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9664B1 -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664B1
KR100359664B1 KR1020000036665A KR20000036665A KR100359664B1 KR 100359664 B1 KR100359664 B1 KR 100359664B1 KR 1020000036665 A KR1020000036665 A KR 1020000036665A KR 20000036665 A KR20000036665 A KR 20000036665A KR 100359664 B1 KR100359664 B1 KR 100359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external device
input
digital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6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8798A (ko
Inventor
이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뮤즈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1346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49438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뮤즈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뮤즈텔
Priority to KR1020000036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9664B1/ko
Priority to JP2000269910A priority patent/JP2001265360A/ja
Publication of KR20000058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6Portable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 또는 컴퓨터 등의 외부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무게 및 크기를 줄여 휴대하기 간편한 소형, 경량구조의 휴대형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적어도 2종의 외부기기와 접속되며, 외부기기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송부받는 복수 개 전원입력 단자와 외부기기와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단자 및 외부기기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제어신호를 인가받기 위한 단자를 구비하는 코넥터부와 코넥터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각 기능블록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분배부 및 외부기기 구분제어신호에 따라 전송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외부기기의 종류에 적합하게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부기기로부터 전원과 디지털 데이터를 인가받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digital media playback apparatus}
본 발명은 MP3 및 AAC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내에 전원부를 구비하지 않고 접속 코넥터를 이용하여 휴대폰과 컴퓨터를 포함하는 외부기기와 접속하여 휴대형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고 부가 기능 등을 제공받는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는 본체내에 필수적으로 배터리 (BATTERY)전원을 장착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배터리 전원이 차지하는 크기 및 무게는 휴대형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를 소형화와 경량화를 하는데 제한을 주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빈번한 배터리전원의 교체는 경제적으로도 부담이 되고 번거로운 일이 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음성 저장장치(VOICE RECORDER)와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 그리고 널리 보급되어 있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기기들 상호간에 작동을 해야하는 경우, 예를 들면, 휴대폰으로 통화하면서 동시에 통화 내용을 디지털 음성 저장 장치에 저장하거나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로부터 재생음을 휴대폰 통화 상대자에게 송신음과 믹스(MIX)하여 전달하는 것과 같은 작동은 불편하고 어려운 일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폰 또는 컴퓨터 등의 외부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무게 및 크기를 줄여 휴대하기 간편한 소형, 경량구조의 휴대형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 통신포트와 휴대폰의 통신포트와의 접속을 자동으로 감지하기 위한 코넥터의 구조를 갖는 휴대형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로부터 생성되는 신호와 휴대폰 등의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합성하는 간단한 회로로 구성된 믹서부를 갖는 휴대형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나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단자 구성을 갖는 휴대형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사용상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코넥터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믹서부 회로 구성도.
도 5는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와 휴대폰의 통신단자(UART)를 연결하는 접속 코넥터 A의 연결구조도.
도 6은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와 컴퓨터의 통신단자(USB)와 연결하는 접속 코넥터 B의 연결구조도.
도 7은 접속 코넥터 A 및 접속 코넥터 B의 구성 중 본 발명의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외부연결단자(61)에 삽입되는 포트부분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 : 메모리부 11 : 램(RAM)
12 : 롬(ROM) 13 :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20 : 씨피유(CPU) 30 : 디코더 처리부
31 : 디에스피 처리부 32 : A/D 변환부 및 D/A 변환부
33 : 믹서부(Mixer Part) 34 : 마이크 증폭기(MIC AMP)
35 : 스피커 증폭기(SPK AMP) 40 : 마이크(MIKE)
50 : 스피커(Speaker) 60 : 코넥터부(Connector Part)
61 : 외부연결단자
62 : 마이크 단자(MIC) 63 : 스피커 단자(SPK)
64 : 전원단자(Vcc) 65 :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단자(Dp)
66 :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단자(Dm) 67 : 전원단자(GND)
70 : USB 인터페이스(USB Interface Part)
80 : 범용 인터페이스부(General Interface Part)
90 : 컨트롤키패드부(Control Key Pad Part)
100: 디스플레이부(Display Part) 110: 전원분배부(Power Distributor)
160: 접속 코넥터 A 170: 접속 코넥터 B
