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003B1 - 음향기기용 스피커 케이스 - Google Patents

음향기기용 스피커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003B1
KR100802003B1 KR1020060083003A KR20060083003A KR100802003B1 KR 100802003 B1 KR100802003 B1 KR 100802003B1 KR 1020060083003 A KR1020060083003 A KR 1020060083003A KR 20060083003 A KR20060083003 A KR 20060083003A KR 100802003 B1 KR100802003 B1 KR 100802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case
unit
resonance
acoust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산하이텍
Priority to KR1020060083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75Portable to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음향기기와 연결되어 음향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스피커의 케이스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되고 상부측에 스피커유닛이 삽입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스피커삽입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스피커유닛이 삽입되는 제2스피커삽입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측에 형성된 제1스피커삽입부의 내측 하단으로 연장되어 중공되게 형성된 제1공명부와; 상기 제2스피커삽입부의 내측부에 중공된 몸체에 의해 형성된 제2공명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에 의하면, 몸체의 내부가 중공되어 자연스럽게 제1공명부가 형성되고 스피커유닛이 삽입되는 스피커삽입부의 내측부가 깊게 형성되어 제2공명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스피커유닛의 진동판 진동효과를 최대한 증폭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림형상에 의해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기대된다.
음향기기, 스피커케이스, 휴대용스피커

