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3913A -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3913A
KR20040093913A KR1020030027785A KR20030027785A KR20040093913A KR 20040093913 A KR20040093913 A KR 20040093913A KR 1020030027785 A KR1020030027785 A KR 1020030027785A KR 20030027785 A KR20030027785 A KR 20030027785A KR 20040093913 A KR20040093913 A KR 20040093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groove
camera module
camera
outer cylinder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339B1 (ko
Inventor
김기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7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339B1/ko
Priority to CNB2004100384949A priority patent/CN1284358C/zh
Priority to CN2006100778757A priority patent/CN1855945B/zh
Priority to US10/837,421 priority patent/US7847860B2/en
Publication of KR20040093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는 단말기 본체(101)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외통체(106)와, 그 외통체(106)의 내부에 배치되며 필요시 외통체(106)의 외부로 돌출되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07)과, 그 카메라 모듈(107)을 사용할때는 외통체에서 돌출시키고 비사용시에는 외통체(106)의 내부로 은폐시켜서 렌즈(123)가 보호되도록 하기 위한 카메라 돌출 및 은폐수단으로 구성되어, 카메라 모듈(107)의 사용시에는 카메라 모듈(107)을 외통체(106)의 외부로 돌출시켜서 사용하고, 비사용시에는 카메라 모듈(107)을 외통체(106)의 내부로 삽입시켜서 보호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107)의 렌즈(123)가 이물질이나 외부의 물리적인 영향에 의해 보호되게 되어 항상 고품질의 영상촬영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CAMERA APPARATUS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사용시에는 돌출되고 비사용시에는 은폐되도록 하여 비사용시 이물질이나 외부의 물리적인 영향으로부터 렌즈가 보호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개발되어 출시되는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송수신과 인터넷 접속뿐 아니라, 영상을 촬영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영상촬영 및 송수신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그와 같은 영상촬영을 위하여 카메라가 단말기 자체에 구비되어 있다.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가 도 1,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다수개의 버튼들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 피시비가 내장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2)와, 그 단말기 본체(2)에 힌지결합되어 단말기 본체(2)에 대하여 개,폐되며 상대방을 화상으로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3a)가 내,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폴더(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본체(1)와 폴더(3)의 사이에는 힌지부(4)가 구비되어 있고, 그 힌지부(4)의 일측에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5)은 상기 힌지부(4)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몸체부(6)와, 그 몸체부(6)에 설치되는 렌즈(7)와, 상기 몸체부(6)의 외측단부에 설치되어 촬영시 상기 몸체부(6)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8) 및 그 손잡이부(8)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본체(2)에 결합되는 본체결합부(9)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음성 송수신을 할 때는 단말기 본체(2)에 덮어있는 폴더(3)를 열고 버튼을 눌러서 상대방과 통화를 하고,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때는 폴더(3)를 열고 얼굴 측면에 단말기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통화를 하게된다.
한편, 사용자가 화상송수신을 할 때는 단말기 본체(에 설치된 버튼(1)들을 조작하여 화상 송수신을 위한 메뉴선택을 한 다음, 카메라 모듈(5)의 손잡이부(8)를 잡고 촬영에 적합한 위치로 회전시켜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거나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상대방에게 송신하고, 상대방에게서 수신되는 영상은 디스플레이부(3a)로 확인하면서 상대방과 대화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 모듈(5)이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서 렌즈(7)에 이물질이 쉽게 부착되고, 외부의 물리적인 영향에 의하여 렌즈(7)에 긁힘이 발생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 모듈을 사용할때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돌출시키고, 비사용시에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은폐되도록 하여 비사용시 이물질이나 외부의 물리적인 영향에 의하여 렌즈가 보호되도록 하는데 적합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캠홈을 펼쳐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캠홈을 펼쳐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동작을 보인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카메라 모듈이 삽입될때에 스토퍼 핀의 이동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카메라 모듈이 돌출될때에 스토퍼 핀의 이동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단말기 본체 106 : 외통체
107 : 카메라 모듈 108 : 푸시로크기구
131 : 압축코일스프링 132 : 캠홈부
133 : 멈춤구 141 : 캠형성면
142 : 제1캠홈 143 : 제2캠홈
144 : 외측멈춤단차부 145 : 복귀단차부
146 : 내측멈춤단차부 151 : 멈춤핀
152 : 지지스프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외통체와,
그 외통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필요시 외통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그 카메라 모듈을 사용할때는 외통체에서 돌출시키고 비사용시에는 외통체의 내부로 은폐시켜서 렌즈가 보호되도록 하기 위한 카메라 돌출 및 은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를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캠홈을 펼쳐보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캠홈을 펼쳐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있고 그 수용공간의 내측에 피시비가 수용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101)의 상단부에 힌지부(102)에 의해 결합되며 엘시디(103)가 설치되어 있는 폴더(104)가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힌지부(102)의 일측에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장치(10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 장치(105)는 상기 힌지부(102)의 일측에 형성되며 외측에 개구부(106a)가 형성되어 있는 외통체(106)와, 그 외통체(106)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외통체(106)의 개구부(106a)를 통하여 사용시에는 외부로 돌출되고 비사용시에는 내부로 은폐되는 카메라 모듈(107)과, 그 카메라 모듈(107)을 외통체(106)의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내부로 은폐시키기 위한 카메라 돌출 및 은폐수단인 푸시로크기구(108)로 구성된다.
