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257B1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257B1
KR102581257B1 KR1020180135328A KR20180135328A KR102581257B1 KR 102581257 B1 KR102581257 B1 KR 102581257B1 KR 1020180135328 A KR1020180135328 A KR 1020180135328A KR 20180135328 A KR20180135328 A KR 20180135328A KR 102581257 B1 KR102581257 B1 KR 102581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circular arc
display panel
sof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2502A (ko
Inventor
이영명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5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257B1/ko
Priority to US16/509,655 priority patent/US10756300B2/en
Priority to CN201911015320.3A priority patent/CN111146243A/zh
Publication of KR20200052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502A/ko
Priority to US16/932,990 priority patent/US1086827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2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대적 연질부재와 상대적 경질부재가 어느 한 쪽의 중공에 다른 한 쪽이 끼워 맞춤되도록 동일층에 배치된 커버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설치한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o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설치되는 커버의 구조가 개선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나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표시 장치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과 배면을 각각 윈도우와 커버로 보호해주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 커버의 경우에는 적절한 강성과 연성을 모두 갖추고 있어야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을 잘 보호해줄 수 있는데, 이 상반된 두 가지 특성을 단일 재질로 감당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다고 각 특성을 가진 커버들을 여러 층으로 적층하게 되면 제품이 두꺼워져서 근래의 슬림화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또 다른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품을 두껍게 만들지 않으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을 잘 보호할 수 있도록 강성과 연성을 적절히 갖춘 커버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대적 연질부재와 상대적 경질부재가 어느 한 쪽의 중공에 다른 한 쪽이 끼워 맞춤되도록 동일층에 배치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은 서로 대면하면서 상이한 반경을 가진 제1원호 및 제2원호와, 상기 제1원호의 양단부에서 상기 제2원호를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제1직선부와, 상기 한 쌍의 제1직선부의 말단과 상기 제2원호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직선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의 본체 안에 상기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대적 연질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단연질부 및 하단연질부와, 상기 상단연질부 및 상기 하단연질부 사이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중공에 끼워맞춰져서 형합되는 중심연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원호의 반경이 상기 제2원호의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원호의 중심과 상기 제2원호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은 상기 한 쌍의 제1직선부와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전체 면적에 대한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의 면적 비율은 3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상대적 연질부재는 발포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경질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면에 편광부재와 윈도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는, 유한요소법의 위상최적설계를 이용하여 고유주파수를 최대화할 수 있는 상대적 연질부재와 상대적 경질부재의 조합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 결과를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상기 상대적 연질부재와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를 동일층으로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상대적 연질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단부에 각각 상단연질부 및 하단연질부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상단연질부 및 상기 하단연질부 사이에 양쪽에서 모두 이격되도록 중심연질부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의 본체 안에 상기 중심연질부와 형합되는 중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공과 상기 중심연질부가 형합되도록 상기 상단연질부 및 상기 하단연질부 사이에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을 형성하는 단계는, 서로 대면하면서 상이한 반경을 가진 제1원호 및 제2원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원호의 양단부에서 상기 제2원호를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제1직선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제1직선부의 말단과 상기 제2원호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직선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원호의 반경이 상기 제2원호의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원호의 중심과 상기 제2원호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은 상기 한 쌍의 제1직선부와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전체 면적에 대한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의 면적 비율은 30% 이하가 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상대적 연질부재는 발포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경질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면에 편광부재와 윈도우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품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이를 채용하면 견고하면서도 슬림화에 유리한 보다 신뢰성 높은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버의 형상을 설정하는 위상최적설계 방식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표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고유주파수 향상 정도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표시 장치(100)의 배면도이며, 도 2는 커버(120)를 이루는 상대적 연질부재(121)와 상대적 경질부재(122)의 각 조각들의 개별 형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은 원칙적으로 커버(120)가 위로 가고 윈도우(130)가 아래로 가도록 도시하는 것이 맞지만, 편의 상 사용자가 화상이 시청하는 윈도우(130) 쪽이 위로 가고 커버(120)가 아래로 가도록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면에 커버(120)가 부착되고, 타면에는 편광부재(150)와 윈도우(13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구현된 화상은 윈도우(130) 쪽에서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게 되며, 그 윈도우(130)의 노출면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은 케이스(160)에 수납된다. 참조부호 140은 접착 레진을 나타낸다.
상기 윈도우(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면 즉, 화상이 표시되는 쪽을 덮어서 보호해주는 것으로, 예컨대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실리콘(silico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ET, 폴리아라미드(polyaramid), 폴리이미드(polyimide) 등과 같은 다양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상기한 바대로 화상이 구현되는 요소로서,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구조를 간략히 살펴보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는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유기발광소자(EL) 등이 구비되어 있다.
