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833B1 -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 - Google Patents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833B1
KR101848833B1 KR1020150186248A KR20150186248A KR101848833B1 KR 101848833 B1 KR101848833 B1 KR 101848833B1 KR 1020150186248 A KR1020150186248 A KR 1020150186248A KR 20150186248 A KR20150186248 A KR 20150186248A KR 101848833 B1 KR101848833 B1 KR 101848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ellular phone
case
mobile phon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6227A (ko
Inventor
박영대
Original Assignee
박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대 filed Critical 박영대
Priority to KR1020150186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83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6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개선안은 휴대전화에 결합되는 케이스에 피사체의 모습이 보여지는 거울이나 또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가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되어 있어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화소가 뛰어난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로 셀카봉을 이용한 셀카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는 휴대전화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휴대전화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관통구와, 상기 케이스 본체 내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전화와 유, 무선으로 전기 접속되어 상기 휴대전화와 통신되며 상기 휴대전화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통합모듈과,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에 작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통합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휴대전화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는 휴대전화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휴대전화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관통구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전화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를 이용해 셀카를 촬영할 때 피사체의 모습이 비춰지는 거울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HANDYPHONE CASE FOR SELF PHOTO}
본 개선안은 휴대전화에 결합되는 케이스에 피사체의 모습이 보여지는 거울이나 또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가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되어 있어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화소가 뛰어난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로 셀카봉을 이용한 셀카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증가 되면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양한 여가활동이 가능해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에 장착된 카메라는 디지털 카메라에 버금가는 기능을 갖고 있어 사진촬영을 하고 그 즉시 각종 SNS 등에 해당 사진을 업로딩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사진촬영을 도와줄 사람이 없는 경우 스마트폰을 든 사람이 손을 앞으로 뻗어 구도를 맞춘 다음 촬영을 하는데 화각이나 구도 등에 제한을 받게 되어 원하는 사진촬영을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다단으로 인,출입 가능한 프레임 선단에 스마트폰을 고정한 뒤 이를 이용해서 사진을 촬영하는 이른바 "셀카봉"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셀카봉을 이용한 촬영은 스마트폰의 액정을 통해 피사체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진행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가 아닌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는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화소가 떨어지기 때문에 보다 선명하고 질 좋은 사진을 촬영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선명하고 질 좋은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해 셀카촬영을 할 경우 피사체의 모습을 확인하지 못한 상태로 촬영이 이루어짐에 따라 원하는 구도의 촬영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37298호(2007.11.14)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75741호(2014.12.22)
따라서 본 개선안은 휴대전화에 결합되는 케이스에 피사체의 모습이 보여지는 거울이나 또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가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되어 있어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화소가 뛰어난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로 셀카봉을 이용한 셀카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 개선안의 목적은 휴대전화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휴대전화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관통구와, 상기 케이스 본체 내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전화와 유, 무선으로 전기 접속되어 상기 휴대전화와 통신되며 상기 휴대전화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통합모듈과,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에 작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통합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휴대전화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합모듈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는 커넥터에 의해 상기 휴대전화와 전기적으로 유선 접속되는 것으로 한다.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합모듈은 플렉서블 전기회로(flexable printed circuit)에 의해 상기 휴대전화와 전기적으로 유선 접속되는 것으로 한다.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합모듈은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에 의해서 상기 휴대전화와 전기적으로 무선 접속되는 것으로 한다.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합모듈이 상기 휴대전화와 전기적으로 무선 접속될 경우 상기 통합모듈이 상기 휴대전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공급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전화의 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그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이 제어되는 촬영버튼이 더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은 터치 여부에 따라 상기 휴대전화의 카메라의 촬영이 제어되는 것으로 한다.
본 개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는 휴대전화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휴대전화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관통구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전화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를 이용해 셀카를 촬영할 때 피사체의 모습이 비춰지는 거울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본체 일측에는 촬영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제 1 삽입구와 제 2 삽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삽입구 및 제 2 삽입구에는 상기 촬영버튼과 휴대전화의 카메라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연결케이블이 삽입되어 상기 촬영버튼 사용시 상기 휴대전화의 카메라 촬영이 제어되는 것으로 한다.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거울부재는 피사체가 비추어지는 유리거울, 필름지, 금속판 중 선택된 하나인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는 휴대전화에 결합되는 케이스에 피사체의 모습이 보여지는 거울이나 또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가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되어 있어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화소가 뛰어난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로 셀카봉을 이용한 셀카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휴대전화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휴대전화 케이스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휴대전화 케이스의 결합도.
도 4는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휴대전화 케이스의 다른 결합도.
도 5는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휴대전화 케이스의 또 다른 결합도.
도 6은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휴대전화 케이스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개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휴대전화 케이스의 사시도.
도 8은 본 개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휴대전화 케이스의 결합도.
