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023Y1 -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 Google Patents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023Y1
KR200399023Y1 KR20-2005-0023011U KR20050023011U KR200399023Y1 KR 200399023 Y1 KR200399023 Y1 KR 200399023Y1 KR 20050023011 U KR20050023011 U KR 20050023011U KR 200399023 Y1 KR200399023 Y1 KR 200399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portable terminal
portable
main body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무
채홍태
Original Assignee
이병무
채홍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무, 채홍태 filed Critical 이병무
Priority to KR20-2005-0023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0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0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인이 휴대 가능한 휴대폰을 포함한 음향 단말기용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의 일측면에 슬라이드 노드에 의해 돌출 혹은 비돌출되어지며 돌출동작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단자에 플러그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오디오잭과; 상기 오디오잭에 들어온 아날로그 신호 및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디코더(Decoder)한 신호를 변형 또는 조절하여 각자의 취향에 맞게 보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저항가변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데이터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조절부와; 상기 볼륨조절부를 통해 크기가 조절된 작은 신호를 크게 증폭시키는 증폭부; 및 본체의 정면에는 위치하며 상기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로 변환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를 제공하면, 자체적으로 충전용 배터리를 구비하고 음향단말기와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서 단말기의 오디오 잭에 단순히 연결함에 의해 자체적인 앰프와 스피커로 음향 단말기의 음향을 최대한 원음과 희망하는 크기로 즐길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portable speaker for portable terminal of small size}
본 고안은 개인이 휴대 가능한 휴대폰을 포함한 음향 단말기용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체적으로 충전용 배터리를 구비하고 음향단말기와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서 단말기의 오디오 잭에 단순히 연결함에 의해 자체적인 앰프와 스피커로 음향 단말기의 음향을 최대한 원음과 희망하는 크기로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수년동안 휴대폰을 포함한 소형 단말기의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여, 대부분의 사람이 보유할 정도로 보편화된 전자제품 중의 하나가 되었다.
또한, 휴대폰의 기능도 최근 몇 년 동안 급격히 발전을 거듭하여 인터넷, 이메일 송수신, 화상송수신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휴대폰의 일반적인 형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폰은 본체(1)의 하단부에는 버튼 형성부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2)가 힌지결합에 의하여 복개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그 본체(1)의 상단부에는 글자나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가 설치되어 있고, 그 디스플레이부(3)의 일측에는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미도시)가 입,출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본체(1)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키 패드(5)들이 설치되어 있는 패드부(6)가 설치되어 있고, 그 패드부(6)의 하측 내부에는 마이크(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측에는 스피커(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의 후면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배터리(9)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휴대폰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거나, 포켓에 넣은 상태로 이동을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목걸이 줄을 이용하여 목에 걸은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전화를 걸때는 커버(2)를 열고 패드부(6)에 설치된 키패드(5)들을 눌러서 전화를 걸고, 그 밖에 인터넷 및 게임을 하는 경우에도 키패드(5)들을 눌러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휴대폰의 사용 중에 배터리(9)가 소진되면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충전기에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고, 일정시간 경과되도록 하여 전기에 의한 단말기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휴대폰은 스피커(8)가 주파수 대역이 100 Hz ~ 5 KHz 이기 때문에 주파수 대역이 20 ~ 20 KHz 인 넓은 오케스트라, 동영상, VOD 재생시에 충분한 원음재생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개인이 휴대 가능한 휴대폰을 포함한 음향 단말기용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체적으로 충전용 배터리를 구비하고 음향단말기와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서 단말기의 오디오 잭에 단순히 연결함에 의해 자체적인 앰프와 스피커로 음향 단말기의 음향을 최대한 원음과 희망하는 크기로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휴대폰의 경우 마이크를 내장하여 핸드프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의 특징은, 본체의 일측면에 슬라이드 노드에 의해 돌출 혹은 비돌출되어지며 돌출동작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단자에 플러그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오디오잭과; 상기 오디오잭에 들어온 아날로그 신호 및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디코더(Decoder)한 신호를 변형 또는 조절하여 각자의 취향에 맞게 보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저항가변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데이터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조절부와; 상기 볼륨조절부를 통해 크기가 조절된 작은 신호를 크게 증폭시키는 증폭부; 및 본체의 정면에는 위치하며 상기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로 변환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배터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지며, 상기 오디오잭과 데이터 변환부사이에 연결되며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오디오잭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달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은, 상기 볼륨조절부는 버튼타입(대/중/소) 혹은 가변저항을 이용한 로터리 타입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모노 음향과 스테레오 음향을 구분함에 따라 오디오잭을 통하여 대용량의 스테레오 데이터가 입력가능한 데 있다.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의 스피커측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의 배터리측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측면 사시도에서 배터리 분리 및 슬라이드 동작 예시도이다.
