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620A -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620A
KR20110044620A KR1020090101392A KR20090101392A KR20110044620A KR 20110044620 A KR20110044620 A KR 20110044620A KR 1020090101392 A KR1020090101392 A KR 1020090101392A KR 20090101392 A KR20090101392 A KR 20090101392A KR 20110044620 A KR20110044620 A KR 20110044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state
main body
expans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1229B1 (ko
Inventor
김필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1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229B1/ko
Priority to US12/723,587 priority patent/US8358513B2/en
Publication of KR20110044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97Telephone sets adapted to be mounted on a desk or on a w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가 장착되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일면에 의하여 덮혀지는 제1 부분과, 상기 휴대 전자기기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유닛이 장착되며 상기 제1 부분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부분과,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결합되는 자력부재에 자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제1 부분에 장착되는 마그넷, 및 제1 상태에서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장착된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배열 매커니즘을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확장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MODULE FOR EXPANDING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자기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전자기기이다.
휴대 전자기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 전자기기의 휴대성을 고려하다 보면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 등과 같이 휴대 전자기기에 입/출력 등의 기능을 부여하는 기기들을 장착하기가 어 려워져서,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다양한 활용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제한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입/출력 등의 기능을 확장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기능 확장 장치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와 조합되어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새로운 폼팩터를 구현하는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와 적절한 배치를 이루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확장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용 확장 모듈은 휴대 전자기기가 장착되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일면에 의하여 덮혀지는 제1 부분과, 상기 휴대 전자기기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유닛이 장착되며 상기 제1 부분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부분과,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결합되는 자력부재에 자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제1 부분에 장착되는 마그넷, 및 제1 상태에서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장착된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배열 매커니즘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배열 매커니즘은 제3 부분 및 걸림부를 포함한다. 제3 부분은 일단이 상기 제1 부분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되며, 양단 사이에서 폴딩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걸림부는 상기 제1 부분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부분의 적 어도 일부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부분은 제2 상태에서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1 부분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전자기기와 상기 기능 유닛 간의 데이터 및/또는 전원의 교환을 위한 연결 경로는 상기 제3 부분에 배치된다. 상기 걸림부는 제1 및 제2 걸림부재를 포함한다. 제1 걸림부재는 상기 제1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걸리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3 부분에 포개어진다. 제2 걸림부재는 상기 제1 걸림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 부분에서 돌출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배열 매커니즘은 제3 부분 및 지지부를 포함한다. 제3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 부분으로 연장되고, 폴딩 및 언폴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는 상기 제1 부분의 타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 부분이 놓이는 바닥면을 지지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 모듈은 접촉확대부를 포함한다. 접촉확대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부분과 바닥면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접촉확대부는 상기 제2 부분의 일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부분에 상기 제2 부분의 일면과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 유닛은 상기 휴대 전 자기기에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과, 상기 휴대 전자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과, 상기 입력 및/또는 출력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제2 부분에는 상기 기능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 모듈은 보조 고정부를 포함한다. 보조 고정부는 상기 제1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상기 제1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자력에 의하여 인력을 받는 자력부재가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휴대 전자기기에 확장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위와 같이 구성되는 확장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제1 부분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리어 케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자력부재는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어 케이스에 장착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상기 기능 유닛은 쿼티키 배열을 가지는 키패드 및 상기 본체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가 상기 확장 모듈과 결합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입력 기능은 비활성화된다. 상기 본체가 상기 확장 모듈과 결합되면 상 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방향은 포트레이트 방향이 랜드스케이프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확장 모듈은 기능 유닛을 구비함에 따라, 휴대 전자기기의 기능을 보다 적은 제약 하에 확장시킨다. 또한 이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폼팩터가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 모듈은 마그넷과 자력부재의 사이가 면접촉을 함에 따라 휴대 전자기기 본체와 보다 안정적인 탈부착 매커니즘을 형성한다.
