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689A - 모두 함께 장착되어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는, 스마트폰, 키보드 및 태블릿을 포함하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모두 함께 장착되어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는, 스마트폰, 키보드 및 태블릿을 포함하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05689A KR20180105689A KR1020187024449A KR20187024449A KR20180105689A KR 20180105689 A KR20180105689 A KR 20180105689A KR 1020187024449 A KR1020187024449 A KR 1020187024449A KR 20187024449 A KR20187024449 A KR 20187024449A KR 20180105689 A KR20180105689 A KR 201801056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casing
- central processing
- recess
- smartphon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887 fac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41001422033 Thesty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3 computer appl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28 prem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4 xen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HNFHKCVQCLJFQ-UHFFFAOYSA-N xenon atom Chemical compound [Xe] FHNFHKCVQCLJ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2—Interfacing with an external cove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alities
-
- H04M1/72527—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 H04N5/225—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스크린(45) 및 제1 메모리(41)를 관리하는 제1 중앙 처리 장치(40)가 설치된 휴대폰(39); 적어도 제2 스크린(35) 및 제2 메모리(37)를 관리하는 제2 중앙 처리 장치(36)를 포함하는 케이싱으로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휴대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제거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하며; 및 상기 케이싱의 중앙 처리 장치와 상기 휴대폰 사이의 통신을 위한 통신 수단(43, 44)을 포함하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33)에 관한 것이다. 상기 중앙 처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및 제2 메모리의 각각에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 키보드, 및 태블릿이 모두 함께 장착되어 사진을 3차원으로 찍을 수 있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정지 이미지(still image) 또는 애니메이션 이미지(animated image)를 찍을 수 있게 하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 및 카메라의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형 컴퓨터의 기능에 근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카메라가 제공되며, 그리고 일상적으로 사진을 찍기에 적합한, 스마트폰 및 터치-감응형 태블릿 타입의 디바이스를 구비한 휴대폰에 큰 발전이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들 디바이스의 대부분은 집중적인 사용에 매우 호의적이지 않은 터치-감응형 키보드를 제공하며, 실제 키보드와 관련될 수 있는 태블릿은 실질적인 크기를 가지며 또한 주머니에 넣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상용으로 입수 가능한 대부분의 스마트폰에는, 이들 디바이스의 작은 두께로 인해, 작은 조리개를 구비한 고정 렌즈만을 갖는 카메라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는 고화질을 제공하는 진정한 다중-대물렌즈 및 광학 줌(optical zoom)을 제공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타입의 디바이스의 여전히 작은 두께로 인해, 이들 거의 모두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하는 플래시(flash)를 가지며, 그 성능은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전술한 디바이스는 3차원 사진을 찍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들 단점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1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이하의 요소를 포함하는 포터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 제1 스크린, 제1 메모리를 관리하는 제1 중앙 처리 장치가 제공된 휴대폰.
-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제2 메모리를 관리하는 제2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싱.
- 상기 케이싱은 그 내측에 휴대폰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 가능하게 수용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리세스(recess)를 포함한다.
- 상기 케이싱의 중앙 처리 장치와 상기 휴대폰 사이의 통신 수단.
-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의 각각에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배치로 인해, 상기 중앙 처리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키보드, 터치-감응형 스크린, 및 통신 네트워크와의 통신 수단은, 상기 2개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공유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케이싱으로부터 휴대폰을 분리할 때 자신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의 각각은 제1 및 제2 메모리의 각각에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배치로 인해, 케이싱 및 휴대폰의 2개의 중앙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폰은 제1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케이싱은 상기 휴대폰이 케이싱의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유지될 때, 이미지 센서가 위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리세스로부터 가로지르는 개구를 포함한다.
이들 배치로 인해, 휴대폰의 동일한 이미지 센서는 휴대폰이 케이싱에 삽입되지 않았을 때는 휴대폰을 위해서도 사용되고, 또한 휴대폰이 그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었을 때는 케이싱을 위해 사용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개구로부터 5 내지 8 센티미터의 거리에 위치된 제2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이들 배치로 인해, 2개의 이미지 센서는 성인 사용자의 눈동자 사이의 이격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점(point of view)의 분리에 의해, 3차원 이미지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처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의 각각에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모리 중 하나는 상기 두 이미지 센서로부터 오는 이미지를 수신하며, 이에 따라 입체적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린은 자동-입체(auto-stereoscopic) 타입을 갖는다.
이들 배치로 인해, 상기 2개의 이미지 센서에 의해 캡처된 입체적 이미지가 상기 케이싱의 스크린 상에 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그 하우징에, 휴대폰이 상기 리세스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휴대폰의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들 배치로 인해, 상기 중앙 처리 장치 사이의 통신 수단은 상기 커넥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에너지 소비가 감소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휴대폰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고 재충전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키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크린은 이것이 상기 케이싱의 외측을 향해 회전될 때 상기 키보드 상에 미끄럼 장착되고, 이것이 상기 케이싱의 내측을 향해 회전될 동안 상기 키보드를 덮지 않거나 또는 덮었을 때 회전된다.
이들 배치로 인해, 사용자는 스크린이 키보드를 덮지 않았을 때는 경사질 수 있는 스크린을 구비한 포터블 컴퓨터, 및 상기 스크린이 키보드를 덮고 그리고 케이싱의 외측을 향해 회전되었을 때는 태블릿을 갖는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스크린은, 2개의 대향 측부 상에, 2개의 측부 스터드(stud), 상기 제2 스크린의 스터드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해 2개의 대향 측부 상에 2개의 레일을 포함하는 케이싱에 상기 제2 스크린의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측부 상에 2개의 측부 스터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크린은 상기 측부 상에서 상기 지지체의 측부 스터드를 위해 가이드 레일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들 배치로 인해, 상기 스크린은 키보드를 포함하는 지지체 상에 미끄러지며, 그리고 상기 키보드를 숨기거나 사용자가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체의 각각의 레일은, 그 단부 중 한쪽에, 제2 스크린의 엣지 상에 위치된 전기 접점에 대응하는 원호에서 전기 접점의 세트를 구비한 원형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2 스크린의 전기 접점은 스크린의 경사 중 상기 지지체의 전기 접점 상에서 미끄러진다.
이들 배치로 인해, 제2 스크린은, 상이한 경사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신호 및 그 광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수신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체의 각각의 레일은, 그 단부 중 다른 쪽에, 케이싱의 외측을 향해 회전될 동안, 제2 스크린이 키보드를 덮었을 때 상기 제2 스크린의 전기 접점이 지탱하는 전기 접점을 갖는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제2 스크린의 내측의 슬롯에 저장된 제3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크린은 이것이 당겨졌을 때 제2 스크린을 떠나고, 그 후 상기 제2 스크린과 엣지 대 엣지(edge to edge)로 위치된다.
이들 배치로 인해, 상기 제2 스크린의 표면적은 제3 스크린의 2배가 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광 커플러(optocoupler)는 제2 스크린 및 상기 제2 스크린의 지지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광 커플러는 스크린 지지체에 대한 스크린의 회전 운동 중 대향하여 위치된다.
