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55135A1 - 휴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55135A1
WO2022055135A1 PCT/KR2021/010608 KR2021010608W WO2022055135A1 WO 2022055135 A1 WO2022055135 A1 WO 2022055135A1 KR 2021010608 W KR2021010608 W KR 2021010608W WO 2022055135 A1 WO2022055135 A1 WO 202205513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rotruding
holder
coupl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060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현준
Original Assignee
장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준 filed Critical 장현준
Publication of WO202205513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551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2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Definitions

  • Patent Registration No. 10-1267636 discloses "a case for a mobile phone having a detachable finger-fitting ring". This technology is composed of a ring-shaped holder and combined with a mobile phone so that it can be carried by putting it on the holder's finger.
  • Patent Registration No. 10-2133643 discloses "a mobile phone case in which a clip-type cradle using a silicone grip and a wire ribbon is combined". This technology uses a wire ribbon clip to be mounted on the ground, and when carrying it, the shape of the wire ribbon clip is modified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carried by inserting it on a hand or wrist.
  • Patent Registration No. 10-1924837 discloses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cradle and mounting angle adjustment function". This technology uses a cradle to simply mount the mobile phone on the groun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but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freely mount it at the desired angl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der for a mobile phone that can be carried and easily mounted while also having a function of an accessory through a decorative part, and a mobile phone case having the same.
  • the fixing part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between which the connecting shaft is formed when assembling engagemen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side plate is assembled for engagement assembly with the second side plate
  • a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inner surface
  • the connecting shaft of the second side plat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 the connecting shaft is hollow and may have a form in which the assembly protrusion is fitted therein and then engageable assembly is possible.
  • FIG. 1 and 2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older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the rotating part and the connecting part shown in FIG. 1, (a) is an unfolded state, (b) is a detailed view of the folded state,
  • FIG. 4 is a detailed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ng part and the connecting part shown in FIG. 1, (a) is an unfolded state, (b) is a detailed view of a folded state,
  • FIG.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an example of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holder for mobile phones shown in FIG.
  • the holder 100 for a mobile phone of this embodiment has one side attachable to the back side of a mobile phone or a mobile phone c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ell phone case"), and is located between the two side plates.
  • a fixing unit 110 configured to have a connecting shaft, a rotating unit 120 having a length extending to the outside of both side plates in a stat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shaft, and within a certain range in one direction at the end of the rotating unit 1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130 that is rotatably coupled only in the , and a decorative portion 140 that is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30 .
  • the rotating part 12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shaft 113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111 and 112 to rotate bangle, and is formed on one side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shaft 113 . It has a hole 121 and a pair of coupling members 122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130 .
  • the rotating part 120 has a length in which the pair of coupling members 122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111 and 112 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hole 121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shaft 113 . have That is, the rotating part 120 has a length in which the connecting part 130 rotatably coupled to the pair of coupling members 122 is rotatable outside the fixing part 110 .
  • the rotating part 120 is formed with a length at which the coupling part of the connection part 130 is located within the range of the mobile phone case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art 110 is attached to the mobile phone case, and the connection part 130 is moved toward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mobile phone case. It is designed to not rotate.
  • the mobile phone holder 100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nection part 130 is rotatable only within a certain range at the end of the rotating part 120 in one direction.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unit 110 is attached to the cell phone case, the connection unit 130 is configured to serve as a cradle for holding the cell phone at a predetermined angle.
  • the pair of coupling members 122 each has a protruding surface 123 on the surface of which the connection part 130 is rotated at a certain angle and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limit rot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at which the connecting part 130 rotates through height adjustment of the protruding surface 123 of the coupling member 122 .
  • the protruding surface 123 may be formed in a partial region of the rotating part 120 near the pair of coupling members 122 instead of the surfaces of the pair of coupling members 122 .
  • the rotation angle is limited as the surface of the protruding member 13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ding surface 123 in a state in which it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have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t the edge of the insertion hole 121 in order to reinforce the supporting force.
  • the holder 100 for mobile phone and the mobile phone case 200 of this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otate the rotating part 120 in a convenient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part 130 is unfolded as shown in FIG. 5 when carrying a mobile phone. You can use it. 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watch TV or video, you can view TV or video in a convenient state by placing the connector 130 on the ground in a folded state as shown in FIG. 6 .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 고안의 휴대폰용 홀더(100)는 일측면이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 가능하며 양 측판의 사이에 연결축을 갖도록 구성된 고정부(110)와, 연결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양 측판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회전부(120)와, 회전부(120)의 단부에서 일방향에 대해 일정 범위 내에서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130), 및 연결부(130)에 결합 및 분리되는 장식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이 고안은 휴대폰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휴대폰의 손쉬운 휴대와 용이한 거치가 가능하면서도 악세사리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휴대폰용 홀더가 일체화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최근 휴대폰 기술의 발달에 따라 동영상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이 휴대폰에 융합된 스마트 폰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스마트 폰을 손에 휴대한 상태로 이동 중에 TV나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인터넷 검색 등을 하거나, 특정 공간에서 스마트 폰을 지면에 거치한 상태에서 TV나 동영상을 시청하고 있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해 보다 편리하게 휴대하고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어 유통되어 있다.