MP3를 포함하는 디지털 미디어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외부기기와 접속되며, 상기 외부기기와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단자 및 복수 개의 아나로그 신호 송수신 단자를 구비하는 코넥터부;상기 코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기기와 송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미디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상기 아나로그 신호 송수신 단자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나로그 신호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미디어가 재생되는 아나로그 신호를 믹서하는 믹서부; 및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미디어의 전송을 제어하고,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나로그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믹서부에 믹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에 의해서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에 적용하는 상기 코넥터부에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송부받는 복수 개 전원입력 단자가 더 구비되고,상기 코넥터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각 기능 블록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분배부를 더 구비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넥터부의 상기 아나로그 신호 송수신 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아나로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어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에 부착되는 외부기기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에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나로그 신호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재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믹스하는 믹서부를 구비함으로써 휴대폰의 통화내역 녹음 및 디지털 미디어 재생 장치의 재생음을 휴대폰으로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 전원 입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가 가운데 배치되고, 복수 개 아나로그 신호 송수신단자와 상기 복수 개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단자는 각각 이웃하면서 상기 가운데 배치된 전원 단자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가운데 배치된 전원 입력 단자를 제외한 나머지 전원 입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복수 개 아나로그 신호 송수신 단자 및 상기 복수개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단자보다 바깥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에 의해서도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재생용 디지털 미디어 파일, 제어 프로그램 및 동작중 내부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디지털 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압축해제하고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받은디지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압축하는 디에스피 처리부와 상기 음성 입력단자 또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상기 디에스피 처리부로부터 재생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와 디지털 미디어 동작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받는 컨트롤 키패드부와 디지털 미디어의 동작 상태를 외부에 알리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컨트롤 키패드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범용 인터페이스부와 USB 장치와의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USB 인터페이스부, 본 기기로부터 발생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단자와 외부의 음성신호를 본 기기로 입력하기 위한 음성입력단자 및 각 기능블록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 연산하는 씨피유를 포함하고, 믹서부가
D/A 변환부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제 1 입력단자(121)와 상기 코넥트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음성출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는 제 2 입력단자(122) 및 상기 입력신호를 합성하고 이를 출력하는 제 1 출력단자(123)를 구비하고, 제 1 출력단자(123)는 본 기기의 상기 음성출력단자와 연결되는 제 1 합성부(120)와 외부기기의 음성출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는 제 3 입력단자(132)와 본 기기의 상기 음성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는 제 4 입력단자(131) 및 상기 입력신호를 합성하고 이를 출력하는 제 2 출력단자(133)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출력단자(133)가 A/D 변환부와 연결되는 제 2 합성부(130)와 본 기기의 상기 음성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와 연결되는 제 5 입력단자(141)와 상기 D/A 변환부와 연결되는 제 6 입력단자(121)와 및 상기 입력신호를 합성하고 이를 출력하는 제 3 출력단자(143)를 구비하는 제 3 합성부(140) 및 제 3 합성부의 제 3 출력단자(143)와 상기 외부기기의 음성입력단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범용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되는 믹서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제 1 아나로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 시스템 구성도로서,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는 메모리부(10), 씨피유(20), 디코더 처리부(30), 외부로부터 음향을 입력받는 마이크(MIC; 40),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SPK; 50), 휴대폰 또는 컴퓨터 등의 외부 디지털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코넥터(60), 외부기기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각 기능블록에 공급하는 전원 분배부(Power Distributor; 110), USB(Universal Serial Bus)로 연결되는 외부기기와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는 USB 인터페이스부(USB Interface Part; 70) 및 통상의 입출력 신호처리를 담당하고 또 다른 외부기기와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는 범용 인터페이스부(General Purpose Interface Part; 80), 외부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컨트롤 키패드부(90) 및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00)로 구성된다. 디코더 처리부(30)는 디에스피 처리부(31), A/D 및 D/A 변환부(Analog to Digital Converter Digital to Analog Converter; 32), 믹서부(33), 마이크 증폭기(34) 및 스피커 증폭기(35)로구성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더 처리부(30)는 하나의 칩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씨피유(20)는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고 범용 인터페이스부(80)를 통해 외부기기의 연결을 자동감지 및 해당 통신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등의 시스템 운영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0)는 다운로드 프로그램, 음성 및 통화 녹음 프로그램, 통신 프로그램 등의 시스템 제어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12)과 시스템 운영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11), 디지털 미디어 데이터 또는 음성을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13)를 포함한다. 디코더 처리부(30)는 두가지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믹서부(33)를 이용하여 합성하거나, A/D 및 D/A 변환부를 이용하여 음성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데이터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 또는 디에스피 프로세서(31)을 이용하여 씨피유(20)의 제어신호에 의해 디지털 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압축해제하여 재생하거나,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압축하는 기능을 한다.
