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927A - 스마트폰 포토그립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포토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927A
KR20140091927A KR1020130003986A KR20130003986A KR20140091927A KR 20140091927 A KR20140091927 A KR 20140091927A KR 1020130003986 A KR1020130003986 A KR 1020130003986A KR 20130003986 A KR20130003986 A KR 20130003986A KR 20140091927 A KR20140091927 A KR 20140091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utton
smartphone
coupl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근
Original Assignee
권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근 filed Critical 권순근
Priority to KR1020130003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1927A/ko
Publication of KR20140091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편리하게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드와 동영상모드를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포토그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스마트폰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외부압력에 의해 유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거치된 스마트폰을 작동시키는 버튼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외부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에 거치된 스마트폰의 고정상태를 조절하는 고정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거치되는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진을 찍고자 할 때, 스마트폰을 편리하게 거치하여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둘째, 스마트폰이 고정되게 거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거치된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드 또는 동영상모드를 조절할 수 있는 버튼부를 통하여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드와 동영상모드를 이동식 캠코더와 같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셋째, 휴대용 삼각대와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진촬영은 물론이고,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드 또는 동영상모드의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넷째,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부를 통하여 케이스의 내측에 삽입되는 스마트폰을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급격한 유동에도 케이스와 스마트폰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마트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스마트폰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케이스의 내측에 충전부를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지속적인 충전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에 따른 스마트폰의 교체 없이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포토그립{GRIP FOR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포토그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드 또는 동영상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스마트폰을 손쉽게 거치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드 또는 동영상모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포토그립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란, 휴대전화의 기능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스마트폰은 시대의 변화와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추가하여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휴대전화 기능과, 다양한 인터넷 통신의 검색 기능 이외에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기능을 얻을 수 있도록, 이를 이루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종래에는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을 이루기 위한 속도와 각종 데이터를 손쉽게 저장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의 저장용량과 추가된 정보처리 속도 개선 등의 장치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카메라렌즈는 물론이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장비가 다양하게 개선되어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양하게 개선되어 제공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카메라 모드로 전환한 후에 스마트폰을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하여 구비된 버튼 등을 이용하여 사진촬영을 이룸으로써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진 또는 동영상의 촬영이 손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스마트폰을 편리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와, 문헌(2)에서와 같이, 스마트폰을 편리하게 장착하여 스마트폰의 스탠딩이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마트폰 거치대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일정한 장소에 위치하도록 하여 스마트폰의 정보검색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동영상의 시청 등은 편리하게 이룰 수 있으나,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기능을 카메라모드로 전환시킨 후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카메라모드를 사용해야 함으로써 손쉽게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드를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210762(2012.12.04) (2)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457590(2011.12.2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드 또는 동영상모드를 사용하고자 할 때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고정할 수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버튼부를 통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드 또는 동영상모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포토그립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물론이고,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된 배터리를 통하여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스마트폰 포토그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외부압력에 의해 유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거치된 스마트폰을 작동시키는 버튼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외부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에 거치된 스마트폰의 고정상태를 조절하는 고정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거치되는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는 스마트폰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의 일측으로 상기 버튼부, 고정부, 충전부를 감싸며 구속하기 위해 결합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카메라를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삼각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3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4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는 스마트폰이 삽입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일측으로 고정부의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조절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3케이스는 휴대용 삼각대의 고정나사가 관통 결합되는 결합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마트폰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보호판과, 상기 보호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버튼케이스와, 상기 버튼케이스의 내측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버튼과, 상기 버튼케이스와 버튼의 결합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버튼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는 버튼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판은 개구를 갖는 박스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고정부의 입출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통공과, 상기 통공과 대향되게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의 입출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버튼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케이스는 상기 보호판의 일측과 밀착되게 구비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을 내측에 수용하고, 상기 버튼이 결합되게 형성되는 버튼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판은 