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099Y1 -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099Y1
KR200170099Y1 KR2019990017824U KR19990017824U KR200170099Y1 KR 200170099 Y1 KR200170099 Y1 KR 200170099Y1 KR 2019990017824 U KR2019990017824 U KR 2019990017824U KR 19990017824 U KR19990017824 U KR 19990017824U KR 200170099 Y1 KR200170099 Y1 KR 200170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ear
coupled
mobile phon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관영
Original Assignee
유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관영 filed Critical 유관영
Priority to KR2019990017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0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0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전화를 손으로 잡지않고 간편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한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전화의 그립 고정구에 제1와이어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1커넥터부재와; 상기 제1커넥터와 상호 결합되는 제2커넥터부재와; 상기 제2커넥터부재에 결합되어 목에 걸수 있는 고리형상을 이루는 제2와이어와; 신호 전송선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와이어에 결합되는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와; 상기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휴대전화의 이어_마이크로폰 잭에 결합되는 휴대전화결합용 플러그와; 상기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의 신호 전송선을 통하여 휴대전화의 수화신호를 전송받아 음성으로 변환시키는 이어폰과: 상기 외부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의 신호 전송선을 통하여 휴대폰전화에 송화신호를 제공하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Ear-Microphone for handphone}
본 고안은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Ear_Microphone)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전화를 손으로 잡지않고 간편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한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휴대전화의 보급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으며, 그에 수반하여 커다란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차량 운전중의 휴대전화 통화시에는, 한손으로 핸드폰을 잡고 나머지 한손만으로 핸들을 조작하여야 함에 따라, 비상사태 발생시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여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등 교통사고의 주요 발생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차량에 휴대전화를 거치한 상태에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핸즈프리가 개발되어 점차 그 장착 차량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이어_마이크로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어_마이크로폰 잭이 장착되어 있는 휴대전화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어_마이크로폰(100)은, 도1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어폰(101)과 마이크로폰(102)이 동일 코드(103)상에 함께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휴대전화(110)에 장착되어 있는 이어_마이크로폰 잭(111)에 접속 플러그(104)를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며, 휴대전화 내장 송수화기와 이어_마이크로폰과의 신호 전환은 전환 스위치(105)에 의해 수행된다.
즉, 휴대전화로 전화가 왔을 때 전환 스위치(105)를 누르면, 이어_마이크로폰(100)의 이어폰(101)과 마이크로폰(102)으로 수신과 송신을 각각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은 휴대전화가 차량이나 사무실 책상등에 거치된 상태에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는 있으나, 거치된 전화기로부터 휴대전화 사용자의 귀에 이르는 코드(103)에 손이 걸리는 등 불편함이 있었으며, 휴대전화 사용자가 도보중이거나 대중교통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주머니나 소지하고 있는 가방에 핸드폰을 수납한 상태에서 이어_마이크로폰만 인출하여 사용하거나, 한손으로 핸드폰이나 핸드폰 그립(112)을 파지한 상태에서 이어_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더욱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이어_마이크로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 운전중 뿐만아니라 도보나 대중교통 이용시등 언제 어디서고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이어_마이크로폰의 예시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이어_마이크로폰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이어_마이크로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에 적용되는 커넥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1와이어 12 : 제1커넥터부재
13 : 제2 커넥터부재 14 : 제2와이어
16 :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 17 : 이어폰
18 : 마이크로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는, 휴대전화의 그립 고정구에 제1와이어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1커넥터부재와; 상기 제1커넥터와 상호 결합되는 제2커넥터부재와; 상기 제2커넥터부재에 결합되어 목에 걸수 있는 고리형상을 이루는 제2와이어와; 신호 전송선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와이어에 결합되는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와; 상기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휴대전화의 이어_마이크로폰 잭에 결합되는 휴대전화결합용 플러그와; 상기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의 신호 전송선을 통하여 휴대전화의 수화신호를 전송받아 음성으로 변환시키는 이어폰과: 상기 외부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의 신호 전송선을 통하여 휴대폰전화에 송화신호를 제공하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는 본 고안의 일시예에 따른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의 사시도로,
휴대전화(110)의 그립 고정구(113)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11)의 일단에 제1커넥터부재(12)가 결합되어 있으며, 제1커넥터(12)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넥터부재(13)에는 목에 걸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고리형상의 제2와이어 (14)가 결합되어 있다.