그 일례로서, 특허등록 제10-1267636호에는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이 기술은 링 형태의 홀더로 구성되어 휴대폰과 결합하여 홀더에 손가락에 끼워 휴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특허등록 제10-2133643호에는 "실리콘그립과 와이어리본을 이용한 클립형 거치대가 결합된 휴대폰 케이스"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와이어 리본클립을 이용해 지면에 거치하고, 휴대시에는 와이어 리본클립의 형태를 변형하여 손이나 팔목에 끼워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특허등록 제10-1924837호에는 "거치대 및 거치각도 조절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이 기술은 거치대를 이용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휴대폰을 지면에 간단하게 거치하되,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를 자유롭게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에서와 같이 종래에도 휴대폰을 간편하게 휴대하고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들은 그 구성관계가 복잡하고, 외관이 수려하지 못해 악세사리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회전부를 통해 원하는 위치로 편리하게 회전하고 연결부를 펼쳤다가 일정 각도로 접어 거치가 가능한 간단한 구조로 구성하여 휴대폰의 손쉬운 휴대와 용이한 거치가 가능하면서도 장식부 등을 통한 악세사리의 기능까지 가능한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휴대폰용 홀더는, 일측면이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 가능하며 양 측판의 사이에 연결축을 갖도록 구성된 고정부와, 상기 연결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양 측판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단부에서 일방향에 대해 일정 범위 내에서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결합 및 분리되는 장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고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는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축에 삽입되는 삽입구멍과,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연결부가 일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의 일부분이 밀착됨에 따라 회전을 제한하는 돌출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재에 삽입된 형태로 상기 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장식부를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연결구멍이나 연결구조를 갖는 연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 고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돌출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간에 이격된 형태의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출면은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의 표면에 각각 형성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재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가 상기 돌출면에 각각 밀착됨에 따라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이 고안에 따르면, 상기 돌출면은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 근처의 상기 회전부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재의 표면이 상기 돌출면에 밀착됨에 따라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이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서로 간에 맞물림 조립할 경우 이들 사이에 상기 연결축이 형성되는 제1, 제2 측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측판은 상기 제2 측판과의 맞물림 조립을 위한 조립 돌기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측판은 상기 연결축이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은 중공형으로 내부에 상기 조립 돌기가 끼워진 후 맞물림 조립이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는, 상기와 같이 휴대폰용 홀더가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고안은 회전부를 통해 원하는 위치로 편리하게 회전하고 연결부를 펼쳤다가 일정 각도로 접어 거치가 가능한 간단한 구조로 구성하여 휴대폰의 손쉬운 휴대와 용이한 거치가 가능하면서도 장식부 등을 통한 악세사리의 기능까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회전부와 연결부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상세도로서, (a)는 펼친 상태, (b)는 접은 상태의 상세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회전부와 연결부의 다른 구성관계를 도시한 상세도로서, (a)는 펼친 상태, (b)는 접은 상태의 상세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휴대폰용 홀더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의 일례에 대한 사시도로서, 도 5는 연결부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연결부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휴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 실시예는 이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이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회전부와 연결부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상세도로서, (a)는 펼친 상태, (b)는 접은 상태의 상세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회전부와 연결부의 다른 구성관계를 도시한 상세도로서, (a)는 펼친 상태, (b)는 접은 상태의 상세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휴대폰용 홀더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의 일례에 대한 사시도로서, 도 5는 연결부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연결부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휴대폰용 홀더(100)는 일측면이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이하, "휴대폰 케이스"로 명명함)의 배면에 부착 가능하며 양 측판의 사이에 연결축을 갖도록 구성된 고정부(110)와, 연결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양 측판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회전부(120)와, 회전부(120)의 단부에서 일방향에 대해 일정 범위 내에서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130), 및 연결부(130)에 결합 및 분리되는 장식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10)는 서로 간에 맞물림 조립할 경우 이들 사이에 연결축(113)이 형성되는 제1, 제2 측판(111, 11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측판(111)은 제2 측판(112)과의 맞물림 조립을 위한 조립 돌기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제2 측판(112)은 연결축(113)이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연결축(113)은 중공형태로서 그 내부에 조립 돌기가 끼워진 후 맞물림 조립이 가능한 형태를 갖는다. 즉, 제1, 제2 측판(111, 112)은 서로 간에 간단한 끼움 체결방식으로 조립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1, 제2 측판(111, 112)은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성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정부(110)는 서로 간에 맞물림 조립할 경우 이들 사이에 연결축(113)이 형성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로 제1, 제2 측판(111, 112)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측판(111)은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패드(도시안됨)를 그 외측면에 갖는다. 여기서, 접착패드는 양면접착 방식으로 일측면이 제1 측판(111)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타측면에 이형지가 부착된다. 따라서, 이형지를 제거하고 접착패드의 타측면을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해 이용하면 된다.