결합되는 버튼의 유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유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결합부는 상기 스프링이 수용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버튼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수용홈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안착 결합되는 버튼본체와, 상기 버튼본체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안착 결합되는 버튼고정바와, 상기 버튼고정바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홈에 입출되는 버튼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버튼본체는 상기 수용홈과 결합시, 상기 수용홈과 결합되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본체, 버튼고정바, 버튼밀착부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기 조절공에 노출되게 설치 구성되는 회전버튼과, 상기 회전버튼을 감싸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결합케이스와, 상기 회전버튼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버튼의 조절에 따라 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유동되는 조절핀과, 상기 조절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버튼의 조절에 따라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수용되는 스마트폰에 밀착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스마트폰을 충전시키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일측으로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의 on/off를 조절하게 구성되는 전원노브와, 상기 전원노브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원노브의 on/off에 따라 점등되는 led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일측에는 보호패드가 더 결합되고, 상기 led등의 외측에는 상기 전원노브와 led등을 구속하며 보호하는 보호커버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상기 결합공에 관통 결합된 휴대용 삼각대의 고정나사가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삼각대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와 휴대용 삼각대 간의 결합시,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는 휴대용 삼각대의 고정나사가 상기 삼각대 결합부에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진을 찍고자 할 때, 스마트폰을 편리하게 거치하여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둘째, 스마트폰이 고정되게 거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거치된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드 또는 동영상모드를 조절할 수 있는 버튼부를 통하여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드와 동영상모드를 이동식 캠코더와 같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셋째, 휴대용 삼각대와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진촬영은 물론이고,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드 또는 동영상모드의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넷째,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부를 통하여 케이스의 내측에 삽입되는 스마트폰을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급격한 유동에도 케이스와 스마트폰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마트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스마트폰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케이스의 내측에 충전부를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지속적인 충전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에 따른 스마트폰의 교체 없이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포토그립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 포토그립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포토그립의 케이스, 버튼부, 고정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포토그립의 케이스, 버튼부, 고정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하부케이스를 도시한 요부발췌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폰에 버튼부가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인 고정부를 도시한 요부 발췌 측단면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5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10)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 구성되는 버튼부(2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마트폰(10)을 고정하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설치 구성되는 고정부(3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충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스마트폰(10)이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케이스(110)와, 상기 제1케이스(110)의 일측에 결합 구성되어 내측에 구비되는 버튼부(200), 고정부(300), 충전부(40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케이스(120)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1케이스(11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1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111)과, 상기 삽입공(10)의 일측으로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부(20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절공(112)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삽입공(111)은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거치되는 스마트폰(10)의 형태와 크기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10)을 카메라모드 또는 동영상모드로 전환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스마트폰(10)의 표시버튼(11), 촬영버튼(12), 전환버튼(13), 홈버튼(14)이 케이스(100)의 내측에 위치되어 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공(111)을 통하여 케이스(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경우에도 삽입공(111)의 외형에 따라 상술한 표시버튼(11), 촬영버튼(12), 전환버튼(13), 홈버튼(14)이 눌러지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12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케이스(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버튼부(200), 고정부(300), 충전부(400)를 감싸며 구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가 분리되어 결합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은 케이스(100)의 내측에 버튼부(200), 고정부(300), 충전부(400)를 원활하게 결합 또는 장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는, 사용자의 제조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그 형상 및 결합 형태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는 본 발명에서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마트폰(10)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디지탈 카메라 등을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삼각대(20)의 결합이 가능하게 상기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하단에 제3케이스(130)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케이스(1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대로 상기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하단에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나,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삭제되어 상기 제1케이스(110) 또는 제2케이스(120)가 제3케이스(130)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며, 상기 제3케이스(130)를 상기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결합 후에 별도로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일측으로 상기 제3케이스(130)가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1케이스(110), 제2케이스(120)와 제3케이스(130)가 견고하게 그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3케이스(130)는 도 5에서와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삼각대(2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휴대용 삼각대(20)에 구비된 고정나사(21)가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131)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공(131)을 관통한 휴대용 삼각대(20)의 고정나사(21)가 케이스(100)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후술할 충전부(400)에 결합부(411)를 더 구비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충전부(400)와 결합부(411)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케이스(130)와 대향되도록 상기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일측에는 제4케이스(140)를 결합 구성한다.
