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5376A - 오디오 데이터의 혼합 기능 및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기능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데이터의 혼합 기능 및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기능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5376A
KR20080085376A KR1020070026799A KR20070026799A KR20080085376A KR 20080085376 A KR20080085376 A KR 20080085376A KR 1020070026799 A KR1020070026799 A KR 1020070026799A KR 20070026799 A KR20070026799 A KR 20070026799A KR 20080085376 A KR20080085376 A KR 20080085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data
audio
unit
digital
sound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호
Original Assignee
(주)엠씨에스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씨에스로직 filed Critical (주)엠씨에스로직
Priority to KR1020070026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5376A/ko
Publication of KR20080085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의 혼합 기능 및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스부(Source)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디오 디코딩부; 상기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부; 상기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혼합하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혼합부(Mixer); 상기 혼합 오디오 데이터에 신호처리를 통해 제 3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3 신호처리부; 상기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가 가청음으로 출력되도록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부; 및 상기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엔코딩하여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디오 엔코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폰, MP3 및 PMP 등의 소스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배경 음악이나 반주 등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와 외부의 입력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서로 혼합하고 다양한 음향 효과를 부가할 수 있어, 무선 디지털 가라오케 플레이어, 무선 블루투스 헤드 셋/스피커, 디지털 음악 레코더(Digital Music Recorder) 및 어학 학습기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블루투스, 오디오, 데이터, 혼합, 재생, 효과, 저장

Description

오디오 데이터의 혼합 기능 및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Function for Audio Mixing and Adding Sound Effect in Audio Data using Bluetooth Digital Audio Player}
도 1은 종래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신호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3 신호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소스부 212: 싱크부
214: 오디오 디코딩부 216: 입력부
218: ADC부 220: 제 1 신호처리부
222: 제 2 신호처리부 224: 제 3 신호처리부
226: DAC부 228: 출력부
230: 오디오 엔코딩부 232: 저장부
234: 혼합부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의 혼합 기능 및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소스(Source) 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와 마이크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각각 다양한 음향 효과를 부가하고, 두 오디오 데이터를 혼합한 후, 혼합된 오디오 데이터에 다시 다양한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출력 또는 저장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혼합 기능 및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Bluetooth)는 근거리에 놓여 있는 컴퓨터와 이동단말기, 가전제품 등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쌍방향으로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규격을 말하거나 그 규격에 맞는 제품을 이르는 말이다.
이러한 블루투스는 휴대폰과 노트북 컴퓨터에 우선적으로 적용되었는데, 휴대폰의 응용분야는 무선 헤드 셋과 인터넷 접속, 인터콤, 무선전화, 휴대폰의 복합기능을 갖는 전화를 들 수 있다. 복합기능의 경우, 집에서는 무선 전화기 모드로 자동 전환되며, 사무실 등에서는 사설 교환망과 연결되어 인터콤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무선 헤드 셋의 경우, 휴대폰을 꺼내지 않고도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으며, 또한 휴대폰으로 자판기를 이용하거나 지하철 승차시 요금을 자동으로 지불하는 등 휴대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도 적용된다.
또한,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에는 휴대폰을 통한 인터넷 접속을 들 수 있으며, 휴대폰과 노트북 컴퓨터 간의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PCMCIA 카드나 USB 동글(Dongle) 형태의 제품으로 보급되거나 신규 출시되는 노트북 컴퓨터에는 본체 내에 내장되고 있다. 이외에도 컴퓨터 주변기기는 물론 음향기기, 가전제품 및 자동차 등에까지도 널리 적용되고 있다.
특히 블루투스는 MP3나 PMP 등의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는 소스부(110) 및 싱크부(120)를 포함하며, 싱크부(120)는 DAC부(130) 및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오디오 데이터를 보내는 쪽을 소스(Source)라 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RF(Radio Frequency)를 통해 수신하여 재생하는 쪽을 싱크(Sink)라 한다. 일반적인 경우에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는 핸드폰이나 MP3, PMP와 블루투스 헤드 셋/스피커의 경우 핸드폰이나 MP3, PMP 등은 소스부(110)가 되고 블루투스 헤드 셋/스피커는 싱크부(120)가 된다.