또한 제1 상태에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교차된 상태로 배치시키는 배열 매커니즘을 통하여 제1 부분에 장착되는 휴대 전자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접촉확대부를 구비함에 따라 휴대 전자기기가 보다 안정적으로 바닥에 놓이도록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는 본체에 장착되는 위와 같은 확장 모듈을 구비함에 따라, 본체 자체로만 사용되거나 확장 모듈에 의해 확장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휴대 전자기기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mobile termianl)가 포함되며,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 전자기기가 휴대 단말기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휴대 전자기기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MP3플레이어, 닌텐도D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디지털카메라, 전자사전, 게임기기, 네비게이션, 전자수첩 등 개인이 소지하며 사용하는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모듈(100)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10)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확장 모듈(100) 및 휴대 단말기(1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는 이하에서 도시된 바 타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단말기(10)의 본체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 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에는 디스플레이부(13), 제1 음향출력부(14), 제1 영상입력부(15), 제1 조작부(16), 음향 입력부(17)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음향출력부(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입력부(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상기 음향 입력부(17)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의 배면 측에 장착된 리어 케이스(12)에는 제2 조작부(22), 인터페이스(23, 이상 도 2b 참조),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3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작부(22)는 리어 케이스(12)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조작 부(22)는 확장 모듈(100)에 의해 감싸지지 않은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조작 편의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도 2b 참조). 상기 제1 조작부(16)와 더불어 제2 조작부(22)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6)는 시작, 종료, 확인 등과 같은 메뉴 등을 입력하기 위한 메뉴키로서, 그리고 제2 조작부(22)는 스크롤 기능 외에 제1 영상입력부(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3)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23)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3)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30)는 리어 케이스(12)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에는 그와 관련한 추가적 또는 확장된 기능을 제공하는 확장 모듈(100)이 결합 된다. 휴대 단말기(10) 자체로만 사용하는 경우나 휴대 단말기(10)의 본체에 확장 모듈(100)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중 사용자가 휴대성 또는 기능 확장의 관점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확장 모듈(100)은 휴대 단말기(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 모듈(100)은 제1 및 제2 부분(110, 120)과, 배열 매커니즘(130)을 포함한다.
제1 부분(110)은 휴대 단말기(10)가 장착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10)의 일면에 의하여 덮혀지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분(110)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되는 면을 감싸게 된다. 도면과 달리, 제1 부분(110)은 리어 케이스(12)의 일 부분만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부분(12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유닛(140)이 장착되며, 상기 제1 부분(11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부분(120)은 제1 부분(110)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기능 유닛(140)은 휴대 단말기(10)에 정보(신호, 명령 등)를 입력하는 기능 또는 휴대 단말기(1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기능 유닛(140)은 상기 정보의 입력 및 출력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도 있다. 상기 제어 기능을 위하여서는, 휴대 단말기(10)에 내장되는 제어부(40, 도 8)를 보조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산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이 기능 유닛(140)으로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능 유닛(140)로서 쿼티키(qwerty) 배열을 가지는 키패드(141)가 채용된다. 상기 쿼티키 배열의 키패드를 기능 유닛(140)으로 채용함에 따라, 사용자는 이메일 작성이나 서류 작업 등을 함에 있어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정보(문자나 숫자 등)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기능 유닛(14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142)를 포함한다. 이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10)는 확장 모듈에 장착된 상태, 구체적으로 제1 상태에서 전원의 온오프가 제어될 수 있다. 이는 휴대 전자기기가 사용시에만 전원을 온하는 전자수첩, PMP 등인 경우에 더욱 유용할 것이다.
휴대 단말기(10)가 제1 부분(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게 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10)에는 자력에 의하여 인력을 받는 자력부재(31, 도 3 참조)가 결합되고, 확장 모듈(100)의 제1 부분(110)에는 자력부재(31)에 인력을 가하는 마그넷(M)이 장착된다.
확장 모듈(100)은 상기 제1 부분(110)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10)를 상기 제1 부분(11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보조 고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고정부(150)의 일 예로 고정 후크(113)를 개시하고 있 다. 고정 후크(113)는 제1 부분(110)의 코너 측에서 배치되어, 휴대 단말기(10)의 코너 부분을 걸어 고정하게 된다. 고정 후크(113)는 제1 부분(110)에서 연장하며 자유단이 절곡된 형태를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조 배열 매커니즘은 휴대 단말기(10)의 코너 부분을 감싸서 고정하는 고정 밴드 등이 될 수 있다.
배열 매커니즘(130)은 제1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가 장착된 상기 제1 부분(110)을 상기 제2 부분(120)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만약, 상기 기능 유닛(140)이 키패드이고, 상기 휴대 단말기(10) 전면의 대부분을 디스플레이부(13)가 차지하고 있다면, 상기 제1 상태는 노트북 컴퓨터의 사용시 키패드와 디스플레이의 배치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상태가 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며, 휴대 단말기의 폼팩터가 선택적으로 변경되는 효과가 구현된다.
상기 배열 매커니즘(130)은 제3 부분(131)과 걸림부(132)를 포함한다.