이들 배치로 인해, 스크린과 그 지지체 사이의 통신은 더욱 신뢰성 있고 그리고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휴대폰이 리세스에 수용되어 전화 호출을 수신했을 때 호출하기 위한 키이(key)를 포함한다. 이들 배치로 인해, 사용자는 케이싱의 리세스로부터 휴대폰을 취할 필요 없이 착신(incoming) 호출을 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3차원 이미지를 구비한 사진 디바이스 또는 카메라 작동 모드에서,
- 두 이미지 센서가 선택적으로 디지털 줌을 통해 동일한 시계(field of vision)를 갖고, 그리고 동기화되도록,
- 2개의 캡처된 이미지의 조합을 통해 이루어진 입체적 이미지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에서 메모리에 유지되도록,
상기 케이싱과 휴대폰의 결합 동작을 명령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배치로 인해, 이미지 획득은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센서 중 하나가 가변-초점 대물렌즈(줌)를 갖더라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치수가 동기화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태블릿 작동 모드에서 스마트폰의 제1 중앙 처리 장치가 제2 스크린을 관리하도록, 상기 케이싱과 휴대폰의 결합 동작을 명령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스크린은 상기 휴대폰을 상기 제1 스크린을 대체하는 터치 스크린으로서 동작시키며, 이는 오프로 유지된다.
이들 배치로 인해, 휴대폰의 자원, 특히 전력 및 연산 속도의 관점에서 태블릿 작동에서의 이점이 취해진다.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컴퓨터 작동 모드에서 상기 케이싱이 문자 처리(text processing) 및 인터넷 브라우징(internet browsing)을 포함하는 전형적인 컴퓨터 기능을 수행하도록, 케이싱과 휴대폰의 결합 동작을 명령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컴퓨터의 전형적인 기능을 갖는다.
태블릿 및 컴퓨터 작동 모드를 실행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작동 모드는 태블릿 동작 모드와 동일한 운영 체제를 실행하지 않으며, 이루어진 운영 체제 간 전환은 케이싱의 스크린의 위치 변경 중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배치로 인해, 사용자는 이들 운영 체제를 자신이 전환할 필요가 없다.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확장된 휴대폰 작동 모드에서 제2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및 터치-감응형 누름을 캡처하기 위한 주변 장치로서 사용되고 또한 키보드가 텍스트를 입력하는 데 사용되도록, 상기 케이싱과 휴대폰의 결합 동작을 명령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은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 전력 및 속도 관점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는 덜 비싸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목적,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의 특별한 일 실시예의 케이싱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에 대향하는 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키보드를 포함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케이싱의 정지형 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휴대폰을 위한 리세스의 개구를 포함하는 케이싱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면에 대향하는 케이싱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면에 대향하는 케이싱의 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키보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스크린에 의해 덮이고, 스크린이 외향으로 회전된, 도 3에 도시된 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키보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스크린에 의해 덮이고, 스크린이 내향으로 회전된, 즉 키보드를 향하는, 도 3에 도시된 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면의 대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전개된 이미지 획득 장치 대물렌즈를 구비한 케이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스크린과 케이싱 사이의 관절부(articulation)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케이싱 상의 스크린의 회전 구성 및 이들 사이의 접점을 개략적으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리세스에 수용되는 스마트폰을 개략적으로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키보드의 경계부 상의 전기 접점의 세트를 개략적으로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그 리세스에 스마트폰을 수용한 케이싱을 개략적으로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케이싱의 리세스로부터 제거된 스마트폰을 개략적으로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도 7에 도시된 스크린으로부터 제3 스크린의 진행 시의 전개를 개략적으로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제3 스크린의 완전한 전개를 개략적으로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도 7에 도시된 구성과 도 8에 도시된 구성 사이에서 스크린의 역전을 6 단계로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케이싱 및 스마트폰의 전자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에 대향하는 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키보드를 포함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케이싱의 정지형 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휴대폰을 위한 리세스의 개구를 포함하는 케이싱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면에 대향하는 케이싱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면에 대향하는 케이싱의 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키보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스크린에 의해 덮이고, 스크린이 외향으로 회전된, 도 3에 도시된 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키보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스크린에 의해 덮이고, 스크린이 내향으로 회전된, 즉 키보드를 향하는, 도 3에 도시된 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면의 대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전개된 이미지 획득 장치 대물렌즈를 구비한 케이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스크린과 케이싱 사이의 관절부(articulation)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케이싱 상의 스크린의 회전 구성 및 이들 사이의 접점을 개략적으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리세스에 수용되는 스마트폰을 개략적으로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키보드의 경계부 상의 전기 접점의 세트를 개략적으로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그 리세스에 스마트폰을 수용한 케이싱을 개략적으로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케이싱의 리세스로부터 제거된 스마트폰을 개략적으로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도 7에 도시된 스크린으로부터 제3 스크린의 진행 시의 전개를 개략적으로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제3 스크린의 완전한 전개를 개략적으로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도 7에 도시된 구성과 도 8에 도시된 구성 사이에서 스크린의 역전을 6 단계로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케이싱 및 스마트폰의 전자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5 및 도 16에서 관찰되는 바와 같이,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는 2개의 주요 부분, 즉 케이싱(1) 및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인 휴대폰(7)을 포함한다. 케이싱(1)의 리세스(6)는 스마트폰(7)의 적어도 일부의 외측 형상, 및 상기 리세스(6)의 위치에 스마트폰(7)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스마트폰(7)은 제1 스크린(16)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은 제2 스크린(3)을 포함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은 또한 키보드(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린(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으로 회전할 동안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향으로, 즉 키보드(2)를 향해 회전할 동안, 스크린(3)이 키보드(2)를 덮도록, 상기 키보드(2)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이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케이싱(1)의 6 개의 면을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다음의 이미지 센서, 즉 케이싱(1)의 이미지 센서(4), 스마트폰(7)의 이미지 센서(4') 중 적어도 하나로 실행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센서 모두는 도 6, 9, 및 20에 도시되어 있다. 키이(21)는 정지된 또는 애니메이션화된 이미지 획득을 트리거할 수 있게 한다. 키이(23)를 실행함으로써 선택된 사진 모드에서, 키이(21)를 누르면 사진의 캡처를 트리거하고, 그리고 길게 누르면 버스트(burst) 상태로 찍을 수 있게 한다. 키이(23)를 실행함으로써 선택된 비디오 모드에서, 키이(21)를 누르면 비디오의 캡처가 시작되고, 이를 두 번째 누르면 이를 정지시킨다. 상기 키이(20)는 이미지 센서(4)의 광학 세트의 전개를 유발시켜, 획득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키이(20)를 두 번째 누르면, 이미지 센서(4)의 광학 세트의 철회를 유발시켜, 상기 획득 모드를 정지시킨다. 키이(23)는 4개의 위치, 즉 2D 사진, 3D 사진, 2D 비디오, 3D 비디오를 구비한 슬라이더(slider)이다. 3D 사진 및 비디오의 경우에, 키이(21)는 센서(4)에 의한 이미지의 캡처, 센서(4')에 의한 이미지의 캡처, 및 3D 포토 모드에서는 플래시(5)의 트리거링(triggering)을 동시에 명령한다(도 6).
반복적으로 터치된 키이(31)는 플래시(5)를, 자동 모드로 또는 강제 모드로(플래시는 항상 점화되어 있음), 또는 플래시리스(flashless) 모드로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선택된 모드는 로고(3)를 통해 스크린(3) 상에 나타난다. 켜져 있을 때, 디폴드(default)에 의해, 플래시는 자동 모드로 설정된다. 이 외에, 획득 디바이스의 보다 정교한 다른 파라미터는 터치 스크린(3)을 통해 실행되며, 또한 스마트폰 타입 및 카메라의 디바이스에 관해 이 분야에서 실행되는 바에 필적할 수 있다.