도 1에는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휴대전화 케이스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휴대전화 케이스의 배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휴대전화 케이스의 결합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휴대전화 케이스의 다른 결합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휴대전화 케이스의 또 다른 결합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휴대전화 케이스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는 휴대전화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휴대전화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관통구와, 상기 케이스 본체 내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전화와 유, 무선으로 전기 접속되어 상기 휴대전화와 통신되며 상기 휴대전화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통합모듈과,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에 작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통합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휴대전화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의 구성부재와 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케이스 본체(10)는 휴대전화(90)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전화(90)를 보호하는 것으로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케이스 본체(10)는 휴대전화(90)의 기종에 대응되게 다양한 규격으로 제조되고 그 재질은 합성플라스틱, 금속, 피혁, 목재 등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휴대전화(90)의 액정에서 개폐되는 덮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한 케이스 본체(10)의 외부면 일측에는 관통구(20)가 관통 형성되는데, 전술한 관통구(20)는 휴대전화(90)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91) 렌즈가 케이스 본체(10)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개방시키는 것으로 카메라(91) 렌즈에 대응되는 지점에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은 관통구(20)는 휴대전화(90)의 기종에 따라 카메라(91)의 위치도 다르기 때문에 휴대전화(90)의 기종에 따라 각각 그 위치가 다르게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케이스 본체(10) 내에는 통합모듈(30)이 구비되는데 전술한 통합모듈(30)은 케이스 본체(10)에 결합되는 휴대전화(90)와 유, 무선으로 전기 접속되어 휴대전화(90)와 통신되고 휴대전화(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전술한 통합모듈(30)은 추후에 설명될 디스플레이 패널(40)과 휴대전화(90)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게 함으로써 휴대전화(90)의 카메라(91)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40)을 통해 보여지게 함과 동시에 그 작동에 필요한 전원이 디스플레이 패널(40) 측에 공급되게 한다.
이를 위해 통합모듈(30)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환경에서는 상호 무선통신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송수신 되도록 블루투스(Bluetooth) 및 와이파이(wifi)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전자 부품(도시되지 않음)이 내설 되고, 무선 통신이 불가한 환경에서는 유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커넥터(50) 또는 플렉서블 전기회로(flexable printed circuit)(60)가 구비된다. 커넥터(50)는 케이스 본체(10) 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휴대전화(90)와 케이스 본체(10) 결합과 동시에 휴대전화(90) 측에 삽입된다. 또한 플렉서블 전기회로(60)는 그 일단이 휴대전화(90)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휴대전화(90)의 케이스를 통해 통합모듈(30) 측에 연결된다.
휴대전화(90)와 통합모듈(30)이 무선 연결될 경우 통합모듈(30)이 휴대전화(90)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기 위한 전원공급 커넥터(70)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케이스 본체(10)의 일측에는 휴대전화(90)의 카메라(9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그 사용 여부에 따라 카메라(91)의 촬영이 제어되는 촬영버튼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셀카봉(10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디스플레이 패널(40) 만을 바라보면서 촬영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촬영버튼(11)은 통합모듈(11)을 통해서 휴대전화(90)의 카메라(91)과 제어 가능하게 접속되는데, 휴대전화(90)가 무선으로 접속될 경우 전원공급 커넥터(70)을 통해서 촬영버튼(11)과 휴대전화(90)의 카메라(91)가 서로 접속되거나 무선통신으로 제어 가능한 프로그램이 탑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케이스 본체(10)의 외부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40)이 작동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널(40)은 전술한 통합모듈(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휴대전화(90)의 카메라(91)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보여짐으로써 셀카봉(100)을 이용한 셀카 촬영시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91)에 비해 상대적으로 화소가 뛰어난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91)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셀카봉(100)을 이용해 셀카를 촬영할 때 휴대전화(90)의 액정을 보면서 피사체의 구도 등을 확인하면서 촬영을 하는데 이를 위해서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91)에 비해 상대적으로 화소가 떨어지는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91)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케이스 본체(10)의 후면에 휴대전화(90) 카메라(91)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패널(40)이 구비됨에 따라 셀카봉(100)을 이용한 셀카 촬영시 피사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어 원하는 구도의 촬영이 가능함은 물론 보다 선명하고 화질이 뛰어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널(40)은 터치 여부에 따라 휴대전화(90)의 카메라(91)의 촬영이 제어될 수도 있다. 이는 전술한 촬영버튼(11)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데 카메라(91)의 제어를 위해서 촬영버튼(11)과 디스플레이 패털(40)의 터치 기능 중에서 한 가지만 탑재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40)의 터치를 통한 카메라(91)의 촬영제어는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터치 기술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는 본 개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8에는 본 개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휴대전화 케이스의 결합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전술한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을 밝혀둔다.
본 개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는 휴대전화(90)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본체(10)와,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외부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휴대전화(90)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91) 렌즈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관통구(20)와,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외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전화(90)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91) 렌즈를 이용해 셀카를 촬영할 때 피사체의 모습이 비춰지는 거울부재(80)가 포함된다.
이때 전술한 케이스 본체(10) 일측에는 촬영버튼(11)이 구비되고, 케이스 본체(10)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제 1 삽입구(12)와 제 2 삽입구(13)가 구비되며, 제 1 삽입구(12) 및 제 2 삽입구(13)에는 촬영버튼(11)과 휴대전화(90)의 카메라(91)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연결케이블(14)이 삽입되어 촬영버튼(11) 사용시 휴대전화(90)의 카메라(91) 촬영이 제어된다.
