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493B1 - 휴대폰을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폰을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493B1
KR100433493B1 KR10-2002-0000334A KR20020000334A KR100433493B1 KR 100433493 B1 KR100433493 B1 KR 100433493B1 KR 20020000334 A KR20020000334 A KR 20020000334A KR 100433493 B1 KR100433493 B1 KR 100433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rtable terminal
audio system
external connection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9927A (ko
Inventor
이중회
Original Assignee
이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회 filed Critical 이중회
Priority to KR10-2002-0000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493B1/ko
Publication of KR20030059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4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1Aspects relating to docking-station type assemblies to obtain an acoustical effect, e.g. the type of connection to external loudspeakers or housings, frequency improv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연결용 잭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연결용 잭에 들어온 아날로그신호 및 피씨엠(PCM) 데이터를 디코더(Decoder)한 신호를 변형 및 각자 취향에 맞도록 보정하는 이퀄라이저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리 변형부와, 상기 소리 변형부를 통해 변형된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신호 크기 조절 장치(VR)와, 상기 신호 크기 조절 장치를 통과한 미약한 신호를 크게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로 변환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폰을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A portable audio system using handphone}
본 발명은 휴대하면서 어디서나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여 소리를 그대로 또는 변형 후 증폭하여 이어폰 또는 하나의 스피커 또는 그 이상의 스피커로 크고 충실한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하거나 마이크를 통하여 간이 노래방을 구현할 수 있는 장치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이에게 있어서 휴대폰은 필수품이 되었다. 특히, 우리나라는 휴대폰 사용 인구가 10대의 청소년부터 60대 이상의 노년층에 이르기 까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전체 인구의 둘 중의 하나가 휴대폰을 이용할 정도의 휴대폰 대국이다.
이러한 휴대폰은 그 기능이 이제 단순히 통화 기능을 뛰어 넘어 가전 기기화 되고 있다. 듀얼 폴더니 입체적 동영상을 구현하는 컬러 휴대폰의 출시로 영상기기의 성능을 구현하고 있으며, MP3를 이용한 다운로드 방식으로 노래까지 들을 수 있는 음향기기의 기능을 구현하여 그 복합 기능의 다양성이 기술 발전과 함께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휴대폰은 기존의 가전 기기인 TV, 카세트 보다 소형이며, 그 무게에 있어서도 100g 정도의 경량이라는 점에 있어서 매력적인 대체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휴대폰의 복합화 또는 기능 통합화와 일찌기 노래와 춤을 즐기는 한민족의 기질적 특성이 어우러져 언제 어디서나 노래를 부르고 즐길 수 있는 장치나 시스템의 필요성이 긴요하게 요청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하면서 어디서나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여 소리를 그대로 또는 변형 후 증폭하여 이어폰 또는 하나의 스피커 또는 그 이상의 스피커로 크고 충실한 소리를 들을 수 있거나 마이크를 통하여 노래방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하면서 어디서나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여 사용하면서 오디오 시스템에서 노래를 듣는 중에 전화가 왔을 경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화의 소리로 절환하여 소리 그대로 또는 변형 후 증폭하여 이어폰 또는 하나의 스피커 또는 그 이상의 스피커로 큰 소리로 통화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현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충전기가 추가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스위치부가 추가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현되는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연결용 잭 101: 소리 변형부
102: 신호 크기 조절 장치 103: 증폭부
104: 스피커 105: 마이크 장치(1)
106: 헤드폰 107: 마이크 장치(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연결용 잭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연결용 잭에 들어온 아날로그신호 및 피씨엠(Pulse Code Modulation: 펄스 부호 변조) 데이터를 디코더(Decoder)한 신호를 변형 및 각자 취향에 맞도록 보정하는 이퀄라이저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리 변형부와, 상기 소리 변형부를 통해 변형된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신호 크기 조절 장치(VR)와, 상기 신호 크기 조절 장치를 통과한 미약한 신호를 크게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로 변환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오디오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연결용 잭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외부 연결용 잭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하는 스위치로서, 노래를 듣는 중에 전화가 왔을 경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화 모드로 변환시키는 스위치부와, 들어온 아날로그 신호 및 피씨엠 데이터를 디코더한 신호를 변형 및 각자 취향에 맞도록 보정하는 소리 변형부와, 상기 소리 변형부를 통해 변형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신호 크기 조절 장치와, 상기 신호 크기 조절 장치를 통해 크기가 조절된 미약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로 변환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폰을 이용하여 간편하고 편리하게 구성된 오디오 시스템이 도시된다.