키이(22)는 획득 모드의 스위치이며, 이는 이미지 센서(4)의 줌 대물렌즈(광학 줌) 상에 동작하며, 좌측을 눌러서 초점 거리를 증가시키고, 우측을 눌러서 초점 거리를 감소시킨다. 처음에는 광학 줌이 활성화되며, 그 후 한계 임계값(예를 들어, 5X)에 도달했을 때, 디지털 줌이 동작한다. 스크린(3) 상의 커서(cursor)는 줌 대물렌즈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3D 이미지를 취하기 위해, 디지털 줌은, 2개의 이미지 센서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의 각 광학 필드(angular optical field)가 동일하도록, 센서(4')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에 적용된다.
비 촬영 모드에 있어서, 키이(22)는 케이싱(1)의 스피커의 오디오 볼륨에 동작한다.
도 2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의 작동을 정지 또는 시동시키는 일반적인 온/오프 키이(17)를 그 우측에 구비한 대향면을 도시하고 있다.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가 켜져 있을 때, 키이(17)를 두 번 누르면 스피커 기능이 동작한다.
도 3은 한 세트의 전기 접점(8)을 구비한 키보드(2)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한 세트의 전기 접점은 스크린에 전력을 공급하고, 디스플레이될 데이터를 제공하며, 그리고 이로부터 촉각 베어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스타일러스(도시되지 않음)를 위한 리세스(20) 및 스마트폰(7)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및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리세스(6)를 도시하고 있다. 우측에 암형 커넥터(31)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암형 커넥터는 케이싱(1)의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를 재충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이것이 리세스(6)에 유지되었다면 스마트폰(7)의 배터리를 재충전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이어폰, 및 선택적으로 마이크를 위한 연결 잭(32)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이미지 센서(4, 4') 및 플래시(5)를 도시하고 있다. 스마트폰이 리세스(6)에 수용되어 있을 동안 스마트폰(7)의 이미지 센서(4')가 사진을 찍기 위해, 관통 개구는 도 6에 도시된 면의 벽을 횡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미지 센서(4, 4') 사이의 거리는 성인의 눈동자 사이의 거리, 또는 5 내지 8 센티미터,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 센티미터에 대응한다. 따라서 3D 또는 입체적 이미지는 성인의 정상적인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키보드(2)를 덮고 외향으로 대면하는 스크린(3)을 도시하고 있다. 이런 구성에서,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는 태블릿으로서 사용된다.
도 8은 키보드(2)를 덮고 내향으로 대면하는, 즉 키보드(2)를 향하는 스크린(3)을 도시하고 있다. 이런 구성에서는, 상기 스크린(3)이 보호되고,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가 주머니에 위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은, 스마트폰(7)이 리세스(6)에 있을 동안 착신 호출의 경우에, 호출자의 번호 및 선택적으로 호출자의 이름을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8에서는 스크린(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한 세트의 전기 접점(13)을 볼 수 있다. 일단 스크린(3)이 태블릿 기능으로 복귀했다면(도 7), 전기 접점[8(도 3), 13]의 세트가 접촉하게 되고, 케이싱(1)의 전자 장치가 스크린(3)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허용하여, 디스플레이될 데이터를 이에 제공하고, 그 대가로 촉각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한다.
호출 수신 모드[스마트폰(7)이 리세스(6)의 내측에 있음]에 있어서, 호출자의 번호 또는 이름이 스크린(30) 상에 나타난다. 이런 상황에서 키이를 짧게 누르면, 통신의 배치를 유발시켜, 사용자가 케이싱을 파지하고, 호출자는 이를 자신의 귀에 가져온다. 동일한 상황(수신 모드)에서 길게 누르면 호출이 거절된다.
이전에 보았던 상황에서, 착신 호출 중 그리고 전화 끊기 중, 언제라도 사용자는 스마트폰(7)의 가시적인 엣지를 누를 수 있으며, 이는 호출이 제거되게 한다[푸시-풀 디바이스(Push-Pull device)].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7)을 끄지 않고 스마트폰과의 대화를 계속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싱(1)은 동시에 다른 용도로 이용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케이싱의 후면, 케이싱의 대물렌즈(4), 스마트폰(7)의 대물렌즈(4'), 플래시(5), 스피커(29), 및 마이크(28)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전개된 이미지 센서(4)의 대물렌즈를 구비한 케이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스크린(3)과 상기 케이싱(1)의 스크린 지지체 사이의 관절부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스터드는 지지체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스터드는 각각 스크린(3) 및 지지체의 레일에 의해 상기 스크린(3)에 고정된다.
스크린(3)의 개방 시스템은 2개의 병렬된 레일(25, 27)의 원리에 기초한다. 각각의 레일(25, 27)에는 그 단부 중 한쪽에 스터드(26, 24)가 각각 제공된다. 하나의 스터드는 다른 하나의 스터드의 레일에 의해 안내된다. 이들 레일 및 스터드는 스크린(3)의 각각의 작은 측부 상에 대칭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2개의 레일(27)은 스크린(3)의 각각의 측부 상에 고정되고, 스크린 지지체의 각각의 측부 상의 2개의 다른 레일(25)은 키보드(2)에 고정된다.
일단 스크린(3)이 스크린 지지체에 조립되었다면, 스크린(3)에 고정된 2개의 레일(27)의 2개의 스터드(24)는 스크린 지지체의 2개의 레일(25)에 결합되고, 스크린 지지체에 고정된 2개의 레일(25)의 2개의 스터드(26)는 스크린(3)의 2개의 레일(27)에서 결합된다. 일단 개방되었다면, 스크린(3)은 그 이동 시 내내 도 19의 상부에 있는 폐쇄된 케이싱 위치로부터, 도 19의 하부에 있는 태블릿 위치로 안내된다. 중간 위치는 도 19에서 상부로부터 바닥으로 연속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스크린 지지체 및 상기 스크린에 전력을 공급하고 이를 데이터와 교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접점 상에서 스크린(3)의 회전을 도시하고 있다. 개방된 케이싱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3)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여러 회전 위치를 가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크린(3)의 베이스 상에 위치된 전기 접점(10)의 세트는 도 11의 여러 회전 각도에 따라 스크린(3)으로의 전력 공급을 허용하는 원호를 형성하는 전기 접점(11)의 다른 세트와 전기 접촉하고 있다. 케이싱의 전자 장치는 전기 접점(11, 8)을 병렬로 공급한다. 전기 접점(10, 13)의 세트는 도체 묶음(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된다. 스크린(3)이 폐쇄되거나 또는 소정의 개방 각도를 초과했을 때, 상기 전기 접점(10)과 커넥터(11)가 분리되고, 스크린(3)이 꺼진다. 따라서 케이싱(1)과 스크린(3)은 원호를 형성하는 전기 접점(11)의 세트 상에서의 회전 시 미끄러지는 스크린(3)의 베이스 상에 위치된 전기 접점(10)의 세트로 인해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므로, 상기 스크린(3)은 넓은 각도 범위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케이싱(1)의 경계부 상에 위치된 또 다른 전기 접점(12)(도 14)의 세트는, 전기 접점(8)의 세트를 대체하거나, 또는 상기 접점과 병렬로 사용되어 스크린의 전기 접점(10')의 세트와의 연결을 허용하며, 또한 케이싱이 태블릿 모드에 위치되었을 때 스크린(3)의 베이스 상에 위치된 전기 접점(10)의 세트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리세스(6)에 수용된 스마트폰(7), 및 단단한 전기 접점(18)에 의해 스마트폰(7)에 연결된 가요성 전기 접점(19)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전기 접점(10)과 병렬로 연결된 전기 접점(10')과 전기 접촉하는 지지체의 경계부 상에서 전기 접점(12)의 세트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는 그 인체 공학이 소형 컴퓨터의 키보드의 인체 공학에 필적할 수 있는, 도 3의 실제 기계적 키보드(2), 확장 사용에 쾌적한 크기를 갖는 도 6의 스크린을 갖는, 도 7의 케이싱(1)의 형태를 가정한다. 그러나 일단 폐쇄되었다면, 상기 케이싱(1)은 재킷 또는 심지어 셔츠의 포켓에 수용하기에 적합한 크기를 갖는다. 케이싱은 "블루투스"(등록 상표), Wi-Fi(등록 상표);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의 약자, 등록 상표) 등과 같은 통신 수단 및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스마트폰, 내부 메모리, 외부 메모리, 근접 연결부의 모든 속성뿐만 아니라 진정한 전형적인 또는 3D 카메라를 통합한, 현재의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수단을 갖는다.