Description

음향기기용 스피커 케이스{SPEAKER CASE FOR SOUND CONTROL UNIT}
도 1은 본 발명인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 절단부 단면도로서 본 발명인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일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에 의해 형성된 스피커의 일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에 의해 형성된 스피커의 타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제1스피커삽입부
11a : 제1공명부 12 : 제2스피커삽입부
12a : 제2공명부 14 : 끼움홈
15 : 파워스위치 삽입부 16 : 이퀄라이저스위치 삽입부
20, 20a : 스피커유닛 31 : 파워스위치
32 : 이퀄라이저스위치
본 발명은 MP3 등과 같은 휴대용 음향기기에 사용되는 소형 스피커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커가 삽입되는 스피커삽입부의 하부와 케이스의 내부에 공명부를 형성하여 스피커의 진동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슬림형의 소형스피커를 얻을 수 있는 음향기기용 스피커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P3 등과 같은 소형 음향기기는 휴대의 편리성을 위하여 가능한 소형화되는 관계로 스피커를 설치하지 않고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향을 청취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음악을 여러 사람이 함께 청취할 수 없으므로 소형 음향기기를 소형 스피커에 연결하여 듣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 소형 스피커는 소형으로 제작되어야 하는 관계로 효과적인 공명 구조를 제공하지 못하여 저음이 충분하게 재생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소형 스피커를 통해 음악을 청취할 경우 고음 부분이 강하게 재생되어 음질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고주파음이 청각을 자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소형 음향기기는 급진하는 산업발전에 부응하여 그 기능이 다양화되어 가고, 첨단화 되어감에 따라 고음질의 음향 재생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에도 불구하 고, 소형 음향기기 자체가 갖는 한정된 크기 내에서는 스피커 울림통의 체적 또한 비례하여 한정될 수밖에 없어 고품질의 음향 재생은 사실상 실현 불가능하였으며, 더욱이 최근 휴대용 소형 음향기기를 이용하여 노래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서비스가 급진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반면, 스피커가 그에 부응하지 못하여 궁여지책으로 이어폰잭에 별도의 증폭스피커 시스템을 꽂아서 음향을 재생시키는 방법을 활용하고는 있으나, 이는 휴대의 편리성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는 소형 음향기기의 가치를 무색하게 하는 상반된 결과를 제공케 되는 모순이 있었다.
한편, 종래 안출된 스피커를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399023호인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본체의 일측면에 슬라이드 노드에 의해 돌출 혹은 비돌출되어지며 돌출동작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단자에 플러그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오디오잭과, 상기 오디오잭에 들어온 아날로그 신호 및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디코더(Decoder)한 신호를 변형 또는 조절하여 각자의 취향에 맞게 보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저항가변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데이터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조절부와, 상기 볼륨조절부를 통해 크기가 조절된 작은 신호를 크게 증폭시키는 증폭부 및 본체의 정면에는 위치하며 상기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로 변환시키는 스피커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416980호인 휴대용 스피커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야외 활동 또는 운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스피커 장치에 있어 서, 음향기기의 좌우측 사운드를 각각 증폭 재생하기 위한 1쌍의 스피커 장치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스피커 장치가, 스피커의 울림판을 보호하기 위한 스피커 보호 망, 원판 고리형 외부 고정 프레임, 및 스피커 장치의 내부 부품을 수용하고, 외부에 원판 고리형 외부 고정 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의 외부 케이스 로 이루어져 있고, 우측 스피커 장치가 내부에 스피커 유니트, 음향기기의 사운드를 좌우측 사운드로 분리하여 각각의 스피커 장치로 분리하기 위한 마이크로프세서, 충전가능한 2차 전지, 상기 외부 케이스의 한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24핀 충전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좌측 스피커 장치가, 상기 우측 스피커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좌측 사운드 신호를 받는 내부에 스피커 유니트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휴대용 스피커의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성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으나, 스피커 유닛의 진동판의 진동효과를 증폭하여 보다 좋은 음질효과를 얻고자 하기 위해 별도의 증폭부를 구비함으로써 생산단가의 증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고, 증폭부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에는 진동판의 진동효과를 증폭하기 위해 공명부를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스피커의 크기가 비대해져 휴대하고 다니기에 다소 불편함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휴대용 음향기기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스피커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몸체의 상부측으로부터 스피커유닛이 삽입되는 스피커삽입부의 하부측을 깊게 형성하여 제1공명부를 형성하고, 몸체의 내부에 제2 공명부를 형성하여 몸체의 상면 및 몸체의 측면에 장착되는 스피커유닛의 진동효과를 최대할 증폭할 수 있음은 물론 슬림형상에 의해 휴대가 용이하도록 한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는 내부가 중공되고 상부측에 스피커유닛이 삽입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스피커삽입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스피커유닛이 삽입되는 제2스피커삽입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측에 형성된 제1스피커삽입부의 내측 하단으로 연장되어 중공되게 형성된 제1공명부와; 상기 제2스피커삽입부의 내측부에 중공된 몸체에 의해 형성된 제2공명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상단면에는 전원표시부나 밧데리분량 표시부가 삽입되어 표시되는 홈이 더 통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의 전면에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파워스위치와, 스피커유닛의 음향을 조절하는 이퀄라이저스위치가 각각 삽입되는 파워스위치 삽입부와 이퀄라이저스위치 삽입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는, 스피커유닛이 삽입되는 몸체의 상부 및 내부에 제1공명부 및 제2공명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스피커유닛의 진동효과를 최대한 증폭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림형상에 의해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일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에 의해 형성된 스피커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에 의해 형성된 스피커의 타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는 내부가 중공되고 상부측에 스피커유닛이 삽입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스피커삽입부(11)가 형성되고 일측에 또 다른 스피커유닛이 삽입되는 제2스피커삽입부(12)를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측에 형성된 제1스피커삽입부(11)의 내측 하단으로 연장되어 중공되게 형성된 제1공명부(11a)와, 상기 제2스피커삽입부(12)의 내측부에 중공된 몸체에 의해 형성된 제2공명부(12a)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는 몸체(10)의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고 또한, 스피커유닛(20)(20a)들이 삽입되는 제1스피커삽입 부(11)와 제2스피커삽입부(12)에 각각 스피커유닛(20)(20a)의 진동효과를 증폭하는 공명부(11a)(12a)들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스피커유닛(20)(20a)의 증폭효과가 향상되어 좋은 음질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10)의 상부에 2개의 제1스피커삽입부(11)을 형성하고 각각의 제1스피커삽입부(11)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공명부(11a)를 형성하여 2개의 스피커유닛(2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가 제1공명부(11a) 내부에서 공명되어 출력되도록 하고, 몸체(10)의 측면에 제2스피커삽입부(12)를 형성하고 몸체(10) 내부의 밀폐공간 전체를 제2공명부(12a)로 형성하여 제2스피커삽입부(12)에 장착되는 스피커유닛(20a)에서 출력되는 사운드가 제2공명부(12a) 내부에서 공명되어 출력되도록 하여 3개의 스피커유닛(20, 20a)이 각각 공명통을 갖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스피커유닛(20, 20a)의 진동효과가 증폭되어 양호한 음질의 사운드 출력을 얻을 수 있는 3차원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림형상의 미려한 외관에 의해 휴대하기 편리하고 부가가치의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상단면에는 전원표시부나 밧데리분량 표시부가 삽입되어 표시되는 홈(13)이 더 통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홈(13)에는 본 발명인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를 이용하여 스피커의 제작시에 스피커의 전원(OM/OFF) 표시나 또는 밧데리 분량을 나타내는 표시램프가 장착되어 외부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타측면에는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잭이 끼워지도 록 끼움홈(14)이 더 통공될 수 있음에 따라, MP3 등과 같은 음향기기와 연결잭을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10)의 전면에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파워스위치와, 스피커유닛의 음향을 조절하는 이퀄라이저스위치가 각각 삽입되는 파워스위치 삽입부(15)와 이퀄라이저스위치 삽입부(16)가 더 형성된다.
상기 파위스위치 삽입부(15)와 이퀄라이저스위치 삽입부(16)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스위치(31)와 이퀄라이저스위치(32)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들 스위치(31)(32)의 조작에 의해 보다 좋은 음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에 의해 제작되는 스피커는, 상기 몸체(10)의 타측면에 USB 잭이 꽂아지는 USB 커넥터(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는, 스피커유닛이 삽입되는 몸체의 내부와 몸체의 상부측에 제1공명부 및 제2공명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소형으로 제작되면서도 스피커유닛의 진동효과를 최대한 증폭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림형상에 의해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3)

