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904Y1 - 핸드폰용 핸즈프리 이어폰 - Google Patents

핸드폰용 핸즈프리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904Y1
KR200262904Y1 KR2020010035144U KR20010035144U KR200262904Y1 KR 200262904 Y1 KR200262904 Y1 KR 200262904Y1 KR 2020010035144 U KR2020010035144 U KR 2020010035144U KR 20010035144 U KR20010035144 U KR 20010035144U KR 200262904 Y1 KR200262904 Y1 KR 200262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icrophone
earphone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홍
Original Assignee
박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홍 filed Critical 박기홍
Priority to KR2020010035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9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904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적인 통화기능이외에 확장된 기능을 가지며 사용 및 휴대가 편리한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전기신호의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소정 길이의 코드; 상기 코드와 연결되며 통신가능하게 휴대폰의 연결잭에 삽입되는 플러그; 상기 코드와 연결되며 통화상대방의 전기적 음성신호를 인식가능한 음성으로 변환하는 이어폰; 그리고 상기 코드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음성을 적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각종 기능의 수행을 위한 조작부와 상기 이어폰, 마이크 및 조작부와 연동하여 사용자와 상대방사이의 통화 및 소정의 음성정보의 녹음/재생을 위해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음성처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핸드폰용 핸즈프리 이어폰{HAND FREE EARPHONE FOR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핸드폰용 주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핸드폰과 연결되어 핸드폰 자체를 직접 이용하지 않고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은 사용자가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통화 가능하게 해주며 이와 같은 사용상 편리성으로 인하여 핸드폰 사용은 계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대중적인 보급으로 인해 상기 핸드폰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해주는 여러 가지 주변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어마이크폰을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이를 참조하여 상기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어마이크폰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길이의 코드(1), 상기 코드(1) 양 끝단에 각각 연결되는 플러그(2) 및 이어폰(4), 그리고 상기 플러그(2) 및 이어폰(4) 중간에 연결되는 마이크(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코드(1)에는 상기 이어마이크폰 자체를 사용자에게 부착시키기 위한 클립(5)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이어마이크폰 사용시 전화를 받거나 거는 경우 둘 다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a)를 누름으로서 통화가 개시된다. 이 후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상기 이어폰(4)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되어 사용자에게 출력되고, 사용자의 음성은 상기 마이크(3)를 통해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핸드폰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또한 통화종료는 마찬가지로 상기 스위치(3a)를 누름으로서 수행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드폰 자체에 내장된 마이크나 스피커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즉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통화할 수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핸드폰 이용의 확산으로 인해, 핸드폰 뿐만 아니라 각종 주변장치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들의 요구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시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통화기능이외에도 부가적인 기능들이 상기 이어마이크폰에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통화기능이외에 보다 확장된 기능을 갖는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음성처리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코드 20 : 플러그
30 : 이어폰 40 : 음성처리기
41 : 마이크 42 : 조작부
42a : 통화 스위치 42b : 녹음 스위치
42c : 재생 스위치 43 : 신호처리부
43a : 마이크 합성부 43b : 이어폰 합성부
43c : 논리/메모리부 43d : 제 1 증폭부
43e : 제 2 증폭부 44 : 전지
50 : 클립 61 : 목걸이 끈
62 : 밴드 63 : 연결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기신호의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소정 길이의 코드; 상기 코드와 연결되며 통신가능하게 휴대폰의 연결잭에 삽입되는 플러그; 상기 코드와 연결되며 통화상대방의 전기적 음성신호를 인식가능한 음성으로 변환하는 이어폰; 그리고 상기 코드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음성을 적기적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각종 기능의 수행을 위한 조작부와 상기 이어폰, 마이크 및 조작부와 연동하여 사용자와 상대방사이의 통화 및 소정의 음성정보의 녹음/재생을 위해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음성처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는 착신시 상대방과의 통화를 개시하거나 통화를 종료하기 위한 통화스위치; 통화중 통화내용을 녹음하거나 사용자의 음성메모를 상기 음성처리기에 녹음시키기 위한 녹음 스위치; 그리고 상기 녹음된 통화내용 또는 음성메모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 입력된 음성을 상기 마이크와 함께 처리가능한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합성부;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이어폰에서 출력가능한 음성으로 변환시키는 이어폰 합성부; 상기 마이크 합성부 및 이어폰 합성부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고 소정의 음성신호를 저장 및 출력하는 