스마트폰(7)은 최신 세대의 멀티코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한 정교한 전자 장치를 가지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은, 한 세트의 전기 접점 및/또는 광 링크(optical link)를 통해, 스마트폰(7)의 전자 장치 내에 통합된 연산 전력을 이용함으로써 그 전력 및 성능을 끌어낸다. 그러나 케이싱(1)의 전자 장치는 Wi-Fi 네트워크, 퍼스널 보조 장치를 통한 인터넷 연결, 또는 비디오 재생이나 음악 청취처럼, 자율적으로 일상적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된다.
케이싱(1) 및 스마트폰(7)은 각각 자체 배터리를 갖는다. 스마트폰(7)이 리세스(6)에 수용되었을 때, 전원이 연결되어, 한편으로는 단일 전원을 통해 케이싱(1) 및 스마트폰(7)을 충전할 수 있게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적절한 소프트웨어로 인해 필요하다면 2개의 배터리의 충전을 평형시킬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7)의 배터리가 낮아진 경우, 이를 리세스(6)에 삽입하면, 부분적 재충전을 허용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스마트폰(7)의 배터리에 의해 케이싱(1)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에는 이것이 실행되었을 때 케이싱(1)을 떠나도록 설계되고 또한 예를 들어 크세논(xenon) 타입의 진정한 플래시뿐만 아니라 광학 줌을 갖는 퀄리티 대물렌즈(quality objective)(4)와 같은 정지 사진 또는 애니메이션 사진을 찍을 수 있게 하는 수단도 제공된다. 케이싱의 내측에 신축성 대물렌즈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이미지는 45 °미러(mirror)를 통해 외부로 전송된다.
또한, 케이싱(1)은, 센서(4')의 대물렌즈와 케이싱(1)의 대물렌즈(4) 사이의 광학 축선 간 거리가 도 7의 성인의 눈동자 사이의 평균 간격에 대응하도록, 그 자신의 카메라에 그 대물렌즈(4')가 제공된 스마트폰(7)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리세스(6)를 통합한다.
기재된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싱(1)은 도 19의 3개의 위치를 가정할 수 있다.
- 상부의 폐쇄된 케이싱 위치. 2D-3D 사진 디바이스/카메라 및 스마트폰만 기능적이다.
- 개방된 케이싱 위치, 도 19의 상부로부터 시작하는 제3 구성. 이 위치는 포터블 컴퓨터와 동일하게 키보드(2) 및 스크린(3)의 사용을 허용한다. 상기 개방은 사용자가 선택한 경사를 얻을 때까지, 스크린(3)을 회전 축선(26)(도 11) 상에서 피봇시킴으로써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도 19의 하부의 태블릿 모드 위치.
폐쇄된 케이싱 위치(도 1)로부터 태블릿 위치(도 6)로 이동하기 위해, 스크린(3)을 180 °로 개방할 필요가 있다. 그 후, 스크린(3)과 케이싱(1)은 도 4의 동일한 평면에 있다. 그 후, 스크린(3)이 도 6의 케이싱(1) 상에 완전히 중첩될 때까지, 스크린(3)을 도 5와 같이 병진시킨다.
스크린(3)의 현저한 변위가 주어졌다면, 전술한 3개의 위치를 가정했을 때, 상기 스크린(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도체 묶음을 사용하는 것은 크게 권장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조기 손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3)은 한편으로는 키보드의 상부 부분 상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폐쇄된 케이싱(13)의 하부 부분 상에 위치된 전기 접점(8)의 세트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일단 스크린(3)이 태블릿 기능으로 복귀되었다면, 상기 전기 접점(8, 13)의 세트는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케이싱(1)의 전자 장치가 스크린(3)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허용한다(도 3 및 도 8).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싱(1)의 이미지 센서(4)에 의해 또한 스마트폰(7)의 이미지 센서(4')에 의해 동시에 입력된 고정된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 이미지 획득은, 릴리프 뷰(relief view)를 허용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하는데, 그 이유는 두 눈의 각각에 의해 입력된 이미지를 이들이 시뮬레이션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2개의 대물렌즈를 분리시키는 거리는 눈동자 간 평균 거리, 또는 65 mm에 대응하며, 이는 적절한 처리로 사진이나 필름을 안심하고 발생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센서(4)에 의해 그리고 센서(4')에 의해 입력된 두 이미지의 통합은, 상기 스크린(3)이 자동-입체 타입을 갖는다면, 즉 상기 릴리프를 재구성하기 위해, 우측 눈에 의해 인지된 이미지와 좌측 눈에 의해 인지된 이미지를 구별하도록 설계된 렌티큘러 층(lenticular layer)을 구비한 그 표면 상에 제공되었다면, 케이싱(1) 및 애드 훅 소프트웨어(ad hoc software)에 통합된 전자 장치에 의해 허용되는 처리로 인해, 스크린(3)에 의해 직접 이용될 수 있다.
스크린(3)이 자동-입체적이지 않다면, 케이싱의 전자 장치에 의해 처리된 3D 이미지는 현재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편광 안경 또는 유색 안경(수동), 동기화된(능동) 안경과 같은 안경을 사용하여 인지될 수 있다.
3D 신호는 비디오 프로젝터, 텔레비전과 같은 3D 를 위해 설계된 시청 시스템에 의해 이용되기 위해, 스마트폰 및/또는 케이싱(1)의 메모리에 기록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스크린(14)은 스크린(3)의 내측의 슬롯에 저장되어, 이것이 당겨졌을 때 스크린(3)을 떠나며, 그 후 스크린(3)에 엣지 대 엣지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 태블릿의 스크린의 표면적을 2배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3 스크린(14)은 이중 세트(double set)의 전기 접점(15)을 갖는다. 이런 구성에 있어서, 2개의 스크린의 전력 공급은 케이싱의 경계부 상의 전기 접점(12)의 세트에 의해 이루어져야만 하며, 이는 제3 스크린의 바닥에 위치된 전기 접점(15)의 세트와 전기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3 스크린은 차례로 스크린(3)에, 전기 접점(10)의 세트와 전기 접촉하는 그 상부 부분에 위치된 전기 접점의 다른 세트를 공급한다.
