및 경제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695368 B1
본 고안은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음원 재생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음원 재생 모듈을 모바일 기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는 내부에 모바일 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에 결합 면이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모바일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음원 재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원 재생 모듈은 상기 결합 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음원 재생 모듈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음원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단자부; 상기 입력 단자부로부터 입력된 음원의 디지털 신호를 펄스 부호 변조(PCM: Pulse Code Modulaion)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부; 상기 펄스 부호 변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원 재생 모듈은, 상기 컨트롤러부 및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무선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면은 상기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함입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원 재생 모듈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상기 결합 홀을 통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홀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감소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단차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는 단부가 상기 결합 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음원 재생 모듈에는 상기 걸림 홈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의 충전 단자부와 상기 입력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부재는 양 단부가 상기 입력 단자부 및 충전 단자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 부재는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원 재생 모듈은 상기 입력 단자부가 상기 충전 단자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입력 단자부 및 충전 단자부를 향하여 각각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U"자 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호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1 연결 바 및 제2 연결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연결 바 및 제2 연결 바 사이에 인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음원의 디지털 신호를 고품질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재생되는 음원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에 음원의 디지털 신호를 변화시키는 음원 재생 모듈을 결합하는 것으로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를 구성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모바일 기기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음원 재생 모듈에 구비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의 보조 배터리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음원 재생 모듈은 모바일 기기에 대하여 각각 제조되는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모바일 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기기와 상호 호환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재생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는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음원을 변환하여 고음질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는 고음질의 음향을 재생하기 위한 음원 재생 장치의 휴대성을 확보하고,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기기에 모두 호환되어 적용 가능한 기술적 특징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재생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는 내부에 모바일 기기(미도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120)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에 결합 면(140)이 형성되는 케이스(100); 및 상기 모바일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음원 재생 모듈(200);을 포함하고, 상기 음원 재생 모듈(200)은 상기 결합 면(1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모바일 기기는 스마트폰, 휴대용 전화 기기, 태블릿 PC, PDA, 웹 패드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모바일 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120)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120)에는 모바일 기기가 내면(100B)에 밀착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케이스(100)는 전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00)의 외면(100A)(예를 들어, 케이스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결합 면(140)이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 면(140)은 음원 재생 모듈(200)이 결합되는 면을 의미하며, 케이스(100)에 접촉되는 음원 재생 모듈(200)의 일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는 내부에 결합되는 모바일 기기의 충전 단자부(미도시)를 노출시키도록 하단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상면, 하면 및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모바일 기기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모바일 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120)를 가지며 외면(100A)에 결합 면(140)이 형성되는 다양한 형상의 케이스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음원 재생 모듈(200)은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모바일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음원을 변환하여 재생한다. 음원 재생 모듈(200)과 모바일 기기는 유선 방식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접속 부재(400)에 의하여 음원 재생 모듈(200)을 모바일 기기에 유선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무선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인 블루투스(Bluetooth) 등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음원 재생 모듈(200)은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음원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단자부(220); 상기 입력 단자부(220)로부터 입력된 음원의 디지털 신호를 펄스 부호 변조(PCM: Pulse Code Modulaion)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부(230); 상기 펄스 부호 변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240);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단자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단자부(220)는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WAV, FLAC, WMA, MP3 등의 형식을 가지는 디지털 음원 파일을 입력받는다. 