첨부한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체의 정면에는 스피커(130)가 구비되며, 후면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배터리(15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본체의 일측면에는 슬라이드 노드(110)에 의해 돌출 혹은 비돌출되어지는 오디오잭(100)이 구비되며, 본체의 타측면에는 스피커 볼륨 등을 조절하기 위한 키패드(140)와 핸드프리용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마이크(120)등이 구비되어 진다.
이때, 첨부한 도 2내지 도 4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슬라이드 노드(110)의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는 록킹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역시 충전 배터리(150)의 탈착을 위한 구조가 구비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첨부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충전 배터리(150)가 착탈되는 것을 실시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위치하여 커넥터를 통해 충전되는 방식을 적용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은 외적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의 동작을 첨부한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의 블록 구성 예시도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단자에 플러그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오디오잭(100)과, 상기 오디오잭(100)에 들어온 아날로그 신호 및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디코더(Decoder)한 신호를 변형 또는 조절하여 각자의 취향에 맞게 보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변환부(140A)와, 저항가변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데이터 변환부(140A)를 통해 변환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키패드 타입의 볼륨조절부(140)와, 상기 볼륨조절부(140)를 통해 크기가 조절된 작은 신호를 크게 증폭시키는 증폭부(140B)와, 상기 증폭부(140B)를 통해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로 변환시키는 스피커(130)를 포함한다.
또한, 큰 소리로 통화 할 수 있게 하는 마이크(120)가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마이크(120)에는 증폭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리소스(resource) 신호, 즉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단자에 플러그인 동작하는 오디오잭(100)을 통해 전송된 아날로그 신호 및 PCM 데이터를 디코더한 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잭(100)을 통해 전송된 상기 리소스 신호는 변형 또는 조절되어 각자의 취향에 맞게 보정하는 데이터변환부(140A)를 거친다.
그 다음에, 상기 데이터변환부(140A)를 거친 상기 리소스 신호는 볼륨조절부(140)를 통해 그 신호의 크기가 조절되고, 증폭부(140B)를 통해 증폭되면, 사용자는 스피커(130)를 통해 크고 충실한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볼륨조절부(140)는 첨부한 도 2에서 버튼타입(대/중/소)의 키패드로 표시하였으나, 가변저항을 이용한 로터리 타입으로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오디오잭(100)과 연결된 마이크(120)를 통해 큰소리로 통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변환부(140A)는 모노 음향과 스테레오 음향을 구분할 수 있으므로 인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의 이어폰을 통해 음악을 듣는 것과 달리 휴대용 단말기측으로부터 대용량의 스테레오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휴대의 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오디오잭(100)은 본체 내부로 들어가거나 필요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는 슬레이드 노드(110)를 통해 사용자가 조정하게 되는데, 이때 불필요한 돌출 및 삽입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록킹구조(도시하지 않았음)를 갖는다.