태블릿의 스크린은 터치-감응형 타입이고, 적절한 스타일러스는 상기 스크린과 협동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스타일러스는 애드 훅 리세스(17)에 저장된다.
리세스(6)에 수용되도록 설계된 스마트폰(7)은 케이싱(1)의 내측에 위치된, 적절한 가요성 전기 접점(19)의 세트와 협동하도록 설계된 전기 접점(18)의 세트를 갖는다. 전기 접점(18)의 세트는 후퇴되어, 케이싱의 절연 재료로 제조된 콤브(comb)에 의해 보호된다. 전기 접점의 세트는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으므로, 스마트폰(7)을 그 리세스(6)에 대해 도입 및 제거하기 위한 각각의 조작에 따라, 견고한 전기 접점(18)과 가요성 전기 접점(19) 사이의 마찰(rubbing)은 상기 전기 접점의 세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폰(7)과 케이싱(1) 사이의 전기 접점(18, 19)은 광학 연결부에 의해 대체된다. 그 후, 신호는 다중화되어 광 지지체에 의해 운반되며, 그 후 케이싱(1) 및 스마트폰(7)의 전자 장치에 의해 이용되도록 디코딩된다. 소정의 전기 접점은, 특히 케이싱(1)의 배터리에 의해 스마트폰(7)의 재충전과 관련된 것들은 전형적인 것으로 존재한다.
사진 모드에 있어서, 케이싱(1)에는 온-오프 키이(20), 인체공학적 사용을 위해 우측에 위치된 이미지 획득을 트리거하는 키이, 초점 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줌) 두 위치 사이에서 전환하는 키이(21)와 같은, 특별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미끄럼 키이(23)는 4개의 위치; 사진, 필름, 3D 필름, 3D 사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케이싱(1)은 스마트폰(7)이 리세스(6)에 수용될 때 전화기로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전화기의 모든 기능은 스마트폰(7)으로부터 케이싱(1)을 향해 오프로딩되며(offloading), 상기 케이싱(1)은 마이크(28) 및 스피커(29)를 갖는다. 착신 호출이 도착했을 때, 호출자의 번호 또는 호출자의 이름이 상기 스크린(3)의 후방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스크린(30) 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이미지 획득을 트리거하기 위해서도 사용되는 키이(21)를 누름으로써 호출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케이싱(1)으로 취한 전화 호출 중, 사용자는 언제라도 리세스(6)로부터 스마트폰(7)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스마트폰(7)으로부터 통신이 계속될 수 있다.
스마트폰(7) 및 케이싱(1)은, 스마트폰(7)을 리세스(6)의 내측을 향해 간단히 가압한 후 제거를 허용하는 "푸시-풀(push-pull)" 부착 시스템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다시 동일한 방향으로 스마트폰(7)의 제2 가압은 케이싱(1) 및 스마트폰(7)을 고정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동일한 경우에 두 부품의 전자 회로 사이를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서브 조립체 및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의 요소의 형상, 색깔, 재료, 배치에 대한 본 발명의 모든 대안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형적인 정의의 웹캠(webcam)이 스크린(3) 위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스레드(thread)는 안정적인 이미지 획득을 위해 케이싱을 사진 삼각대 상에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몇몇 커넥터가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면 중 하나도 마이크로-HDMI 잭을 지탱한다.
배터리의 재충전 및 케이싱(1)의 휴대폰(7)을 향한 재충전 용량에 관해, 휴대폰(7)이 예를 들어 30% 이하의 충전 레벨에 도달했다면, 케이싱(1) 내로의 그 삽입은 케이싱(1)이 스마트폰(7)을 재충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케이싱(1)이 불충분한 충전 레벨, 예를 들어 10 % 이하를 갖는 반대의 경우에, 스마트폰(7)의 삽입은 케이싱(1)의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고, 케이싱(1) 자체의 배터리로 전력 공급을 대체하며, 그 충전은 낮다. 이런 구성에서, 스마트폰(7)의 배터리는 케이싱(1)의 작동만을 위해 작용하고, 케이싱(1)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지는 않는다. 요약하면, 스마트폰(7)의 배터리는 이를 재충전하지 않고 케이싱(1)의 전자 장치에 배타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7)은 이중 SIM 카드를 갖는다. 2개의 디바이스, 스마트폰(7) 및 케이싱(1)은 미러가 되도록 프로그램된 256 GB의 대용량 SSD 하드 드라이브를 가지며, 즉 스마트폰이 케이싱에 삽입될 때마다, 두 메모리는 그 각각의 데이터를 교환하므로, 각각의 메모리는 두 전자 디바이스(스마트폰 및 케이싱)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두 디바이스는 대용량 SD 카드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리세스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는 자신의 주머니에 실제 소형 텔레비전을 갖도록 FM 라디오 튜너 및/또는 TNT 튜너를 포함한다. 접이식 안테나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런 디바이스는 헤드셋이 없는 무선 모드를 갖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스크린(3)과 케이싱(1)의 그 지지체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광 커플러에 의한 링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케이싱의 데이터는 다중화되어 스크린(3)으로 보내지고, 상기 스크린(3) 및 케이싱은 매우 짧은 거리에서 양방향 광 링크를 통해 통신하며; 상기 데이터는 전송 전에 다중화되고, 전송 후에 역 다중화된다(demultiplexd). 오직 전기 공급 접점만 이런 구성에 사용된다. 상기 2개의 광 커플러는 SMC(surface-mounted component) 타입의 부품이며, 그 중 하나는 스크린(3)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케이싱(1)의 스크린 지지체에 위치되며, 이들 2개의 부품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서로 가로질러 위치된다.
릴리프 사진 및 필름을 생성하기 위해, 케이싱(1)의 리세스(6)에 수용된 스마트폰(7)의 센서(4')의 대물렌즈는 개구를 통해 나타난다(도 6 및 도 9 참조). 이들 두 대물렌즈의 동기화된 이미지 획득은, 정지된 또는 애니메이션화된 네이티브 3D 이미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케이싱의 스크린(3)은 사용자가 이미지 획득을 안심하고 직접 보거나 또는 적절한 텔레비전이나 프로젝터를 통해 3D 소스를 이용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자동-입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싱(1) 및 스마트폰(7)은 유선 연결 없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에, 다음의 작동 모드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작동 모드에 따라, 케이싱(1)과 스마트폰(7) 사이의 기능적 상호 작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A/사진 디바이스 또는 카메라 모드:
- 2D 이미지 획득에서는, 오직 케이싱의 이미지 센서만 사용되며; 대안적으로, 오직 휴대폰의 이미지 센서만 사용되고,
- 3D 이미지 획득에서는, 2개의 이미지 센서는 선택적으로 디지털 줌을 통해 동일한 각도 시계(angular field of vision)를 갖고, 그리고 동기화되며,
- 플래시는 사진 모드에서 동기화되고,
- 입체적 이미지(2개의 캡처된 이미지의 조합)는 디바이스들, 즉 케이싱(1) 및 스마트폰(7) 중 적어도 하나에서 메모리에 유지된다[선택적으로, 케이싱(1)은 이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입체적 이미지는 케이싱의 스크린(3)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B/태블릿 모드:
- 케이싱은 태블릿의 전형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스마트폰(7)의 중앙 처리 장치가 태블릿을 관리하며, 2개의 케이싱 사이의 연결은 이런 기능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7)과 케이싱(1) 모두는 안드로이드(등록 상표) 하에 작동한다.