상기 제1 측판(111)을 휴대폰 케이스에 부착할 경우, 제2 측판(112)은 외측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제2 측판(112)은 그 표면에 장식을 위한 시트를 부착해 구성하거나, 제조시에 표면에 장식기능을 갖도록 성형해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120)와 상기 연결부(130)는 서로 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면 다양한 삽입 구조 및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의 회전부(120)와 연결부(130)를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회전부(120)는 제1, 제2 측판(111, 112)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축(113)에 삽입되어 뱅글뱅글 회전이 가능한 것으로서, 일측에 형성되어 연결축(113)에 삽입되는 삽입구멍(121)과, 타측에 형성되어 연결부(13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122)를 갖는다. 한편, 회전부(120)는 삽입구멍(121)이 연결축(113)에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결합부재(122)가 제1, 제2 측판(111, 11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다. 즉, 회전부(120)는 한 쌍의 결합부재(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130)가 고정부(110)를 벗어난 외측에서 회전이 가능한 길이를 갖는다. 또한, 회전부(120)는 고정부(110)를 휴대폰 케이스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휴대폰 케이스 범위 내에 연결부(130)의 결합부위가 위치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연결부(130)가 휴대폰 케이스의 부착면 쪽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한 쌍의 결합부재(122)는 이들 사이에 연결부(130)의 일부분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간에 이격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한 쌍의 결합부재(122)에는 결합구멍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결합부재(122)의 사이에 연결부(130)의 일부분을 끼우고, 이들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구멍에 결합핀 등을 끼워 결합하되, 연결부(130)가 한 쌍의 결합부재(1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면 된다.
그런데, 이 실시예의 휴대폰용 홀더(100)는 연결부(130)가 일방향에 대해서는 회전부(120)의 단부에서 일정 범위 내에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고정부(110)를 휴대폰 케이스에 부착한 상태에서, 연결부(130)가 일정 각도에서 휴대폰을 거치하는 거치대 역할을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 쌍의 결합부재(122)는 연결부(130)가 일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연결부(130)의 단부가 밀착됨에 따라 회전을 제한하는 돌출면(123)을 표면에 각각 갖는다. 따라서, 결합부재(122)의 돌출면(123)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연결부(130)가 회전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130)는 일측은 한 쌍의 결합부재(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장식부(140)가 결합 및 분리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결합부재(122)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131)와, 돌출부재(1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장식부(140)가 결합 및 분리되는 연결구멍이나 원터치 방식 등의 연결구조를 갖는 연결부재(132)를 갖는다. 여기서, 돌출부재(131)에는 한 쌍의 결합부재(122)와의 결합핀 등으로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이 형성된다. 한편, 연결부재(132)는 장식부(140)와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일정 크기의 연결구멍이나 연결구조 형성을 위한 일정 크기의 테두리나 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일정 크기의 테두리나 면적을 갖는 연결부재(132)가 휴대폰을 일정 각도에서 거치하는 거치대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일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돌출부재(131)의 양측에 위치하는 연결부재(132)의 단부가 한 쌍의 결합부재(122)의 돌출면(123)에 각각 밀착됨에 따라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면(123)은 한 쌍의 결합부재(122)의 표면 대신에 한 쌍의 결합부재(122) 근처의 회전부(120)의 일부 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일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돌출부재(131)의 표면이 돌출면(123)에 밀착됨에 따라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또한, 회전부(120)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삽입구멍(121)의 테두리에 다수개의 보강바를 더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장식부(140)는 연결부재(132)의 연결구멍에 끼워져 결합 및 분리되는 것으로서, 장식기능 및/또는 휴대기능을 부가한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손목 등에 낀 상태에서 휴대폰을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고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휴대폰 케이스(20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폰용 홀더(100)를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일체화한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접착패드를 이용해 휴대폰용 홀더(100)를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해 일체화하거나, 다양한 접착방식을 이용해 휴대폰용 홀더(100)를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해 일체화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휴대폰용 홀더(100) 및 휴대폰 케이스(200)는 휴대폰을 휴대할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연결부(130)를 펼친 상태에서 사용이 편리한 방향으로 회전부(120)를 회전시켜 사용하면 된다. 한편, TV나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연결부(130)를 접은 상태에서 지면에 거치하여 편리한 상태에서 TV나 동영상 시청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이 고안의 휴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고안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5)