  1. 내부가 중공되고 상부측에 스피커유닛이 삽입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스피커삽입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스피커유닛이 삽입되는 제2스피커삽입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측에 형성된 제1스피커삽입부의 내측 하단으로 연장되어 중공되게 형성된 제1공명부와;
    상기 제2스피커삽입부의 내측부에 중공된 몸체에 의해 형성된 제2공명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면에는 전원표시부나 밧데리분량 표시부가 삽입되어 표시되는 홈이 더 통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면에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파워스위치와 스피커유닛의 음향을 조절하는 이퀄라이저스위치가 각각 삽입되는 파워스위치 삽입부와 이퀄라이저스위치 삽입부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용 스피커케이 스.
KR1020060083003A 2006-08-30 2006-08-30 음향기기용 스피커 케이스 KR100802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003A KR100802003B1 (ko) 2006-08-30 2006-08-30 음향기기용 스피커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003A KR100802003B1 (ko) 2006-08-30 2006-08-30 음향기기용 스피커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003B1 true KR100802003B1 (ko) 2008-02-12

Family

ID=3934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003A KR100802003B1 (ko) 2006-08-30 2006-08-30 음향기기용 스피커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0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3539A (zh) * 2017-10-10 2017-12-19 无锡市南长实验中学 一种带空气净化功能的家用音箱
KR101877439B1 (ko) * 2017-08-07 2018-08-09 주식회사 이베스트 듀얼 스피커가 구비된 마이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490U (ko) * 1994-06-25 1996-01-22 일 김 스피커 케이스
KR970003689U (ko) * 1995-06-30 1997-01-24 스피커
KR200381968Y1 (ko) * 2005-01-21 2005-04-15 (주)지직티엠씨 스피커가 부착된 패키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490U (ko) * 1994-06-25 1996-01-22 일 김 스피커 케이스
KR970003689U (ko) * 1995-06-30 1997-01-24 스피커
KR200381968Y1 (ko) * 2005-01-21 2005-04-15 (주)지직티엠씨 스피커가 부착된 패키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439B1 (ko) * 2017-08-07 2018-08-09 주식회사 이베스트 듀얼 스피커가 구비된 마이크 장치
CN107493539A (zh) * 2017-10-10 2017-12-19 无锡市南长实验中学 一种带空气净化功能的家用音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5966B2 (en) Combined headphone set and portable speaker assembly
CN101258770B (zh) 多模式音频再现设备
KR20170003653U (ko) 마이크로폰 사운드박스 일체형 장치
CN101849419B (zh) 一种改善声音再现和听觉享受的方法
CN103686502A (zh) 5.1声道蓝牙降噪耳机
KR100802003B1 (ko) 음향기기용 스피커 케이스
CN203590406U (zh) 耳机
CN210745508U (zh) 蓝牙耳机
CN201260237Y (zh) 采用骨传导扬声器的耳塞式耳机
KR200399023Y1 (ko)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KR101808253B1 (ko) 무선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한 음향 증폭 시스템
CN110708629A (zh) 蓝牙耳机
JP3120915U (ja) オーディオ変換演奏装置
CN205545772U (zh) 新型多功能头戴式无线耳机
KR100627665B1 (ko)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
CN104811850A (zh) 一种基于wifi的智能音箱
JPWO2015079598A1 (ja) 体感振動ヘッドホン
CN215453243U (zh) 一种带声卡的多功能耳机
CN103856849A (zh) 一种微型音响
CN209134593U (zh) 一种带显示屏的多媒体有源音响
CN215871810U (zh) 一种一体式无线音箱及耳机
CN212160610U (zh) 带有音响的键盘
CN203086656U (zh) 微型平板音箱
CN211744651U (zh) 一种音箱
CN217883728U (zh) 多媒体音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