- 케이싱(1) 및 스마트폰(7)은, 일단 분리되었다면, 별도로 작동할 수 있다.
- 파일은 선택적으로 케이싱(1)의 메모리로부터 스마트폰(7)의 메모리, 미러 메모리로 전송되며: 달리 지시되어 구성되지 않는 한, 제1 및 제2 메모리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포함하며; 환언하면, 사용된 데이터는 컴퓨터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에 의해 발생된다.
- 휴대폰(7)을 위해 동작하는 케이싱(1)의 스크린(3), 제1 스크린을 대체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 스마트폰(7)이 하우징(6)에 수용되어 있을 동안 착신 호출이 있다면, 호출자의 번호는 폐쇄된 케이싱의 작은 스크린 상에 또는 개방된 케이싱의 스크린(3) 상에 나타난다. 상기 케이싱에는 전화를 걸기 위해 스피커 및 마이크가 제공되지만, 그러나 오직 스마트폰과 계속 대화를 하기 위해 언제라도 스마트폰이 케이싱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C/컴퓨터 모드:
- 케이싱은 적어도 텍스트 처리 및 인터넷 브라우징을 포함하는, 전형적인 컴퓨터 기능을 수행하며,
- 선택적으로, 상기 케이싱(1)은 사용자에 의한 구성에 따라, 스마트폰(7)과 동일한 운영 체제로 동작하지 않으며, 운영 체제의 전환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키보드가 노출된다.
- 파일은 선택적으로 케이싱의 메모리로부터 휴대폰의 메모리로 전송된다.
바람직하게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가 2개의 상이한 운영 체제로 태블릿 및 컴퓨터 작동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 운영 체제 간 전환은 케이싱(1)의 스크린(3)의 위치 변경 중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D/케이싱으로부터 분리된 휴대폰 모드:
입체 사진 및 비디오 기능 외에도, 근거리 통신(전시를 위한, 블루투스 또는 NFC)에 의해 전술한 모드의 작동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작동 모드에 추가되는 것은 확장된 휴대폰 모드이며, 여기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 스크린보다 더 큰 스크린을 갖는 스마트폰 및 문자의 더 빠른 입력을 위한 키보드를 갖는 바와 같은 모든 것이 발생하며, 상기 케이싱은 촉각 누름의 디스플레이 및 캡처를 위한, 및 선택적으로 키보드 상의 텍스트 입력 및 이미지 캡처를 위한 주변 장치로서 사용되며:
- 케이싱의 스크린(3)은 휴대폰의 스크린을 복제하고, 그리고 데이터를 터치-감응형 스크린으로부터 휴대폰으로 복귀시키며,
- 키보드는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 파일은 휴대폰의 메모리로부터 케이싱의 메모리로 선택적으로 전송되며,
- 전화기가 장착되어 있을 동안 착신 호출이 있다면, 호출자의 번호는 폐쇄된 케이싱의 작은 스크린 상에 또는 개방된 케이싱의 스크린 상에 나타난다. 케이싱에는 전화를 걸기 위해 스피커 및 마이크가 제공되지만, 그러나 오직 스마트폰과만 대화를 계속 하기 위해 언제라도 스마트폰은 케이싱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0은 이하를 포함하는 포터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33)를 도시하고 있다.
- 제1 스크린(45), 제1 메모리(41)를 관리하는 제1 중앙 처리 장치(40)가 제공된 휴대폰(39).
-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35), 제2 메모리(37)를 관리하는 제2 중앙 처리 장치(36)를 포함하는 케이싱(34).
상기 케이싱(34)은 그 내측에 휴대폰(39)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 가능하게 수용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리세스를 포함한다.
통신 수단은 휴대폰(39)의 케이싱(34, 40)의 중앙 처리 장치(36) 사이에서, 전기 커넥터를 통한 유선 방식으로, 또는 광 커넥터나 무선 통신 커넥터를 통한 무선 방식으로, 데이터의 교환을 허용한다.
중앙 처리 장치(36, 40)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및 제2 메모리(41, 37)의 각각에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앙 처리 장치(36, 40)의 각각은 제1 및 제2 메모리의 각각에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도 20은 휴대폰(39)의 제1 이미지 센서(42), 및 케이싱(34)의 제2 이미지 센서(38)를 도시하고 있다. 케이싱(34)은, 휴대폰(39)이 케이싱(34)의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및 유지되었을 때, 상기 제1 이미지 센서(42)가 위치된 위치에서 상기 리세스로부터 가로지르는 개구(46)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38, 40)의 광 축선은 평행하며, 또한 5 내지 8 센티미터,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 센티미터에 포함된 거리만큼 분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또는 제2 스크린(35)은 자동-입체적이다.