  1. 일측면이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 가능하며 양 측판의 사이에 연결축을 갖도록 구성된 고정부와, 상기 연결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양 측판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단부에서 일방향에 대해 일정 범위 내에서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결합 및 분리되는 장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축에 삽입되는 삽입구멍과,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연결부가 일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의 일부분이 밀착됨에 따라 회전을 제한하는 돌출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재에 삽입된 형태로 상기 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장식부를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연결구멍이나 연결구조를 갖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돌출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간에 이격된 형태의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출면은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의 표면에 각각 형성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재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가 상기 돌출면에 각각 밀착됨에 따라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홀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돌출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간에 이격된 형태의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출면은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 근처의 상기 회전부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재의 표면이 상기 돌출면에 밀착됨에 따라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홀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서로 간에 맞물림 조립할 경우 이들 사이에 상기 연결축이 형성되는 제1, 제2 측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측판은 상기 제2 측판과의 맞물림 조립을 위한 조립 돌기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측판은 상기 연결축이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은 중공형으로 내부에 상기 조립 돌기가 끼워진 후 맞물림 조립이 가능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홀더.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휴대폰용 홀더가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PCT/KR2021/010608 2020-09-10 2021-08-10 휴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WO202205513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297 2020-09-10
KR20200003297 2020-09-10
KR2020200003792U KR200493555Y1 (ko) 2020-09-10 2020-10-23 휴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2020-0003792 2020-10-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5135A1 true WO2022055135A1 (ko) 2022-03-17

Family

ID=7573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0608 WO2022055135A1 (ko) 2020-09-10 2021-08-10 휴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3555Y1 (ko)
WO (1) WO20220551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555Y1 (ko) * 2020-09-10 2021-04-21 장현준 휴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6565A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애니모드 접이식 거치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베터리 커버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지갑형 케이스
KR20160129502A (ko) * 2015-04-30 2016-11-09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스트랩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170104187A (ko) * 2016-03-07 2017-09-15 김영세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20180039789A (ko) * 2016-10-10 2018-04-19 이상순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US20180348541A1 (en) * 2017-05-31 2018-12-06 Eric Radzwill Pop-up type holder and stand mobile device accessory for holding eyeglasses
KR200493555Y1 (ko) * 2020-09-10 2021-04-21 장현준 휴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636B1 (ko) 2012-11-09 2013-05-27 원무웅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KR101924837B1 (ko) 2014-06-02 2018-12-04 이응수 거치대 및 거치각도 조절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102133643B1 (ko) 2018-08-13 2020-07-13 강희정 실리콘그립과 와이어리본을 이용한 클립형 거치대가 결합된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6565A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애니모드 접이식 거치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베터리 커버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지갑형 케이스
KR20160129502A (ko) * 2015-04-30 2016-11-09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스트랩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170104187A (ko) * 2016-03-07 2017-09-15 김영세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20180039789A (ko) * 2016-10-10 2018-04-19 이상순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US20180348541A1 (en) * 2017-05-31 2018-12-06 Eric Radzwill Pop-up type holder and stand mobile device accessory for holding eyeglasses
KR200493555Y1 (ko) * 2020-09-10 2021-04-21 장현준 휴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555Y1 (ko)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40274B (zh) 附接配件的装置壳盖
US7830628B2 (en) Lens and display accessory for portable imaging device
ES2204454T3 (es) Radio telefono.
CN110025123A (zh) 用于手持式装置的抓握设备
EP3302162B1 (en) Tablet cas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035494A (en) Button
WO2022055135A1 (ko) 휴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TW200417306A (en) Electronic device and cover member thereof
JP2023545811A (ja) マグネットグリップアクセサリ
KR20140123837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30007167U (ko) 휴대폰용 접이식 받침구
WO2016159743A2 (ko)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2382177B1 (ko)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CN203574698U (zh) 一种可拆卸连接的手机保护件
CN205945889U (zh) 手机壳
KR200405511Y1 (ko) 휴대용 미니 삼각대
KR200217557Y1 (ko) 탈착이 가능한 휴대폰 목걸이
JP3069394U (ja) 携帯機器用ストラップとそのアクセサリ及びジョイント
CN220687782U (zh) 销钉结构
JP3070160U (ja) ストラップ
CN218959233U (zh) 装饰组件及终端设备
CN218383791U (zh) 一种平板电脑保护套
KR101980833B1 (ko)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CN219981230U (zh) 壳体以及电子设备
CN221081360U (en) Embedded structure and protective housing with orna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670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670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