USB 인터페이스부(70)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의해 발생하는 씨피유(20)의 제어신호에 따라 USB로 연결되는 외부기기와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회로이다. 컴퓨터와 USB를 이용하여 접속시에는 씨피유(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코넥터부(60)의 Dp 단자(65) 및 Dm 단자(66)로 송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씨피유(20)의데이터 버스를 이용하여 12Mbps의 전송속도로 메모리부(10)에 입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USB와 연결되는 외부기기와 데이터 직렬 송수신을 담당하는 회로로서, 이러한 회로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회로 기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컨트롤 키패드부(90)는 사용자로부터 디지털 미디어의 재생, 전 후 미디어의 탐색, 통화중 녹음 및 음성 녹음, 휴대폰에 연결할 경우 통화중에 디지털 미디어의 재생음을 송신음과 믹스(MIX)하여 전달하는 기능, 디지털 미디어의 다운로드 기능 등을 컨트롤하기 위한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장치이다.
디스플레이부(100)는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표시부이다. 범용 인터페이스부(80)는 컨트롤 키패드(90) 및 디스플레이부(100)와 연결되어 입출력을 담당하고, 외부기기 종류에 따라 코넥터로부터 발생되는 구분 제어 신호를 씨피유(20)에 전달하고, 휴대폰과 접속된 상태에서 호출이 있게 되면 믹서부(33)의 아나로그 스위치를 연결상태(Close)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믹서부(33)에 전달하고, 직렬통신포트 Rx 및 Tx를 단자를 구비하여 다른 외부기기와 연결될 때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범용 인터페이스부(80)는 씨피유(20)와 단일칩으로도 구현가능하다.
코넥터(60)는 휴대폰, 컴퓨터 등의 외부기기와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를 연결하고, 외부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디지털 데이터 및/또는 아나로그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연결부이며, 코넥터(60)를 통하여 외부기기로부터 공급된 전원은 전원분배기(Power Distributor; 110)를 통하여 각 기능블록으로 분배된다. 즉, 전원분배기(110)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이용하여 각 기능블록에 인가하기위한 전압 레벨을 조정하고 도 1의 각 회로 기능블록에 전원을 분배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전원 분배기(110)로는 필립스사의 TEA 1202TS 칩을 사용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사용상태 설명도로서,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는 접속 코넥터 A(160)를 통하여 휴대폰과 연결되어 1) 전원을 인가받고, 2)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의 경우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디지털 미디어를 다운로드한 후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메모리부(10)에 저장하거나, 또는 3)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마이크단자(도 3의 62)와 헤드폰단자(도 3의 63)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송/수신 통화, 통화중 녹음,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 재생음을 통화중에 송신음과 믹서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휴대폰의 UART와 접속시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은 씨피유(20) 제어신호에 의하여 코넥터부(60)의 Dp단자(65) 및 Dm단자(66)와 범용인터페이스부(80)의 Rx 및 Tx 직렬통신단자의 연결을 이용하여 115.2kbps 또는 230.4kbps의 속도로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는 접속 코넥터 B(170)를 통하여 컴퓨터와 연결되어 1) 디지털 미디어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인가받고, 2) 디지털 미디어를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컴퓨터의 USB 포트와 접속시 디지털 데이터는 씨피유(20)의 제어신호에 의해코넥터부(60)의 Dp 단자(65) 및 Dm 단자(66)에 송수신된 후, USB 인터페이스부(70)에 입력된다. USB 인터페이스부(70)는 USB에 적합한 전송속도(12Mbps), 전송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USB 인터페이스부(70)의 디지털 데이터는 씨피유(20)의 데이터 버스를 사용하여 12Mbps의 전송속도로 메모리부(10)에 입출력된다.