커넥터 또는 단거리 송수신기로 이루어진 통신 수단(43, 44)은 케이싱의 중앙 처리 장치와 휴대폰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케이싱(34)은 영숫자(alphanumeric character)의 신속한 입력을 위한 키보드(47)를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Claims (18)
- 포터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 33)에 있어서,
- 제1 스크린(45), 제1 메모리(41)를 관리하는 제1 중앙 처리 장치(40)가 제공되는 휴대폰(7, 39)과,
-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3, 35), 제2 메모리(37)를 관리하는 제2 중앙 처리 장치(36)를 포함하는 케이싱과,
- 상기 케이싱의 중앙 처리 장치와 상기 휴대폰 사이의 통신 수단(18, 19, 43, 44)을 포함하며,
- 상기 케이싱은 그 내측에 상기 휴대폰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 가능하게 수용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리세스(6)를 포함하고,
- 상기 중앙 처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의 각각에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 33).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36, 40)의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의 각각에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 33).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7, 39)은 제1 이미지 센서(4', 42)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1, 34)은 상기 휴대폰이 상기 케이싱의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유지되었을 때 상기 이미지 센서가 위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리세스(6)로부터 가로질러 개구(46)를 포함하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 33).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 34)은 상기 개구(46)로부터 5 내지 8 센티미터의 거리에 위치되는 제2 이미지 센서(4, 38)를 포함하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 33).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린(3, 35)은 자동-입체 타입을 갖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 33).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 34)은, 그 하우징(6)에, 상기 휴대폰이 상기 리세스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휴대폰(7, 39)의 커넥터(18, 43)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19, 44)를 포함하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 33).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 34)은 키보드(2, 47)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크린(3)은 이것이 상기 케이싱의 외측을 향해 회전되었을 때 상기 키보드 상으로 미끄럼 장착되고, 또한 상기 케이싱의 내측을 향해 회전될 동안 이것이 상기 키보드를 덮지 않거나 또는 덮었을 때 회전되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 33).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린(3)은 2개의 대향 측부 상에 2개의 측부 스터드, 및 상기 제2 스크린의 상기 스터드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해 2개의 레일(25)을 2개의 대향 측부 상에 포함하는 케이싱에 상기 제2 스크린의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측부 상에 2개의 측부 스터드(26)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크린은 상기 측부 상에서 상기 지지체의 상기 측부 스터드를 위한 가이드 레일(27)에 의해 둘러싸이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 33).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각각의 레일(25)은, 그 단부 중 한쪽에, 상기 제2 스크린(3)의 엣지 상에 위치된 전기 접점(10)에 대응하는 원호에 전기 접점(11)의 세트를 구비한 원형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2 스크린의 전기 접점은 상기 스크린의 경사 중 상기 지지체의 전기 접점 상에서 미끄러지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 33).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각각의 레일(25)은, 그 단부 중 다른 쪽에, 상기 케이싱의 외측을 향해 회전될 동안 상기 제2 스크린이 상기 키보드를 덮었을 때, 상기 제2 스크린의 전기 접점이 지탱하는 전기 접점을 갖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 33).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은 상기 제2 스크린(3)의 내측의 슬롯에 저장된 제3 스크린(14)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크린은 이것이 당겨졌을 때 제2 스크린을 떠나고, 그 후 상기 제2 스크린과 엣지 대 엣지로 위치되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 33).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린(3) 및 상기 제2 스크린의 지지체에 광 커플러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광 커플러는 스크린 지지체에 대한 상기 스크린의 회전 운동 중 대향하여 위치되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 33). -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 34)은 상기 휴대폰(7, 39)이 상기 리세스에 수용되어 전화 호출을 수신하였을 때, 호출하기 위한 키이를 포함하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 33). -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36, 4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3차원 이미지를 구비한 사진 디바이스 또는 카메라 작동 모드에서,
- 두 이미지 센서가 선택적으로 디지털 줌을 통해 동일한 시계를 갖고, 그리고 동기화되도록,
- 2개의 캡처된 이미지의 조합을 통해 이루어진 입체적 이미지가 상기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에서 메모리에 유지되도록,
상기 케이싱(1, 34)과 상기 휴대폰의 결합 동작을 명령하도록 구성되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 33). -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36, 40) 중 적어도 하나는, 태블릿 작동 모드에서 스마트폰(7)의 제1 중앙 처리 장치가 제2 스크린(3)을 관리하도록 상기 케이싱(1, 34)과 상기 휴대폰(7, 39)의 결합 동작을 명령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스크린은 상기 휴대폰을 상기 제1 스크린을 대체하는 터치 스크린으로서 동작시키며, 이는 오프로 유지되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 33). -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36, 40) 중 적어도 하나는, 컴퓨터 작동 모드에서 상기 케이싱(1)이 텍스트 처리 및 인터넷 브라우징을 포함하는 전형적인 컴퓨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케이싱(1, 34)과 상기 휴대폰(7, 39)의 결합 동작을 명령하도록 구성되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 33). -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작동 모드는 상기 태블릿 작동 모드와 동일한 운영 체제를 실행하지 않으며, 상기 운영 체제 간 전환은 케이싱(1)의 스크린(3)의 위치의 변경 중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 33). -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36, 40) 중 적어도 하나는, 확장된 휴대폰 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2 스크린(3)이 디스플레이 및 터치-감응형 누름을 캡처하기 위한 주변 장치로서 사용되고 또한 키보드(2)가 텍스트를 입력하는 데 사용되도록, 상기 케이싱(1, 34)과 상기 휴대폰(7, 39)의 결합 동작을 명령하도록 구성되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9, 3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1600127 | 2016-01-26 | ||
FR1600127A FR3047094B1 (fr) | 2016-01-26 | 2016-01-26 | Assistant numerique personnel emboitant un ordiphone, clavier et tablette capable de prendre des prises de vues 3d |
PCT/FR2017/050183 WO2017129911A2 (fr) | 2016-01-26 | 2017-01-26 | Assistant numérique personnel emboitant un ordiphone, un clavier et une tablette capable de prendre des imag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5689A true KR20180105689A (ko) | 2018-09-28 |
KR102704152B1 KR102704152B1 (ko) | 2024-09-09 |
Family
ID=56511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4449A KR102704152B1 (ko) | 2016-01-26 | 2017-01-26 | 합체되어 화상을 캡처할 수 있는, 스마트폰, 키보드 및 태블릿을 포함하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0887435B2 (ko) |
EP (1) | EP3408726A2 (ko) |
JP (1) | JP6923218B2 (ko) |
KR (1) | KR102704152B1 (ko) |
CN (1) | CN108780337B (ko) |
FR (1) | FR3047094B1 (ko) |
RU (1) | RU2018130716A (ko) |
WO (1) | WO2017129911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27985B2 (en) | 2021-05-18 | 2024-03-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mmodating wearable electronic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62985B (zh) * | 2019-06-26 | 2021-09-14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处理方法以及电子设备 |
USD940137S1 (en) * | 2019-08-23 | 2022-01-04 | Zhuhai Hoksi Technology Co., Ltd | Keyboard |
USD911337S1 (en) * | 2019-11-21 | 2021-02-23 | Shenzhen Xiaoma Express Industry Co., Ltd. | Keyboard |
USD1026912S1 (en) * | 2022-10-09 | 2024-05-14 | Shenzhen Rui Chi Technology Co., Ltd. | Computer keyboard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31968A (ja) * | 1998-02-12 | 1999-08-27 | Fujitsu Ltd | 情報処理装置 |
US20100194860A1 (en) * | 2009-02-03 | 2010-08-05 | Bit Cauldron Corporation | Method of stereoscopic 3d image capture using a mobile device, cradle or dongle |
US20120282978A1 (en) * | 2011-05-06 | 2012-11-08 | Carmody James C | Telephone computing system and devices |
US20130242495A1 (en) * | 2012-03-02 | 2013-09-19 | Microsoft Corporation |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