이때의 오디오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SBC(Sub-Band Coding)라는 압축 기법을 사용하여 압축된 데이터가 보내지게 되는데 이 신호를 전송받는 싱크부(120)에서는 압축된 데이터를 오디오 디코딩부(122)를 통해 복호화(Decoding)한 후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부(124)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나 이어폰, 헤드폰 등의 출력부(126)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하게 된다.
종래의, A2DP 방식을 이용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싱크부(120)의 경우, 단순히 위에서 언급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즉, 종래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는 소스부(110)에서는 SBC 압축 기법으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싱크부(120)에서는 복호화한 후, 복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DAC부(124)를 통해 출력부(126)로 전달함으로써 단순히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작만을 수행하는 것에 국한이 되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스(Source) 측으로부터 입력되 는 오디오 데이터와 마이크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각각 다양한 음향 효과를 부가하고, 두 오디오 데이터를 혼합한 후, 혼합된 오디오 데이터에 다시 다양한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출력 또는 저장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혼합 기능 및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스부(Source)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디오 디코딩부; 상기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부; 상기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혼합하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혼합부(Mixer); 상기 혼합 오디오 데이터에 신호처리를 통해 제 3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3 신호처리부; 상기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가 가청음으로 출력되도록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부; 및 상기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엔코딩하여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디오 엔코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스부(Source)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디오 디코딩부; 상기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부; 상기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에 신호처리를 통해 제 2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신호처리부; 상기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처리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혼합하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혼합부(Mixer); 상기 혼합 오디오 데이터가 가청음으로 출력되도록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부; 및 상기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엔코딩하여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디오 엔코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소스부(Source)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신호처리하여 제 2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처리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혼합하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신호처리하여 제 3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 또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소스부(Source)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신호처리하여 제 2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처리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혼합하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신호처리하여 제 3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 또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200)는 소스부(Source)(210) 및 싱크부(Sink)(212)를 포함한다. 또한, 싱크부(212)는 오디오 디코딩부(214), 입력부(216),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부(218), 제 1 신호처리부(220), 제 2 신호처리부(222), 제 3 신호처리부(224),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부(226), 출력부(228), 오디오 엔코딩부(230), 저장부(232) 및 혼합부(Mixer)(2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소스부(210) 및 싱크부(212)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소스부(210) 및 싱크부(212) 간의 통신 방식으로는 무선 LAN, 블루투스, HomeRF, IrDA, UWB(Ultra-Wideband) 등의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소스부(210) 및 싱크부(212)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거나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소스부(210)는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하며, SBC(Sub-Band Coding) 압축 기법으로 압축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방식을 이용하여 RF(Radio Frequency)를 통해 싱크부(212)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는 핸드폰, MP3 및 PMP 등을 포함한다.
싱크부(212)는 소스부(210)부로터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이하, 제 1 오디오 데이터'라 칭함)를 복호화하고 다양한 음향 효과(제 1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저장 또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 및 입력부(216)를 통해 입력되는 다른 오디오 데이터(이하, '제 2 오디오 데이터'라 칭함)에 다양한 음향 효과(제 2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제 1 오디오 데이터와 혼합한 후, 또다시 음향 효과(제 3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출력 또는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의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200)는 소스부(21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싱크부(212)에서 수신하여 단순히 재생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별도의 입력부(216)를 통해 입력되는 제 2 오디오 데이터와 혼합하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거나 오디오 엔코딩부(230)를 통해 오디오 엔코딩 과정을 거쳐 압축하여 저장부(232)에 저장하는 녹음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200)는 저장부(232)에 저장된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FTP(File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여 소스부(2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200)는 제 1 신호처리부(220), 제 2 신호처리부(222) 및 제 3 신호처리부(224)를 통해 제 1 오디오 데이터, 제 2 오디오 데이터 및 혼합 오디오 데이터에 다양한 음향 효과(제 1 음향 효과, 제 2 음향 효과 및 제 3 음향 효과)를 부가 또는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기능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싱크부(212)에 오디오 데이터의 혼합, 다양한 음향 효과의 부가 및 오디오 엔코딩 등의 과정을 담당하는 오디오 프로세서가 추가적으로 필요한데, 이러한 오디오 프로세서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추가 비용이 발생하여 제품의 제작 비용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이를 막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의 소프트 웨어 스택(Software Stack)을 오디오 프로세서 상에서 구현함으로써 블루투스 모듈의 비용을 줄임으로써 오디오 프로세서의 추가로 인한 비용의 증가를 막을 수 있다.
