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768U -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 - Google Patents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768U
KR20190002768U KR2020180001851U KR20180001851U KR20190002768U KR 20190002768 U KR20190002768 U KR 20190002768U KR 2020180001851 U KR2020180001851 U KR 2020180001851U KR 20180001851 U KR20180001851 U KR 20180001851U KR 20190002768 U KR20190002768 U KR 201900027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lamp
battery
grip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474Y1 (ko
Inventor
김세웅
김정진
Original Assignee
김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웅 filed Critical 김세웅
Priority to KR2020180001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74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7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7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38Releasing-devices separate from shut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 사이즈에 따라 간격이 조절된 채로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스마트폰 그립이 장착된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제1배터리가 내장되고 외면에 상기 스마트폰의 사진 또는 영상 촬영 셔터로 기능하는 무선 리모컨이 장착된 카메라 그립부, 상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된 제1램프,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된 제2램프,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제2배터리,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제1램프 및 제2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스마트폰의 충전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스마트폰의 충전 모드, 제1램프의 온오프 모드, 제2램프의 온오프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 스위치, 상기 제1배터리와 제2배터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1램프와 제2램프 동작용 전원 공급 배터리로 선택하는 배터리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는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 {Detachable grip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스마트폰용 그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카메라로 활용할 때 그립감이 향상되고 야간 촬영 사진의 품질 개선이 가능한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을 제안한다.
사진은 추억을 간직할 수 있는 시각적 자료로서 시대를 초월하여 감성과 정보를 공유하는 수단이 된 지 오래이다.
과거의 필름 카메라는 용량이 한정된 감광성 필름을 카메라에 내장하고, 조리개와 초점렌즈 등 촬영 보조수단들을 조작하여 사진 촬영이 이루어졌으며, 수준 높은 사진은 주로 전문가들에 의해 촬영되었을 뿐이고 일반인들의 경우 사진 촬영은 특별한 날에만 행해지는 연례행사 수준에 불과하였다.
전자 산업이 발달하고 반도체 기술에 의해 사진촬영용 소자가 개발되면서 소형 디지털카메라가 보급된 이후, 사진 촬영은 보다 일반화된 행위로 생활 속에 자리 잡게 되었다. 이후, 휴대형 전자기기로서 전화 기능에 컴퓨터 기능과 카메라 기능 등이 결합된 스마트폰이 개발된 후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진 촬영은 더욱 대중화되었고, 필름 카메라 시절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사진이 쏟아져나오고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은 일종의 디지털 데이터로서 작은 사이즈의 메모리 등 저장수단에 많은 용량이 저장되므로 보관이 용이하고, 복사 및 편집이 가능하여 기존의 필름형 카메라에서는 가능하지 못했던 다양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은 디지털 카메라 보다 인터넷 등을 통한 데이타 공유가 용이하여 스마트폰으로 촬영된 사진을 실시간으로 블로그나 SNS 등에 업로드할 수 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톡 등 SNS 전성시대가 도래하면서 개인 소장만이 아닌 SNS를 통한 타인과의 공유 목적으로 더 많은 사진 촬영이 이루어지는 추세이다.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휴대용 촬영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자신의 모습을 직접 찍는 사진, 일명 셀카(selfie)는 청소년은 물론 연예인이나 정치인들에 이르기까지 즐겨 애용하는 문화적 활동의 대세가 되었으며, 셀카를 포함한 스마트폰 사진 정보가 빅데이타로 활용되어 또 다른 부가 정보의 생산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기존의 디지털 카메라 시장은 매출 급감하고 있고, 전문가를 위한 DSLR과 액션 캠 등 특수카메라 시장만 생존하고 있다. 반면, 스마트폰 시장은 최신형 스마트폰의 혁신적인 기술 개발은 한계에 도달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외 주요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은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에 기술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판매를 위한 광고 주제 역시 카메라 기능 향상에 따른 사진 품질 개선을 강조하는 추세이다.
스마트폰을 전화기보다 카메라로서 더 활용하는 기술적 문화적 흐름이 커지고 있지만, 최근의 스마트폰은 카메라로 활용하는데 몇 가지 문제가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 화면은 커지고 전체 두께는 슬림화된 외형으로 인하여 스마트폰을 잡기에 불편한 단점이 있다. 즉 스마트폰을 카메라로 활용할 때 그립감이 점점 악화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에서 터치 방식으로 사진 촬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진 촬영 시 흔들림이 발생하기 쉬워 촬영된 사진의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다반사이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에 내장된 LED 조명은 기존의 필름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와 동일하게 순간광을 발생시키는데 야간 촬영 시 순간광은 실제 화면과 스마트폰 화면에 보여지는 촬영된 사진의 품질이 달라 원하는 사진을 촬영하기에 한계가 있다. 또한, 외부 풍경 사진 못지않게 셀카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야간 셀카 촬영이 불가능하다.
