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068B1 -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068B1
KR101486068B1 KR1020130132984A KR20130132984A KR101486068B1 KR 101486068 B1 KR101486068 B1 KR 101486068B1 KR 1020130132984 A KR1020130132984 A KR 1020130132984A KR 20130132984 A KR20130132984 A KR 20130132984A KR 101486068 B1 KR101486068 B1 KR 101486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support
hearing impaired
shoulder
h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근
김범진
최재경
박선하
이예나
박지연
편미주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32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집게 형태로 휴대폰의 외주연부를 파지하여 휴대폰을 고정하는 휴대폰 거치대; 휴대폰 거치대에 연결되어 휴대폰 거치대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지지대에 복수의 방향으로 분기되는 한편 임의의 각도와 형태로 구부려 고정할 수 있는 가요성의 어깨 걸이대;를 포함하는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Assistive Device for Unilateral Hearing}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각 장애이거나 말을 못하는 장애를 가진 사람이 휴대폰의 영상통화 기능으로 상대방과 원활한 수화동작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한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각 장애나 발음 기관의 이상 등으로 인해 말을 못하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전화를 이용한 통화를 할 수 없었다.
그런데, 최근 들어서는 휴대폰의 발달로 인해 청각 장애인들도 영상통화 기능을 통해 상대방과 수화로 의사소통이 가능해 졌다.
그러나, 언어 표현이 부자유스러운 청각 장애인들이 휴대폰을 이용한 영상통화 시에는 한 손으로 휴대폰을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만 수화를 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의사소통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청각 장애를 가진 사람이 휴대폰을 이용한 영상통화 시 휴대폰을 통화자의 신체에 거치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손이 자유롭고, 자유로운 양손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수화로 다양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한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집게 형태로 휴대폰의 외주연부를 파지하여 휴대폰을 고정하는 휴대폰 거치대; 휴대폰 거치대에 연결되어 휴대폰 거치대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지지대에 복수의 방향으로 분기되는 한편 임의의 각도와 형태로 구부려 고정할 수 있는 가요성의 어깨 걸이대;를 포함하는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지지대는 길이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단위지지대로 구비되어, 작은 직경의 단위지지대가 큰 직경의 단위지지대 내에 출입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지지대와 휴대폰 거치대 사이에는 임의의 방향으로 각도와 형태를 구부릴 수 있는 가요성의 가변 지지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휴대폰 거치대의 내측면에는 쿠션을 갖는 패드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어깨 걸이대에 연결되어 휴대폰 사용자의 신체에 걸 수 있는 장착벨트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에 의하면, 청각 장애인의 어깨 부위에 거치장치의 어깨 걸이대를 걸어 거치시키는 한편 거치장치의 휴대폰 거치대에 휴대폰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휴대폰의 영상통화 기능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양손을 이용한 수화로서 다양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에 구성되는 어깨 걸이대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에 구성되는 지지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에 구성되는 휴대폰 거치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의 설치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 걸이대(110), 지지대(120) 및 휴대폰 거치대(150) 등을 포함한다.
어깨 걸이대(110)는 도 2에서와 같이, 후술될 지지대(120)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어깨 걸이대(110)는 세방향으로 분기되어 어깨에 걸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세방향으로 분기된 어깨 걸이대(110)를 그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세방향 이상의 여러 방향으로 더 분기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특히, 이와 같이 분기되는 어깨 걸이대(110)는 임의의 각도와 형태로 자유롭게 구부려 고정할 수 있는 가요성 부재이면 모두 만족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형태로 다수의 볼조인트(112)가 일렬로 연결되어 설치된 어깨 걸이대(110)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어깨 걸이대(110)는 볼조인트(112)에 의해 자유롭게 구부려 각도와 형태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세방향으로 분기된 어깨 걸이대(110)를 통화자의 어깨 골격에 맞게 각각 임의의 각도와 형태로 자유롭게 굽힘 변형시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어깨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볼조인트(112)의 표면에는 점성이나 마찰력이 좋은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띠(113)가 볼조인트(112)의 원주방향으로 더 구비되어, 어깨 걸이대(11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어깨에서 어깨 걸이대(110)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어깨 걸이대(110)가 설치되는 지지대(120)는 일정한 강도를 가져 거치장치(100)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대(120)는 도 3에서와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갖는 금속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120)가 다수의 단위지지대로 이루어져 신축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그 일례로 예시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지지대(120)를 이루는 다수의 단위지지대는 그 직경이 서로 다른 중공의 금속파이프로서, 작은 직경의 단위지지대가 큰 직경의 단위지지대 내로 출입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지지대(120)는 구비되는 단위지지대의 개수만큼 2단 또는 다단의 구조로, 직경이 작은 단위지지대가 직경이 큰 단위지지대로부터 출입되면서 지지대(12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타입(telescopic type)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120)를 구성하는 단위지지대(121)(122)가 2단으로 구성된 구조를 그 일례로 예시하였고, 직경이 큰 제 1 단위지지대(121)로부터 직경이 작은 제 2 단위지지대(122)가 출입되면서 지지대(120)의 전반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 1 단위지지대(121)의 외측 선단부에는 제 1 단위지지대(121)에서 출입되는 제 2 단위지지대(122)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레버(123)가 구비된다. 즉, 제 1 단위지지대(121)에서 고정레버(123)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에 따라 제 2 단위지지대(122)가 제 1 단위지지대(121)에 고정되거나 출입가능한 상태가 되고, 고정레버(123)의 고정구조는 통상적인 수단과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지지대(120) 중 제 1 단위지지대(121)에서 인출되는 제 2 단위지지대(122)의 선단부에는 가요성의 가변 지지대(13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변 지지대(130)는 플렉시블한 주름관(일명 '벨로우즈관' 또는 '자바라'라고 한다)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가변 지지대(130)가 반드시 벨로우즈관에 국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변 지지대(130)를 임의의 방향으로 각도와 형태를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 가요성 부재이면 모두 만족한다.