후술하는 과정에서는 본 발명의 싱크부(212)를 구성하는 각 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오디오 디코딩부(214)는 소스부(210)로부터 압축되어 전송되는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Decoding)하여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 1 신호처리부(2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는 제 1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여 복호화한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의미한다.
입력부(216)는 마이크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ADC부(218)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DC부(218)는 입력부(216)로부터 전달된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 2 신호처리부(222)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는 아날로그 신호인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것을 의미한다.
제 1 신호처리부(220)는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에 제 1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며, 제 2 신호처리부(222)는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에 제 2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며, 제 3 신호처리부(224)는 혼합 오디오 데이터에 제 3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각 신호처리부(220, 222, 224)에서 수행하는 음향 효과는 디지털 볼륨 콘트롤, 이퀄라이저(Equalizer), 재생 속도 조절, 노이즈 제거(Noise Cancel), 음색 변환, AGC(Audio Gain Control), 에코(Echo) 첨가/제거 등의 다양한 신호처리를 포함한다.
또한, 각 신호처리부(220, 222, 224)에서 수행하는 신호처리의 종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입력부(216)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신호처리를 제 2 신호처리부(222)에서만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 3 신호처리부(224)에 노이즈 제거부를 추가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신호처리부(220), 제 2 신호처리부(222) 및 제 3 신호처리부(224)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AC부(226)는 디지털 신호인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 또는 처리 제 1 오디오 데이터,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 또는 처리 제 2 오디오 데이터, 혼합 오디오 데이터 또는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 등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부(228)로 전달하며, 출력부(228)는 DAC부(226)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부(228)는 스피커나 이어폰, 헤드폰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엔코딩부(230)는 혼합 오디오 데이터 또는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엔코딩 과정을 거쳐 압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저장부(232)는 오디오 엔코딩부(230)를 통해 압축된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232)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및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DD: Optical Disk Drive), 비휘발성 메모리이며 바이트(Byte) 단위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또는 블록(Block) 단위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및 에스디램(SDRAM: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다양한 저장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싱크부(212)는 저장부(232)에 저장된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FTP를 이용하여 소스부(210)로 전송하는 전송부(미도시) 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혼합부(234)는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 또는 처리 제 1 오디오 데이터,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 또는 처리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혼합하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 3 신호처리부(224)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처리부(220)는 디지털 볼륨 콘트롤부(310), 이퀄라이저(320), 재생 속도 조절부(330) 및 다수의 스위치(S1, S2)를 포함한다.
소스부(210)로부터 전송된 제 1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디코딩부(214)에서 복호화되어 제 1 신호처리부(220)로 입력되며, 제 1 신호처리부(220)는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에 제 1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한다.
디지털 볼륨 콘트롤부(310)는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의 신호 레벨을 조절한다.
또한, 이퀄라이저(320)는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레벨을 조절한다. 이 과정을 거치면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의 음정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재생 속도 조절부(330)는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퀄라이저(320) 및 재생 속도 조절부(330)를 통해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의 음정 및 재생 속도를 조절하면, 본 발명의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200)를 이용하여 디지털 가라오케 플레이어(Digital Karaoke Player)에서 배경 음악 또는 반주 등의 음정과 속도를 조절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신호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신호처리부(222)는 노이즈 제거부(410), 음색 변환부(420), 디지털 볼륨 콘트롤부(430), AGC(440), 에코 첨가부/제거부(450, 460), 이퀄라이저(470) 및 다수의 스위치(S1 내지 S5)를 포함한다.