상기 제4케이스(140)는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내측에 구비되는 충전부(400)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PCB기판(미도시)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PCB기판(미도시)이 상기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내측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PCB기판(미도시)은 상기 충전부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PCB기판(미도시)와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한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버튼부(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마트폰(10)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보호판(210)과, 상기 보호판(2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버튼케이스(220)와, 상기 버튼케이스(220)의 내측에 스프링(S)을 개재하여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버튼(230)과, 상기 버튼케이스(220)와 버튼(230)의 결합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버튼케이스(220)의 일측에 결합되는 버튼뚜껑(2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호판(210)은 상기 제1케이스(110)의 삽입공(111)을 통하여 도 1, 도 2, 도 4, 도 5에서와 같이, 스마트폰(10)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10)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예컨대, 도 3, 도 4, 도 7에서와 같이, 박스형상으로 형성하되, 일측에 스마트폰(10)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211a)를 형성한 몸체(211)와, 상기 몸체(211)의 일측으로 후술할 고정부(300)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통공(212)과, 상기 통공(212)과 대향되도록 상기 몸체(211)의 타측에 형성되는 버튼공(2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211)는 스마트폰(10)이 제1케이스(110)의 결합공(111)을 통하여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삽입되는 스마트폰(10)이 몸체(211)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211a)를 통하여 몸체(211)의 내측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스마트폰(10)이 상기 몸체(211)의 내측으로 결합된 후에는 상기 통공(212)을 통하여 입출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부(300)를 통하여 스마트폰(10)이 몸체(211)의 내측에 견고하게 그 결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케이스(100)의 내측에 삽입된 스마트폰(10)이 몸체(211)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술한 버튼부(200)의 버튼(230)을 통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버튼케이스(22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판(210)의 일측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밀착판(221)과, 상기 버튼(2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밀착판(22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버튼결합부(222)로 구성된다.
상기 밀착판(221)은 상기 버튼결합부(222)에 결합되는 버튼(230)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211)에 형성된 버튼공(2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유동홈(221a)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버튼결합부(222)는 스프링(S)을 개재하여 상기 버튼(2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S)이 안착 결합되는 수용홈(222a)과, 상기 수용홈(222a)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버튼(230)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222b)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버튼(230)은 상기 수용홈(222a)에 스프링(S)을 개재하여 안착 결합되는 버튼본체(231)와, 상기 버튼본체(23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222b)에 안착 결합되는 버튼고정바(232)와, 상기 버튼고정바(232)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홈(221a)에 입출되는 버튼밀착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버튼부(200)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버튼부(200)의 보호판(210)을 통하여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스마트폰(10)을 견고하게 케이스(100)의 내측에 수용한 후에 상기 보호판(210)의 일측으로 상기 버튼케이스(220), 버튼(230), 버튼뚜껑(240)을 도 1에서와 같이,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버튼(230)이 버튼케이스(220)의 버튼결합부(222)를 따라 유동되도록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 버튼결합부(222)의 수용홈(222a)에 버튼(230)의 버튼몸체(231)가 스프링(S)을 개재하여 안착 결합되고, 상기 버튼몸체(231)가 상기 수용홈(222a)의 안내에 따라 유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버튼(230)의 버튼고정바(232)가 상기 버튼결합부(222)의 가이드홈(222b)에 안착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222b)을 따라 안내되며 유동되도록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버튼(230)이 외부 압력에 의하여 케이스(100)의 내측 즉, 상기 보호판(210)에 안착 결합된 스마트폰(10)의 방향으로 유동되게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버튼본체(231)는 상기 수용홈(222a)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수용홈(222a)과 결합되는 수직방향을 따라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 구성된다.