종래에 스마트폰 셀프카메라 촬영용 보조 조명모듈이 제안된 바 있으나(특허출원 10-2015-0017750) 이어폰 삽입 방식으로 스마트폰에 보조 조명모듈을 삽입하기 때문에 삽입부 위치에 따라 사진 촬영 시 디스플레이상의 셔터부를 누를 때 이용자의 손과 조명모듈간의 간섭을 유발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그립감을 개선하기는 어렵다.
또한, 스마트폰이 삽입되어 거치된 상태로 카메라모드를 조절하는 포토그립이 제안된 바 있으나(특허출원 10-2013-0003986) 스마트폰이 포토그립에 삽입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을 터치하기가 어렵고, 스마트폰 제품의 형태가 달라지거나 디스플레이상의 화면 구성이 변경되면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야간 촬영 사진의 품질을 향상시키기에도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스마트폰으로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할 때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고품질의 사진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야간 촬영 시 사진 품질을 높이고 특히 야간 셀카 촬영도 가능한 스마트폰용 카메라 그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삼각대나 셀카봉 등 주변기기의 장착이 가능하고 사진 촬영 시 셔터 기능을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는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마트폰 사이즈에 따라 간격이 조절된 채로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스마트폰 그립이 장착된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제1배터리가 내장되고 외면에 상기 스마트폰의 사진 또는 영상 촬영 셔터로 기능하는 무선 리모컨이 장착된 카메라 그립부, 상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된 제1램프,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된 제2램프,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제2배터리,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제1램프 및 제2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스마트폰의 충전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스마트폰의 충전 모드, 제1램프의 온오프 모드, 제2램프의 온오프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 스위치, 상기 제1배터리와 제2배터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1램프와 제2램프 동작용 전원 공급 배터리로 선택하는 배터리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배터리는 제2배터리보다 용량이 크고, 제1배터리는 제1램프 또는 제2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스마트폰에 전원을 공급하며, 제2배터리는 제1램프 또는 제2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본체는 일면에 카메라 그립이 연결되어 장착되고 동작 제어부가 내장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스마트폰 그립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스마트폰 그립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채로 수평적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1배터리는 충전 배터리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카메라 그립 표면에는 제1배터리 충전 단자가 노출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램프와 제2램프는 지속광을 조사하며, 제1램프는 강한 조명을 조사하고, 제2램프는 제1램프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조명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은 상기 본체 표면 또는 스마트폰 그립 표면에 카메라 삼각대 또는 셀카봉 등의 주변기기 장착용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스마트폰으로 카메라 기능을 이용할 때 그립감을 향상시켜 사진 촬영이 용이해지며, 일반 카메라의 셔터 동작과 유사하게 카메라 그립의 리모컨을 눌러 스마트폰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 그립이 포함된 본체와 배터리가 내장된 카메라 그립이 분리될 수 있어 카메라 삼각대 또는 셀카봉 등의 스마트폰 카메라 주변기기의 사용이 용이하다. 카메라 그립에는 스마트폰 사진 또는 영상 촬영용 셔터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리모컨이 장착되어 있어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진 또는 영상 촬영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카메라 활용성이 극대화되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장시간 사진 또는 영상 촬영이 가능하며, 특히 야간 사진 촬영 시 사진 품질을 개선할 수 있고, 야간 셀카 사진의 품질이 크게 향상된다.
본 고안의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은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고, 본체에 장착된 스마트폰에 충전이 가능하여 여행 중의 장시간 사진 촬영에도 효과적이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의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 외관을 보인 모식도
도 2는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의 주요 기술 요소를 보인 구성도
도 3a 및 3b는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에 스마트폰이 장착된 상태의 후면과 전면을 각각 보인 모식도
도 4a 및 4b는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에 스마트폰이 장착되고 삼각대를 결합한 상태에서 카메라 그립부가 결합된 경우와 분리된 경우를 각각 보인 사진
도 5a 및 5b는 본체의 스마트폰 그립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전체 사이즈가 줄어드는 상태를 보인 모식도
본 고안은 스마트폰 그립이 포함된 본체와 배터리가 내장된 카메라 그립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배경 사진용 제1램프와 셀카용 제2램프를 포함하는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을 제안한다.