제3 부분(131)은 일단이 상기 제1 부분(11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 부분(120)에 연결되며, 양단 사이에서 폴딩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제3 부분(131)은 제1 및 제2 부분(110 및 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부분(110 및 12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상태에서, 제3 부분(131)에 의해, 제1 부분(120) - 제3 부분(131) - 제2 부분(120)은 순차적으로 절곡되는 형태 또는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게 된다.
제1 내지 제3 부분들(110, 120, 131)의 적어도 일 부분이 휴대 단말기(10)와 는 다른 물질(material), 예를 들어 가죽 등으로 형성된다면, 휴대 단말기(10)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확장 모듈(100)과 결합 됨에 따른 새로운 느낌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32)는 상기 제1 부분(110)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부분(120)의 적어도 일부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걸림부(132)를 통하여 제1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제1 부분(110)에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1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는 기능 유닛(140){제2 부분(12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과 사용자의 작업(정보 입력)에 적합한 각도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방송이나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에도, 제2 부분(120)이 테이블이나 책상 등에 놓이는 부분이 될 때 사용자는 보다 편안한 또는 적합한 각도에서 디스플레이부(13)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2a는 도 1의 확장 모듈(100)이 휴대 단말기(10)를 감싸고 있는 제2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정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배열 매커니즘(130)은 제1 상태에서 제2 부분(120)이 휴대 단말기(10)의 타면{제1 부분(110)이 감싸는 면의 반대면}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도록 허용한다. 이를 위하여, 제1 부분(110)은 상기 제1 및 제2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1 부분(110)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2 상태에서는 휴대 단말기(10) 및 확장 모듈(100)이 다이어리와 같은 형태를 이루므로 사용자의 휴대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확장 모듈(100)은 휴대 단말기(10)를 감싸는 보호 커버의 역할을 하기에, 휴대 단말기(10)는 외부의 충격이나 자극으로부터도 보다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제2 부분(120)에는 제1 음향 출력부(14), 제1 영상 입력부(15) 및 음향 입력부(126)에 대응하는 개구공들(124 내지 126)이 형성될 수 있다. 개구공들(124 내지 126)을 통해서 사용자는 제2 상태에서도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2 부분(120)의 외면에는 보조 디스플레이부(127)가 장착될 수 있으며, 보조 디스플레이부(127)를 통해 현재시간, 배터리 잔량 등 휴대 단말기(10)로부터 간단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의 확장 모듈(100)의 펼쳐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체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확장 모듈(100)의 제1 내지 제3 부분(110, 120, 131)은 모두 휴대 단말기(10)와 평행하도록 펼쳐져 있다.
제1 부분(110)에는 판 부재(111)가 내장되며, 판 부재(111)에는 마그넷(M)이 장착된다. 도시에 의하면, 마그넷(M)은 판 부재(111)에 내삽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그넷(M)은 판 부재(111)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110)의 판 부재(111)와 이격되는 위치에는 제1 걸림부재(132a)가 형성된다. 제1 걸림부재(132a)는 상기 제1 상태(도 1 참조)에서 상기 제2 부분(120)의 적어도 일부에 걸리며, 상기 제2 상태(도 2a 참조)에서 상기 제3 부분(131)에 포개어진다. 제1 걸림부재(132a)는 제1 부분(110)의 두 겹의 커버 내에 내장될 수 있으며, 제1 부분(110)의 커버 중 내측 커버에는 제1 상태에서 제1 걸림부재(132a)가 관통되어 제2 부분(120)에 걸리도록 관통공(112)이 형성된다.
제3 부분(131)은 제1 및 제2 부분(110, 120)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제3 부분(131)과 제1 및 제2 부분(110, 120)의 사이에는 각각 노치가 형성된다. 노치는 제1 및 제2 부분(110, 120)이 제3 부분(131)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도와준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2 부분(120)에는 상기 제1 걸림부재(132a)를 지지하도록 제2 걸림부재(132b)가 돌출된다. 제1 및 제2 걸림부재(132a, 132b)는 걸림부(132)를 이루며, 제1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상태에서 제1 걸림부재(132a)의 단부는 제2 부분(120)의 주면을 지지하고, 제2 걸림부재(132b)는 제1 걸림부재(132a)의 후면을 지지한다.