입력부(216)로부터 입력되어 ADC부(218)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는 제 2 신호처리부(222)로 입력되며, 제 2 신호처리부(222)는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에 제 2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한다.
노이즈 제거부(410)는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입력부(216)로부터 입력된 제 2 오디오 데이터는 외부의 입력 장치를 통해서 수신되기 때문에 노이즈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노이즈 제거부(410)를 통해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음색 변환부(420)는 사용자의 음성 특징을 이용하여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의 음색을 바꾸어 주는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남성의 음성은 여성의 음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에 분포하고, 반대로 여성의 음성은 높은 주파수 대역에 분포하는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변환하면 남성의 목소리를 여성의 목소리로 바꾸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여성의 목소리를 남성의 목소리로 바꾸는 등의 다양한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지털 볼륨 콘트롤부(430) 및 AGC(440)는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AGC(440)는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의 볼륨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의 소리가 너무 큰 경우는 신호 레벨을 낮추고 소리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신호 레벨을 높여주는 동작을 수행한다.
에코 첨가부/제거부(450, 460)는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에 에코 효과를 첨가 또는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 생 장치(200)를 이용하여 디지털 가라오케 플레이어를 제작하면, 에코 첨가부(450)를 통해 배경 음악 또는 반주의 에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200)를 어학 학습기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코 효과는 학습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에코 제거부(460)를 통해 에코 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
이퀄라이저(470)는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별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200)를 이용하면, 제 1 신호처리부(220)에서는 소스부(210)로부터 전송되는 배경 음악 또는 반주의 음정을 조절할 수 있고, 제 2 신호처리부(222)에서는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의 음정을 조절할 수 있어, 디지털 가라오케 플레이어 등과 같은 음향 기기를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3 신호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3 신호처리부(224)는 디지털 볼륨 콘트롤부(510), AGC(520), 에코 첨가부/제거부(530, 540), 이퀄라이저(550) 및 다수의 스위치(S1 내지 S3)를 포함한다.
소스부(210)로부터 입력되어 제 1 신호처리부(220)를 통해 제 1 음향 효과가 부가된 처리 제 1 오디오 데이터와, 입력부(216)로부터 입력되어 제 2 신호처리부(222)를 통해 제 2 음향 효과가 부가된 처리 제 2 오디오 데이터는 혼합부(234) 로 입력되며, 혼합부(234)는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 3 신호처리부(224)로 입력하고, 제 3 신호처리부(224)는 혼합 오디오 데이터에 제 3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 3 신호처리부(224)는 혼합 오디오 데이터의 신호 레벨을 디지털 볼륨 콘트롤부(510) 또는 AGC(520)를 통해 조절하고, 에코 첨가부/제거부(530, 540)를 통해 에코 효과를 첨가 또는 제거하며, 이퀄라이저(550)를 통해 주파수 대역별 신호 레벨의 조절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신호처리부(220), 제 2 신호처리부(222) 및 제 3 신호처리부(224)는 각각 입력되는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 및 혼합 오디오 데이터에 다양한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데, 각 신호처리부(220, 222, 224)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들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하며, 이는 다수의 스위치(S1 내지 S5)의 동작에 따라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220)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오디오의 복호화와 오디오 데이터의 혼합, 제 1 내지 제 3 신호처리부(220, 222, 224)의 동작, 오디오 엔코딩 동작 등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는 2 개의 CPU 코어(Core)를 갖는 칩(오디오 프로세서)에서는 두 개의 코어 중 하나는 복호화와 제 2 신호처리부(222)의 동작을 수행하고, 다른 하나는 오디오 데이터의 혼합, 제 1 및 제 3 신호처리부(220, 224)의 동작 및 오디오 엔코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CPU 코어를 갖는 칩일 경우에는 스케즐링에 의해서 위의 과정들을 적절히 나누어 수행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200)에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혼합하고 다양한 음향 효과를 부과하여 출력/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200) 중 싱크부(212)를 구성하는 각 부의 제어는 오디오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수행된다.