본 고안의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은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슬림화된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스마트폰 그립감을 향상시켜 스마트폰의 카메라 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지속광이 조사되는 제1램프와 제2램프를 구비하여 야간에 배경 사진은 물론 셀카 촬영 시 사진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의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의 후면과 전면을 각각 보인 모식도이고, 도 2는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의 주요 기술적 요소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은 크게 본체(110)와 카메라 그립(200)으로 구성되며, 본체에는 스마트폰 사이즈에 따라 간격이 조절된 채로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스마트폰 그립(120)이 장착된다.
카메라 그립은 본체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카메라 그립 내부에는 제1배터리(220)가 내장되고, 외면에는 스마트폰의 사진 또는 영상 촬영 셔터로 기능하는 무선 리모컨(210)이 장착된다.
상기 본체의 후면, 스마트폰이 장착되었을 때 스마트폰의 후면과 동일한 면에는 제1램프(131)가 장착된다. 또한, 본체의 전면, 스마트폰이 장착되었을 때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면과 동일한 면에는 제2램프(132)가 장착된다. 제1램프와 제2램프는 서로 반대쪽에 장착되어 각각 배경 사진 촬영용 조명과 셀카 촬영용 조명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본체에는 제2배터리(140)가 내장되어, 카메라 그립부를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보조 배터리로 사용될 수 있다.
본체에는 또한 PCB 형태의 동작 제어부(150)가 내장되어, 제1램프 및 제2램프의 온오프 동작이나 스마트폰의 충전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각각의 동작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하기 위하여 본체 표면에는 동작 스위치(160)가 장착되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충전 모드, 제1램프의 온오프 모드, 제2램프의 온오프 모드를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체 표면에는 배터리 선택 스위치(170)가 부가적으로 장착되어 제1배터리와 제2배터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1램프와 제2램프 동작용 전원 공급 배터리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배터리 선택 스위치의 기능을 상기 동작 스위치에 통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에 있어서, 카메라 그립부에 포함되는 상기 제1배터리는 제2배터리보다 용량이 큰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제1배터리는 제1램프 또는 제2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스마트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배터리는 보조 배터리로서 예를 들어 소형 수은 전지를 사용할 수 있고, 카메라 그립부 분리 시 제1램프 또는 제2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1배터리는 충전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카메라 그립 표면에는 제1배터리 충전 단자(230)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1램프와 제2램프는 지속광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램프는 강한 조명을 조사하고, 제2램프는 제1램프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조명을 조사하도록 하여 제1램프는 야간 배경 사진을 촬영할 때 이용하여 제2램프는 야간 셀카 촬영 시 이용할 수 있다. 제1램프와 제2램프를 통해 지속광을 노출하게 되면 실제 시야로 보는 장면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보여지는 사진 화면이 동일하게 된다. 비지속광(순간광)의 경우에는 실제 장면과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화면이 다르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어렵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있는 기존의 플래시로만 야간 사진을 촬영하게 되면 피사체는 비교적 밝게 나타나지만 뒤 배경은 오히려 어둡게 나타나게 된다.
반면, 본 고안의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의 제1램프 또는 제2램프는 지속광이 조사되는 채로 사진 촬영이 이루어져 피사체와 배경 모두 밝은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야간 사진 촬영 시 사진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특히 야간 촬영 시 셀카 사진의 품질이 크게 향상된다.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에 스마트폰(S)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모식도이다.