본 발명인 오디오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연결용 잭(100)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외부 연결용 잭(100)에 들어온 아날로그 신호 및 피씨엠 데이터를 디코더한 신호를 변형 및 각자 취향에 맞도록 보정하는 이퀄라이저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리 변형부(101)와, 가변 저항으로서 상기 소리 변형부(101)를 통해변환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신호 크기 조절 장치(VR:102)와, 상기 신호 크기 조절 장치(102)를 통해 크기가 조절된 작은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103)와, 상기 증폭부(103)을 통해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로 변환시키는 스피커(104)를 포함한다. 또한, 노래를 부르기 위해 필요한 마이크 장치1(105)과, 전화 통화시 큰소리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마이크 장치2(107)와, 타인에게 소리가 들리지 않게 하고 혼자 들을수 있게 하는 헤드폰(106)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 장치1(105)와 마이크 장치2(107)에는 증폭기가 포함될 수 있고, 헤드폰(106)은 이어폰 등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리소스(resource) 신호, 즉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연결용 잭(100)을 통해 들어온 아날로그 신호 및 피씨엠 데이터를 디코더한 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연결용 잭(100)을 통해 들어온 아날로그 신호 및 피씨엠 데이터를 디코더한 신호는 변형 및 각자 취향에 맞도록 보정하는 소리 변형부(101)를 거친다. 그 다음에, 상기 소리 변형부(101)를 거친 상기 리소스 신호는 신호 크기 조절 장치(102)를 통해 그 신호의 크기가 조절되고, 증폭부(103)를 통해 증폭되면, 우리는 스피커(104) 또는 헤드폰(106)을 통해 크고 충실한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리 변형부를 거친 단계에서 마이크 장치1(105)를 부가하여 노래를 부를수 있고, 마이크 장치2(107)를 부가하여 큰 소리로 통화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의 이어폰을 통해 음악을 듣는 것과 달리 휴대폰의 외부 연결용 잭을 통하여 대용량의 스테레오 데이터가 입력될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의 모노 음향과 다른 스테레오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현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현되는 구조는 스피커(200)와, 카세트 기능 및 노래방 기능 및 전화 통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기능 실행부(201)와, 휴대폰과의 접속 단자(202)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 실행부(201)에는 도 1의 소리 변형부(101)와, 신호 크기 조절 장치(102)와, 증폭부(103)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구현된 오디오 시스템은 스피커(200)와 기능 실행부(201)를 길게 펴서 일자형으로 할수 있으며, 접히거나 굽히는 등 접이식으로 할수 있으며, 착탈 할 수 있게 하여 사용의 편리성과 휴대가 용이하게 한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충전기가 추가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휴대폰을 이용한 오디오 시스템에 충전기가 추가된 장치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충전기가 추가된 장치는 건전지등의 DC 전원(300)과, 전기. 전자 기기와 AC 전원 사이를 연결하는 AC용 전력 코드(powercord :301)와, 상기 AC용 전력 코드와 연결되는 DC 아답터(302)와, DC 전압을 받아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장치인 충전부(303)와,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연결용 잭(3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DC 아답터는 AC 대전압을 필요한 AC전압으로 변환시키는 트랜스와, 상기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정류부와, 상기 DC 전압을 필요한 정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정전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스위치부가 포함되는 오디오 시스템을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스위치부가 포함되는 오디오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연결용 잭(400)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외부 연결용 잭(400)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하는 스위치로서, 노래를 듣는 중에 전화가 왔을 경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화 모드로 변환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부(401)와, 상기 외부 연결용 잭(400)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 및 피씨엠(PCM) 데이터를 디코더한 신호를 변형 및 각자 취향에 맞도록 보정하는 소리 변형부(402)와, 상기 소리 변형부(402)를 통해 변형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신호 크기 조절 장치(VR:403)와, 상기 신호 크기 조절 장치(403)를 통해 크기가 조절된 미약한 신호를 크게 증폭시키는 증폭부(404)와, 상기 증폭부(404)를 통해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로 변환시키는 스피커(4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노래를 부르기 위해 필요한 마이크 1(406)과, 전화 통화시 큰소리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마이크 2(407)와, 타인에게 소리가 들리지 않게 하고 혼자 들을수 있게 하는 헤드폰(408)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 2(407)는 큰 소리로 통화를 하고자 할때만 스위치부(40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 1(406)와 마이크 2(407)에는 증폭기가 포함될 수 있고, 헤드폰(408)은 이어폰 등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스위치부가 포함되는 오디오 시스템에 따르면, 휴대하면서 어디서나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여 사용하면서 상기 도 1의 오디오 시스템에서 노래를 듣는 중에 전화가 왔을 경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화의 소리로 절환하여 소리 그대로 또는 변형 후 증폭하여 이어폰 또는 하나의 스피커 또는 그 이상의 스피커로 큰 소리로 통화할 수 있게 한다.