상기 제2 부분(120)에는 상기 기능 유닛(140, 도 1 참조)의 예로서 키패드(141)가 구비되고, 상기 키패드(14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43)가 장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의 리어 케이스(12)에는 전원공급부(21)와, 제2 영상입력부(24) 등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21)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리어 케이스(12)에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1)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탈착 가능하게 리어 케이스(12)에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21)는 확장 모듈(100)의 제2 부분(120)에 장착되는 배터리(143, 도 3 참조)에 의하여 충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입력부(24)는 제1 영상입력부(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입력부(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 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입력부(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입력부(24)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입력부(24)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와 거울부(26)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25)는 제2 영상입력부(24)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26)는 사용자가 제2 영상입력부(24)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 음향 출력부(27)는 제1 음향 출력부(14)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소리를 출력한다.
리어 케이스(12)에는 전원공급부(21)에 인접하여 단자부(28)가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28)는 확장 모듈(100)과 전원, 또는 전원 및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단자부(28)는 휴대 단말기(10)가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에, 도어(29)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도어(29)는 단자부(28)를 개폐하기 위하여, 리어 케이스(12)에 슬라이딩 방식 또는 선회 방식 등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휴대 단말기(10)이 단자부(28)의 대응하는 확장 모듈(100)의 인터페이스로서 단자부(114, 123)는 제1 부분(110) 또는 제2 부분(120)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의 단자부(114)와 제3 부분의 단자부(12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부분의 단자부(114)는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고, 제3 부분의 단자 부(123)는 키패드의 단자부(142)와 연결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와 상기 기능 유닛(140) 간의 데이터 및/또는 전원의 교환을 위한 연결 경로(115)는 상기 제3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단자부(114, 123)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휴대 단말기(10)에서 확장 모듈(100)의 마그넷(M)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자력부재(31)가 장착된다. 도시에 의하면, 자력부재(31)는 금속 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리어 케이스(12)의 내면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배터리 커버(21a)가 자성체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 및 확장 모듈(200)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배열 매커니즘(130)은 제3 부분(231)과, 한 쌍의 힌지 모듈들(232, 233)을 포함한다. 제3 부분(231)은 제1 및 제2 부분들(210, 220)에서 일체로 연장할 수 있으며, 힌지 모듈들(232, 233)은 제1 및 제3 부분들(210, 231)이 만나는 부분과 제2 및 제3 부분들(220, 231)이 만나는 부분에 각각 위치한다. 제1 상태(도 1 참조)에서, 힌지 모듈들(232, 233)에 의해, 제1 부분(220) - 제3 부분(231) - 제2 부분(220)은 순차적으로 절곡되는 형태 또는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게 된다.
앞선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기능 유닛으로서 게임용 키패드(240)가 채용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확장 모듈(300)의 개념도들이다.
도시에 의하면, 배열 매커니즘(330)은 제3 부분(331) 및 지지부(332)를 포함한다.
제3 부분(331)은 제1 부분(31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 부분(320)으로 연장되며, 폴딩 및 언폴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332)는 제1 부분(310)의 타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 부분(320)이 놓이는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310)과 지지부(332)는 힌지 결합(H)되며, 지지부(332)가 휴대 단말기(10)의 배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중심에 대하여 먼 측에 위치하는 지지부(332)의 단부가 바닥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제1 상태(도 1 참조)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지지부(332)의 단부에는 지지부(332)의 주면에 대하여 절곡되는 커버(333)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333)는 제2 상태(도 2a 참조)에서 휴대 단말기(10)의 일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1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확장 모듈들(400, 500, 600)에 휴대 단말기(10)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들이다.
본 도면들에 도시된, 확장 모듈(400, 500, 600)들은 각각 상기 제1 상태에서 제2 부분(420, 520, 620)과 바닥면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형성되는 접촉확대부(460, 560, 660)를 포함한다.
접촉확대부(460, 560, 660)는 상기 제2 부분(420, 520, 620)의 일면과 평행 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부분(420, 520, 620)에 상기 제2 부분(420, 520, 620)의 일면과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장착된다.
도 7a를 참조하면, 접촉확대부(460)는 제2 부분(420)의 일면에서 리세스되는 리세스부(461)과, 상기 리세스부(461)에 삽입되며 일단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부분(420)의 일면상에서 회전되는 확대부재(462)를 포함한다. 확대부재(462)는 리세부(461)의 바닥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이 상기 제2 부분(420)의 일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확대부재(562)는 리세스부(561)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도 7c를 참조하면, 확대부재(662)는 힌지(H)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제2 부분(620)과 바닥면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41), 조작부(16,22), 영상 입력부(15,24), 음향 입력부(17), 디스플레이부(13), 음향 출력부(14,27), 센싱유닛(46), 인터페이스(23), 방송 수신 모듈(45), 메모리(44), 전원공급부(21), 확장 모듈 인터페이스(150), 상태감지부(160), 기능유닛(140,240) 및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4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4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모듈(4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4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43)를 포함한다.