본체는 프레임부(112)와 스마트폰 그립(120)을 포함하며, 프레임부 일면에 카메라 그립이 연결되어 장착되고 동작 제어부가 프레임부에 내장될 수 있다. 스마트폰 그립은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스마트폰을 고정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의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배터리는 본체의 프레임부 또는 스마트폰 그립에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램프(131)는 본체의 스마트폰 그립 후면에 장착되고 제2램프(132)는 스마트폰 그립 전면 하단에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그립은 예를 들어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수직 가이드(미도시)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카메라 그립 측면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본체 측면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든 결합되는 면에는 배터리 전원이 전달될 수 있는 전극이 노출되어 카메라 그립과 본체 상호간의 전기적 접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체 일면에는 결합 버튼(미도시)을 장착하여 카메라 그립과 본체의 결합을 잠금 상태 또는 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본체 표면 또는 스마트폰 그립 표면에는 카메라 삼각대 또는 셀카봉 등의 주변기기 장착용 연결부, 예를 들어 삼각대의 결합 볼트가 삽입되는 나사홈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체의 일측에는 간편한 휴대를 위한 목걸이 부착할 수 있도록 넥스트립 홀이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은 그립감이 우수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으로 사진 촬영 시 한 손으로만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체에 스마트폰을 장착한 상태로 이용자가 카메라 그립 부분을 손으로 편하게 잡고 카메라 그립부의 리모컨을 눌러 스마트폰 사진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그립이 포함된 본체와 배터리가 내장된 카메라 그립이 분리된 상태에서, 카메라 그립부에는 스마트폰 사진 또는 영상 촬영용 셔터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리모컨이 장착되어 있어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진 또는 영상 촬영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리모컨으로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리모컨 셔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그립부의 분리 기능으로 카메라 삼각대 또는 셀카봉 등의 스마트폰 카메라 주변기기의 사용이 용이하다.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을 3D 프린팅으로 모델링한 시제품에 대해 스마트폰이 장착되고 카메라 삼각대를 결합한 상태에서 카메라 그립부가 결합된 경우와 분리된 경우를 각각 보인 것이다.
카메라 그립부의 분리 기능으로 인하여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카메라 삼각대나 셀카봉에 결합시킨 경우에도 카메라 그립만 분리하여 원격 촬영이 가능하다.
카메라 그립에는 램프 동작이나 스마트폰 충전을 위한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보다 상대적으로 중량이 크며, 본 고안의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에 스마트폰을 결합한 채로 삼각대에 장착하게 되면 무거운 카메라 그립 부분이 한쪽에 치우쳐 균형을 이루는데 방해가 될 수 있고, 삼각대에도 부담을 줄 수 있다. 반면, 카메라 그립 부분을 분리하게 되면 삼각대나 셀카봉에 스마트폰이 결합된 본체를 장착하더라도 가볍게 사용 가능하며, 셔터 기능을 카메라 그립의 리모컨으로 수행하므로 삼각대나 셀카봉에 장착되어 있는 스마트폰의 흔들림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은 전술한 카메라 그립부의 분리로 인하여 전체 사이즈와 무게를 일시적으로 줄일 수도 있지만, 본체의 가변식 구조를 통하여 사이즈를 줄임으로써 보관 및 휴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의 스마트폰 그립의 상단(120a)은 스마트폰 사이즈에 따라 외력을 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스마트폰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탄성 복원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가게 된다(M1). 또한 스마트폰 그립은 프레임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손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스마트폰을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여 카메라 그립부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M2) 전체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변식 구조로 인하여 사이즈가 큰 스마트폰 장착이 가능함은 물론, 스마트폰 미 장착 시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을 소형 구조물로 변화시켜 가방이나 주머니에 쉽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마트폰은 빠른 배터리 소모로 인하여 여행 중 장시간 사진 촬영이 어려운 경우가 빈번하였다. 일부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보조 배터리를 활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휴대와 사용의 불편함이 있어 스마트폰을 카메라로 활용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반면, 본 고안의 카메라 그립은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고, 본체에 장착된 스마트폰에 충전이 가능하여 장시간 사진 촬영에도 효과적이다. 스마트폰 충전 시 제1배터리로부터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동작 제어부는 무선 충전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배터리로 무선충전배터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의 카메라 활용성이 극대화되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장시간 사진 또는 영상 촬영이 가능하고, 특히 여행 중에 스마트폰의 카메라 이용 편의가 더욱 높아질 것이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스마트폰 카메라 그립 110:본체
112:프레임부 120:스마트폰 그립
131:제1램프 132:제2램프
140:제2배터리 150:동작 제어부
160:동작 스위치 170:배터리 선택 스위치
200:카메라 그립부 210:무선 리모컨
220:제1배터리 230:충전 단자

Claims (5)

  1. 스마트폰 사이즈에 따라 간격이 조절된 채로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스마트폰 그립이 장착된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제1배터리가 내장되고 외면에 상기 스마트폰의 사진 또는 영상 촬영 셔터로 기능하는 무선 리모컨이 장착된 카메라 그립부,