즉, 휴대폰 본래의 기능인 통화 기능을 그대로 살리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오디오 시스템 및 간이 노래방 기능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현되는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의 회로 구성을 참조하면, 휴대폰의 단자의 PCM_CLK(8)과 PCM_SYNC(9)에서 전송된 PCM 신호는 본 발명인 오디오 시스템(휴대 장치)의 PCM 신호 연결 포트인 단자 PCM_CLK(8)과 PCM_SYNC(9)에 연결된다.
휴대폰의 외부 연결용 잭을 통해 오디오 시스템에 연결된 PCM 신호는 PCM 디코더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며 소리 변형부에서 변형되어 각자 취향에 맞도록 보정된다. 보정된 신호는 음장 조절 장치와 톤/볼륨 조절 장치를 통해 음장, 톤/볼륨이 조절되고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구현된다.
여기서, 소리 변형부를 거친 단계에서 마이크가 추가 될수 있다. 또한 DD-CON은 3V인 V_POWER를 휴대폰의 4.2V와 같게 승압 작용의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의 이어폰을 통해 음악을 듣는 것과 달리 휴대폰의 외부 연결용 잭을 통하여 대용량의 스테레오 데이터가 입력될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의 모노 음향과 다른 스테레오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을 이용한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휴대폰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복합화 되는 특성을 활용하여 휴대폰을 이용한 오디오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노래를 들을수 있고 부를 수 있고, 전화 통화도 가능한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휴대폰을 통해 오디오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의 소형화 , 경량화의 효과를 그대로 가져와 가볍고 소형화된 오디오 시스템 또는 노래방을 구현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폰과 충전 장치에 오디오 시스템을 일체화 시키거나, 펴서 접게 할 수 있게 하는 등 간편하고 휴대하기 용이하게 하여 공간 절감과 사용의 편리성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위치부를 통해 음악을 듣는 중에 전화가 오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화 모드로 변환 할수 있게 하여 기존 휴대폰 고유 기능인 통화 기능을 그대로 살리면서 음악 감상이나 간이 노래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융통성 있고 유연하며 다목적의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Claims (7)

  1.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연결용 잭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외부 연결용 잭에 들어온 아날로그 신호 및 피씨엠 데이터를 디코더한 신호를 변형 및 각자 취향에 맞도록 보정하는 이퀄라이저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리 변형부와,
    상기 소리 변형부를 통해 변형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신호 크기 조절 장치(VR)와,
    상기 신호 크기 조절 장치를 통한 신호를 크게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큰 소리로 통화할 수 있도록 마이크 장치 1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마이크 장치 2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으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외부 연결용 잭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하는 스위치로서, 노래를 듣는 중에 전화가 왔을 경우, 자동 전화 모드 또는 수동 전화 모드로 변환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외부 연결용 잭과,
    건전지의 DC 전원과,
    전기 기기와 AC 전원 사이를 연결하는 AC용 전력 코드와,
    상기 AC용 전력 코드와 연결되는 DC 아답터와,
    DC 전압을 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연결용 잭을 통하여 대용량의 스테레오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
KR10-2002-0000334A 2002-01-03 2002-01-03 휴대폰을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 KR100433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334A KR100433493B1 (ko) 2002-01-03 2002-01-03 휴대폰을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334A KR100433493B1 (ko) 2002-01-03 2002-01-03 휴대폰을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927A KR20030059927A (ko) 2003-07-12
KR100433493B1 true KR100433493B1 (ko) 2004-05-31

Family