입력 단자부(220)는 모바일 기기와 무선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음원 재생 모듈(200)에 장착되는 블루투스 칩셋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모바일 기기의 충전 단자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USB 포트 또는 라이트닝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부(230)는 입력 단자부(22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음원 파일의 디지털 신호를 펄스 부호 신호로 변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WAV, FLAC, WMA, MP3 등의 형식을 가지는 디지털 음원 파일의 디지털 신호를 32 비트(bit) 이상 및 384 kHz 이상의 펄스 부호 변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에 저장되는 디지털 음원 파일은 16 비트의 44.1kHz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다. 컨트롤러부(230)는 이와 같이 낮은 비트 및 샘플링 주파수를 가지는 디지털 음원 파일의 디지털 신호를 32 비트 이상 및 384 kHz 이상의 펄스 부호 변조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업-비트(Up-bit) 및 오버 샘플링(Over sampling)과 관련하여는 다수의 기술이 이미 공지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240)(DAC: Digital Analog Converter)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부(230)에 의하여 변환된 펄스 부호 변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는 출력 단자부(250)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출력 단자부(250)는 이어폰/헤드폰 포트(254), 외부 앰프 등과의 연결을 위한 라인 포트(25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재생 모듈(200)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240)에 의하여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설정된 이득(gain) 값으로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증폭부에 의하여 이어폰/헤드폰 포트(254)는 고출력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고, 외부 앰프 등과 연결되는 라인 포트(252)는 상대적으로 낮은 출력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도록 이득 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음원 재생 모듈(200)은 컨트롤러부(230) 및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2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2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260)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60)는 음원 재생 모듈(200)을 구동하기 위하여 컨트롤러부(230),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240) 및 증폭부 등 전원을 필요로 하는 각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260)는 음원 재생 모듈(200)의 구동뿐만 아니라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모바일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으며, 모바일 기기에의 전원 공급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기기에의 선택적 전원 공급은 컨트롤러부(23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후술할 충전 스위치에 의하여 전기적 접속 여부를 기계적으로 제어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모바일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은 모바일 기기의 구동 또는 충전에 이용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260)는 모바일 기기와 음원 재생 모듈(200)이 유선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접속 부재(400)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무선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전자기 유도 등의 무선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260)은 충전식의 리튬 이온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음원 재생 모듈(200)에 형성되는 별도의 충전 포트(29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충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재생 모듈(200)의 각 스위치와 관련하여 세부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충전 스위치(2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260)에 의한 음원 재생 모듈(200)로의 전원 공급을 선택한다. 즉, 충전 스위치(212)의 입력에 따라 전원 공급부(260)가 음원 재생 모듈(200)만을 구동하기 위하여 전원을 공급할지 또는 음원 재생 모듈(200)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에도 전원을 공급할지 여부를 선택한다. 충전 스위치(212)에 의하여 컨트롤러부(230)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모바일 기기에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전원 공급부(260)의 전력량 및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LED(213) 등 별도의 표시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전력량 및 정상 동작 여부의 확인은 컨트롤러부(230)의 기능 확장을 위한 보조 컨트롤러부(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컨트롤러부는 음원이 재생되고 있지 않는 중에 하기의 재생 스위치(214)에 일정시간 동안 어떠한 선택 조작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음원 재생 모듈(20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재생 스위치(214)는 음원 재생 모듈(200)의 재생 기능 즉, 음원의 재생, 일시 정지, 이전 음원 재생 및 다음 음원 재생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볼륨 스위치(215)는 재생되는 음원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음장 스위치(216)를 추가로 구비하여 재생되는 음원의 음장 효과(sound effect)를 전환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음장 효과는 재즈, 클래식, 팝 등 음원의 종류에 따른 설정된 효과를 의미한다.
전원 스위치(217)는 음원 재생 모듈(200)의 온(ON), 오프(OFF)를 선택한다. 또한, 전원 스위치는 온(ON), 오프(OFF) 뿐만 아니라, 다른 스위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락(LOCK) 기능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모드 선택 스위치(218)는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이득 값을 다르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즉, 모드 선택 스위치에 따라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이득 값을 다르게 설정하여, 예를 들어 이어폰/헤드폰 포트(254)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가 고출력 또는 저출력의 아날로그 신호로 증폭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이어폰/헤드폰 포트(254)에 연결되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 등의 종류에 관계없이 각각 최적화된 음질의 음원을 들을 수 있게 된다.
운영 체제 선택 스위치(219)는 케이스(100)에 장착되는 모바일 기기의 종류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운영 체제 선택 스위치(219)는 IOS 및 Android를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하여 케이스(100)에 장착되는 모바일 기기의 운영 체제에 음원 재생 모듈(200)이 모두 호환되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운영 체제 선택 스위치(219)는 모바일 기기의 종류에 따라 운영 체제가 일단 선택되면, 음원 재생 모듈(200)의 구동 중에 운영 체제가 잘못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 면(140)에 대향하는 음원 재생 모듈(200)의 일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는 음원 재생 모듈(200)은 케이스(100)의 결합 면(1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의 케이스(100)와 음원 재생 모듈(20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습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즉,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의 분리된 모습을 상부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의 분리된 모습을 하부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이다.