제2와이어(14)에는, 이어폰(17)과 마이크로폰(18)이 설치되어 있는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16)가 결합되는 바, 제2와이어(14)와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16)의 결합부 하단부로부터 휴대전화결합용 플러그(19)에 이르는 이어마이크로폰 코드부 (16')의 길이를 제1와이어(11)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여, 제2와이 어(14)를 목에 걸었을 때, 휴대전화의 하중이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16)나 휴대전화결합용 플러그(19)에 걸리지 않고 제1와이어(14)측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제2와이어(14)는, 중공 튜브형으로 형성되어,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16)가 중공부에 내장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외부에 복잡한 선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16)는 상기 제1커넥터부재(12)와 상기 제2커넥터부재(13)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제2와이어의 중공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2커넥터부재(13) 및 휴대전화결합용 플러그(19)를 제1커넥터부재(12)와 휴대전화의 이어_마이크로폰 잭(111)으로부터 각각 분리하여 따로 보관하게 되며, 제1와이어(11)는 통상적인 핸드폰 그립용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운전, 도보, 대중교통 이용, 사무등과 같이 양손을 자유롭게 이용하면서 휴대전화를 통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2커넥터부재(13) 및 휴대전화결합용 플러그(19)를 제1커넥터부재(12)와 휴대전화의 이어_마이크로폰 잭(111)에 각각 결합하고, 제2와이어(14)를 목에 건 후, 이어폰(17)을 귀에 꽂게 되면, 마이크로폰(18)은 자연스럽게 입 근처에 위치하게 되어 양손이 모두 자유로운 상태에서 송화 및 수화를 할 수 있게 되며, 전환 스위치(21)의 조작에 따라 휴대전화 내장 송수화기를 사용하거나, 이어폰과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통화할 수 있게 된다.
제2와이어(14)를 목에 건 상태에서는, 제2와이어(14) 및 제2와이어에 결합되어 있는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16) 모두 양손의 내측, 다시말하면 가슴부위에 위치하게 되므로, 종래의 핸즈 프리 사용시와 달리,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가 손에 걸린다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이 자유롭게 양손 모두를 사용하여 운전이나 사무를 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커넥터부재에 잭과 플러그를 내장하여, 커넥터의 결합에 의해 이어폰 및 마이크로폰이 휴대전화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제1커넥터부재(12)에는 커넥터내장형 잭(도시안함)이, 제2커넥터부 재(13)에는 커넥터내장형 플러그(13')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어_마이크로폰코드(1 6)는 분할 형성되어, 일단에 휴대전화결합용 플러그(19)가 결합되는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측(16a)의 타단은 상기 제1커넥터부재(12)의 커넥터내장형 잭에 결합되고, 일단에 이어폰(17)이 결합되는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측(16b)의 타단은 제2커넥터부재(13)의 커넥터내장형 플러그(13')에 결합된다.