한편, 상기한 가변 지지대(130)의 선단부에는 휴대폰(200)이 고정되는 휴대폰 거치대(150)가 설치된다.
이러한 휴대폰 거치대(150)는 도 4에서와 같이, 집게 형태로 구성되어 가변 지지대(130)의 선단부에 브라켓(140)을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휴대폰 거치대(150)는 양 집게부(151)가 그 힌지를 축으로 회전되면서 휴대폰(200)의 외주연부를 파지하고, 휴대폰(200)을 파지하는 양 집게부(151)의 내측면에는 쿠션력을 갖는 패드(152)가 더 설치되어, 휴대폰(200)의 파지 시 긁힘 등과 같은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폰 거치대(150)와 가변 지지대(130) 사이에는 회전가능한 구조의 브라켓(미도시)을 적용하여, 휴대폰 거치대(150)를 가변 지지대(130) 상에서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어깨 걸이대(110)에는 도 5에서와 같이, 거치장치(100)의 보다 안전한 거치를 위해 별도의 장착벨트(160)가 더 구성될 수 있고, 장착벨트(160)는 휴대폰(200) 사용자의 신체의 가슴과 등 부위를 가로지른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벨트(160)는 어깨 걸이대(110)의 일측에 묶음 등의 방법을 통해서 고정할 수 있고, 장착벨트(160)의 양단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장착벨트(160)를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잠금수단은 통상의 원터치식 잠금장치로서, 장착벨트(160)의 일편에는 후크부(161)가, 반대편에는 잠금부(162)가 구비된다. 따라서, 일편의 후크부(161)를 반대편의 잠금부(162)에 삽입하여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한편 후크부(161)를 눌러 잠금부(162)에서 분리시켜 낼 수 있는 통상의 구조를 갖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5에서와 같이, 휴대폰(200)을 거치장치(100)의 선단부에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150)의 양 집게부(151)에 파지시켜 고정한 상태에서 거치장치(100)의 후단부에 세방향으로 분기되어 구비된 어깨 걸이대(110)를 자신의 양 어깨 중 편한 쪽의 어깨에 맞게 구부려 거치시킨다. 물론, 거치 후에도 어깨 걸이대(110)의 볼조인트(112)를 통해 더 구부려 어깨에 견고하게 거치시킬 수 있다.