음원 재생 모듈(200)은 케이스(100) 후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결합 면(140)에 일 단면이 접촉되어 결합된다. 또한, 케이스(100)에 형성되는 결합 면(140)은 상기 케이스(100)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함입 형성되어, 음원 재생 모듈(200)의 일 단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는 음원 재생 모듈(200)을 상기 케이스(1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체(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체(300)는 케이스(100) 또는 음원 재생 모듈(200)에 각각 설치되는 자성체 또는 금속체일 수도 있으나, 음원 재생 모듈(200)을 케이스(1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체(300)는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류를 통하여 음원 재생 모듈(200)을 케이스(100)에 결합하는 경우, 고정체(300)의 나사 결합을 위하여 케이스(100)에 구비되는 결합 면(140)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홀(160)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체(300)는 케이스(100)의 내면으로부터 결합 홀(160)을 통하여 음원 재생 모듈(2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음원 재생 모듈(200)을 고정체(300)에 의하여 나사 결합하는 경우, 케이스(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내면에 접하는 모바일 기기가 고정체(300)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 홀(160)은 케이스(100)의 내부로부터 감소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단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 홀(160)을 케이스(100)의 내부로부터 감소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단차 형성하는 경우, 고정체(300)의 단부는 결합 홀(16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음원 재생 모듈(200)에 결합되어 모바일 기기와의 접촉에 의한 스크래치 등의 발생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음원 재생 모듈(200)과 케이스(100)의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케이스(100)의 결합 면(140)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홈(180)이 형성되고, 음원 재생 모듈(200)에는 상기 걸림 홈(180)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28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 홈(180)은 케이스(100)의 결합 면(140)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 돌기(280)는 걸림 홈(180)에의 체결을 위하여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의 결합 면(140)에 걸림 홈(180)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걸림 홈(180)에 체결되는 걸림 돌기(280)가 케이스(100)의 내면으로 돌출되어 모바일 기기와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 홈(180)은 케이스(100)의 외면과 내면 사이로 함입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는 모바일 기기의 충전 단자부와 입력 단자부(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 부재(400)는 USB 단자 또는 라이트닝 단자가 양 단에 형성되는 연질의 케이블일 수도 있으나, 모바일 기기가 수용되는 케이스(100)와 음원 재생 모듈(200)에 추가적인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양 단부가 모바일 기기의 충전 단자부와 음원 재생 모듈(200)의 입력 단자부(220)에 각각 삽입 고정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접속 부재(400)는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속 부재(400)의 하우징이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속 부재(400)의 양 단에는 USB 단자 또는 라이트닝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각 단자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케이블이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접속 부재(400)는 입력 단자부(220) 및 충전 단자부를 향하여 각각 연장되는 연장부(410, 420) 및 상기 연장부(410, 4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430)를 구비하는 "U"자 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U"자 형의 형상으로 접속 부재(400)를 형성하는 경우, 음원 재생 모듈(200)의 입력 단자부(220)는 모바일 기기의 충전 단자부에 대응하는 방향, 즉, "U"자 형의 접속 부재(400)의 양측 연장부(410, 420)가 입력 단자부(220) 및 충전 단자부에 각각 삽입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면에서 케이스(100) 하단 중앙부의 개구된 영역이 모바일 기기가 결합되는 경우 충전 포트 등 충전 단자부가 위치하는 영역이며, 음원 재생 모듈(200)의 하단 중앙부(이어폰/헤드폰 포트(254) 및 라인 포트 사이(252))가 입력 포트 등 입력 단자부(220)가 위치하는 영역에 해당한다.