오디오 프로세서는 소스부(210)로부터 제 1 오디오 데이터가 전송되면, 오디오 디코딩부(214)를 통해 복호화하여 디코딩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 1 신호처리부(220)로 전달한다(S602).
제 1 신호처리부(220)는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에 제 1 음향 효과, 즉, 디지털 볼륨 콘트롤, 이퀄라이저 및 재생 속도 조절 등의 신호처리 동작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처리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한 후 혼합부(234)로 전달한다(S604).
한편, 단계 S602 및 S604와 동시에, 입력부(216)를 통해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ADC부(218)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 생성하고, 제 2 신호처리부(222)는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에 제 2 음향 효과, 즉, 노이즈의 제거, 음색 변환, 디지털 볼륨 콘트롤 또는 AGC, 에코 효과의 첨가 또는 제거 및 이퀄라이저 조절 등의 신호처리 동작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처리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한 후 혼합부(234)로 전달한 다(S606).
제 1 신호처리부(220) 및 제 2 신호처리부(222)를 거쳐 신호처리되어 제 1 음향 효과 및 제 2 음향 효과가 부가된 처리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처리 제 2 오디오 데이터는 혼합부(234)를 통해 혼합된다. 이 과정을 통해 혼합 오디오 데이터가 생성된다(S608).
오디오 프로세서는 제 3 신호처리부(224)를 제어하여 혼합 오디오 데이터에 제 3 음향 효과, 즉, 디지털 볼륨 콘트롤 또는 AGC, 에코 효과의 첨가 또는 제거 및 이퀄라이저 조절 등의 신호처리 동작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S610).
오디오 프로세서는 제 3 신호처리부(224)를 통해 신호처리된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DAC부(226) 및 출력부(228)를 통해 출력할 것인지 또는 오디오 엔코딩부(230)를 거쳐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부(232)에 저장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612).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부(228)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하거나(S614, S616), 오디오 엔코딩 과정을 통해 압축하여 저장부(232)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618, S62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은,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에 제 1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단계(S604),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에 제 2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단계(S606) 및 혼합 오디오 데이터에 제 3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단계(S610)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 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제 1 신호처리부(220), 제 2 신호처리부(222) 및 제 3 신호처리부(224) 중 제 2 신호처리부(222) 또는 제 3 신호처리부(224)에서 오디오 데이터에 제 2 음향 효과 또는 제 3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추가적으로 제 1 신호처리부(220)에서 오디오 데이터에 제 1 음향 효과를 부가하거나, 제 2 신호처리부(222) 및 제 3 신호처리부(224) 모두에서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를 제작하는 경우, 각 신호처리부(220, 222, 224)의 포함 여부는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를 사용하면, 핸드폰, MP3 및 PMP 등의 소스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배경 음악이나 반주 등의 오디오 데이터와 외부의 입력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서로 혼합하고 다양한 음향 효과를 부가할 수 있어, 무선 디지털 가라오케 플레이어, 무선 블루투스 헤드 셋/스피커, 디지털 뮤직 레코더(Digital Music Recorder) 및 어학 학습기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폰, MP3 및 PMP 등의 소스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배경 음악이나 반주 등의 오디오 데이터와 외부의 입력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서로 혼합하고 다양한 음향 효과를 부가할 수 있어, 무선 디지털 가라오케 플레이어, 무선 블루투스 헤드 셋/스피커, 디지털 음악 레코더(Digital Music Recorder) 및 어학 학습기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디지털 가라오케 플레이어를 구현할 수 있으며, 에코의 부가/제거 기능, 음정과 속도의 조절, 음량의 조절 또한 반주와 사용자의 음성을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어학 학습기를 구현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음성을 간편하게 녹음하여 다른 사용자의 음성과 혼합하여 비교하거나 재생 속도의 조절 등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헤드 셋이나 무선 스피커를 구현하여, 이퀄라이저나 음색 변환 등의 여러 가지 음장 효과와 디지털 볼륨 콘트롤이나 AGC 등을 다양한 음향 효과 등을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소스부의 종류에 상관없이 쉽게 추가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루투스 소프트웨어 스택을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 상에 구비하여 하나의 칩으로 구현함으로써 비용의 절감과 동시에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소스부(Source)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디오 디코딩부;
    상기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부;
    상기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혼합하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혼합부(Mixer);
    상기 혼합 오디오 데이터에 신호처리를 통해 제 3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3 신호처리부;
    상기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가 가청음으로 출력되도록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부; 및
    상기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엔코딩하여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디오 엔코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2. 소스부(Source)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입력부로부터 입력되 는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디오 디코딩부;
    상기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부;