상기 외통체(106)는 힌지부(102)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구비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7)은 원형봉상으로된 몸체부(121)의 외측면에는 누름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121)의 측면에는 빛을 수광하는 렌즈(12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푸시로크기구(108)는 상기 카메라 모듈(107)의 내측에 위치되어 카메라 모듈(107)을 외측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압축코일스프링(131)과, 상기 카메라 모듈(107)의 측면에 형성되는 캠홈부(132)와, 그 캠홈부(132)에 결합되어 카메라 모듈(107)이 외통체(106)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 또는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멈춤구(13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캠홈부(132)는 상기 카메라 모듈(107)을 일정부분 평탄한 상태로 제거한 캠형성면(141) 상의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제1캠홈(142)과, 그 제1캠홈(142)의 타측에 양단부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내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제2캠홈(143)과, 그 제1캠홈(142)과 제2캠홈(143)이 연결되는 제1캠홈(142)의 외측방향 종단에 단차지게 형성된 외측멈춤단차부(144)와, 그 외측멈춤단차부(144)에 연장되며 제2캠홈(143)의 시작부가 되는 복귀단차부(145)와, 상기 제1캠홈(142)과 제2캠홈(143)이 연결되는 제2캠홈(143)의 내측방향 종단에 단차지게 형성되며 제1캠홈(142)의 시작부가 되는 내측멈춤단차부(14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멈춤구(133)는 외통체(106)의 내부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제1캠홈(142)과 제2캠홈(143)에 삽입되어 있는 멈춤핀(151)과, 그 멈춤핀(15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멈춤핀(151)의 하단면이 항상 제1캠홈(142)과 제2캠홈(143)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탄력지지하는 지지스프링(15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의 작용효과를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기에서 카메라 장치(105)를 사용하지 않는 비사용상태는 도 8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상태로서, 카메라 모듈(107)이 외통체(106)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이고, 멈춤핀(151)의 하단부가 외측멈춤단차부(144)에 스프링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삽입된 상태이며, 이와 같은 상태는 카메라 모듈(107)이압축코일스프링(131)의 스프링력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려는 힘을 멈춤핀(151)에 의해 제지되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카메라 장치(105)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카메라 모듈(107)의 누름부(122)를 원터치식으로 살짝 누르면 스프링력을 이기고 카메라 모듈(107)이 내측방향으로 약간 밀리게 되는데,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107)의 이동에 의해 멈춤핀(151)의 하단부는 복귀단차부(145)로 이동을 하며, 그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107)의 누름부(122)에 가해졌던 힘을 제거하면 카메라 모듈(107)은 압축코일스프링(131)의 스프링력에 의해 외통체(106)의 외부로 돌출되어지고, 멈춤핀(151)은 하단부가 제2캠홈(143)에 삽입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107)의 돌출동작에 의해 상대적으로 도 9에서와 같이 경사면에 하면이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어 지며, 그와 같이 이동되는 멈춤핀(151)은 도 8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카메라 모듈(107)의 동작상태에서와 같이 멈춤핀(151)이 내측멈춤단차부(146)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된 카메라 모듈(107)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게 되며, 그와 같은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107)을 다시 외통체(106)의 내부로 삽입시킬때는 카메라 모듈(107)의 누름부(122)를 누르면 카메라 모듈(107)이 스프링력을 이기고 외통체(106)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지고, 내측멈춤단차부(106)에 하단부가 삽입되어 있는 멈춤핀(151)은 도 10에서와 같이 제1캠홈(142)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도 8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카메라 모듈(107)의 동작상태에서와 같이 외측멈춤단차부(144)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며, 그와 같은 상태는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107)의 누름부(122)에 가해졌던 힘을 제거하여도 카메라 모듈(107)이 스프링력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려는 것이 멈춤핀(151)에 의해 제지되는 상태가 된다.