또한, 접속 부재(400)의 연결부(430)는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 면(140)으로부터 음원 재생 모듈(200)의 입력 단자부(220)의 거리는 고정되어 있는 반면, 결합 면(140)으로부터 모바일 기기의 충전 단자부의 거리는 모바일 기기의 두께 또는 케이스(100)의 두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기기 또는 케이스(100)에 모두 호환되어 적용 가능하도록 접속 부재(400)의 연결부(430)는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접속 부재(400)의 연결부(430)를 신축 가능하게 형성하기 위하여는, 경질의 재질을 가지는 연장부(410, 420)에 대하여 연결부(430)를 연질의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30)를 상호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1 연결 바(432) 및 제2 연결 바(434)를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연결부(430)를 형성하는 제1 연결 바(432) 및 제2 연결 바(434)를 슬라이드 결합하고, 각 연결 바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연결부(430)의 전체 길이를 증가 또는 단축시켜 연장부(410, 4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 부재(400)는 제1 연결 바(432)와 제2 연결 바(434) 사이에 인력을 제공하여 연장부(410, 42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음원의 디지털 신호를 고품질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재생되는 음원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100)에 이와 같은 음원 재생 모듈(200)을 결합하는 것으로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를 구성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100)와 음원 재생 모듈(20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결합 면(140)을 케이스(100)의 외면으로부터 함입 형성하여 음원 재생 모듈(200)의 일 단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고정체(300)에 의한 나사 결합, 걸림 홈(180)과 걸림 돌기(280)에 의한 체결 구조 등 전술한 하나 이상의 결합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절곡 형성되는 접속 부재(400)의 양 단부를 모바일 기기의 충전 단자부와 음원 재생 모듈(200)의 입력 단자부(220)에 각각 삽입 고정하여 케이스(100)와 음원 재생 모듈(200)에 추가적인 결합력을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케이스(100)와 음원 재생 모듈(200)의 결합력을 유지하면서도 음원 재생 모듈(200)을 모바일 기기에 대하여 다양하게 제조되는 케이스(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모바일 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100)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기기와 상호 호환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 120: 공간부
140: 결합 면 160: 결합 홀
180: 걸림 홈 200: 음원 재생 모듈
280: 걸림 돌기 300: 고정체
400: 접속 부재 410, 420: 연장부
432: 제1 연결 바 434: 제2 연결 바

Claims (16)

  1. 내부에 모바일 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에 결합 면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음원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단자부를 구비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음원 재생 모듈; 및
    상기 모바일 기기의 충전 단자부와 상기 입력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 재생 모듈은 상기 입력 단자부가 상기 충전 단자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결합 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접속 부재는 양 단부가 상기 입력 단자부 및 충전 단자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입력 단자부 및 충전 단자부를 향하여 각각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U"자 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원 재생 모듈은,
    상기 입력 단자부로부터 입력된 음원의 디지털 신호를 펄스 부호 변조(PCM: Pulse Code Modulaion)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부;
    상기 펄스 부호 변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원 재생 모듈은,
    상기 컨트롤러부 및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무선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 면은 상기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함입 형성되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음원 재생 모듈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체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합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상기 결합 홀을 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홀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감소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단차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는 단부가 상기 결합 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음원 재생 모듈에는 상기 걸림 홈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13. 삭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호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1 연결 바 및 제2 연결 바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연결 바 및 제2 연결 바 사이에 인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KR2020160003113U 2016-06-08 2016-06-08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KR200482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113U KR200482072Y1 (ko) 2016-06-08 2016-06-08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JP2017002390U JP3211886U (ja) 2016-06-08 2017-05-29 モバイル機器用ケース
DE202017103422.4U DE202017103422U1 (de) 2016-06-08 2017-06-07 Gehäuse für mobiles Endgerät
US15/618,118 US20170359642A1 (en) 2016-06-08 2017-06-08 Case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113U KR200482072Y1 (ko) 2016-06-08 2016-06-08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072Y1 true KR200482072Y1 (ko) 2016-12-12