    상기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에 신호처리를 통해 제 2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신호처리부;
    상기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처리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혼합하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혼합부(Mixer);
    상기 혼합 오디오 데이터가 가청음으로 출력되도록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부; 및
    상기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엔코딩하여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디오 엔코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에 신호처리를 통해 제 1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신호처리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 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처리부는,
    디지털 볼륨 콘트롤, AGC(Audio Gain Control),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절, 재생 속도 조절, 노이즈 제거(Noise Cancel), 음색 변환 및 에코(Echo) 첨가/제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처리부는,
    상기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디지털 볼륨 콘트롤부;
    상기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
    상기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재생 속도 조절부; 및
    다수의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처리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다수의 스위치가 동작하여 상기 디지털 볼륨 콘트롤부, 상기 이퀄라이저 및 상기 재생 속도 조절부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혼합 오디오 데이터에 신호처리를 통해 제 3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3 신호처리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FTP(File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부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신호처리부는,
    디지털 볼륨 콘트롤, AGC(Audio Gain Control),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절, 재생 속도 조절, 노이즈 제거(Noise Cancel), 음색 변환 및 에코(Echo) 첨가/제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 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무선 LAN, 블루투스(Bluetooth), HomeRF, IrDA 및 UWB(Ultra-Wideband)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식 및 유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처리는,
    디지털 볼륨 콘트롤, AGC(Audio Gain Control),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절, 재생 속도 조절, 노이즈 제거(Noise Cancel), 음색 변환 및 에코(Echo) 첨가/제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처리부는,
    상기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
    상기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의 음색을 변환하는 음색 변환부;
    상기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디지털 볼륨 콘트롤부 및 AGC(Audio Gain Control);
    상기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에 에코 효과를 첨가/제거하는 에코 첨가/제거부;
    상기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 및
    다수의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처리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다수의 스위치가 동작하여 상기 노이즈 제거부, 상기 음색 변환부, 상기 디지털 볼륨 콘트롤부 및 AGC, 상기 에코 첨가/제거부 및 상기 이퀄라이저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14.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신호처리부는,
    상기 혼합 오디오 데이터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디지털 볼륨 콘트롤부 및 AGC(Audio Gain Control);
    상기 혼합 오디오 데이터에 에코 효과를 첨가/제거하는 에코 첨가/제거부;
    상기 혼합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별로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 및
    다수의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디 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신호처리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다수의 스위치가 동작하여 상기 디지털 볼륨 콘트롤부 및 AGC, 상기 에코 첨가/제거부 및 상기 이퀄라이저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오디오 프로세서 상에서 블루투스의 소프트웨어 스택(Software Stack)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17. 소스부(Source)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변환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혼합하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신호처리하여 제 3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 또는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재생하는 방법.
  18. 소스부(Source)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신호처리하여 제 2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처리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혼합하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신호처리하여 제 3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 또는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재생하는 방법.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상기 디코딩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신호처리하여 제 1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처리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재생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효과는,
    디지털 볼륨 콘트롤, AGC(Audio Gain Control),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절, 재생 속도 조절, 노이즈 제거(Noise Cancel), 음색 변환 및 에코(Echo) 첨가/제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재생하는 방법.