먼저 박막트랜지스터(TFT)를 보면, 기판(110a) 상의 버퍼층(110b) 상부에 활성층(114)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활성층(114)은 N형 또는 P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갖는다. 이 활성층(114)을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는 아연(Zn), 인듐(In), 갈륨(Ga), 주석(Sn) 카드뮴(Cd), 게르마늄(Ge)과 같은 12, 13, 14족 금속 원소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물질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화물 반도체 활성층(114)은 G-I-Z-O[(In2O3)a(Ga2O3)b(ZnO)c](a, b, c는 각각 a≥0, b≥0, c>0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층(114)의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110c)을 개재하여 게이트 전극(115)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115)의 상부에는 소스 전극(116)과 드레인 전극(117)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115)과 소스전극(116) 및 드레인 전극(117)의 사이에는 층간 절연막(110d)이 구비되어 있고, 소스전극(116) 및 드레인 전극(117)과 유기발광소자(EL)의 화소전극(111) 사이에는 패시베이션막(110e)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화소전극(111)의 상부에 상기한 화소정의막(110f)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화소정의막(110f)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화소전극(111)을 노출시킨한 후, 그 위에 유기발광소자(110)의 발광층(112)을 증착으로 형성한다.
상기 유기발광소자(EL)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적, 녹, 청색의 빛을 발광하여 소정의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117)에 연결된 화소전극(111)과, 화소 전체를 덮는 대향전극(113), 및 이 두 전극(111)(113)의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하는 상기 발광층(112) 등으로 구성된다.
참고로 이 발광층(112)과 인접하여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적층될 수도 있다.
상기 대향전극(113) 위에는 보호층으로서 박막봉지층(미도시) 또는 봉지기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는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구비하여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패널(110)을 보호해주는 것으로, 강성과 연성이 서로 다른 두 가지 부재 즉, 상대적 연질부재(121)와 상대적 경질부재(122)를 동일층으로 구비하고 있다. 그러니까 연성이 우수한 상대적 연질부재(121)와 강성이 우수한 상대적 경질부재(122)를 모두 갖추되, 이를 복층으로 형성한 것이 아니라 같은 층에 영역을 나눠서 배치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제품을 두껍게 하지 않으면서도 강성과 연성이 고르게 조합된 커버(12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대적 연질부재(121)로는 발포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고, 상대적 경질부재(122)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영역을 나누는 방법으로는 유한요소법의 위상최적설계(topology optimization) 방식으로 이용되는 SIMP(solid isotropic material with penalization model method)법을 활용한다. 즉, 커버(120)의 고유주파수의 최대화를 목적함수로 설정하고 커버(120)의 밀도를 설계변수로 설정한 후, SIMP법으로 커버(120) 각 위치의 대한 설계변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그 산출된 값이 상위 30% 이내인 부분을 상대적 경질부재(122)가 설치될 위치로 선정하는 것이다. SIMP법에서 설계변수는 0에서 1사이의 값으로 산출되며, 상위 30%는 0.7 이상의 값을 의미한다. 이때 산출의 전제 조건으로, 커버(120) 전체 면적에 대한 상대적 경질부재(122)의 면적 비율이 30%이하가 되게 한다. 왜냐하면, 경험적으로 볼 때 상대적 경질부재(122)가 커버(120) 전체 면적의 30%를 초과하면, 강성이 너무 높아져서 원활한 충격 흡수를 위한 연성과 강성의 적절한 조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도 4는 이러한 위상최적설계의 SIMP법을 이용한 상대적 경질부재(122)의 설치 위치 선정 방식을 개략적으로 보여준 도표이다.
도면의 좌측 도표에 표시된 것처럼 커버(120) 전체 면적을 분할하여 각 분할 개소마다 SIMP법으로 상기한 조건에 의한 설계변수를 산출한다. 그러면, 상위 30%인 0.7보다 큰 값의 영역과 작은 값의 영역이 나오게 되며, 이중 작은 값의 영역은 삭제한다. 그래서 도 4의 오른 쪽 도표처럼 남는 영역을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122)가 설치될 영역으로 선정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변수를 산출하여 나온 상대적 연질부재(121)와 상대적 경질부재(122)의 형상이 바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는 것이다.
