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989Y1 -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989Y1
KR200355989Y1 KR20-2004-0009045U KR20040009045U KR200355989Y1 KR 200355989 Y1 KR200355989 Y1 KR 200355989Y1 KR 20040009045 U KR20040009045 U KR 20040009045U KR 200355989 Y1 KR200355989 Y1 KR 2003559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housing
module
module housing
latch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춘
김경신
하종원
윤원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오토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오토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오토디자인
Priority to KR20-2004-0009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9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9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이고 상기 단말기 상에 고정 결합되는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하고,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단부를 향해 진행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받는 래치 몸체; 상기 래치 몸체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래치 몸체가 상기 모듈 하우징 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함에 따라 상기 모듈 하우징의 단부로 인입/인출되는 렌즈 하우징; 및 상기 모듈 하우징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듈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래치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래치 몸체가 상기 모듈 하우징의 타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되면, 상기 래치 링크는 상기 래치 몸체 상에 고정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이 모듈 하우징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외력에 의해 상기 래치 몸체가 1회 눌러지면, 상기 래치 링크와 래치 몸체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래치 몸체는 탄성력에 의해 직선 운동하여 상기 렌즈 하우징을 모듈 하우징의 단부로 인출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 {POP-UP CAMERA LENS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 상에 렌즈 하우징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기지국을 통해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또는 사용자와 사용자를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로서, 외형에 따라 바형(bar type) 단말기, 플립형(flip type) 단말기,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 등으로 분류된다.
바형 단말기는 하나의 본체 하우징(housing)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수화부가 장착되는 형태로서, 데이터 입력 수단이 되는 키패드(keypad)가 항시 노출되어 있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고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확보 문제로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플립형 단말기는 본체와, 플립과, 상기 본체와 플립을 연결시키는 힌지 모듈(hinge module)로 구성된 형태로서, 상기 본체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수화부가 설치되며, 상기 플립이 상기 데이터 입력 수단인 키패드를 덮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나, 플립형 단말기 역시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확보 문제로 인하여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폴더형 단말기는 본체와,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폴더가 본체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는 단말기이다. 상기와 같은 폴더형 단말기는 상기 폴더가 본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통화대기 모드로 키패드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통화모드에서는 상기 폴더가 펼쳐져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폴더형 단말기가 점차 휴대용 단말기의 주종을 이루어 가는 추세이다.
한편, 이동통신 서비스가 초기에는 단문 메시지 전송, 음성 통화 등에 한정되어 제공되었으나, 최근에는 화상 통화, VOD(video on demand)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확대되고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에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 등이 탑재되어, 카메라 렌즈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의 필수적 구성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127)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본체(101)와, 소정의 힌지 장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폴더(102)를 구비하는 폴더형 단말기이다. 상기 폴더(102)는 힌지축(A)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본체(101)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본체(101)는 전면에 설치되는 키패드, 송화부(미도시)와, 상단부에 설치되는 안테나 장치(119)를 구비하고, 상기 폴더(102)는 내측면에 설치되는 메인디스플레이 장치(121), 수화부(123)를 구비한다.
상기 폴더(102)의 외측면에는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25)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25) 일측에 카메라 렌즈 모듈(127)이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127)은 상기 폴더(102)의 외측면에 고정된 고정성 카메라 렌즈 모듈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 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화상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데, 상기와 같이 폴더(102)의 외측면에 카메라 렌즈 모듈(127)이 장착된 경우, 사용자가 본인을 촬영하면서 촬영되는 화상을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화상 통화에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폴더(102)의 외측면에 설치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25)를 통해 촬영되는 화상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는 있으나,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25)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25)를 이용하여 화상을 보는 것이 사용자에게는 불편한 것이 사실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정성 카메라 렌즈(127) 이외에도, 단말기 상에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성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있다. 그러나, 회전성 카메라 렌즈 역시 단말기와 간섭되거나 제한된 범위에서만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 각도 범위가 제한되어 사용자가 자유롭게 카메라 렌즈 모듈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카메라 렌즈 모듈은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피사체 촬영 및 사용자 본인을 촬영하기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이고 상기 단말기 상에 고정 결합되는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하고,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단부를 향해 진행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받는 래치 몸체;
상기 래치 몸체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래치 몸체가 상기 모듈 하우징 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함에 따라 상기 모듈 하우징의 단부로 인입/인출되는 렌즈 하우징; 및
상기 모듈 하우징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듈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래치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래치 몸체가 상기 모듈 하우징의 타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되면, 상기 래치 링크는 상기 래치 몸체 상에 고정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이 모듈 하우징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외력에 의해 상기 래치 몸체가 1회 눌러지면, 상기 래치 링크와 래치 몸체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래치 몸체는 탄성력에 의해 직선 운동하여 상기 렌즈 하우징을 모듈 하우징의 단부로 인출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을 개시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이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의 렌즈 하우징이 인출된 상태의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의 래치 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래치 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300 :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 301 : 모듈 하우징
319 : 커버 302 : 래치 몸체
303 : 렌즈 하우징 304 : 래치 링크
349 : 탄성 수단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300)이 휴대용 단말기(200)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300)의 렌즈 하우징(303)이 인출된 상태의 휴대용 단말기(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는 본체(201)와, 폴더(20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폴더형 단말기로서, 상기 본체(201)는 전면에 설치된 키패드(211), 송화부(213)와 상단에 설치된 안테나 장치(219)를 구비하고, 상기 폴더(202)는 상기 본체(201)와 마주하는 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221)와수화부(223)를 구비한다. 상기 폴더(202)는 상기 본체(201)의 상단에 제공된 힌지축(A)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본체(201)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300)은 상기 단말기(200)에 장착되어 상기 힌지축(A) 상에 위치되며, 렌즈 하우징(303)이 상기 단말기(200)의 일측으로 인입/인출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300)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300)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300)의 래치 몸체(30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래치 몸체(30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300)은 모듈 하우징(301), 래치 몸체(302), 렌즈 하우징(303) 및 래치 링크(304)를 구비한다.
