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569Y1 - 이동 단말기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569Y1
KR200196569Y1 KR2020000012043U KR20000012043U KR200196569Y1 KR 200196569 Y1 KR200196569 Y1 KR 200196569Y1 KR 2020000012043 U KR2020000012043 U KR 2020000012043U KR 20000012043 U KR20000012043 U KR 20000012043U KR 200196569 Y1 KR200196569 Y1 KR 200196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mobile terminal
vocoder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기
최성현
Original Assignee
엠텍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90008226U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33706U/ko
Application filed by 엠텍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2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5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5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 단말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안테나, CPU부, 주변회로부, 보코더부, 메모리부 및 오디오 코덱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MP3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상기 메모리부의 플래시 메모리와, PC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PC 용 인터페이스와, 상기 MP3 데이터를 PCM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보코더부에 추가한 MP3 디코더와, 상기 MP3 디코더에서 변환된 상기 PCM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오디오 코택부에 D/A 콘버터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MP3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장치{Mobile Terminal Unit}
본 고안은 이동 단말기 장치(Mobile Terminal Uni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MP3 플레이어(Player)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종래의 이동 단말기 장치(100)는 안테나(41), RF 및 IF 회로부(21), BBA(Base Band Analog Processor) 부 (23), RF 인터페이스부 (25), CDMA 프로세서(Code Division Hultiple Access Processor)부(27), DFM(Digital FM, IS-95A)프로세서부(29), CPU 부(31), 보코더(Vocoder)부(33), 주변회로(Peripheral Circuits)부(35), 메모리(Memory)부(37), 보이스 코덱(CODEC)부(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변회로(Peripheral Circuits)부(35)는 UART(Universal Asynchornous Receiver Transmit) 회로부, 키 패드, SPI, GPIO, 링거(Ringer)등으로 이루어진다. 메모리(Memory)부(37)는 RAM, EPROM, Flash Memory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코더(Vocoder)부(33)는 CDMA 보코더 및 DFM 보코더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이스 코덱부(39)는 AD(Analog to Digital)콘버터와 DA(Digital to Analog)콘버터를 내장하고 있고 송신모드 일때는 AD 변환((Conversion)을 하고, 수신모드 일 때는 DA 변환을 한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단말장치에서 음성(Voice) 신호를 발신할 경우에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에서 발생되는 아날로그 신호(Analog Signal)를 보이스 코덱(CODEC)부(39)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보코더부(33)로 보낸다. 동작 모드가 CDMA 일 때는 CDMA 프로세서부(27) 와 보코더부(33)내의 CDMA 보코더가 신호처리 역할을 하며, 한편 동작 모드(Mode)가 아날로그 모드(AMPS,TACT등)인 경우에 사용되는 DFM(Digital FM, analog IS-95A)일 때는 DFM 프로세서부(29) 와 보코더(Vocoder)부(33)내의 DFM 보코더가 신호처리 역할을 한다.
보코더부(33)의 출력은 선택된 CDMA 프로세서부(27) 또는 DFM 프로세서부(29)내로 입력되어 프로세싱(Processing)되고, 이어서 BBA 부 (23)로 입력되어 베이스밴드(Baseband)신호로 변환되어 RF 및 IF 회로부(21)로 입력된후 들어가 안테나(41)를 통하여 전송된다.
또한, 이동단말장치가 수신모드인 경우에는 안테나(41)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가를 RF 및 IF 회로부(21)에서 베이스밴드(Baseband)신호로 변환된 다음 BBA 부 (23)로 입력되어 디지틀(Digital)신호로 변환된다. 이 디지털신호는 프로세서부(27,29)에서 프로세싱(Processing)되어 보코더부(33)로 입력되어 PCM(Pulse Code Modulation)신호형태(Format)의 데이터(Data)로 변환 되어 보이스 코덱부(39)로 입력되며, 상기 보이스 코덱부(39)에서는 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 또는 이어폰으로 보낸다.