이후, 휴대폰 거치대(150) 후방의 지지대(120) 중 가변 지지대(130)를 임의의 방향과 형태로 구부려서 휴대폰(200)의 화면이 자신의 얼굴을 향하도록 각도를 조정하고, 지지대(120)의 제 1 단위지지대(121)에서 제 2 단위지지대(122)를 인출시켜 지지대(120)의 길이를 자신의 신체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휴대폰(200)의 영상통화 기능을 작동시켜 양손을 이용한 수화로서 다양하고 충분한 의사표현을 통해 상대방과 의사소통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어깨에 거치된 거치장치(100)를 신체에 보다 더 안전하게 거치시키기 위해서는 어깨 걸이대(110)의 일측에 장착벨트(160)를 묶어 고정한 상태에서 장착벨트(160)를 자신의 가슴과 등 부위를 가로지른 상태로 고정하여 설치함으로써, 어깨 걸이대(110)가 어깨에서 이탈되어도 거치장치(100)가 신체에 구속되어 낙하가 방지되므로 낙하로 인해 휴대폰(200) 및 거치장치(100)의 파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의 사용은 전술한 바와 같으나, 그 작동순서는 사람마다 달리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거치장치 110 : 어깨 걸이대
112 : 볼조인트 113 : 미끄럼 방지띠
120 : 지지대 121 : 제 1 단위지지대
122 : 제 2 단위지지대 123 : 고정레버
130 : 가변 지지대 140 : 브라켓
150 : 휴대폰 거치대 151 : 집게부
152 : 패드 160 : 장착벨트
161 : 후크부 162 : 잠금부
200 : 휴대폰

Claims (5)

  1. 집게 형태로 휴대폰의 외주연부를 파지하여 휴대폰을 고정하는 휴대폰 거치대;
    상기 휴대폰 거치대에 연결되어 휴대폰 거치대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세방향 이상으로 분기되는 한편 임의의 각도와 형태로 구부려 고정할 수 있는 가요성의 어깨 걸이대;를 포함하는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대는 길이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단위지지대로 구비되어, 작은 직경의 단위지지대가 큰 직경의 단위지지대 내에 출입가능하게 설치되는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지지대와 휴대폰 거치대 사이에는 임의의 방향으로 각도와 형태를 구부릴 수 있는 가요성의 가변 지지대가 더 설치되는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휴대폰 거치대의 내측면에는 쿠션을 갖는 패드가 더 설치되는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어깨 걸이대에 연결되어 휴대폰 사용자의 신체에 걸 수 있는 장착벨트가 더 설치되는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
KR1020130132984A 2013-11-04 2013-11-04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 KR101486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984A KR101486068B1 (ko) 2013-11-04 2013-11-04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984A KR101486068B1 (ko) 2013-11-04 2013-11-04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068B1 true KR101486068B1 (ko) 2015-01-26

Family

ID=52592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984A KR101486068B1 (ko) 2013-11-04 2013-11-04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0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970B1 (ko) * 2015-09-24 2017-05-10 유병준 이동통신단말기 지지대와 고정벨트의 연결구조
KR20190012011A (ko) * 2017-07-26 2019-02-08 방소윤 가요성 로드를 이용한 거치장치
KR102357530B1 (ko) * 2020-11-05 2022-02-07 홍이준 스마트폰 셀카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169A (ko) * 2008-01-10 2009-07-15 최후림 하드/소프트 전환타입의 목걸이형 단말기 거치장치
KR20110054934A (ko) * 2009-11-19 2011-05-25 유비벨록스(주) 이동단말기의 휴대용 거치대
KR20120040168A (ko) * 2012-02-29 2012-04-26 양두헌 모바일 기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169A (ko) * 2008-01-10 2009-07-15 최후림 하드/소프트 전환타입의 목걸이형 단말기 거치장치
KR20110054934A (ko) * 2009-11-19 2011-05-25 유비벨록스(주) 이동단말기의 휴대용 거치대
KR20120040168A (ko) * 2012-02-29 2012-04-26 양두헌 모바일 기기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970B1 (ko) * 2015-09-24 2017-05-10 유병준 이동통신단말기 지지대와 고정벨트의 연결구조
KR20190012011A (ko) * 2017-07-26 2019-02-08 방소윤 가요성 로드를 이용한 거치장치
KR101967795B1 (ko) 2017-07-26 2019-04-10 방소윤 가요성 로드를 이용한 거치장치
KR102357530B1 (ko) * 2020-11-05 2022-02-07 홍이준 스마트폰 셀카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1579B2 (en) Hand-free handset and neckband arrangement
US5677948A (en) Cordless portable hands-free telephone
US20070091557A1 (en) Apparatus for hold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 integrated cable holder
US20060058081A1 (en) Cellular telephone caddy
KR101486068B1 (ko)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
JP2000507760A (ja) ヘッドセット型電話機に変換可能なハンドセット型電話機
WO2019103338A1 (ko) 휴대기기용 홀더
SE9902247D0 (sv) Reciever set for desktop and mobile phones
US20060131468A1 (en) Accessory for hands-free use of a mobile communicator
KR101548297B1 (ko) 휴대폰 다용도 밴드
KR200482913Y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장치
WO2012148137A2 (ko)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
KR20160040861A (ko) 블루투스용 헤드셋
WO2015196383A1 (zh) 一种终端设备
CN210076808U (zh) 一种电子设备保护套系统
KR200170099Y1 (ko)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
US20220060209A1 (en) Mobile device holder
JP2002027078A (ja) コード卷取器付きイヤホーンマイク
KR20220009069A (ko) 휴대 단말기 부착형 거치대
JP2002314660A (ja) 携帯電話端末装置
SE9000740L (sv) Anordning foer baerbara telefoner
JP4793586B2 (ja) 「肩掛け電話送受話器と「電話送受話器の肩掛け固定具」
KR0116130Y1 (ko) 무선전화기의 외부 송수화기장치
KR20160118480A (ko) 팔찌형 스테레오 블루투스 이어셋
US7613294B2 (en) Hands free aural device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