ID=32216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334A KR100433493B1 (ko) 2002-01-03 2002-01-03 휴대폰을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943A (ko) * 2002-06-26 2004-01-07 주식회사 유펄스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노래방 시스템
KR100775277B1 (ko) 2005-01-06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향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7060A (ja) * 1995-12-28 1997-07-15 Nec Corp ワイヤレスイヤホン付き携帯電話機
KR19990024210A (ko) * 1998-12-22 1999-03-25 김재한 휴대형 무선전화기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는 장치와 그 방법
KR19990035403U (ko) * 1999-06-18 1999-09-06 유희목 엠피3플레이어휴대폰
KR19990035372U (ko) * 1999-06-07 1999-09-06 임성하 앰피쓰리폰
KR19990035068U (ko) * 1999-05-29 1999-09-06 국중교 이동전화단말기에엠피3플레이어기능의복합및다기능화
KR20000027473A (ko) * 1998-10-28 2000-05-15 구자홍 엠피-3 플레이가 가능한 휴대폰
KR20000051391A (ko) * 1999-01-21 2000-08-16 이호원 디지탈 음악데이터 처리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KR20000066763A (ko) * 1999-04-20 2000-11-15 장국기 엠피쓰리 플레이어 휴대(이동) 전화기
KR20010058754A (ko)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0084447A (ko) * 2000-02-25 2001-09-06 서평원 엠피쓰리 복합형 휴대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7060A (ja) * 1995-12-28 1997-07-15 Nec Corp ワイヤレスイヤホン付き携帯電話機
KR20000027473A (ko) * 1998-10-28 2000-05-15 구자홍 엠피-3 플레이가 가능한 휴대폰
KR19990024210A (ko) * 1998-12-22 1999-03-25 김재한 휴대형 무선전화기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는 장치와 그 방법
KR20000051391A (ko) * 1999-01-21 2000-08-16 이호원 디지탈 음악데이터 처리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KR20000066763A (ko) * 1999-04-20 2000-11-15 장국기 엠피쓰리 플레이어 휴대(이동) 전화기
KR19990035068U (ko) * 1999-05-29 1999-09-06 국중교 이동전화단말기에엠피3플레이어기능의복합및다기능화
KR19990035372U (ko) * 1999-06-07 1999-09-06 임성하 앰피쓰리폰
KR19990035403U (ko) * 1999-06-18 1999-09-06 유희목 엠피3플레이어휴대폰
KR20010058754A (ko)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0084447A (ko) * 2000-02-25 2001-09-06 서평원 엠피쓰리 복합형 휴대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927A (ko) 200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13751A1 (en) Volume dependent audio frequency gain profile
CN105049993B (zh) 包括依赖于音量控制的均衡的扬声器系统
JP2002101156A (ja) 携帯電話機及び音声処理方法
US20220217475A1 (en) Hearing aid with wireless transmission function
KR100433493B1 (ko) 휴대폰을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
CN101510904A (zh) 一种手机扩音器及其实现方法
US20030076952A1 (en)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elephone calls
KR200399023Y1 (ko)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JPH10276250A (ja) 携帯端末装置
KR20030059928A (ko) 휴대폰을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
US20100048138A1 (en) Communication device
KR20030059929A (ko) 휴대폰을 이용하는 휴대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
KR10056531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
JP2002027029A (ja) 通信端末装置
CN109144457B (zh) 音频播放装置及其音频控制电路
CN212034321U (zh) 耳机控制模块及耳机系统
KR100684519B1 (ko) 카오디오용 음성 인식 핸즈프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카오디오
CN211128119U (zh) 一种ai智能语音控制蓝牙tws对耳耳机系统
CN210298017U (zh) 一种ai智能语音控制蓝牙tws对耳耳机系统
CN217363256U (zh) 一种2.1声道k歌音响设备一体机
CN214315582U (zh) 头戴式耳机
CN212876100U (zh) 耳机连接器
CN210183378U (zh) 音频输出装置及具有其的通讯终端
JP4725491B2 (ja) 外部スピーカ利用システム
KR100632112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팩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