RF 및 IF 회로부(21) 및 BBA 부(23)의 동작 콘트롤을 위한 신호, 즉 오프셋(Offset) 및 게인(Gain) 콘트롤등은 RF 인터페이스부(25)를 통하여 전달된다. 이외 에도 CPU 부(31)는 전체 시스템(System)을 제어한다. 특히 주변회로부(35)를 통하여 키(Key)와의 인터페이스(Interface), 링(Ring) 기능등을 제어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 장치는 개인 통신장치로서 훌륭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만 만족할줄 모르는 개인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는것은 아니다. 이제는 보이스통신뿐만 아니라 비디오와 데이터 통신까지 가능하게 하는 단말기가 필요한 시기에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단말기가 가졌으면 좋을 다양한 기능 중에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MP3 플레이어 기능을 종래의 단말기에 효율적으로 부가시키고자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MP3 플레이어(Player)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장치는 안테나, CPU부, 주변회로부, 보코더부, 메모리부 및 오디오 코덱부를 구비한 종래의 이동 단말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MP3 데이터용 플래시 메모리와, PC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PC 용 인터페이스와, MP3 데이터를 PCM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MP3 디코더와, MP3 디코더에서 변환된 PCM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D/A 콘버터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져서, MP3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로부터 오디오 신호로 재생하여 낼수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 장치의 블록도 (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장치의 블록도 (Block Diagram)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 장치(200)는 종래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즉, 안테나(141), RF 및 IF 회로부(121), BBA부 (123), RF 인터페이스부 (125), CDMA 프로세서부(127), DFM 프로세서부(129), CPU 부(131), 보코더부(133), 주변회로부(135), 메모리부(137), 오디오 코덱부(139)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 장치는 MP3 플레이어기능을 효과적으로 부여하기 위해 기조의 회로 요소들을 다음과 같이 개량한다.
먼저에서 주변회로부(135)에는 개인용 컴퓨터(PC)와의 신호연결인터페이스기능을 하는 PC-IF 인터페이스가 추가된다. 즉, UART 회로부, 키 패드, SPI(Synchronous Parallel Interface),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링거(Ringer)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주변 회로부에 데이터 송수신용 PC-IF 인터페이스가 추가된다. 또, 메모리부(137)는 기존의 RAM, EPROM, Flash 메모리외에 MP3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MP3용 플래시 메모리가 추가된다. 이 Flash 메모리는 적어도 8M Byte 이상의 용량을 갖는 반도체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Flash 메모리는 착탈식 스마트 카드(Smart Media Card)로 대체 사용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겸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코더부(133)는 1개의 고성능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칩으로 구성되어 DSP 안에 내장된 마이크로 코드 (Micro Code)에 의존하여, 종래의 CDMA 보코더 기능 및 DFM 보코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MP3 디코더(Decoder)기능도 수행한다.
상술한 블록 배열로 이루어진 이동 단말기 장치, 즉 휴대용 무선 전화기로서의 기능을 하지 않을 때에는 MP3 플레이어로서 동작 될 수 있다. MP3 플레이어로서 동작 할 때에는 MP3데이터를 디코딩한후 DA변환하여 오디오 아날로그신호화하여 이어폰 또는 스피커로 출력한다. 인터넷상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Digital Audio Data)인 MP 3 및 MPEG1, MPEG2, AAC 등 오디오 데이터를 PC(Personal Computer)(도시 생략 됨)로 다운 받거나 기지국(Transmission Station)으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 받아서 플레이 시킬 수 있다.
MP3 오디오 데이터를 PC로부터 받는 경우에는, 디코딩(Decoding)하기 전에 먼저 PC를 거쳐 나온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주변회로부(135)의 PC-IF(Interface)를 통하여 메모리부(137)의 Flash 메모리에 저장한다. PC-IF는 패러렐 포트(Parallel Port)를 이용한 IEEE 1284 ECP 프로토콜(Protocol) 또는 시리얼 버스(Serial Bus)를 이용한 USB(Universal Serial Bus)를 포함한다. 그리고 메모리는 MP3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서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 용량에 보다 적어도 8MB 이상이 확보되거나 더 큰 플래시(Flash) 용량을 위해서 스마트 카드(Smart Media Card)와 같은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적합하다. PC로부터 다운 로딩(Downloading)시 본 고안 장치 내에서의 데이터 흐름은 주변회로부(135)의 PC-IF(Interface) → CPU 부(131) → 메모리부(137)의 Flash 메모리로 된다.
기지국으로부터 MP3 인코드된 데이터를 다운로딩시하는 경우에는 인테나(141)에서 RF 신호가 RF 및 IF 회로부(121)와 BBA 부(123) 및 CDMA 프로세서부(127) 순으로 통과하여 MP3신호로 되어 CPU 부(131)에 의하여 메모리부(137)의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 경우에는 데이터 흐름이 RF 및 IF 회로부(121) → BBA부 (123) →CDMA 프로세서 부(127) → CPU 부 (131) → 메모리(Memory)부(137)의 Flash 메모리순이다.