이때도 역시, 잭과 플러그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휴대전화결합용 잭(111)에 결합되는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16a)의 길이를 제1와이어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와이어(14)상의 소정 위치에 이어폰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어폰 고정구(22)가 결합되어 있어, 이어폰을 사용안할 때는 이어폰의 헤드를 고정구의 홈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5는 본고안에 적용되는 커넥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로, 제2커넥터부재(13)에, 제1커넥터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13a)와 제2와이어(14)가 내장결합되는 'U'자형의 중공연결부(13b)를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바, 커넥터 부재를 탈착결합가능하게 상하 분할성형하여, 'U'자형의 중공부에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16b)가 내장되어 있는 제2와이어(14)를 안착시킨 후, 상하 커넥터를 결합시킴으로서 제2와이어 및 이어_마이크로폰코드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에 따르면, 별도의 핸즈프리장치 없이도 운전중에 양손을 자유로히 사용할 수 있으며, 제2와이어를 목에 건 상태에서는, 제2와이어 및 제2와이어에 결합되어 있는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 모두 양손의 내측, 다시말하면 가슴부위에 위치하게 되므로, 종래의 핸즈 프리 사용시와 달리,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가 손에 걸린다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이 자유롭게 양손 모두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핸즈 프리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 즉, 도보중이거나 대중교통 이용시에도, 한손으로 휴대전화를 잡을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통화를 할 수 있게 되며,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가 제2와이어의 중공부에 내장 결합되어 있음으로 인해, 휴대전화의 하중에 의해 잭과 플러그의 연결부 또는 이어_마이크로폰코드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코드의 단선이나 결합부의 탈락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외부로 드러나는 선을 최소화 하여 보관 및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휴대전화의 그립 고정구에 제1와이어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1커넥터부재와;
    상기 제1커넥터와 상호 결합되는 제2커넥터부재와;
    상기 제2커넥터부재에 결합되어 목에 걸수 있는 고리형상을 이루는 제2와이어와;
    신호 전송선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와이어에 결합되는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와;
    상기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휴대전화의 이어_마이크로폰 잭에 결합되는 휴대전화결합용 플러그와;
    상기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의 신호 전송선을 통하여 휴대전화의 수화신호를 전송받아 음성으로 변환시키는 이어폰과:
    상기 외부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의 신호 전송선을 통하여 휴대폰전화에 송화신호를 제공하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와이어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의 일부가 상기 제2와이어의 중공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는 상기 제1커넥터부재와 상기 제2커넥터부재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제2와이어의 중공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부재에는 커넥터내장형 잭이, 상기 제2커넥터부재에는 커넥터내장형 플러그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는 분할 형성되어,
    일단에 상기 휴대전화결합용 플러그가 결합되는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측의 타단은 상기 제1커넥터부재의 커넥터내장형 잭에 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이어폰이 결합되는 이어_마이크로폰 코드측의 타단은 상기 제2커넥터부재의 커넥터내장형 플러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부재는, 상기 제1커넥터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제2와이어가 내장결합되는 'U'자형의 중공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와이어에는, 상기 이어폰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어폰 고정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
KR2019990017824U 1999-08-26 1999-08-26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 KR200170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824U KR200170099Y1 (ko) 1999-08-26 1999-08-26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824U KR200170099Y1 (ko) 1999-08-26 1999-08-26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0099Y1 true KR200170099Y1 (ko) 2000-02-15

Family

ID=1958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824U KR200170099Y1 (ko) 1999-08-26 1999-08-26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0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286B1 (ko) * 1999-11-13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목걸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286B1 (ko) * 1999-11-13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목걸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1579B2 (en) Hand-free handset and neckband arrangement
AU9422398A (en) Cellular telephone set
KR200170099Y1 (ko)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
KR200221529Y1 (ko) 커플용 핸드프리 이어마이크
CN210093458U (zh) 用于挂耳机的辅助挂钩和手机
KR200193523Y1 (ko)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가 결합된 목걸이
KR200175159Y1 (ko) 이어폰 마이크 부착장치
KR200303914Y1 (ko) 유,무선 겸용 음성인식 핸즈프리 이어폰
KR200302706Y1 (ko) 이어폰 내장형 선그라스
KR200287419Y1 (ko) 장착부재를 이용한 탈부착가능한 핸즈프리
KR200200186Y1 (ko) 이어폰 고정장치
KR200225438Y1 (ko) 휴대 전화기용 이어폰
KR200223514Y1 (ko) 이동 전화기용 유무선 겸용 핸즈프리를 장착한 안경테
KR20010000437U (ko) 이어폰 기능과 스피커폰 기능을 갖는 차량용 핸드프리 장치
KR200279598Y1 (ko) 휴대폰의 음성전달장치
KR200287418Y1 (ko) 장착부재를 이용한 탈부착가능한 핸즈프리
KR200179188Y1 (ko) 휴대전화기용 이어폰
KR200180375Y1 (ko) 펜던트형 핸즈 프리
KR200266277Y1 (ko) 라디오가 내장된 휴대폰용 핸드프리 목걸이
KR200191437Y1 (ko) 핸즈프리 전화기
KR19990084177A (ko) 이동 무선 전화기용 핸즈프리 키트
KR200248700Y1 (ko) 핸드프리 장치
KR200271605Y1 (ko) 오토바이 헬멧용 스피커폰
KR200252679Y1 (ko) 이어 마이크로폰의 스위치장치
JP3068856U (ja) 携帯電話機ハンドフ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