상기 모듈 하우징(301)은 길이방향,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으로, 일단부는 개방되고 타단부는 폐쇄된다. 상기 모듈 하우징(301)의 일단부는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었으며, 인입된 상태의 상기 렌즈 하우징(303)이 위치된다. 상기 모듈 하우징(301)은 그 외주면에 형성된 개구(311)를 구비한다. 상기 개구(311)는 상기 모듈 하우징(301)의 타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모듈 하우징(301)의 타단부는 격막(313)에의해 폐쇄되고, 상기 격막(313)의 상단은 상기 개구(311)의 가장자리에 위치되며, 상기 격막(313)의 상단면에는 회동홀(313a)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홀(313a)에는 상기 래치 링크(304)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래치 몸체(302))는 상기 모듈 하우징(301) 내에서 직선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듈 하우징(301)의 일단부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상기 래치 몸체(302)의 일단면에는 소정 폭으로 절개된 결합홀(325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325a)의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회전홀(325b)이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홀(325b)은 상기 결합홀(325a)을 통해 상기 래치 몸체(302)의 일단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상기 래치 몸체(302)는 그의 타단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311)와 대면하게 위치되는 래치 홈(321a)을 구비한다. 상기 래치 홈(321a)의 일단부 벽에는 가이드 리브(321b)가 형성되어 상기 래치 홈(321a)의 단부벽을 제1 및 제2 가이드 홈(321c, 321d)으로 분할하게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홈(321c, 321d)은 상기 래치 몸체(30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유의한다. 또한, 상기 래치 홈(321a)의 타단부 벽도 한 쌍의 경사면(321e, 321f)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래치 링크(304)의 이동 궤적을 제공하기 위함이며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래치 몸체(302)는 상기 래치 홈(321a)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된 래치 돌기(323)를 구비한다. 상기 래치 돌기(323)는 상기 모듈 하우징(301)의 일단부를 향하는 단부벽에 락킹 홈(323a)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리브(321b)와 대면하게 된다. 상기 래치 돌기(323)의 일측벽은 상기 래치 홈(321a)의 일측벽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타측벽은 상기 모듈 하우징(301)의 타단부로 진행함에 따라 상기 래치 홈(321a)의 타측벽과 멀어지게 연장되는 형상이다.