조작부(16,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조작부(16,22)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 입력부(15,24)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5,24)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4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4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7)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4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7)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 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4,27)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4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4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4,27)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4,26)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 유닛(4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4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21)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 이스(25)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23)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23)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23)로서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채용된다면, 휴대 단말기(10)와 확장 모듈(100 내지 600) 간의 데이터 교환은 단자부들(28, 112)를 통하지 않는 무선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23)에 대응하여, 확장 모듈(100 내지 600)에도 확장 모듈 인터페이스(150)가 구비된다. 확장 모듈 인터페이스(150) 역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단자부들(28,112,123,142)만이 사용되는 경우라면, 확장 모듈 인터페이스(150)는 단자부들(112,123)이거나 그에 단자부(142)가 추가된 단자들일 수 있다.
메모리(44)는 제어부(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4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4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4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4,27), 디스플레이부(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4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4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4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21)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1)는 확장 모듈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기능유닛(140, 240)과 전원을 교환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원공급부(21)가 기능유닛(140, 240)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확장 모듈(100 내지 600)에도 전원 공급부가 형성될 수 있다.
기능유닛(140,240)은 제어부(40)를 통해 본체와 데이터를 교환하게 된다. 그 결과, 기능유닛(140,240)에 의한 입/출력 또는 충전 등의 기능은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된다.
확장 모듈(100 내지 600)이 휴대 단말기(10)에 결합 되었는지 또는 휴대 단말기(10)로부터 분리되었는지, 또는 결합된 후에 제1 또는 제2 상태인지 등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태감지부(160)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40)에 전달되고, 제어부(40)는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확장 모듈(100 내지 600)의 상태에 따른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는 상태 감지부(160)를 확장 모듈(100 내지 600)이 휴대 단말기(10)와 결합되었음을 감지하면, 디스플레이부(13)의 터치 입력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확장 모듈(100 내지 600)에 구비되는 전원스위치가 온되면, 휴대 단말기(10)의 전원이 온되면서 상태 감지부(160)는 확장 모듈(100 내지 600)이 휴대 단말기(10)와 결합되었음을 감지하고, 제어부(40)는 확장 모듈(100 내지 600)가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휴대 단말기(1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는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3)를 활성화하면서 초기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킨다.
또한, 제어부(40)는 상태감지부(160)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휴대 단말기(10)가 확장 모듈(100 내지 600)에 결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결합된 경우라면 휴대 단말기(10)의 출력 형태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의 출력 방향은 휴대 단말기(10)가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포트레이트 방향(도 5 참조)이다가, 휴대 단말기(10)가 확장 모듈(100 내지 600)과 결합된 이후에는 랜드스케이프 방향(도 1 참조)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는 기능 유닛으로서 쿼티 키패드(140)나 게임용 키패드(240)를 사용하거나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영화 등을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변경이 될 것이다.
상태감지부(160)를 통해 휴대 단말기(10)가 확장 모듈(100 내지 600)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판단된다면, 제어부(40)는 디스플레이부(13)의 출력 방향이나 음향 출력부(14)의 출력 레벨 등을 원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확장 모듈(100 내지 600)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로부터 별다른 조작 없이도 휴대 단말기(10)를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환경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모듈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확장 모듈이 휴대 단말기를 감싸고 있는 제2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b는 도 2a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확장 모듈의 펼쳐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구체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확장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확장 모듈의 개념도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확장 모듈들에 휴대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들.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Claims (20)

  1. 휴대 전자기기가 장착되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일면에 의하여 덮혀지는 제1 부분;
    상기 휴대 전자기기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유닛이 장착되며, 상기 제1 부분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부분;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결합되는 자력부재에 자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제1 부분에 장착되는 마그넷; 및
    제1 상태에서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장착된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배열 매커니즘을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확장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매커니즘은,
    일단이 상기 제1 부분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되며, 양단 사이에서 폴딩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제3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확장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제2 상태에서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1 부분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확장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걸리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3 부분에 포개어지는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제1 걸림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 부분에서 돌출되는 제2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확장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자기기와 상기 기능 유닛 간의 데이터 및/또는 전원의 교환을 위한 연결 경로는 상기 제3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확장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매커니즘은,
    상기 제1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 부분으로 연장되며, 폴딩 및 언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3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타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 부분이 놓이는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확장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부분과 바닥면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형성되는 접촉확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확장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확대부는 상기 제2 부분의 일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부분에 상기 제2 부분의 일면과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확장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에는 상기 기능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확장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상기 제1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보조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확장 모듈.