이는,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거치되는 스마트폰(10)을 카메라모드 또는 동영상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 스마트폰(10)에 구비된 표시버튼(11), 촬영버튼(12), 전환버튼(13)의 크기와 형상이 스마트폰(10)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종류나 형상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230)틀 통하여 스마트폰(10)에 구비된 표시버튼(11), 촬영버튼(12), 전환버튼(13)을 회동시켜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10)의 동영상모드 또는 카메라모드를 상기 버튼부(200)를 통하여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환버튼(13)은 스마트폰(10)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동영상모드 또는 카메라모드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전환버튼(13)과 버튼(230)이 접촉되는 경우 상기 버튼(230)을 통하여 전환버튼(13)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하여, 상기 버튼(230)을 이루는 버튼본체(231), 버튼고정바(232), 버튼밀착부(233)는 사용자의 손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케이스(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거치되는 스마트폰(10)의 표시버튼(11), 촬영버튼(12), 전환버튼(13)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도전성 재질로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스마트폰이 대개, 정전식, 저항식, 적외선식으로 스마트폰의 화면을 터치할 수 있도록 운영되는 것이 보통이나, 최근의 스마트폰(10)이 화면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하여 정전식으로 구성되어 제공되는 것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버튼(230)을 이루는 버튼본체(231), 버튼고정바(232), 버튼밀착부(233)를 도전성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도 1 및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케이스(220)에 결합된 버튼(230)의 버튼본체(231)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버튼케이스(220)와 결합방향을 따라 유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버튼본체(231)에 압력을 가하는 사용자의 손에서 발생되는 정전기가 상기 버튼본체(231), 버튼고정바(232), 버튼밀착부(233)를 따라 전달됨으로써, 상기 버튼밀착부(233)와 접촉되는 스마트폰(10)의 표시버튼(11), 촬영버튼(12), 전환버튼(13)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버튼(230)이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정전식 스마트폰(10)의 카메라모드 또는 동영상모드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스마트폰(10)이 터치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버튼(230)을 통하여 원활하게 스마트폰(10)의 카메라모드 또는 동영상모드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기 조절공(112)에 노출되게 설치 구성되는 회전버튼(310)과, 상기 회전버튼(310)을 감싸며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결합케이스(320)와, 상기 회전버튼(3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버튼(310)의 조절에 따라 케이스(100)의 내측 방향으로 유동되는 조절핀(330)과, 상기 조절핀(3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버튼(310)의 조절에 따라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수용되는 스마트폰(10)에 밀착되는 고정판(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버튼(31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케이스(110)에 형성되는 조절공(112)을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회전버튼(310)에 압력을 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노출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케이스(320)는 상기 회전버튼(310)을 케이스(100)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술한 제1케이스(110) 또는 제2케이스(120)의 일측에 결합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결합케이스(320)의 구성은 상기 회전버튼(310)을 케이스(100)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그 형상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절핀(333) 및 고정판(340)은 도 7 (a)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버튼(310)을 사용자가 작동시키는 경우 상기 회전버튼(310)의 유동에 따라 케이스(100)의 내측, 즉, 상기 보호판(210)의 몸체(211)에 수용된 스마트폰(10)의 방향으로 전,후 유동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회전버튼(310)을 작동시키는 경우에 도 7의 (b)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211)에 수용된 스마트폰(10)의 일측으로 상기 고정판(340)이 밀착되어 몸체(211)의 내측에 스마트폰(10)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회전버튼(310), 조절핀(330), 고정판(340)의 구성을 상기에서는 회전버튼(3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고정판(340)이 조절핀(330)의 유동에 따라 전,후 유동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위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판(340)은 고무, 플라스틱과 같이 스마트폰(10)의 일측에 밀착되는 경우에도 스마트폰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면서도 스마트폰(10)의 외형에 무리한 압력을 가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스마트폰(10)을 상기 보호판(210)을 통하여 케이스(100)의 내측에 수용한 후에 상기 고정부(300)를 통하여 보호판(210)과의 결합을 견고하게 이룰 수 있게 