한편, 상기 래치 몸체(302)가 상기 모듈 하우징(301)의 일단부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수단(349)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 수단(349)은 일단이 상기 모듈 하우징(301)의 타단부 내벽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래치 몸체(302)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지지 리브(327a)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탄성 수단(349)의 탄성력이 상기 래치 몸체(302)에 균형있게 제공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 수단(349)은 한 쌍이 상기 래치 몸체(30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대칭으로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수단(349)이 상기 지지 리브(327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래치 몸체(302)는 상기 지지 리브(327a)로부터 상기 모듈 하우징(301)의 타단부를 향해 연장된 지지 돌기(327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수단(349)의 일단이 상기 지지 돌기(327b)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탄성 수단(349)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모듈 하우징(301)의 타단부 내벽에도 상기 래치 몸체(302)의 지지 돌기(327b)와 유사한 지지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 수단(349)의 타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렌즈 하우징(303)은 상기 모듈 하우징(301)의 일단부로 인입/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303)은 카메라 소자(337)가 내장되고, 상기 카메라 소자(337)의 노출용 창(331)이 외주면 상에 설치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303)의 일단부에는 상기 모듈 하우징(30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결합축(333)과, 상기 결합축(333)과 일체형으로 제공되면서 상기 결합축(333)의 단부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회전 플레이트(335)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335)는 상기 래치 몸체(302)의 회전홀(325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렌즈 하우징(303)은 상기 결합축(333)을 구비하지 않고, 그 일단부에 이격되게 상기 회전 플레이트(335)가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래치 링크(304)는 그의 양단부(341, 343)가 서로 마주보게 각각 절곡되어, 그의 일단부(341)는 상기 모듈 하우징(301)의 회동홀(313a)에 결합되고, 타단부(343)는 상기 래치 몸체(302) 상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래치 링크(304)의 타단부(343)는 상기 래치 홈(321a)의 내벽과 상기 래치 돌기(323)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래치 몸체(302)가 직선 운동함에 따라 상기 래치 홈(321a)의 내벽과 상기 래치 돌기(323)의 외주면 사이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래치 몸체(302), 렌즈 하우징(303) 및 래치 링크(304)가 상기 모듈 하우징(301)에 조립되면 상기 모듈 하우징(301)의 개구(311)는 소정의 커버(319)에 의해 폐쇄되어 상기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300)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300)은 상기 래치 링크(304)가 상기 락킹 홈(323a)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렌즈 하우징(303)이 상기 모듈하우징(301) 내에 위치되며, 상기 래치 링크(304)가 상기 락킹 홈(323a)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탄성 수단(34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치 몸체(302)가 이동하여 상기 렌즈 하우징(303)을 상기 모듈 하우징(301)의 일단부로 인출시키게 된다. 상기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300)이 휴대용 단말기 상에 장착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렌즈 하우징(303)은 휴대용 단말기 상에서 인입/인출되는 구성이다.
상기 래치 링크(304)의 타단부(343)가 상기 락킹 홈(323a)에 위치되면, 상기 래치 몸체(302)는 상기 모듈 하우징(301)의 일단부로 진행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렌즈 하우징(303)의 단부를 누르면, 상기 래치 링크(304)의 타단부(343)가 상기 락킹 홈(323a)을 이탈하여 상기 제2 가이드 홈(321d)으로 위치된다.
상기 래치 링크(304)의 타단부(343)가 상기 제2 가이드 홈(321d)에 위치되었을 때, 사용자가 렌즈 하우징(303)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 수단(34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치 몸체(302)는 상기 모듈 하우징(301)의 일단부를 향해 진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 홈(321d)은 일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래치 링크(304)의 타단부(343)는 상기 락킹 홈(323a)을 완전히 이탈하여 상기 래치 돌기(323)의 일측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래치 링크(304)의 타단부(343)가 상기 래치 홈(321a)의 타단부에 이르면, 상기 래치 홈(321a)의 타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경사면(321e, 321f)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래치 몸체(302)가 더 이상 탄성력에 의한 직선 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303)이 단말기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렌즈 하우징(303)은 상기 래치 몸체(302)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이므로, 단말기에 간섭받지 않고 사용자는 다양한 방향으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돌출된 상태의 렌즈 하우징(303)을 눌러 상기 단말기, 더 구체적으로 상기 모듈 하우징(301) 내로 밀어 넣으면, 상기 래치 링크(304)의 타단부(343)는 상기 래치 돌기(323)의 타측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래치 돌기(323)의 타단부와 상기 래치 홈(321a)에 형성된 한 쌍의 경사면(321e, 321f)이 서로 만나서 결정되는 위치가 다소 어긋나게 설정되어 상기 래치 링크(304)의 타단부(343)가 이동하는 방향이 결정된다.