  1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자력에 의하여 인력을 받는 자력부재가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휴대 전자기기에 확장된 기능을 제공하는 확장 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확장 모듈은,
    상기 본체가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일면에 의하여 덮혀지는 제1 부분;
    상기 본체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유닛이 장착되며, 상기 제1 부분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부분;
    상기 자력부재를 마주보도록 상기 제1 부분에 장착되는 마그넷; 및
    제1 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장착된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배열 매커니즘을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제1 부분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리어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자력부재는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어 케이스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매커니즘은,
    일단이 상기 제1 부분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양단 사이에서 폴딩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제3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제2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1 부분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걸리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3 부분에 포개어지는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제1 걸림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 부분에서 돌출되는 제2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기능 유닛 간의 데이터 및/또는 전원의 교환을 위한 연결 경로는 상기 제3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모듈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부분과 바닥면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형성되는 접촉확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확대부는 상기 제2 부분의 일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부분에 상기 제2 부분의 일면과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유닛은 쿼티키 배열을 가지는 키패드 및 상기 본체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가 상기 확장 모듈과 결합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입력 기능은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상기 확장 모듈과 결합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방향은 포트레이트 방향이 랜드스케이프 방향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KR1020090101392A 2009-10-23 2009-10-23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KR101641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392A KR101641229B1 (ko) 2009-10-23 2009-10-23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US12/723,587 US8358513B2 (en) 2009-10-23 2010-03-12 Expansion module for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392A KR101641229B1 (ko) 2009-10-23 2009-10-23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620A true KR20110044620A (ko) 2011-04-29
KR101641229B1 KR101641229B1 (ko) 2016-07-20

Family

ID=43898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392A KR101641229B1 (ko) 2009-10-23 2009-10-23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58513B2 (ko)
KR (1) KR1016412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7077A1 (ko) * 2013-01-07 2014-07-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KR20170086369A (ko) * 2016-01-18 201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7126736A1 (ko) * 2016-01-22 2017-07-27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1167B2 (en) 2004-06-10 2010-07-20 Medtronic Urinary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linician control of stimulation systems
KR101824126B1 (ko) * 2010-05-14 2018-02-0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자 기기 및 전자 장치의 접속 방법
CN101943886B (zh) * 2010-09-01 2012-09-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及手表
TWM401147U (en) * 2010-10-12 2011-04-01 Allen Ku Modular structure of keyboard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I410207B (zh) * 2010-12-31 2013-09-21 Hon Hai Prec Ind Co Ltd 電子設備及其固態硬碟模組
US20120188697A1 (en) * 2011-01-25 2012-07-26 Compal Electronics, Inc. Docking sta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20268911A1 (en) * 2011-04-25 2012-10-25 Ko Ja (Cayman) Co., Ltd. Protective sleeve for touch control electronic device
TW201306583A (zh) * 2011-07-25 2013-02-01 Compal Electronics Inc 可拆卸之組合式電子裝置支撐組件及具有其之可拆卸之組合式電子裝置
JP6238894B2 (ja) 2011-08-05 2017-11-29 ジーユーアイ グローバル プロダクツ,リミテッド 表示画面及びレンズの掃除用具及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US8743538B2 (en) * 2011-10-14 2014-06-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tective hinge cover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KR20120120097A (ko) * 2011-11-15 2012-11-01 조은형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WO2013091674A1 (de) * 2011-12-19 2013-06-27 Schmutz Willi Transportbehältnis für ein elektronisches handgerät mit eingabedisplay
KR101850818B1 (ko) * 2012-01-03 2018-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기기
US8909139B2 (en) * 2012-01-27 2014-12-09 Blackberry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including selectively coupled pair of discontinuous NFC circuit segments and related methods
US9354748B2 (en) 2012-02-13 2016-05-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tical stylus interaction
US9460029B2 (en) 2012-03-02 2016-10-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keys