먼저, 상대적 연질부재(121)는 커버(120)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상단연질부(121a)와 하단연질부(121b) 및 그 사이에 양쪽에서 다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중심연질부(121c)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122)는 커버(120)의 나머지 영역인 상기 상단연질부(121a)와 하단연질부(121b) 사이의 빈 자리를 채우게 되며, 본체 가운데에는 상기 중심연질부(121c)와 형합되는 중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이 중공(122')의 모양을 자세히 보면, 일단 서로 대면하는 제1원호(122a)와 제2원호(122b)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원호(122a)의 반경(R1)은 제2원호(122b)의 반경(R2) 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원호(122a)의 반경(R1)은 제2원호(122b)의 반경(R2) 보다 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원호(122a)의 반경(R1)이 제2원호(122b)의 반경(R2) 보다 작은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1원호(122a)의 양단부에서 제2원호(122b)를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제1직선부(122c)(122d)가 있다. 이 한 쌍의 제1직선부(122c)(122d)는 상기 제1,2원호(122a)(122b)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선(L1)과 평행하다.
또, 이 한 쌍의 제1직선부(122c)(122d)와 상기 제2원호(122b)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직선부(122e)(122f)가 있다.
이렇게 제1,2원호(122a)(122b)와 제1,2직선부(122c)(122d)(122e)(122f)를 연결한 형태의 중공(122')이 상대적 경질부재(122)의 본체 가운데 형성되며, 상기 중심연질부(121c)도 그 중공(122')의 형상에 맞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것은 전술한 위상최적설계의 SIMP법을 이용하여 상대적 경질부재(122)의 설치 위치를 선정한 결과로 도출된 형상이다. 즉, 상대적 연질부재(121)와 상대적 경질부재(122)를 동일층에 배치해서 제품의 두께를 슬림화하고, 상대적 경질부재(122)의 면적 비율을 30% 이하로 제한하여 충격 흡수를 위한 연성이 지나치게 줄어들지도 않게 하면서, 고유주파수가 최대화되어 적절한 강성과 연성의 조합을 갖추게 된 커버(120)를 구현해낸 것이다. 여기서, 상대적 경질부재(122)의 본체 길이(H1), 제1,2직선부(122c)(122d)(122e)(122f)의 길이(H2,d) 및, 제1,2원호(122a)(122b)의 반경(R1)(R2)은 표시장치(100)의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커버(120)의 고유주파수 측정 결과를 비교예와 대비하여 보인 그래프이다. 비교예는 상대적 연질부재(121)만 있는 일반적인 커버이며, 도면과 같이 상기 커버(120)의 고유주파수가 비교예 대비 8Hz 정도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그만큼 강성이 증가했음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대적 연질부재(121)와 상대적 경질부재(122)가 위상최적설계로 동일층에 적절히 배치된 커버(120)를 사용하게 되면, 제품을 두껍게 하지 않으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강성과 연성이 적절히 조합된 커버(120)로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커버(120)를 구성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 연질부재(121)와 상대적 경질부재(122)의 조각들을 각각 모양에 맞게 재단해서 디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부착하면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대적 경질부재(122)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였는데, 도 7에 예시된 것처럼 경질플라스틱 재질로 상대적 경질부재(122-1)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특정 재료에 꼭 국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도면과 같은 모양으로 재단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 배면에 부착할 수 있는 상대적 경질재료라면 무난하게 채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따르면 제품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이를 채용하면 견고하면서도 슬림화에 유리한 보다 신뢰성 높은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커버
121: 상대적 연질부재 122: 상대적 경질부재
130: 윈도우 140: 접착 레진
150: 편광부재 160: 케이스

Claims (18)

  1.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이 표시되는 일면에 배치된 윈도우;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일면의 반대 면인 타면에 설치되며, 상대적 연질부재와 상대적 경질부재가 어느 한 쪽의 중공에 다른 한 쪽이 끼워 맞춤되도록 동일층에 배치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의 본체 안에 상기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대적 연질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단연질부 및 하단연질부와, 상기 상단연질부 및 상기 하단연질부 사이에 상기 상단연질부 및 상기 하단연질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중공에 끼워맞춰져서 형합되는 중심연질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은
    서로 대면하면서 상이한 반경을 가진 제1원호 및 제2원호와,
    상기 제1원호의 양단부에서 상기 제2원호를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제1직선부와,
    상기 한 쌍의 제1직선부의 말단과 상기 제2원호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직선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호의 반경이 상기 제2원호의 반경보다 큰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호의 중심과 상기 제2원호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은 상기 한 쌍의 제1직선부와 평행한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전체 면적에 대한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의 면적 비율은 30% 이하인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연질부재는 발포성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경질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일면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편광부재가 더 설치되는 표시 장치.