MP3 신호의 디코딩(Decoding) 과정은, CPU(131)가 메모리(Memory)부(137)의 Flash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인코드(Encoded)된 MP3 데이터를 읽어 보코더부(133)로 보낸다. 보코더(133)는 DSP칩내에 저장하고 있던 MP3 디코딩용 마이크로 코드(Microcode), CDMA 보코딩용 마이크로 코드(Microcode), DFM 보코딩용 마이크로 코드(Microcode) 중에서 MP3 디코딩용 마이크로코드를 이용하여 원래 상태의 PCM(Pulse Code Modulation)데이터로 복원한다. 이 복원된 PCM 데이터는 오디오 코덱부(139)로 보내져서 DAC (Digiatal to Analog Converter)를 거쳐 CD 오디오 음질 수준의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되어 이어폰(Earphone)또는 스피커로 연결된다. 또는 스피커로 연결된다. 오디오 코덱은 종래의 보이스 코덱보다 음질면에서 향상된 16비트(Bit)이상의 DA콤버터를 사용하면 CD 오디오 음질 수준인 고품질인 고품질의 아날로그 신호를 얻을 수 있다. MP3 디코딩시에는 오디오 코덱부(139)에서는 DA 기능만 필요하다. 그러나 CDMA 보코딩이나 DFM 보코딩일때는 DA기능 뿐만 아니라 AD(Analog to Digital)기능도 필요하다.
상술한 각각의 경우에, CPU 부(131)는 MP3 디코딩(Decoding)일 때와 전화기능을 할 때에 키 콘트롤(Key Control), 디스플레이 콘트롤(Display Control)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전체 시스템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장치는 안테나, CPU부, 주변회로부, 보코더부, 메모리부 및 오디오 코덱부를 구비한 종래의 이동 단말기 장치에 MP3 데이터용 플래시 메모리와, PC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PC 용 인터페이스와, MP3 데이터를 PCM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MP3 디코더와, MP3 디코더에서 변환된 PCM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D/A 콘버터를 추가하여 MP3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로 부터 상기 오디오 신호로 재생하여 낼 수 있는 MP3 플레이어 기능을 가지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1개의 DSP 칩으로 이루어진 보코더부로 전화 송/수신 및 MP3 디코더기능을 수행함으로서, 하드웨어(Hardware) 코스트(Cost)를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안테나, CPU부, 주변회로부, 보코더부, 메모리부 및 오디오 코덱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장치에 있어서,
    MP3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추가한 MP3 플래시 메모리와,
    PC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하여 상기 주변회로부에 추가한 PC 용 인터페이스와,
    상기 MP3 데이터를 PCM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코더부에 추가한 MP3 디코더와,
    상기 MP3 디코더에서 MP3 데이터를 변환하여 발생시킨 PCM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상기 오디오 코덱부에 추가한 D/A 콘버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져서 이로부터 MP3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낼 수 있는 기능까지 가지는 것이 특징인 이동 단말기 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D/A 콘비터는 16비트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이동 단말기 장치.
KR2020000012043U 1999-05-14 2000-04-27 이동 단말기 장치 KR2001965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043U KR200196569Y1 (ko) 1999-05-14 2000-04-27 이동 단말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226U KR19990033706U (ko) 1999-05-14 1999-05-14 이동단말기장치
KR2020000012043U KR200196569Y1 (ko) 1999-05-14 2000-04-27 이동 단말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226U Division KR19990033706U (ko) 1999-05-14 1999-05-14 이동단말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569Y1 true KR200196569Y1 (ko) 2000-09-15

Family

ID=2663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043U KR200196569Y1 (ko) 1999-05-14 2000-04-27 이동 단말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5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0280B2 (en) Cordless telephone with digital audio player capability
US20050208893A1 (en) Bluetooth earphone module with audio player function
US20050186993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laying sound signals
KR100664961B1 (ko) 다중 음향 출력을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
JP2002064626A (ja) 携帯電話機
US2007006019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laying sound signals
KR100587425B1 (ko) 독립적인 오디오 경로가 형성되는 멀티미디어 기능 강화 단말기
KR200302150Y1 (ko)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mp3 플레이어 겸용 무선 헤드셋
KR100359664B1 (ko)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 장치
KR200196569Y1 (ko) 이동 단말기 장치
CN214413006U (zh) 真无线立体声耳机
TWI479408B (zh) 用於一電腦系統之數據卡及相關電腦系統
KR19990033706U (ko) 이동단말기장치
KR200241125Y1 (ko) 엠피3 플레이어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JP2002247156A (ja) 電話装置
KR100339100B1 (ko) 복합 이동 전화 단말기 장치
KR20080085376A (ko) 오디오 데이터의 혼합 기능 및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기능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및방법
JP2004254023A (ja) 音楽再生システム
KR100535154B1 (ko) 멀티미디어용 오디오 출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2218019A (ja)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この移動通信端末装置の制御方法
KR20010084447A (ko) 엠피쓰리 복합형 휴대폰
KR2005001424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 및방법
JPH1013243A (ja) 音声録再方法、ディジタル携帯電話機
KR100269268B1 (ko) 부호데이터를저장및재생할수있는이동통신단말기
KR100632666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무선 헤드셋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