즉, 사용자는 카메라 모듈(107)의 비사용시에 외통체(106)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07)의 비사용시에 불필요하게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렌즈(123)의 이물질 부착 및 손상이 방지되어 카메라 모듈(107)이 보호되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는 힌지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통체의 외부로 돌출가능하게 카메라 모듈을 설치하여, 카메라 모듈의 사용시에는 카메라 모듈을 외통체의 외부로 돌출시켜서 사용하고, 비사용시에는 카메라 모듈을 외통체의 내부로 삽입시켜서 보호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이물질이나 외부의 물리적인 영향에 의해 보호되게 되어 항상 고품질의 영상촬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카메라 모듈의 입출동작이 간단한 조작에 의해 원터치식으로 간편하게 행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단말기 본체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외통체와,
    그 외통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필요시 외통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그 카메라 모듈을 사용할때는 외통체에서 돌출시키고 비사용시에는 외통체의 내부로 은폐시켜서 렌즈가 보호되도록 하기 위한 카메라 돌출 및 은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돌출 및 은폐수단은 푸시로크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크기구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내측에 위치되어 카메라 모듈을 외측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측면에 형성되는 캠홈부와, 그 캠홈부에 결합되어 카메라 모듈이 외통체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 또는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멈춤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연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일정부분 평탄한 상태로 제거한 캠형성면 상의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제1캠홈과, 그 제1캠홈의 타측에 양단부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내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제2캠홈과, 그 제1캠홈과 제2캠홈이 연결되는 제1캠홈의 외측방향 종단에 단차지게 형성된 외측멈춤단차부와, 그 외측멈춤단차부에 연장되며 제2캠홈의 시작위치가 되는 복귀단차부와, 상기 제1캠홈과 제2캠홈이 연결되는 제2캠홈의 내측방향 종단에 단차지게 형성되며 제1캠홈의 시작위치가 되는 내측멈춤단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구는 외통체의 내부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제1캠홈과 제2캠홈에 삽입되어 있는 멈춤핀과, 그 멈춤핀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멈춤핀의 하단면이 항상 제1캠홈과 제2캠홈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탄력지지하는 지지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1020030027785A 2003-04-30 2003-04-30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100548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785A KR100548339B1 (ko) 2003-04-30 2003-04-30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CNB2004100384949A CN1284358C (zh) 2003-04-30 2004-04-29 移动通信设备的照相机组件
CN2006100778757A CN1855945B (zh) 2003-04-30 2004-04-29 移动通信设备的照相机组件
US10/837,421 US7847860B2 (en) 2003-04-30 2004-04-30 Camera assembly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785A KR100548339B1 (ko) 2003-04-30 2003-04-30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913A true KR20040093913A (ko) 2004-11-09
KR100548339B1 KR100548339B1 (ko) 2006-02-02

Family

ID=3330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785A KR100548339B1 (ko) 2003-04-30 2003-04-30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47860B2 (ko)
KR (1) KR100548339B1 (ko)
CN (2) CN185594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090B1 (ko) * 2004-04-0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자동 인입/인출 장치
KR100678578B1 (ko) * 2004-12-11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푸쉬-풀 타입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688B1 (ko) * 2004-05-19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CN2842900Y (zh) * 2005-09-07 2006-11-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外接式相机的便携电子装置
TW200822671A (en) * 2006-11-08 2008-05-16 Benq Corp Electronic device and rotating mechanism
KR101635205B1 (ko) * 2009-08-19 201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CN102486598A (zh) * 2010-12-01 2012-06-06 苏州明富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相机罩
US10457441B2 (en) * 2012-01-05 2019-10-29 Portero Holdings, Llc Case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9423671B2 (en) 2013-02-14 2016-08-23 Olloclip, Llc Accessories for communication devices
KR102055204B1 (ko) * 2013-09-09 2019-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 표시장치
US9571151B2 (en) 2014-02-06 2017-02-14 Olloclip, Llc Case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configured to receive auxiliary optical devices
CN109962998B (zh) * 2017-12-22 2020-11-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功能组件、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08390964B (zh) * 2018-01-31 2020-04-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保护方法及移动终端
CN109542174B (zh) * 2018-11-30 2020-07-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滑动组件的滑动校正方法和装置
CN111885225A (zh) * 2020-06-28 2020-11-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1785160B (zh) * 2020-06-30 2022-08-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式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6328B2 (ja) * 1997-08-22 2004-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通信端末装置