이때 코넥터(60)로부터 발생되는 외부기기 구분 제어신호(도 1 의 USB/UART 제어신호)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의 이동경로는 USB 인터페이스부(70) 또는 범용 인터페이스부(80)를 이용하게 된다. 코넥터(6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압분배기(110)에 의해 적절한 전압레벨로 변환된 후 각 기능부에 공급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코넥터 구성도로서, 외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외부연결단자(61)는 아나로그 신호 송수신 단자인 마이크단자(MIC; 62) 및 스피커단자(SPK; 63)와 전원공급단자(VDD, GND; 64, 67),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단자(DP, DM; 65, 66)로 구성된다. 아나로그 신호 송수신 단자(62, 63)는 디코더 처리부(30)로 인가되고, 아나로그 신호 단자 중 스피커단자(63)은 외부 기기를 구별하기 위한 제어 발생 단자로서 인터페이스부(80)와 연결된다. 스피커단자(63)는 본 기기의 내부 기능 블록과 연결되기 전에 접지부와 비교적 큰 값의 저항과 연결됨으로써, 누설 전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와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였다.즉, 휴대폰과 연결될 경우에는 스피커 출력이 0 볼트 또는 통화중 AC 성분으로 ±수십mV 내지 ±수백mV 이하의 출력의 "LOW" 전압이 인가되고, 컴퓨터와 연결될 경우에는 "HIGH"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였다. 범용 인터페이스부(80)는 스피커단자(63)에 인가되는 전압을 씨피유(20)에 전달하고, 씨피유(20)는 이를 판독한 후 적절한 제어신호를 USB 인터페이스부(70) 또는 범용 인터페이스부(80)에 인가함으로써 적절한 통신속도 및 통신경로를 선택하게 된다.
전원공급단자(VDD, GND; 64, 67)는 전원분배부(Power Distributor; 110)와 연결됨으로써 외부기기의 전원을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각 기능부에 공급하고,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단자(DP, DM; 65, 66)는 USB 인터페이스부(70) 및 범용 인터페이스부(80)에 연결됨으로써 외부기기로부터 디지털 미디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믹서부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다. 믹서부(33)는 2입력 1출력단자를 갖는 제 1 합성부(120), 제 2 합성부(130), 제 3 합성부(140) 및 제 1 아나로그 스위치(150)로 구성된다. 제 1 합성부(120)의 제 1 입력단자(121) 및 제 2 입력단자(122)는 각각 D/A 변환부(32)의 출력단과 코넥터(60)의 스피커 단자(63)와 연결되고, 제 1 합성부(120)의 출력단자(123)는 스피커 앰프(35)의 입력단과 연결된다. 제 2 합성부(130)의 제 3 입력단자(131) 및 제 4 입력단자(132)는 각각 코넥터(60)의 스피커 단자(63)과 마이크의 앰프(34)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 2 합성부(130)의 출력단자(133)는 A/D 변환부(32)의 입력단과 연결된다. 제 3 합성부(140)의 제 5 입력단자(141) 및 제 6 입력단자(121)는 각각 마이크의 앰프(34)의 출력단과 D/A 변환부(32)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 3 합성부(140)의 출력단자 (143)는 제 1 아나로그 스위치(150)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 1 아나로그 스위치(150)의 타단은 코넥터(60)의 마이크단자(62)와 연결되고, 믹서 제어 신호에 의해 개폐여부가 결정된다. 코넥터(60)의 마이크 단자는 외부기기의 음성 입력 단자와 코넥터(60)의 스프커 단자는 외부기기의 음성 출력단자와 각각 연결된다.
사용자가 컨트롤 키패드부에서 "재생" 버턴을 작동시에는 제 1 아나로그 스위치는 개방된 상태에 놓이게 되고, 메모리부(10)에 MP3 또는 AAC 비트 스트림형태의 압축상태로 저장된 디지털 미디어 데이터는 디에스피 프로세스(31)를 통해 압축해제한 후 D/A 변환부(32)를 이용하여 아나로그 신호로 재생되고, 이후 제 1 합성부(120)를 거쳐, 스피커 앰프(35)에 입력되어 증폭된 후 헤드폰 또는 스피커 (50)을 통해 음향으로 변환한 후 사용자가 들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스프커 앰프(35)와 스피커(50)는 본 기기의 음성출력단의 기능을 하고, 마이크(40)와 마이크 앰프(34)는 본 기기의 음성입력단의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와 휴대폰을 연결할 경우, 전화 통화는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마이크(40)와 헤드폰(50)을 이용하여 가능하게 된다.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재생동작 중에 휴대폰을 통하여 전화가 걸려오면, 믹서 제어 신호에 의해 제 1 아나로그 스위치(150)가 닫혀(close)진다.