US9064654B2 (en) 2012-03-02 2015-06-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USRE48963E1 (en) 2012-03-02 2022-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US9870066B2 (en) 2012-03-02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US9075566B2 (en) 2012-03-02 2015-07-07 Microsoft Techno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spine
US9426905B2 (en) 2012-03-02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US9360893B2 (en) 2012-03-02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writing surface
US20130242490A1 (en) * 2012-03-13 2013-09-19 Allen Ku Leather case and hand-held device having touch panel
TWM435656U (en) * 2012-04-19 2012-08-11 Darfon Electronics Corp Support for keyboard
TWM479586U (zh) * 2012-05-04 2014-06-01 Ezero Technologies Llc 用於一攜帶型裝置之具有一近場通信能力及天線的支架以及用於一攜帶型裝置之具有一近場通信能力及天線及經調適以用於近場通信之鍵盤的支架
US20130300590A1 (en) 2012-05-14 2013-11-14 Paul Henry Dietz Audio Feedback
US9923587B2 (en) * 2012-05-18 2018-03-20 Blackberry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including NFC carrying case and related methods
US9684382B2 (en) 2012-06-13 2017-06-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configuration having capacitive and pressure sensors
US9459160B2 (en) 2012-06-13 2016-10-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sensor configuration
US9063693B2 (en) 2012-06-13 2015-06-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eripheral device storage
US20130335330A1 (en) * 2012-06-13 2013-12-19 Microsoft Corporation Media processing input device
US9073123B2 (en) 2012-06-13 2015-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ousing vents
JP5975273B2 (ja) 2012-07-24 2016-08-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バー
JP5896149B2 (ja) * 2012-07-24 2016-03-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バー
US8964379B2 (en) 2012-08-20 2015-02-24 Microsoft Corporation Switchable magnetic lock
TWM459753U (zh) * 2012-10-11 2013-08-21 Fu-Yi Hsu 保護套
EP2915416A4 (en) * 2012-11-05 2016-11-02 Gui Global Products Ltd DEVICES AND ACCESSORIES WITH FILM HINGE
US20200137906A9 (en) * 2012-11-05 2020-04-30 Gui Global Products, Ltd. Devices and accessories employing a living hinge
CN103823539A (zh) * 2012-11-19 2014-05-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断电方法及使用该断电方法的电子装置
US9176538B2 (en) * 2013-02-05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configurations
US20140224676A1 (en) * 2013-02-05 2014-08-14 M-Edge Accessories, Llc Low profile protective cover configurable as a stand with integrated battery
US10578499B2 (en) 2013-02-17 2020-03-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iezo-actuated virtual buttons for touch surfaces
US9053688B2 (en) * 2013-03-15 2015-06-09 Miselu, Inc. Base for tablet computer providing input/ouput modules
US9372507B2 (en) * 2013-09-28 2016-06-21 Intel Corporation Adjustable support and a mobile computing device having an adjustable support
US9448631B2 (en) 2013-12-31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haptics and pressure sensing
US10120420B2 (en) 2014-03-21 2018-11-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ockable display and techniques enabling use of lockable displays
TWI526809B (zh) * 2014-03-25 2016-03-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保護外殼
US10324733B2 (en) 2014-07-30 2019-06-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hutdown notifications
US9424048B2 (en) 2014-09-15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ductive peripheral retention device
US9515693B2 (en) * 2014-10-07 2016-12-06 Htc Corporation Casing, portable electronic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9600034B2 (en) * 2015-02-13 2017-03-21 Google Inc. Attaching computing device to mount by magnets
US9411371B1 (en) * 2015-04-16 2016-08-09 Rick Goren Support structure assembly for supporting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10416799B2 (en) 2015-06-03 2019-09-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rce sensing and inadvertent input control of an input device
US10222889B2 (en) 2015-06-03 2019-03-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rce inputs and cursor control
JP6509678B2 (ja) * 2015-08-19 2019-05-08 株式会社ワコム 指示体検出装置
US9883583B2 (en) * 2015-09-02 2018-01-30 Apple Inc. Fabric signal path structures for flexible devices
US10277721B2 (en) 2015-09-18 2019-04-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uzzle-style modular electronic devices
US10061385B2 (en) 2016-01-22 2018-08-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aptic feedback for a touch input device
US11678445B2 (en) 2017-01-25 2023-06-13 Apple Inc. Spatial composites
KR20210146432A (ko) 2017-03-29 2021-12-03 애플 인크. 통합형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갖는 디바이스
US10664012B1 (en) * 2017-08-04 2020-05-26 Apple Inc. Accessori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0915151B2 (en) 2017-09-29 2021-02-09 Apple Inc. Multi-part device enclosure
US10555427B2 (en) * 2017-11-08 2020-02-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lectronic device with a magnetically attached electronic component
JP7085397B2 (ja) * 2018-04-20 2022-06-1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収納ケース
US11175769B2 (en) 2018-08-16 2021-11-1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lass enclosure