KR100274623B1 (ko) * 1997-12-23 2000-12-15 윤종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US6812958B1 (en) * 1998-09-10 2004-11-02 Intel Corporation Storable digital camera associated with a computer system
JP3265572B2 (ja) * 1998-11-20 2002-03-11 日本電気株式会社 折畳式携帯電話器の開閉装置
KR20010068807A (ko) * 2000-01-10 2001-07-23 윤종용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KR100406047B1 (ko) * 2001-01-31 2003-11-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응축수를 이용한 실외열교환기 냉각장치
JP2002281142A (ja) * 2001-03-19 2002-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
JP3483144B2 (ja) * 2001-05-31 2004-0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KR100442598B1 (ko) * 2001-09-06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성 렌즈 하우징 장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폴더형단말기
JP2003163824A (ja) * 2001-11-28 2003-06-06 Minolta Co Ltd カメラ付き折畳式携帯機器
KR20030050046A (ko) * 2001-12-18 2003-06-25 주식회사 매직아이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030057080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JP4080395B2 (ja) * 2002-08-02 2008-04-2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型情報処理装置
KR100472898B1 (ko) * 2002-10-19 2005-03-1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100475764B1 (ko) * 2002-11-07 200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식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단말기
KR100455776B1 (ko) * 2002-11-18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63432B1 (ko) * 2002-12-10 2004-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가능한 카메라를 갖는 휴대전화기의 힌지장치
KR200311929Y1 (ko) * 2003-02-04 2003-05-01 텔슨전자 주식회사 카메라가 슬라이드 되어 회전 작동하는 카메라 내장형이동통신단말기
US7210629B2 (en) * 2003-06-05 2007-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61279B1 (ko) * 2003-08-09 2006-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JP3982760B2 (ja) * 2003-09-19 2007-09-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のヒンジ装置
KR100689386B1 (ko) * 2004-03-15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KR101114210B1 (ko) * 2004-07-29 2012-03-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팝업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KR100678578B1 (ko) * 2004-12-11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푸쉬-풀 타입 카메라 모듈
US7184803B2 (en) * 2005-01-21 2007-02-27 Inventec Corporatio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ojecting or retracting lens in response to the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apparatus being opened or close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090B1 (ko) * 2004-04-0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자동 인입/인출 장치
KR100678578B1 (ko) * 2004-12-11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푸쉬-풀 타입 카메라 모듈
US7424214B2 (en) 2004-12-11 2008-09-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ush-pull type camera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55945B (zh) 2012-04-04
CN1855945A (zh) 2006-11-01
US7847860B2 (en) 2010-12-07
KR100548339B1 (ko) 2006-02-02
CN1543199A (zh) 2004-11-03
CN1284358C (zh) 2006-11-08
US20040218092A1 (en)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833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JPH1075287A (ja) 携帯テレビ電話
US7422380B2 (en) Camera door opening/shutt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05568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연결장치
EP1684491A2 (en)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100689386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KR10064037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휴대용 단말기
KR100488425B1 (ko) 휴대폰의 카메라 내장 및 외장 겸용장치
KR100824358B1 (ko)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KR100474035B1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100548623B1 (ko) 초점거리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US7369178B2 (en) Camera lens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494652B1 (ko) 카메라 덮개가 장착된 휴대폰
KR100866944B1 (ko)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KR100473502B1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101187952B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개폐 장치
KR100575724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040038021A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100703266B1 (ko) 3축 힌지 폴더를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회전락킹 장치
KR200355989Y1 (ko)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
KR100652629B1 (ko)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장치
KR100628156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장착 구조
JP2004312165A (ja) 撮像部付き携帯通信機器
KR1010340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이동장치
KR20050067290A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