휴대폰에 통화하고자 하는 통화신호가 도달하면, 이러한 신호는 접속 코넥터 A(160)를 이용하여 코넥터부(60)의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단자(DP, DM; 65, 66)에 입력된 후, 범용 인터페이스부(80)에 인가된다. 범용 인터페이스부(80)는 통화신호를 씨피이유(20)에 전달한다. 씨피유(20)는 범용 인터페이스부(80)를 통해 믹서 제어 신호(Mixer Control Signal)를 발생하고, 발생된 제어신호는 믹서부(33)의 제 1 아나로그 스위치 (150)를 닫는다. 휴대폰은 내부 기능 회로를 이용하여 이를 감지하여 통화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휴대폰 통화시 믹서 제어 신호에 의해 제 1 아나로그 스위치(150)는 닫히게 되고, 이 경우 통화 내용 확인은 코넥터(60)의 스피커 단자(63)로 입력되는 통화 음성 출력이 제 1 합성부(120)를 통하여 스피커 앰프(35)로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통화 음성 출력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가 계속 재생되는 상태인 경우는 D/A 변환부(32)의 출력이 제 1 합성부(120)에 의해 통화 음성 출력과 합성되므로 사용자는 통화 내용과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재생신호의 합성 신호를 듣게 된다.
이 경우 마이크(40)를 통하여 사용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통화 내역은 제 3 합성부(140)를 통하여 코넥터(60)의 마이크 단자(62)로 입력된 후, 휴대폰을 통하여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이때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가 계속 재생되는 상태인 경우, D/A 변환부(32)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미디어의 재생신호는 제 3 합성부(150)에 의해 전달하고자 하는 통화 내역과 합성된 후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되게 된다.
통화 내용 녹음은 마이크(40)의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와 코넥터(60)의 스피커 단자(63)로부터 입력되는 상대방의 통화 음성 신호가 제 2 합성부(130)에 의해 합성된 후 A/D 변환부(32)로 입력됨으로서 가능하다. 입력된 통화 내용은 디에스피 처리부에 의해 압축된 후 메모리부(10)에 저장된다.
도 5는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외부연결단자(61)와 휴대폰의 통신단자(UART)와 연결하는 접속 코넥터 A(160)의 연결구조도이다. 접속 코넥터 A는 휴대폰 마이크(MIC) 단자와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마이크(MIC) 단자, 휴대폰 스피커(SPK) 단자와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스피커(SPK) 단자, 휴대폰의 VDD전원 단자와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Vcc 전원단자, 휴대폰 디지털 데이터 전송단자(TXD)와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디지털 데이터 단자중 DP 단자, 휴대폰 디지털 데이터 송신단자(RXD)와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디지털 데이터 단자중 DM 단자를 각각 연결하고, 휴대폰의 접지 전원 단자, nRFR 단자 및 nCTS 단자는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접지 전원 단자와 연결된다. 도 5 에 제시된 휴대폰과 연결되는 단자 구성은 휴대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nRFR 단자 및 nCTS 단자는 대한민국의 전자 회사의 하나인 "LG정보통신"의 휴대폰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특수 단자이다.
도 6은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외부연결단자(61)와 컴퓨터의통신단자(USB)와 연결하는 접속 코넥터 B(170)의 연결구조도이다. 접속 코넥터 B(170)는 컴퓨터 VDD전원 단자와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Vcc 전원단자, 컴퓨터 디지털 데이터 D+ 단자와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디지털 데이터 단자중 DP 단자, 컴퓨터 디지털 데이터 D- 단자와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디지털 데이터 단자중 DM 단자, 컴퓨터의 접지 전원 단자는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접지 전원 단자와 각각 연결되며, 특히 컴퓨터의 VDD 전원단자가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스피커(SPK) 단자와 연결되게 함으로써, 컴퓨터 연결시와 휴대폰 연결시에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스피커(SPK)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이 다르게 되도록 구성하였다.