이때의 록킹구조는 매우 다양할 수 있으나 그 구조상 직교 슬라이드 방식의 록킹수단을 사용하거나, 슬라이드 노드(110)의 슬라이드 동작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면상에 다수의 요홈을 형성하고 해당 요홈에 안착되는 탄성력을 갖는 걸림턱을 구비시키는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첨부한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오디오잭의 형상을 통상의 오디오단자의 현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예로서 근래 출시되고 있는 소형 휴대 단말기중 오디오 단자의 형상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품들이 다수 출시되고 있는데 본 고안이 적용되는 휴대용 스피커의 경우 오디오 단자는 적용 제품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예를 들면 첨부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를 제공하면, 자체적으로 충전용 배터리를 구비하고 음향단말기와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서 단말기의 오디오 잭에 단순히 연결함에 의해 자체적인 앰프와 스피커로 음향 단말기의 음향을 최대한 원음과 희망하는 크기로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폰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의 스피커측면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의 배터리측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측면 사시도에서 배터리 분리 및 슬라이드 동작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의 블록 구성 예시도
도 6은 오디오잭의 구조가 다른 경우의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오디오잭 140A : 데이터 변환부
140 : 볼륨조절부 140B : 증폭부
130 : 스피커

Claims (7)

  1. 본체의 일측면에 슬라이드 노드(110)에 의해 돌출 혹은 비돌출되어지며 돌출동작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단자에 플러그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오디오잭(100)과;
    상기 오디오잭(100)에 들어온 아날로그 신호 및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디코더(Decoder)한 신호를 변형 또는 조절하여 각자의 취향에 맞게 보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변환부(140A)와;
    저항가변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데이터 변환부(140A)를 통해 변환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조절부(140)와;
    상기 볼륨조절부(140)를 통해 크기가 조절된 작은 신호를 크게 증폭시키는 증폭부(140B); 및
    본체의 정면에는 위치하며 상기 증폭부(140B)를 통해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로 변환시키는 스피커(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배터리(15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본체 내부에 축전용 배터리가 위치하고 외부 커넥터를 통해 충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잭(100)과 데이터 변환부(140A)사이에 연결되며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오디오잭(100)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달하는 마이크(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조절부(140)는 버튼타입(대/중/소) 혹은 가변저항을 이용한 로터리 타입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140A)는 모노 음향과 스테레오 음향을 구분함에 따라 오디오잭(100)을 통하여 대용량의 스테레오 데이터가 입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노드(110)의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는 록킹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7. 제 1항에 있어서,
    스피커 볼륨 등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조절부(140)와 핸드프리용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마이크(120)등은 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KR20-2005-0023011U 2005-08-09 2005-08-09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KR200399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011U KR200399023Y1 (ko) 2005-08-09 2005-08-09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011U KR200399023Y1 (ko) 2005-08-09 2005-08-09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700A Division KR100679281B1 (ko) 2005-08-09 2005-08-09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023Y1 true KR200399023Y1 (ko) 2005-10-18

Family

ID=4370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011U KR200399023Y1 (ko) 2005-08-09 2005-08-09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0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249B1 (ko) 2006-03-13 2007-03-16 주식회사 이원테크 휴대용 스피커 장치
KR100919642B1 (ko) * 2007-12-17 2009-09-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향성 음향 생성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249B1 (ko) 2006-03-13 2007-03-16 주식회사 이원테크 휴대용 스피커 장치
KR100919642B1 (ko) * 2007-12-17 2009-09-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향성 음향 생성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7948B2 (en) Personal portable integrator for music player and mobile phone
CN101401399B (zh) 提供环境声音的耳机
US20060046656A1 (en) Bluetooth headset and bluetooth device connectable to audio equipment
KR100936393B1 (ko) 스테레오 블루투스 헤드셋
KR20060110063A (ko) 케이블 접속형 스테레오 헤드 셋
KR20060110064A (ko) 무선형 스테레오 헤드 셋 시스템
CN101427552A (zh) 无线立体声免提配件
KR200399023Y1 (ko)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CN210724784U (zh) 一种耳挂式对讲机
KR20110080306A (ko) 보청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KR100679281B1 (ko)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KR20010059527A (ko) 휴대폰의 이어 마이크
JP3112619U (ja) 携帯機器用のイヤホン装置
JP2001298785A (ja) 中継スイッチ装置
KR100433493B1 (ko) 휴대폰을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
KR200172561Y1 (ko) 휴대전화기 및 음향 기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핸즈프리 이어폰
CN215453243U (zh) 一种带声卡的多功能耳机
KR100632112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팩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300096Y1 (ko) 이동형 음향기기 및 휴대전화 공용 이어폰 세트
JP2002016675A (ja) 多機能携帯電話
KR200178279Y1 (ko) 스위칭 기능을 가진 이어-마이크로폰
KR200262904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이어폰
KR200415722Y1 (ko) 순간 음 소거기능을 갖는 이어폰
KR19990014414A (ko) 탁상용 핸드폰 충전기의 핸드프리 장치
KR200183246Y1 (ko) 이여폰에 컴퓨터 스피커 연결 단자를 내장한 이여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