논리 및 메모리부; 상기 마이크 합성부 및 논리/메모리부사이에 연결되며 녹음시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 1 증폭부; 그리고 상기 논리/메모리부 및 이어폰 합성부사이에 연결되며 재생시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 2 증폭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은 상기 사용자 목에 걸 수 있도록 목걸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음성처리기에 부착되는 목걸이 끈 및 상기 음성처리기 및 상기 핸드폰을 연결하는 밴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이어마이크폰의 음성처리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은 소정길이를 갖는 코드(10), 상기 코드(1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플러그(20), 상기 코드(10)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는 이어폰(30), 그리고 상기 코드(10)를 통해 상기 플러그(20) 및 이어폰(30)사이에 연결되며 마이크(41)등을 내장하여 통화기능 뿐만 아니라 소정의 음성정보의 녹음 및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음성처리기(4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코드(10)에는 사용자 의복에 물려서 상기 이어마이크폰을 사용자에게 부착시키기는 클립(50)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코드(10)는 일반적인 전기도선에 보호 피복을 입힌 형태를 가지며, 통화를 위한 전기신호의 양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플러그(20)는 핸드폰에 내장된 잭(jack)에 삽입되어 이어마이크폰 자체를 핸드폰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이에 따라 코드(10)에 연결된 각 구성요소들(즉, 이어폰(30), 음성처리기(40)등)과 핸드폰사이에서 전기신호가 상호 교환되게 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30)은 전달된 통화 상대방의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이어마이크폰에 있어서 상기 코드(10), 플러그(20), 이어폰(30) 및 클립(50)등은 앞서 설명된 일반적인 이어마이크폰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음성처리기(4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음성처리기(4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통화기능 및 녹음/재생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일정 형태의 케이스 외부에 장착된 마이크(41) 및 조작부(42)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회로인 신호처리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마이크(41)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신호처리부(43)에서 처리가능하며 상기 핸드폰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될 수 있는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조작부(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처리기(40) 외부에 노출된 버튼형태이며 통화 스위치(42a), 녹음 스위치(42b), 재생 스위치(42c)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화스위치(42a)는 착신시 상대방과의 통화를 개시하거나 통화를 종료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녹음 스위치(42b)는 소정의 음성정보를 음성처리기(40) 내부에 녹음시킬 때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재생 스위치(42c)는 이러한 녹음된 음성정보를 재생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버튼형태의 각 스위치(42a,42b,42c)를 사용자가 누르는 경우, 상기 내장된 신호처리부(43)가 작동되도록 일정 제어신호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앞서 언급된 각 스위치별(42a,42b,42c)로 지정된 기능들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각스위치(42a,42b,42c)들이 토글(toggle) 될 때마다 해당 기능이 온/오프된다.
끝으로, 상기 신호처리부(4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처리기(40) 내부의 회로부이며, 상기 이어폰(30), 마이크(41) 및 조작부(42)와 연동하여 각종 기능(즉, 통화, 녹음 및 재생기능)이 수행되도록 관련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신호처리부(43)는 상기 마이크(41) 및 이어폰(30)과 각각 직결되며 상기 코드(10) 및 플러그(20)를 통해 핸드폰과 연결되는 마이크 합성부(43a) 및 이어폰 합성부(43b), 상기 마이크 합성부(43a) 및 이어폰 합성부(43b)사이에 연결되는 논리 및 메모리부(43c)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 합성부(43a) 및 논리/메모리부(43c)사이에는 제 1 증폭부(43d)가 연결되며, 상기 논리/메모리부(43c) 및 이어폰 합성부(43b)사이에는 제 2 증폭부(43e)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신호처리부(43)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지(44)가 또한 상기 음성처리기(40)내부에 내장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마이크 합성부(43a)는 상기 마이크(41)와 더불어 이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처리가능한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조작부(42)에서 선택된 기능에 따라 전기적 음성신호를 상기 논리/메모리부(43c) 또는 상기 플러그(20)를 통해 핸드폰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 합성부(43b)는 상기 조작부(42)에서 선택된 기능에 따라 상기 논리/메모리부(43c) 또는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으며, 이러한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이어폰(30)에서 출력가능한 음성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논리/메모리부(43c)는 일차적으로 직결된 조작부(42)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다른 구성부(43a,43b,43e,43d)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논리/메모리부(43c)는 상기 조작부(42)에서 녹음기능 선택시 소정의 음성정보를 내부에 저장하며, 재생기능 선택시 저장된 음성정보를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음성정보는 통화중 사용자와 상대방사이의 통화내용 또는 사용자 자신의 음성메모가 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 1 증폭부(43d)는 녹음시 상기 마이크 합성부(43a)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논리/메모리부(43c)로 출력하며 상기 제 2 증폭부(43e)는 재생시 상기 논리/메모리부(43c)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이어폰 합성부(43b)로 출력한다.