도 7은 접속 코넥터 A(160) 및 접속 코넥터 B(170)의 구성 중 본 발명의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외부연결단자(61)에 삽입되는 포트부분의 확대도로서, 전원전압 Vcc 단자를 중심으로 하여 그 상부에는 마이크(MIC)와 스피커(SPK)로 구성되는 아나로그 신호 단자가 배치되고, 그 하부에는 디지털 데이터 DP 및 DM 으로 구성되는 디지털 신호 단자가 배치되며, 그 외부로 접지단자가 배치되는 단자 구성을 갖는다. 도 7과 같이 아나로그 신호 입력 단자와 디지털 신호 입력 단자의 가운데 전원단자를 배치함으로써 인가되는 아나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디지털 데이터 단자와 아나로그 신호 단자 사이에 전원 단자가 배치되지 않고 상호 이웃하게 배치될 경우의 등가 회로는 도 7b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아나로그 신호 단자와 디지털 데이터 단자가 각각 콘덴서의 한쪽 극판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도면상에서 아나로그 신호 단자를 극판 A로 디지털 데이터 단자를 극판 D로 표시할 수 있다. A가 디지털 신호이고 D가 아나로그 신호인 경우, 디지털 신호의 AC(교류) 성분이 D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반대로 D의 교류성분이 A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후자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디지털 신호의 전압레벨이 크기 때문에 영향을 적게 받으므로 큰 영향이 없으나, 전자의 경우는 아나로그 신호가 디지털 신호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어 원하지 않는 잡음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도 7a에 제시한 바와 같이 핀 배치를 형성하면, 도 7c와 같은 등가회로로 볼 수 있으며, 이때 단자 D의 교류성분은 콘덴서를 통과하여 Vcc 또는 접지단자로 흘러가므로 단자 A에 인가되는 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며, 반대의 경우도 동일한 결과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의 휴대형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에 의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원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소형 경량화된 휴대형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형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에는 컴퓨터 통신포트와 휴대폰의 통신포트와의 접속을 자동으로 감지하기 위한 코넥터가 구비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휴대폰과 자유롭게 연결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로부터 생성되는 음향 신호와 휴대폰 등의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합성할 수 있는 합성부를 구비함으로써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신호를 휴대폰 등의 무선 데이터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전송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접속 단자 구성을 갖는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에 의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나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고음질의 디지털 미디어 재생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MP3를 포함하는 디지털 미디어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접속되며, 상기 외부기기와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단자 및 복수 개의 아나로그 신호 송수신 단자를 구비하는 코넥터부;
    상기 코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기기와 송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미디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상기 아나로그 신호 송수신 단자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나로그 신호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미디어가 재생되는 아나로그 신호를 믹서하는 믹서부; 및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미디어의 전송을 제어하고,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나로그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믹서부에 믹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넥터부에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송부받는 복수 개 전원입력 단자가 더 구비되고,
    상기 코넥터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각 기능 블록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분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넥터부의 상기 아나로그 신호 송수신 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아나로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어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 전원 입력단자 중 적어도 하나가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 아나로그 신호 송수신 단자와 상기 복수 개 디지털 신호 송수신 단자는 각각 이웃하면서 상기 중심에 배치된 전원 단자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운데 배치된 전원 입력 단자를 제외한 나머지 전원 입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복수 개 아나로그 신호 송수신 단자 및 상기 복수개 디지털 신호 송수신단자보다 바깥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 아나로그 신호 입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내부 기능블록과 연결되기 전단에 접지부와 연결되는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
  6. 삭제
  7. 제 1 항의 상기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는 재생용 디지털 미디어 파일, 제어 프로그램 및 동작중 내부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디지털 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압축해제하고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받은 디지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압축하는 디에스피 처리부와 상기 음성 입력단자 또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상기 디에스피 처리부로부터 재생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와 디지털 미디어 동작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받는 컨트롤 키패드부와 디지털 미디어의 동작 상태를 외부에 알리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컨트롤 키패드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범용 인터페이스부와 USB 장치와의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USB 인터페이스부, 본 기기로부터 발생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단자와 외부의 음성신호를 본 기기로 입력하기 위한 음성입력단자 및 각 기능블록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 연산하는 씨피유를 포함하고, 상기 믹서부가