Family

ID=5757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113U KR200482072Y1 (ko) 2016-06-08 2016-06-08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359642A1 (ko)
JP (1) JP3211886U (ko)
KR (1) KR200482072Y1 (ko)
DE (1) DE202017103422U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689A1 (ko) * 2017-08-24 2019-02-28 이성수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KR20200052502A (ko) * 2018-11-06 2020-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24085B1 (ko) * 2019-10-11 2021-03-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에 탈부착이 가능한 담배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89078A (ja) * 2018-04-26 2019-10-31 マクセル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USD907021S1 (en) * 2019-03-20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D870091S1 (en) * 2019-07-03 2019-12-17 Zero lemon Technology (Shenzhen) Co., Ltd. Phone case
USD908684S1 (en) * 2019-08-27 2021-01-26 Star Co Scientific Technologies Advanced Research Co, Llc Case for mobile pho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368B1 (ko) 2005-06-28 2007-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고음질의 음성 출력이 가능한 이동단말기의 음향처리장치
KR20130097462A (ko) * 2012-02-24 2013-09-03 주식회사 삼광 음향출력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KR20140004978U (ko) * 2013-03-06 2014-09-17 (주) 엔브이인터내셔널 스피커가 형성된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150010307A (ko) * 2013-07-19 2015-01-28 운 고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 형태의 오디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8708A (ko) * 2012-02-28 2013-09-05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US20150207351A1 (en) * 2012-07-09 2015-07-23 Google Inc. Mobil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368B1 (ko) 2005-06-28 2007-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고음질의 음성 출력이 가능한 이동단말기의 음향처리장치
KR20130097462A (ko) * 2012-02-24 2013-09-03 주식회사 삼광 음향출력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KR20140004978U (ko) * 2013-03-06 2014-09-17 (주) 엔브이인터내셔널 스피커가 형성된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150010307A (ko) * 2013-07-19 2015-01-28 운 고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 형태의 오디오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689A1 (ko) * 2017-08-24 2019-02-28 이성수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KR20190021844A (ko) * 2017-08-24 2019-03-06 이성수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KR101967158B1 (ko) 2017-08-24 2019-08-13 이성수 액세서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KR20200052502A (ko) * 2018-11-06 2020-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81257B1 (ko) 2018-11-06 2023-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24085B1 (ko) * 2019-10-11 2021-03-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에 탈부착이 가능한 담배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17103422U1 (de) 2017-10-18
JP3211886U (ja) 2017-08-10
US20170359642A1 (en)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072Y1 (ko)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KR100694158B1 (ko) 포터블 멀티미디어 기기에 사용되는 포터블 스피커 장치
US8315416B2 (en) Necklace type detachable three dimensional sound reproduction apparatus
KR100735428B1 (ko) 선택형 스테레오 헤드 셋 장치
JP4832530B2 (ja) 周囲音を出力するヘッドセット
KR100803653B1 (ko) 사용자 형상 설정 가능 미디어 재생 장치
KR100659506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스피커시스템 및 이를 위한 무선수신팩
US20070105599A1 (en) Assembly of a wireless earphone device and a charging base
KR20060110064A (ko) 무선형 스테레오 헤드 셋 시스템
CN110278508A (zh) 一种音源设备及其控制方法、耳机
US20090268922A1 (en) Personal computer adaptor device, personal computer signal reproducing system, personal computer reproducing method, personal computer signal reproducing program, output device control program, personal computer adaptor device control program, personal computer control program, power line communication connector device, cradle device using the same, and power line communication reproducing system
US2007006019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laying sound signals
JP3119248U (ja) 無線イヤホンデバイスおよび充電ベースのアセンブリー
CN211982144U (zh) 脖戴式耳机
KR200399023Y1 (ko)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KR20050053931A (ko) 오디오 신호 출력 기능을 갖는 핸드폰 충전기
KR100802003B1 (ko) 음향기기용 스피커 케이스
KR100705966B1 (ko) 디지털 음성 신호 파일의 재생 및 저장 기능을 내재한에코마이크
KR100405135B1 (ko) 무선방식의 오디오교환기능을 갖는 이어폰/마이크장치
CN214413007U (zh) 颈挂式耳机
KR20010091560A (ko) 오디오 데이터 재생기능을 갖는 충전기
KR100632112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팩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CN214315582U (zh) 头戴式耳机
KR100847899B1 (ko) Mp3플레이어를 구비한 카세트플레이어
JP2002261893A (ja) 携帯型通信端末及びその充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