되는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판(210)에 고정부(300)를 통하여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이루는 스마트폰(10)의 외측으로 상기 버튼(230)을 작동시켜, 스마트폰(10)의 카메라모드 또는 동영상모드를 사용자가 원활하게 제어하며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충전부(4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스마트폰(10)을 충전시키는 배터리(410)와, 상기 배터리(410)의 일측으로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410)의 on/off를 조절하게 구성되는 전원노브(420)와, 상기 전원노브(4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410)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원노브(420)의 on/off에 따라 점등되는 led등(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충전부(400)는 케이스(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거치되는 스마트폰(10)을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410)는 스마트폰(10)에 구비된 접지단자(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배터리(410)의 구성은 종래의 배터리와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전원노브(420)는 상기 배터리(410)의 작동 유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led등(430)은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배터리(410)의 작동유무와, 상기 배터리(410)를 통하여 스마트폰(10)의 충전상태를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에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터리(410)의 일측에는 보호패드(440)가 더 결합되어 배터리(410)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거나 전기적인 연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전원노브(420)와 led(430)를 구속하며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led등(430)의 외측에는 보호커버(450)를 더 결합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터리(410)에 삼각대 결합부(411)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3케이스(130)에 휴대용 삼각대(20)를 연결 구성하는 경우, 제3케이스(130)의 결합공(131)을 따라 휴대용 삼각대(20)의 고정나사(21)가 삽입된 후, 상기 고정나사(21)가 배터리(410)에 구비된 결합부(411)에 연결 구성되어 휴대용 삼각대(20)와 본 발명인 스마트폰 포토그립을 원활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 케이스(100)와 휴대용 삼각대(20) 간의 결합시, 상기 결합공(131)을 관통하는 휴대용 삼각대(20)의 고정나사(21)가 상기 삼각대 결합부(411)에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스마트폰(10)이 수용되어 거치되는 케이스(100)를 휴대용 삼각대(20)의 상부에 결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스마트폰(10)의 카메라모드 또는 동영상모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폰(10)의 카메라모드 또는 동영상모드를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캠코더와 같이, 편리하게 스마트폰(10)의 카메라모드 또는 동영상모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스마트폰 11: 표시버튼
12: 촬영버튼 13: 전환버튼
14: 홈버튼 15: 디스플레이패널
20: 휴대용 삼각대 21: 고정나사
100: 케이스 110: 제1케이스
111: 삽입공 112: 조절공
120: 제2케이스 130: 제3케이스
131: 결합공 140: 제4케이스
200: 버튼부 210: 보호판
211: 몸체 211a: 개구
212: 통공 213: 버튼공
220: 버튼케이스 221: 밀착판
221a: 유동홈 222: 버튼결합부
222a: 수용홈 222b: 가이드홈
230: 버튼 231: 버튼본체
232: 버튼고정바 233: 버튼밀착부
300: 고정부 310: 회전버튼
320: 결합케이스 330: 조절핀
340: 고정판 400: 충전부
410: 배터리 411: 결합부
420: 전원노브 430: led등
440: 보호패드 450: 보호커버

Claims (15)

  1. 스마트폰(10)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외부압력에 의해 유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00)에 거치된 스마트폰(10)을 작동시키는 버튼부(2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외부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100)에 거치된 스마트폰(10)의 고정상태를 조절하는 고정부(3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거치되는 스마트폰(10)을 충전하는 충전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포토그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스마트폰(10)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제1케이스(110)와,
    상기 제1케이스(110)의 일측으로 상기 버튼부(200), 고정부(300), 충전부(400)를 감싸며 구속하기 위해 결합되는 제2케이스(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포토그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카메라를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삼각대(20)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3케이스(130)와,
    상기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4케이스(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포토그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110)는
    스마트폰(10)이 삽입되는 삽입공(111)과,
    상기 삽입공(111)의 일측으로 고정부(200)의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조절공(112)을 포함하고,
    상기 제3케이스(130)는
    휴대용 삼각대(20)의 고정나사(21)가 관통 결합되는 결합공(1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포토그립.