이때 전술한 거울부재(80)는 피사체가 비추어지는 유리거울, 필름지, 금속판 중 선택된 하나인 것으로 한다.
본 개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10)의 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40)이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이 피사체의 모습이 비춰지는 거울부재(80)가 구비된다 점과, 통합모듈(30)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촬영버튼(11)과 휴대전화(9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연결케이블(14)이 사용된다는 점만 다를 뿐 그 외의 발명의 구성 및 작동관계는 전술한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와 유사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는 휴대전화(90)에 결합되는 케이스에 피사체의 모습이 보여지는 거울(80)이나 또는 카메라(91)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가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패널(40)이 구비되어 있어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91)에 비해 상대적으로 화소가 뛰어난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91)로 셀카봉(100)을 이용한 셀카 촬영할 수 있다.
본 개선안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개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 케이스 본체
11 : 촬영버튼
12 : 제 1 삽입구
13 : 제 2 삽입구
14 : 연결케이블
20 : 관통구
30 : 통합모듈
40 : 디스플레이 패널
50 : 커넥터
60 : 플렉서블 전기회로
70 : 전원공급 커넥터
80 : 거울부재
90 : 휴대전화
91 : 카메라
100 : 셀카봉

Claims (10)

  1. 휴대전화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휴대전화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관통구;
    상기 케이스 본체 내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전화와 유, 무선으로 전기 접속되어 상기 휴대전화와 통신되며 상기 휴대전화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통합모듈;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에 작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통합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휴대전화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모듈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는 커넥터에 의해 상기 휴대전화와 전기적으로 유선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모듈은 플렉서블 전기회로(flexable printed circuit)에 의해 상기 휴대전화와 전기적으로 유선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모듈은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에 의해서 상기 휴대전화와 전기적으로 무선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합모듈이 상기 휴대전화와 전기적으로 무선 접속될 경우 상기 통합모듈이 상기 휴대전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공급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전화의 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그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이 제어되는 촬영버튼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은 터치 여부에 따라 상기 휴대전화의 카메라의 촬영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86248A 2015-12-24 2015-12-24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 KR101848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248A KR101848833B1 (ko) 2015-12-24 2015-12-24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248A KR101848833B1 (ko) 2015-12-24 2015-12-24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227A KR20170076227A (ko) 2017-07-04
KR101848833B1 true KR101848833B1 (ko) 2018-04-16

Family

ID=5935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248A KR101848833B1 (ko) 2015-12-24 2015-12-24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909B1 (ko) * 2020-04-02 2021-10-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외장 메모리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793B1 (ko) * 2011-04-14 2012-10-02 한승훈 거울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101188978B1 (ko) 2012-04-19 2012-10-09 고돈호 듀얼 모니터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 커버
KR101238965B1 (ko) * 2011-08-29 2013-03-04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 결합 카메라
KR101478522B1 (ko) 2013-07-18 2015-01-05 이문희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793B1 (ko) * 2011-04-14 2012-10-02 한승훈 거울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101238965B1 (ko) * 2011-08-29 2013-03-04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 결합 카메라
KR101188978B1 (ko) 2012-04-19 2012-10-09 고돈호 듀얼 모니터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 커버
KR101478522B1 (ko) 2013-07-18 2015-01-05 이문희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227A (ko)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8387B2 (ja)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ィジタル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US8825123B1 (en) Passthrough case for a smart phone
KR101718441B1 (ko) 카메라 일체형 셀카봉
CN111050062B (zh) 一种拍摄方法及电子设备
US20160316046A1 (en) Mobile phone with integrated retractable image capturing device
EP1549067A3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tiy
KR20120031830A (ko) 휴대 단말기
KR20070117284A (ko)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영상합성방법
KR20180105689A (ko) 모두 함께 장착되어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는, 스마트폰, 키보드 및 태블릿을 포함하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
CN203574726U (zh) 便携式电子装置
KR101848833B1 (ko) 셀카용 휴대전화 케이스
TWI446089B (zh) 鏡頭擴充座
CN103905702A (zh) 一种带有wifi功能的眼镜摄像机
CN112585934A (zh) 便携式移动通信终端机的自拍影像拍摄装置及其控制方法
JP3757931B2 (ja) 電子カメラおよび電子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KR101633865B1 (ko) 스마트폰용 셀프 카메라 촬영장치
KR101777010B1 (ko)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셀룰러폰 케이스
JP3948485B2 (ja)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ィジタル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KR20170083937A (ko)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및 라이트가 상부에 배치된 스마트폰
KR102201187B1 (ko) 스테레오 카메라 기반 트윈 카메라 모듈
KR100492557B1 (ko) 휴대용 단말기
CN203912050U (zh) 一种带有wifi功能的眼镜摄像机
JP2003333141A (ja) 携帯電話装置
KR20130099620A (ko) 어두운 곳에서 휴대단말기의 화면을 이용한 전면카메라의 사용방법
CN117632314A (zh) 界面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