사용자가 상기 렌즈 하우징(303)을 충분히 밀어 넣으면, 상기 래치 링크(304)의 타단부(343)는 상기 제1 가이드 홈(321c)에 위치되고, 사용자는 더 이상 상기 렌즈 하우징(303)을 밀어 넣을 수 없다. 사용자가 상기 렌즈 하우징(303)을 더 이상 밀어 넣을 수 없어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 수단(349)에 의해 상기 래치 몸체(302)는 상기 모듈 하우징(301)의 일단부로 진행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321c) 상에 위치된 래치 링크(304)의 타단부(343)는 상기 락킹 홈(323a)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렌즈 하우징(303)을 단말기 내로 인입시키거나, 인입된 렌즈 하우징(303)을 단말기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게 구성되며, 인출된 상태의 렌즈 하우징(303)을 회전시켜 다양한 방향으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폴더형 단말기의 힌지축 상에 상기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장착되는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은 상기 본체 또는 폴더 상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폴더형 단말기뿐만 아니라 바형 또는 플립형 단말기에도 장착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단말기의 외부로 렌즈 하우징을 인출시켜 사용하게 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단말기 내에 인입시키게 되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카메라 렌즈 모듈이 손상되는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단말기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의 렌즈 하우징은 단말기에 간섭되지 않고 자유로운 방향으로 촬영이 가능하므로, 피사체 촬영, 화상통화 뿐만 아니라 사용자 본인을 촬영하기에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9)

  1.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이고 상기 단말기 상에 고정 결합되는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하고,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단부를 향해 진행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받는 래치 몸체;
    상기 래치 몸체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래치 몸체가 상기 모듈 하우징 상에서 직선 왕복 운동함에 따라 상기 모듈 하우징의 단부로 인입/인출되는 렌즈 하우징; 및
    상기 모듈 하우징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듈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래치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래치 몸체가 상기 모듈 하우징의 타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되면, 상기 래치 링크는 상기 래치 몸체 상에 고정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이 모듈 하우징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외력에 의해 상기 래치 몸체가 1회 눌러지면, 상기 래치 링크와 래치 몸체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래치 몸체는 탄성력에 의해 직선 운동하여 상기 렌즈 하우징을 모듈 하우징의 단부로 인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하우징은,
    그의 타단부로부터 외주면 상에 소정 길이만큼 형성된 개구와, 상기 개구 상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하우징은,
    상기 모듈 하우징의 타단부를 폐쇄하는 격막이 제공되고, 상기 격막의 상단은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에 위치되며, 상기 격막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회동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래치 링크의 일단이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회동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몸체는,
    타단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와 대면하게 설치되는 래치 홈;
    상기 래치 홈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래치 돌기;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단부 측을 향하는 래치 돌기의 측단부에 형성되는 락킹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래치 링크의 타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래치 몸체가 상기 모듈 하우징의 타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되면 상기 래치 링크의 타단부가 상기 락킹 홈 상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몸체는,
    상기 래치 홈의 일단부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 홈과 대면하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래치 홈의 일단부 내벽을 소정의 곡면을 이루는 제1 및 제2 가이드 홈으로 분할하고,
    상기 래치 링크의 타단부가 상기 락킹 홈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렌즈 하우징이 눌러지면 상기 래치 링크의 타단부는 상기 제2 가이드 홈 상에 위치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래치 몸체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단부를 향해 진행함에 따라 상기 래치 링크의 타단부는 상기 래치 돌기의 일측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 홈의 타단부 내벽에 고정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이 상기 모듈 하우징의 단부에 인출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렌즈 하우징이 다시 인입되면 상기 래치 링크의 타단부는 상기 래치 돌기의 타측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가이드 홈 상에 위치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을 인입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래치 몸체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단부로 진행하여 상기 제1 가이드 홈 상에 위치된 래치 링크의 타단부는 상기 락킹 홈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몸체는 일단면이 소정 폭만큼 절개되어 형성된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의 단부로부터 양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홀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의 단부에 일체형으로 제공되고, 상기 결합홀의 길이만큼 상기 렌즈 하우징의 단부와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어 상기 회전홀에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리브; 및
    일단이 상기 모듈 하우징의 타단부 내벽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 리브에 지지되어 상기 래치 몸체가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단부를 향해 진행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리브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모듈 하우징의 타단부 내벽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일단이 그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지지 돌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리브는 한 쌍이 제공되며, 상기 래치 몸체의 양 측 외주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
KR20-2004-0009045U 2004-04-01 2004-04-01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 KR2003559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045U KR200355989Y1 (ko) 2004-04-01 2004-04-01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045U KR200355989Y1 (ko) 2004-04-01 2004-04-01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989Y1 true KR200355989Y1 (ko) 2004-07-12

Family

ID=49347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045U KR200355989Y1 (ko) 2004-04-01 2004-04-01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9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5490B2 (ja) 移動通信端末機
KR10054833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EP1755318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054772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폴더의 회전 멈춤 장치
KR100810229B1 (ko) 스윙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가이드 장치
KR100548623B1 (ko) 초점거리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KR200355989Y1 (ko) 휴대용 단말기의 팝-업 카메라 렌즈 모듈
KR20060015856A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494652B1 (ko) 카메라 덮개가 장착된 휴대폰
KR100895171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472898B1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100866944B1 (ko)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KR100556880B1 (ko) 수평 회전형 휴대용 단말기
KR100504142B1 (ko) 접사렌즈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어셈블리
KR100488868B1 (ko) 카메라가 내장된 안테나
KR100810329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KR10061988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동장치
KR100531936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97466B1 (ko) 듀얼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
KR100548424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줌카메라
KR100467847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플립형 휴대전화기
KR10068952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513066B1 (ko) 초점거리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03395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각도 조절 장치
KR100553450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