  21.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 또는 저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2) 상기 단계 (d1)에서, 상기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부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d3) 상기 단계 (d1)에서, 상기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오디오 엔코딩 과정을 거쳐 상기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한 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재생하는 방법.
  22.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 이후에,
    (e) 저장부에 저장된 처리 혼합 오디오 데이터를 FTP(File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부로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재생하는 방법.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음향 효과는,
    디지털 볼륨 콘트롤, AGC(Audio Gain Control),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절, 재생 속도 조절, 노이즈 제거(Noise Cancel), 음색 변환 및 에코(Echo) 첨가/제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재생하는 방법.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음향 효과 및 3 음향 효과는,
    디지털 볼륨 콘트롤, AGC(Audio Gain Control),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절, 재생 속도 조절, 노이즈 제거(Noise Cancel), 음색 변환 및 에코(Echo) 첨가/제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재생하는 방법.
KR1020070026799A 2007-03-19 2007-03-19 오디오 데이터의 혼합 기능 및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기능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및방법 KR20080085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799A KR20080085376A (ko) 2007-03-19 2007-03-19 오디오 데이터의 혼합 기능 및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기능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799A KR20080085376A (ko) 2007-03-19 2007-03-19 오디오 데이터의 혼합 기능 및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기능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376A true KR20080085376A (ko) 2008-09-24

Family

ID=40025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799A KR20080085376A (ko) 2007-03-19 2007-03-19 오디오 데이터의 혼합 기능 및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기능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53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983B1 (ko) * 2014-03-14 2014-06-17 주식회사 케빅 통합 디지털 음원 혼합 시스템
WO2017048030A1 (ko) * 2015-09-14 2017-03-23 강민구 3단계 음성 언어 학습을 위한 더블 음원 재생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983B1 (ko) * 2014-03-14 2014-06-17 주식회사 케빅 통합 디지털 음원 혼합 시스템
WO2017048030A1 (ko) * 2015-09-14 2017-03-23 강민구 3단계 음성 언어 학습을 위한 더블 음원 재생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039B1 (ko) 무선 헤드셋에서의 동시 다중 소스 오디오 출력
CN106028208A (zh) 一种无线k歌麦克风耳机
CN106210943A (zh) 一种无线k歌话筒
KR100664961B1 (ko) 다중 음향 출력을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
US20050208893A1 (en) Bluetooth earphone module with audio player function
CN108886647A (zh) 耳机降噪方法及装置、主耳机、从耳机及耳机降噪系统
CN204231621U (zh) 一种歌唱耳机
CN103237282A (zh) 无线音频处理设备、无线音频播放器及其工作方法
WO2021160040A1 (zh) 音频传输方法及电子设备
CN109076280A (zh) 用户可定制的耳机系统
US20110146480A1 (en) Digital audio connections for portable handheld computing devices
CN107633849A (zh) 蓝牙设备音量调整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03313386U (zh) 无线音频处理设备、无线音频播放器、家庭用卡拉ok系统
JP6652096B2 (ja) 音響システム、及びヘッドホン装置
US2007006019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laying sound signals
CN101316422B (zh) 一种移动终端及其作为音频设备外放的方法
KR20080048175A (ko) 휴대 단말기의 음원 재생 시스템 및 재생 방법
KR100587425B1 (ko) 독립적인 오디오 경로가 형성되는 멀티미디어 기능 강화 단말기
KR200302150Y1 (ko)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mp3 플레이어 겸용 무선 헤드셋
KR20080085376A (ko) 오디오 데이터의 혼합 기능 및 음향 효과를 부가하는기능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및방법
WO2017185602A1 (zh) 一种耳机模式切换方法和电子设备
CN111225102A (zh) 一种蓝牙音频信号传输方法和装置
JP2010130415A (ja) 音声信号再生装置
TWI479408B (zh) 用於一電腦系統之數據卡及相關電腦系統
US9792917B2 (en) Audio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electro-acoustic converting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