    상기 D/A 변환부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제 1 입력단자(121)와 상기 콘넥트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음성출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는 제 2 입력단자(122) 및 상기 입력신호를 합성하고 이를 출력하는 제 1 출력단자(123)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출력단자(123)는 본 기기의 상기 음성출력단자와 연결되는 제 1 합성부(120);
    상기 외부기기의 음성출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는 제 3 입력단자(132)와 본 기기의 상기 음성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는 제 4 입력단자(131) 및 상기 입력신호를 합성하고 이를 출력하는 제 2 출력단자(133)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출력단자(133)가 A/D 변환부와 연결되는 제 2 합성부(130);
    본 기기의 상기 음성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와 연결되는 제 5 입력단자(141)와 상기 D/A 변환부와 연결되는 제 6 입력단자(121)와 및 상기 입력신호를 합성하고 이를 출력하는 제 3 출력단자(143)를 구비하는 제 3 합성부(140); 및
    상기 제 3 합성부의 제 3 출력단자(143)와 상기 외부기기의 음성입력단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범용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되는 믹서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제 1 아나로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가 음성 통화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
KR1020000036665A 2000-03-16 2000-06-29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 장치 KR100359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665A KR100359664B1 (ko) 2000-03-16 2000-06-29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 장치
JP2000269910A JP2001265360A (ja) 2000-03-16 2000-09-06 携帯用デジタルメディア再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467A KR20000049438A (ko) 2000-03-16 2000-03-16 휴대폰과 컴퓨터의 통신포트를 이용하는 전원이 없는휴대형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
KR1020000013467 2000-03-16
KR1020000036665A KR100359664B1 (ko) 2000-03-16 2000-06-29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467A Division KR100385018B1 (ko) 2002-02-18 2002-02-18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798A KR20000058798A (ko) 2000-10-05
KR100359664B1 true KR100359664B1 (ko) 2002-11-07

Family

ID=2663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665A KR100359664B1 (ko) 2000-03-16 2000-06-29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265360A (ko)
KR (1) KR100359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5351A (ko) * 2001-05-08 2002-11-16 주식회사 평화일렉콤 휴대용 엠. 피. 이. 지 플레이어
US7987007B2 (en) 2002-03-18 2011-07-26 Creative Technology Ltd Memory module with audio playback mode
US7627343B2 (en) 2003-04-25 2009-12-01 Apple Inc. Media player system
WO2004112268A1 (en) * 2003-06-18 2004-12-23 Nable Communications Inc. Apparatus for supplying multimedia data processing
US7441062B2 (en) 2004-04-27 2008-10-21 Apple Inc. Connector interface system for enabl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multi-communication device
US7823214B2 (en) 2005-01-07 2010-10-26 Apple Inc. Accessory authentication for electronic devices
KR100630123B1 (ko) 2005-08-31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및 재생하기 위한이동 단말기 액세서리 장치 및 방법
JP5176287B2 (ja) * 2006-04-25 2013-04-03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KR101435876B1 (ko) * 2007-07-06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302A (ko) * 1999-07-08 2001-02-05 윤장진 자동차용 엠페그3 플레이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302A (ko) * 1999-07-08 2001-02-05 윤장진 자동차용 엠페그3 플레이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65360A (ja) 2001-09-28
KR20000058798A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2880B2 (en) Hands-free function
US8200280B2 (en) Cordless telephone with digital audio player capability
KR100664961B1 (ko) 다중 음향 출력을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
US20050186993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laying sound signals
KR100359664B1 (ko)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 장치
US2007006019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laying sound signals
JP2002064626A (ja) 携帯電話機
CN101790861A (zh) 具有数字级和模拟级的音频开关
US20100190438A1 (en) Universal mutilmedia bluetooth car handsfree device
KR200215114Y1 (ko) 엠피3 플레이어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87425B1 (ko) 독립적인 오디오 경로가 형성되는 멀티미디어 기능 강화 단말기
KR200302150Y1 (ko)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mp3 플레이어 겸용 무선 헤드셋
JP3159467U (ja) 伴奏機能を有する携帯装置
US7400905B1 (en) Insertion of sound segments into a voice channel of a communication device
KR100385018B1 (ko)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 장치
KR100360899B1 (ko) 전화기의 음악재생방법
KR20010059527A (ko) 휴대폰의 이어 마이크
US20110105197A1 (en) Universal mutilmedia bluetooth car handsfree device
KR10060612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241125Y1 (ko) 엠피3 플레이어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KR200262904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이어폰
JP2004254023A (ja) 音楽再生システム
KR20010111074A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이어폰
KR200295672Y1 (ko) 선택된 녹음 및 재생 기능을 갖는 이어마이크
KR200196569Y1 (ko) 이동 단말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