  5.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마트폰(10)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보호판(210)과,
    상기 보호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버튼케이스(220)와,
    상기 버튼케이스(220)의 내측에 스프링(S)을 개재하여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버튼(230)과,
    상기 버튼케이스(220)와 버튼(230)의 결합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버튼케이스(220)의 일측에 결합되는 버튼뚜껑(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포토그립.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210)은
    개구(211a)를 갖는 박스형상의 몸체(211)와,
    상기 몸체(211)의 일측으로 고정부(300)의 입출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통공(212)과,
    상기 통공(212)과 대향되게 상기 몸체(211)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230)의 입출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버튼공(2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포토그립.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케이스(220)는
    상기 보호판(210)의 일측과 밀착되게 구비되는 밀착판(221)과,
    상기 밀착판(22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S)을 내측에 수용하고, 상기 버튼(230)이 결합되게 형성되는 버튼결합부(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포토그립.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판(221)은
    결합되는 버튼(230)의 유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유동홈(221a)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결합부(222)는
    상기 스프링(S)이 수용되는 수용홈(222a)과,
    상기 수용홈(222a)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버튼(230)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22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포토그립.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230)은
    상기 수용홈(222a)에 스프링(S)을 개재하여 안착 결합되는 버튼본체(231)와,
    상기 버튼본체(23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222b)에 안착 결합되는 버튼고정바(232)와,
    상기 버튼고정바(232)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홈(221a)에 입출되는 버튼밀착부(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포토그립.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본체(231)는
    상기 수용홈(222a)과 결합시, 상기 수용홈(222a)과 결합되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포토그립.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본체(231), 버튼고정바(232), 버튼밀착부(233)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포토그립.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기 조절공(112)에 노출되게 설치 구성되는 회전버튼(310)과,
    상기 회전버튼(310)을 감싸며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결합케이스(320)와,
    상기 회전버튼(3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버튼(310)의 조절에 따라 케이스(100)의 내측 방향으로 유동되는 조절핀(330)과,
    상기 조절핀(3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버튼(310)의 조절에 따라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수용되는 스마트폰(10)에 밀착되는 고정판(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포토그립.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4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스마트폰(10)을 충전시키는 배터리(410)와,
    상기 배터리(410)의 일측으로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410)의 on/off를 조절하게 구성되는 전원노브(420)와,
    상기 전원노브(4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410)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원노브(420)의 on/off에 따라 점등되는 led등(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포토그립.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410)의 일측에는 보호패드(440)가 더 결합되고,
    상기 led등(430)의 외측에는 상기 전원노브(420)와 led등(430)을 구속하며 보호하는 보호커버(45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포토그립.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410)는
    상기 결합공(131)에 관통 결합된 휴대용 삼각대(20)의 고정나사(21)가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삼각대 결합부(4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0)와 휴대용 삼각대(20) 간의 결합시, 상기 결합공(131)을 관통하는 휴대용 삼각대(20)의 고정나사(21)가 상기 삼각대 결합부(411)에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포토그립.
KR1020130003986A 2013-01-14 2013-01-14 스마트폰 포토그립 KR20140091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986A KR20140091927A (ko) 2013-01-14 2013-01-14 스마트폰 포토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986A KR20140091927A (ko) 2013-01-14 2013-01-14 스마트폰 포토그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927A true KR20140091927A (ko) 2014-07-23

Family

ID=5173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986A KR20140091927A (ko) 2013-01-14 2013-01-14 스마트폰 포토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19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768U (ko) * 2018-04-26 2019-11-05 김세웅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
KR20200140995A (ko) * 2019-06-06 2020-12-17 윈너즈선플라스틱전자(선전)유한회사 촬영 보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768U (ko) * 2018-04-26 2019-11-05 김세웅 분리형 스마트폰 카메라 그립
KR20200140995A (ko) * 2019-06-06 2020-12-17 윈너즈선플라스틱전자(선전)유한회사 촬영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1913B2 (en) Protection case
EP2927774A1 (en) One-hand manipulation handle for hand-held terminal
KR20120082110A (ko)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 장치
KR101545588B1 (ko)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KR101478522B1 (ko)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US20150264226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electrical energy and data through a protective case
CN103427224B (zh) 移动终端
WO2020034999A1 (zh) 应用于移动电子设备的握持装置和拍摄组件及其方法
CN115334183A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配件和摄影装备系统
US20140061312A1 (en) Touch control barcode scanner and barcode scanning device having the scanner
JP2022507069A (ja) 自撮り棒、撮影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140284226A1 (en) Protec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US9331519B2 (en) Protec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US20130026340A1 (en) Electronic device employing a button pad
CN208474829U (zh) 手持云台
KR20140091927A (ko) 스마트폰 포토그립
US11537029B2 (en) Gimbal handle and gimbal having same
KR101743286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모바일기기용 거치대
KR20190043045A (ko) 배면에 액세서리가 부착된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무선충전장치
WO2017137797A2 (en) Portable solar charger
TW201521418A (zh) 行動電話的複合模組
KR101669018B1 (ko)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US9965664B2 (en) Mobile data collector with keyboard
TWI729998B (zh) 使用於數位裝置之防水外殼及其方法
CN206004801U (zh) 一种投影一体机便携式套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