JP2013192082A (ja) * | 2012-03-14 | 2013-09-26 | Fujitsu Ltd | 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
US20150033225A1 (en) * | 2013-07-23 | 2015-01-29 | Michael A. Rothman | Operating system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3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99068A (en) * | 1992-06-29 | 1998-08-25 | Elonex I.P. Holdings Ltd. | Smart phone integration with computer systems |
DE19741453A1 (de) * | 1997-09-19 | 1999-03-25 | Packing Gmbh Agentur Fuer Desi | Digitales Buch |
US8483755B2 (en) * | 1999-04-07 | 2013-07-09 | Khyber Technoliges, Corporation | Docking display station with docking port for retaining a hands-free headset therein |
US6489932B1 (en) * | 1999-09-30 | 2002-12-03 | Prasanna R. Chitturi | Display device including an integral docking station for a palm sized computing device |
CN1406430A (zh) * | 2000-02-29 | 2003-03-26 | 京瓷株式会社 | 便携式信息终端和用于便携式信息终端的数字相机以及便携式数字相机信息终端系统 |
JP2003163735A (ja) * | 2001-11-27 | 2003-06-06 | Pioneer Electronic Corp | 携帯情報端末機の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ならびに情報処理用記録媒体 |
US20040019724A1 (en) * | 2002-07-24 | 2004-01-29 | Singleton, Charles W. | Computer system with docking port for a handheld computing device |
US6903927B2 (en) * | 2002-12-17 | 2005-06-07 | Nokia Corporation | Convertible mobile computing device |
US7280348B2 (en) * | 2003-02-14 | 2007-10-09 | Intel Corporation | Positioning mechanism for a pen-based computing system |
US7054965B2 (en) * | 2003-03-18 | 2006-05-30 | Oqo Incorporated | Component for use as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pointing device |
US20040228077A1 (en) * | 2003-04-16 | 2004-11-18 | Hall Rick S. | Height adjustable computer monitor and document holder |
JP4532924B2 (ja) * | 2003-09-19 | 2010-08-25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携帯機器 |
US7254015B2 (en) * | 2004-01-15 | 2007-08-07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Multi-functional device for a computer |
US7706850B2 (en) * | 2004-03-19 | 2010-04-27 | Jamshid Parivash | Integrated detachable PDA and cellular phone |
WO2005119404A1 (en) * | 2004-06-01 | 2005-12-15 | Beech Technology Incorporated | Portable, folding and separable multi-display computing system |
US20090117953A1 (en) * | 2006-05-10 | 2009-05-07 | Jun-Soo Oh | Construction of mobile device |
JP2007328598A (ja) * | 2006-06-08 | 2007-12-20 | Fuji Xerox Co Ltd | 電子装置 |
CN101512476B (zh) * | 2006-07-10 | 2013-01-02 | 阿丽雅企业 | 可配置的模块化多功能通信装置 |
US8189100B2 (en) * | 2006-07-25 | 2012-05-29 | Qualcomm Incorporated | Mobile device with dual digital camera senso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
US7830333B2 (en) * | 2006-12-13 | 2010-11-09 |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 Slide-out information display |
JP2008167213A (ja) * | 2006-12-28 | 2008-07-17 | Rockridgesound Japan Co Ltd | カード型電話機 |
CN101470469A (zh) * | 2007-12-25 | 2009-07-01 | 诺伯·古斯奇 | 折叠计算机 |
US20090209287A1 (en) * | 2008-02-19 | 2009-08-20 | Moises Ravelo | Cellular telephone with full computer |
JP4596039B2 (ja) * | 2008-05-15 | 2010-12-08 | ソニー株式会社 | 電子機器 |
US8630088B2 (en) * | 2009-03-27 | 2014-01-14 | Qualcomm Incorporated | Portable docking station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
TWI594128B (zh) * | 2010-07-10 | 2017-08-01 | 鄭尚澈 | 可更換智慧核心元件之智慧平台 |
JP2012053113A (ja) * | 2010-08-31 | 2012-03-15 | Nikon Corp | 撮像装置、3次元画像生成システム、及び3次元画像生成プログラム |
US20120194053A1 (en) * | 2011-02-01 | 2012-08-02 | Chia-Hao Hsu | Hinge, sliding assembly and portable device |
US9047050B2 (en) * | 2011-03-24 | 2015-06-02 | Compal Electronics, Inc. | Modular system having cross platform master device |
JP5891783B2 (ja) * | 2011-12-27 | 2016-03-23 | 富士通株式会社 | 調査装置、調査プログラムおよび調査方法 |
CN103260368B (zh) * | 2012-02-20 | 2016-08-17 | 联想(北京)有限公司 | 电子装置 |
US9554146B2 (en) * | 2012-09-21 | 2017-01-24 | Qualcomm Incorporated | Indication and activation of parameter sets for video coding |
TW201435547A (zh) * | 2013-03-07 | 2014-09-16 | Hon Hai Prec Ind Co Ltd | 電子裝置 |
-
2016
- 2016-01-26 FR FR1600127A patent/FR3047094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7
- 2017-01-26 CN CN201780008081.1A patent/CN108780337B/zh active Active
- 2017-01-26 WO PCT/FR2017/050183 patent/WO2017129911A2/fr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1-26 RU RU2018130716A patent/RU2018130716A/ru unknown
- 2017-01-26 KR KR1020187024449A patent/KR10270415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1-26 US US16/069,231 patent/US10887435B2/en active Active
- 2017-01-26 EP EP17708852.3A patent/EP3408726A2/fr not_active Withdrawn
- 2017-01-26 JP JP2018539076A patent/JP6923218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31968A (ja) * | 1998-02-12 | 1999-08-27 | Fujitsu Ltd | 情報処理装置 |
US20100194860A1 (en) * | 2009-02-03 | 2010-08-05 | Bit Cauldron Corporation | Method of stereoscopic 3d image capture using a mobile device, cradle or dongle |
US20120282978A1 (en) * | 2011-05-06 | 2012-11-08 | Carmody James C | Telephone computing system and devices |
US20130242495A1 (en) * | 2012-03-02 | 2013-09-19 | Microsoft Corporation |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
JP2013192082A (ja) * | 2012-03-14 | 2013-09-26 | Fujitsu Ltd | 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
US20150033225A1 (en) * | 2013-07-23 | 2015-01-29 | Michael A. Rothman | Operating system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27985B2 (en) | 2021-05-18 | 2024-03-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mmodating wearable electronic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887435B2 (en) | 2021-01-05 |
US20190028578A1 (en) | 2019-01-24 |
CN108780337A (zh) | 2018-11-09 |
FR3047094B1 (fr) | 2019-11-22 |
FR3047094A1 (fr) | 2017-07-28 |
EP3408726A2 (fr) | 2018-12-05 |
JP6923218B2 (ja) | 2021-08-18 |
CN108780337B (zh) | 2022-08-12 |
KR102704152B1 (ko) | 2024-09-09 |
RU2018130716A (ru) | 2020-02-28 |
JP2019505048A (ja) | 2019-02-21 |
RU2018130716A3 (ko) | 2020-09-18 |
WO2017129911A2 (fr) | 2017-08-03 |
WO2017129911A3 (fr) | 2017-10-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105689A (ko) | 모두 함께 장착되어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는, 스마트폰, 키보드 및 태블릿을 포함하는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 | |
US9055220B1 (en) | Enabling the integration of a three hundred and sixty degree panoramic camera within a mobile device case | |
CN104204940B (zh) | 带投影仪摄影装置及其控制方法 | |
US9031610B2 (en) | Camera attachment for phone | |
CN101052185B (zh) | 具有增强图像通信能力的移动通信装置 | |
KR101954193B1 (ko) | 어레이 카메라, 전기 기기 및 그 동작방법 | |
KR101609950B1 (ko) | 무선 음향 장치 | |
JP2004040445A (ja) | 3d表示機能を備える携帯機器、及び3d変換プログラム | |
CN104333626B (zh) | 移动终端设备 | |
KR20040081025A (ko) | 휴대 가능한 다기능 전자 기기 | |
JP2009232133A (ja) | 携帯端末器 | |
KR20040079203A (ko) | 휴대용 통신 장치 | |
KR102242715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20048397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102221468B1 (ko) | 글래스 타입 단말기 | |
KR20120031830A (ko) | 휴대 단말기 | |
CN204669468U (zh) | 移动终端 | |
KR200464546Y1 (ko) |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 | |
KR101809946B1 (ko) | 휴대용 단말기 | |
JP2004120059A (ja) | 携帯機器 | |
KR20050068127A (ko) | 입체사진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 |
KR101622220B1 (ko) | 휴대용 단말기 | |
KR20190002768U (ko) |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 | |
KR20090077605A (ko) | 휴대 단말기 | |
JP2006108883A (ja) | ステレオカメラ付き携帯情報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