한편, 보다 편리하게 착용 및 사용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이어마이크폰은 사용자 목에 걸 수 있도록 목걸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는 이러한 목걸이 형태를 갖는 본 고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은 상기 음성처리기(40)에 부착되는 목걸이 끈(61) 및 상기 음성처리기(40) 및 핸드폰을 연결하는 밴드(6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걸이 끈(61)은 착용시 사용자의 목에 걸리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어폰(30)이 사용자의 귀에 분리되어도 거추장스럽지 않게하고 또한 비교적 연약한 코드(10)를 보호하기 위하여 음성처리기(40) 및 이어폰(30)사이의 코드(10)를 부분적으로 내장한다.
여기서 소정의 연결부(63)가 상기 음성처리기(4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며상기 밴드(62)가 이러한 연결부(63)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63)를 음성처리기(40)로부터 분리함으로서 상기 이어마이크폰 전체가 용이하게 핸드폰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보다 실질적인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은 부가적인 음성정보의 녹음/재생기능 뿐만 아니라 사용 및 휴대상의 편리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고안 이어마이크폰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어마이크폰 사용시 플러그(20)를 사용자의 휴대폰에 삽입 연결시키고 이어폰(30)을 사용자의 귀에 꽂은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은 사용자의 의복포켓이나 가방등과 같은 곳에 적절히 휴대되며, 상기 이어마이크폰도 또한 클립(50)을 사용하여 사용자 의복에 장착된다. 다른 한편, 본 고안의 변형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이어마이크폰은 이에 일체화된 목걸이 끈(61)을 사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목에 걸고 다닐 수 있다.
여기서 통화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통화 스위치(42a)를 누르면 소정의 제어신호가 상기 논리/제어부(43c)에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논리/제어부(43c)는 먼저 상기 통화가능상태가 되도록 휴대폰으로 소정의 신호를 전송한다. 동시에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마이크 합성부(43a)거쳐 마이크(41)까지 이어지는 사용자 음성전달채널 및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이어폰 합성부(43b)거쳐 이어폰(30)까지 이어지는 상대방 음성전달채널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2개의 독립적 음성채널을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은 마이크(41) 및 마이크 합성부(43a)를 통해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상대방에 전달되며,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이어폰 합성부(43b) 및 이어폰(30)을 거쳐 음성으로 전환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이러한 통화기능 사용시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고도 상대방과 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어마이크폰은 사용자에게 부가기능인 음성정보의 녹음 및 재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녹음 기능은 세부적으로 상대방과의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통화녹음기능 및 사용자 자신의 음성만을 저장하는 음성메모녹음기능으로 이루어진다.
통화 녹음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통화중에 상기 녹음 스위치(42b)를 누르면 이로부터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논리/제어부(43c)는 상대방 음성 전달 채널을 상기 이어폰 합성부(43b) 뿐만 아니라 마이크 합성부(43a)도 경유하도록 설정한다. 이에 따라,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먼저 상기 마이크 합성부(43a)에 전달되고 상기 제 1 증폭부(43d)에서 소정크기로 증폭된 후, 상기 논리/메모리부(43c)에 저장된다. 이와 동시에 앞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게 상기 이어폰 합성부(43b)에 전달된 상대방 음성신호는 이어폰(30)을 거쳐 사용자에게 인식가능한 음성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41) 및 마이크 합성부(43a)를 통해 음성신호화된 사용자 음성은 상기 핸드폰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제 1 증폭부(43d)에서 증폭되어 상기 논리/메모리부(43c)에 저장된다.
음성메모 녹음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통화중이 아닐 때 상기 녹음스위치(42b)를 누르면, 사용자의 음성만이 상기 통화기능 사용시와 유사하게 상기 마이크(41) 및 마이크 합성부(43a)에서 전기적 신호로 전환되어 제 1 증폭부(43d)를 거쳐 상기 논리/메모리부(43c)에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상시 종이 및 펜을 이용하지 않고도 이와 같은 음성메모 녹음기능을 사용하여 중요한 사항을 즉시 음성으로 저장해놓을 수 있다.