US10705570B2 (en) 2018-08-30 2020-07-0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ousing with integrated antenna
US11258163B2 (en) 2018-08-30 2022-02-22 Apple Inc. Housing and antenna architecture for mobile device
US11133572B2 (en) 2018-08-30 2021-09-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segmented housing having molded splits
US11189909B2 (en) 2018-08-30 2021-11-30 Apple Inc. Housing and antenna architecture for mobile device
US10739825B2 (en) * 2018-09-14 2020-08-11 Apple Inc. Keyboard accessory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705574B2 (en) * 2018-09-24 2020-07-07 Apple Inc. Accessory devic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09491455B (zh) * 2018-11-13 2021-06-2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转动装置和显示设备
JP7194292B2 (ja) 2019-04-17 2022-12-21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位置特定可能タグ
US11092997B2 (en) * 2019-09-26 2021-08-17 Apple Inc. Sliding input device cover
WO2022067344A1 (en) * 2020-09-25 2022-03-31 Apple Inc.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remote input devices
US11553070B2 (en) 2020-09-25 2023-01-10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schemes for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detected accessory devices
US11240365B1 (en) 2020-09-25 2022-02-01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schemes for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detected accessory devices
EP4226603A2 (en) 2020-10-12 2023-08-16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schemes for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detected accessory devices
WO2022110016A1 (zh) * 2020-11-27 2022-06-02 深圳市湘凡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立式支架
TW202301940A (zh) * 2021-06-22 2023-01-01 達方電子股份有限公司 用於平板電腦的保護套及攜帶式電子裝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3160A (en) * 1985-06-14 1987-10-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asing structure of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US5295089A (en) * 1992-05-28 1994-03-15 Emilio Ambasz Soft, foldable consumer electronic products
KR20090048169A (ko) * 2007-11-09 2009-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우치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90080426A (ko) * 2008-01-21 2009-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확장 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0160A (en) * 1986-03-20 1988-03-08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Programmable thermal emulator test die
US5859762A (en) * 1996-05-13 1999-01-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computers
JP2002108239A (ja) * 2000-09-14 2002-04-1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ノートブックpcにおけるlcdパネルの取り付け方法
US7280348B2 (en) * 2003-02-14 2007-10-09 Intel Corporation Positioning mechanism for a pen-based computing system
TWI241513B (en) * 2003-03-26 2005-10-11 Benq Corp Detachable keyboard structure
TWI329254B (en) * 2007-08-10 2010-08-21 Quanta Comp Inc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adjustable display pan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3160A (en) * 1985-06-14 1987-10-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asing structure of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US5295089A (en) * 1992-05-28 1994-03-15 Emilio Ambasz Soft, foldable consumer electronic products
KR20090048169A (ko) * 2007-11-09 2009-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우치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90080426A (ko) * 2008-01-21 2009-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확장 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7077A1 (ko) * 2013-01-07 2014-07-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KR20170086369A (ko) * 2016-01-18 201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7126736A1 (ko) * 2016-01-22 2017-07-27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US10331258B2 (en) 2016-01-22 2019-06-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96513A1 (en) 2011-04-28
US8358513B2 (en) 2013-01-22
KR101641229B1 (ko)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229B1 (ko)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KR101474418B1 (ko) 파우치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EP2106100B1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728387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38300A (ko) 조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10050243A (ko) 휴대 단말기
KR20100005574A (ko) 휴대 단말기
KR20090102242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87141B1 (ko) 이동 단말기
KR101454238B1 (ko) 확장 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404739B1 (ko) 폴더타입 휴대 단말기
KR101622594B1 (ko) 휴대 단말기
KR101595358B1 (ko) 휴대 단말기
KR20100088983A (ko) 휴대 단말기
KR100930564B1 (ko) 휴대 단말기
KR101517239B1 (ko)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장치
KR20100115212A (ko) 휴대 단말기
KR101484536B1 (ko) 휴대 단말기
KR101545591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100996A (ko) 휴대 단말기
KR20090092169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90049428A (ko)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05554A (ko) 휴대 단말기
KR20100033812A (ko) 휴대 단말기
KR20090081225A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