  9.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는,
    유한요소법의 위상최적설계를 이용하여 고유주파수를 최대화할 수 있는 상대적 연질부재와 상대적 경질부재의 조합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 결과를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상기 상대적 연질부재와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를 동일층으로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연질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단부에 각각 상단연질부 및 하단연질부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상단연질부 및 상기 하단연질부 사이에 양쪽에서 모두 이격되도록 중심연질부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의 본체 안에 상기 중심연질부와 형합되는 중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공과 상기 중심연질부가 형합되도록 상기 상단연질부 및 상기 하단연질부 사이에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을 형성하는 단계는,
    서로 대면하면서 상이한 반경을 가진 제1원호 및 제2원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원호의 양단부에서 상기 제2원호를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제1직선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제1직선부의 말단과 상기 제2원호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직선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호의 반경이 상기 제2원호의 반경보다 작은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호의 중심과 상기 제2원호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은 상기 한 쌍의 제1직선부와 평행한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전체 면적에 대한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의 면적 비율은 30% 이하가 되게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연질부재는 발포성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경질부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경질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면에 편광부재와 윈도우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80135328A 2018-11-06 2018-11-06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81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328A KR102581257B1 (ko) 2018-11-06 2018-11-06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6/509,655 US10756300B2 (en) 2018-11-06 2019-07-12 Display apparatus including cover with flexible por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911015320.3A CN111146243A (zh) 2018-11-06 2019-10-24 包括具有柔性部分的盖的显示装置及制造其的方法
US16/932,990 US10868274B2 (en) 2018-11-06 2020-07-20 Display apparatus including cover with flexible por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328A KR102581257B1 (ko) 2018-11-06 2018-11-06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502A KR20200052502A (ko) 2020-05-15
KR102581257B1 true KR102581257B1 (ko) 2023-09-22

Family

ID=7045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328A KR102581257B1 (ko) 2018-11-06 2018-11-06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756300B2 (ko)
KR (1) KR102581257B1 (ko)
CN (1) CN1111462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4124B2 (en) * 2018-10-02 2023-10-24 Snap Ships LLC Connection systems for toy construction pieces, toy construction pieces including the same, and toy construction kits including the same
KR102581257B1 (ko) * 2018-11-06 2023-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0244A (ja) * 2001-03-21 2002-10-11 Kotai Ju 携帯電話用電磁波防護ケース
US20120320501A1 (en) 2010-12-17 2012-12-20 Andrew Ackloo Protective cover
KR200482072Y1 (ko) 2016-06-08 2016-12-12 다이아소닉 테크놀로지(주)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19830A (en) * 2006-10-27 2008-05-01 Innolux Display Corp Frame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7782610B2 (en) * 2008-11-17 2010-08-24 Incase Designs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with battery
KR101720588B1 (ko) 2010-12-07 2017-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식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KR20120079493A (ko) * 2010-12-23 2012-07-13 주식회사 팬택 휴대 단말기
US9071674B2 (en) * 2011-06-17 2015-06-30 AFC Trident, Inc.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935552B1 (ko) * 2012-06-27 2019-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643056B (zh) * 2013-07-22 2018-12-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
KR102187253B1 (ko) 2013-11-28 2020-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001771U (ko) * 2014-11-17 2016-05-25 김정환 휴대기기용 거치대
KR102325187B1 (ko) 2015-01-09 2021-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KR102385232B1 (ko) * 2015-06-30 2022-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9110B1 (ko) 2016-02-04 2023-0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91754B1 (ko) 2016-09-09 2023-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60559B1 (ko) * 2017-07-04 2022-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81257B1 (ko) * 2018-11-06 2023-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0244A (ja) * 2001-03-21 2002-10-11 Kotai Ju 携帯電話用電磁波防護ケース
US20120320501A1 (en) 2010-12-17 2012-12-20 Andrew Ackloo Protective cover
KR200482072Y1 (ko) 2016-06-08 2016-12-12 다이아소닉 테크놀로지(주)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502A (ko) 2020-05-15
US10756300B2 (en) 2020-08-25
US10868274B2 (en) 2020-12-15
US20200350515A1 (en) 2020-11-05
US20200144538A1 (en) 2020-05-07
CN111146243A (zh)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7766B2 (en)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74178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856420B2 (en) Flexible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57052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246294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790586B2 (en) Mask frame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20160118451A1 (en) Flexibl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P366417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160336540A1 (en) Frameless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730049B2 (en) Display device
US916599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591701B2 (en) EL display device
US1121763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581257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0021631A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5014583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40061607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74051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4004615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40346470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40051899A (ko) 열전도도가 높은 봉지 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1385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3999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636146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76419A (ko) 벤디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