끝으로 상기 재생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재생 스위치(42c)를 누르면, 제어 신호를 전달받은 논리/메모리부(43c)는 기저장된 음성신호를 상기 제 2 증폭부(43e)로 출력한다. 이러한 음성신호를 전달받은 제 2 증폭부(43e)는 이를 증폭시켜 상기 이어폰 합성부(43b)로 전달하며 상기 이어폰(30)을 거쳐 음성으로 전환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즉, 사용자는 본 고안의 이어마이크폰을 작용한 상태에서 상기 녹음기능을 사용하여 저장된 음성정보(통화내용 또는 음성메모)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술된 본 명세서에서 단지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그 취지와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많은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이어마이크폰은 제 1 및 제 2 증폭기와 논리/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신호처리부를 내장함으로서 사용자에게 일반적인 통화기능 이외에도 음성정보의 녹음 및 재생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즉, 상기 녹음 및 재생기능을 이용함으로서 사용자는 상대방과의 통화내용 및 자신의 음성메모를 자유롭게 녹음 및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어마이크폰 기능의 확장을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가 만족될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편리함이 제공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고안의 이어마이크폰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통화, 녹음 및 재생기능을 위한 구성부품들이 하나의 음성 처리기에 통합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소형 저중량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상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러한 통합 설계로 인해 모든 기능등이 음성처리기 조작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으므로 실제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와 더불어 목걸이 일체형 설계는 본 고안에 있어서 사용자의 휴대성을 더욱 확장시키는 효과를 부가적으로 가져온다.

Claims (5)

  1. 전기신호의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소정 길이의 코드;
    상기 코드와 연결되며 통신가능하게 휴대폰의 연결잭에 삽입되는 플러그;
    상기 코드와 연결되며 통화상대방의 전기적 음성신호를 인식가능한 음성으로 변환하는 이어폰; 그리고
    상기 코드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음성을 적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각종 기능의 수행을 위한 조작부와 상기 이어폰, 마이크 및 조작부와 연동하여 사용자와 상대방사이의 통화 및 소정의 음성정보의 녹음/재생을 위해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음성처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착신시 상대방과의 통화를 개시하거나 통화를 종료하기 위한 통화스위치;
    통화중 통화내용을 녹음하거나 사용자의 음성메모를 상기 음성처리기에 녹음시키기 위한 녹음 스위치; 그리고
    상기 녹음된 통화내용 또는 음성메모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가
    입력된 음성을 상기 마이크와 함께 처리가능한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합성부;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이어폰에서 출력가능한 음성으로 변환시키는 이어폰 합성부;
    상기 마이크 합성부 및 이어폰 합성부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고 소정의 음성신호를 저장 및 출력하는 논리 및 메모리부;
    상기 마이크 합성부 및 논리/메모리부사이에 연결되며 녹음시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 1 증폭부; 그리고
    상기 논리/메모리부 및 이어폰 합성부사이에 연결되며 재생시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 2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목에 걸 수 있도록 목걸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처리기에 부착되는 목걸이 끈 및 상기 음성처리기 및 상기 핸드폰을 연결하는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
KR2020010035144U 2001-11-15 2001-11-15 핸드폰용 핸즈프리 이어폰 KR200262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144U KR200262904Y1 (ko) 2001-11-15 2001-11-15 핸드폰용 핸즈프리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144U KR200262904Y1 (ko) 2001-11-15 2001-11-15 핸드폰용 핸즈프리 이어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121A Division KR20010111074A (ko) 2001-11-15 2001-11-15 핸드폰용 핸즈프리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904Y1 true KR200262904Y1 (ko) 2002-03-18

Family

ID=7305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144U KR200262904Y1 (ko) 2001-11-15 2001-11-15 핸드폰용 핸즈프리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9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396B1 (ko) * 2002-12-06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핸즈프리모드에서 수신된 콜을 종료하는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396B1 (ko) * 2002-12-06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핸즈프리모드에서 수신된 콜을 종료하는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0296B (fi) Kädet vapaana -toiminto
US20060262949A1 (en) Cable-connectable stereo headset
US8014824B2 (en) Article of manufacture integrated with music and telephonic communication devices
US7548617B2 (en) Bluetooth earphone
US200200686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source device and content delivery via wireless connection
JP2001197173A (ja) コードレス電話器と、コードレス電話器内にデジタルビットストリーム音楽プレイヤを組み込む方法
US7616760B2 (en) Headset for use with a communication and/or multimedia device
KR20010092569A (ko) 탈착 가능한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기
US20080298613A1 (en) Wireless headset with mic-side driver cut-off
USRE43872E1 (en) Headset for use with a communication and/or multimedia device
JP4396003B2 (ja) 通信端末装置
KR100359664B1 (ko)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 장치
KR200262904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이어폰
KR20010111074A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이어폰
KR200438262Y1 (ko) 엠피쓰리 장치
JP2002027029A (ja) 通信端末装置
KR200399023Y1 (ko)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JP2002084347A (ja) 携帯電話機用イヤホーンマイク
CN207474077U (zh) 播放盒
JP2004254023A (ja) 音楽再生システム
JP3026810U (ja) 携帯端末機用イヤホン・マイク
KR200218654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이어폰 장치
KR100385018B1 (ko)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 장치
KR200191769Y1 (ko) 마이크 겸용 이어폰
KR200364501Y1 (ko) 음성 저장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