    상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된 제1램프,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된 제2램프,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제2배터리,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제1램프 및 제2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스마트폰의 충전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스마트폰의 충전 모드, 제1램프의 온오프 모드, 제2램프의 온오프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 스위치,
    상기 제1배터리와 제2배터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1램프와 제2램프 동작용 전원 공급 배터리로 선택하는 배터리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배터리는 제2배터리보다 용량이 크고, 제1배터리는 제1램프 또는 제2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스마트폰에 전원을 공급하며, 제2배터리는 제1램프 또는 제2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면에 카메라 그립이 연결되어 장착되고 동작 제어부가 내장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스마트폰 그립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 그립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채로 수평적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터리는 충전 배터리이고, 상기 카메라 그립 표면에는 제1배터리 충전 단자가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램프와 제2램프는 지속광을 조사하며, 제2램프는 제1램프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조명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표면 또는 스마트폰 그립 표면에는 카메라 삼각대 또는 셀카봉 등의 주변기기 장착용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
KR2020180001851U 2018-04-26 2018-04-26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 KR200491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851U KR200491474Y1 (ko) 2018-04-26 2018-04-26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851U KR200491474Y1 (ko) 2018-04-26 2018-04-26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768U true KR20190002768U (ko) 2019-11-05
KR200491474Y1 KR200491474Y1 (ko) 2020-04-10

Family

ID=68531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851U KR200491474Y1 (ko) 2018-04-26 2018-04-26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792A (ko) 2021-10-29 2023-05-09 김수현 신발 탈착식 롤러 스케이트
US20230239578A1 (en) * 2019-07-12 2023-07-27 Bennet K. Langlotz Wireless charger for camer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1927A (ko) * 2013-01-14 2014-07-23 권순근 스마트폰 포토그립
JP2014203803A (ja) * 2013-04-10 2014-10-27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バッテリ着脱ユニット及びバッテリ着脱ユニットを備えた電子機器
KR20150070550A (ko) * 2013-12-17 2015-06-25 한명국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권총형 카메라 시스템
KR20160106883A (ko) * 2015-03-03 2016-09-13 안광호 조명 가능한 셀카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1927A (ko) * 2013-01-14 2014-07-23 권순근 스마트폰 포토그립
JP2014203803A (ja) * 2013-04-10 2014-10-27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バッテリ着脱ユニット及びバッテリ着脱ユニットを備えた電子機器
KR20150070550A (ko) * 2013-12-17 2015-06-25 한명국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권총형 카메라 시스템
KR20160106883A (ko) * 2015-03-03 2016-09-13 안광호 조명 가능한 셀카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39578A1 (en) * 2019-07-12 2023-07-27 Bennet K. Langlotz Wireless charger for camera
KR20230061792A (ko) 2021-10-29 2023-05-09 김수현 신발 탈착식 롤러 스케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474Y1 (ko)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72070B (zh) 一种多路录像方法及设备、介质
US10200583B2 (en) System for mobile device with detachable camera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380207B1 (en) Enabling multiple field of view image capture within a surround image mode for multi-lense mobile devices
CN101052185B (zh) 具有增强图像通信能力的移动通信装置
JP4660573B2 (ja) 携帯型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044227A1 (en) Image capturing device support with remote controller
TW201503681A (zh) 智慧型手機的附加式相機
US20200045209A1 (en) Camera for handheld device
CN209089061U (zh) 应用于手持电子设备的握持装置和拍摄组件
CN107844049A (zh) 一种双屏智能手表
KR200491474Y1 (ko)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
KR20210135550A (ko) 연속 비디오 캡처 안경
JP6923218B2 (ja) スマートフォン、キーボード、タブレットを全て合体して備え画像をキャプチャできる個人用情報端末
JP2012130025A (ja) ディスプレイ付き撮像装置
JP5338002B1 (ja) 電子機器を収納するフォルダー
KR20120040824A (ko) 바타입 휴대폰의 악세사리
TW201409154A (zh) 電子裝置
JP2012085353A (ja) ディスプレイ付き撮像装置
CN112422814A (zh) 一种拍摄方法和电子设备
JP2011172092A (ja) 撮像装置、画像再生方法、画像再生プログラム、画像再生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画像再生装置
CN204836343U (zh) 一种拍摄装置
KR20180097016A (ko) 스마트폰 보조장치
RU2789447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многоканальной видеозаписи
CN217087935U (zh) 智能电话相机捕获图像的放大高分辨率实时显示设备
WO2020034995A1 (zh) 辅助摄像装置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