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523Y1 -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가 결합된 목걸이 - Google Patents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가 결합된 목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523Y1
KR200193523Y1 KR2020000007636U KR20000007636U KR200193523Y1 KR 200193523 Y1 KR200193523 Y1 KR 200193523Y1 KR 2020000007636 U KR2020000007636 U KR 2020000007636U KR 20000007636 U KR20000007636 U KR 20000007636U KR 200193523 Y1 KR200193523 Y1 KR 200193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free
necklace
hol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열
Original Assignee
김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열 filed Critical 김정열
Priority to KR2020000007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5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5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가 결합된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체결구가 형성된 목걸이부와, 배선의 일단에 이동전화기 잭에 끼워지는 플러그가 형성되고 타단에 스피커가 형성된 핸즈프리부로 구성되는 것이 있어서, 상기 목걸이부에 표면으로부터 관통공으로 통하는 적어도 2 이상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핸즈프리부의 배선이 상기 구멍과 구멍사이에서 상기 관통공에 내장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핸즈프리부를 상시 목에 걸어 사용되는 목걸이부에 결합시켜 핸즈프리를 보관하기에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핸즈프리의 배선이 꼬이거나 묶여질 우려가 없다. 또한 핸즈프리 사용시에도 스피커만을 귀에 꼽거나 빼면 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가 결합된 목걸이{Necklace combined handsfree set for a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핸즈프리 배선 내장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전화기를 목에 걸기 위한 용도의 목걸이 내부에 핸즈프리의 배선이 내장되게 결합시킨 것이다.
이동전화기(소위 핸드폰, 휴대폰, MP3 통신단말기 등)의 보급이 일반화되어 가면서 이동전화기의 크기도 점차 소형화, 경량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으며, 한편으로는 이동전화기의 사용상의 편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종의 악세서리가 별도로 제공되고 있다.
상기 악세서리 중 본 고안에 관련되어 우선, 이동전화기를 목에 걸기 위한 이동전화기용 목걸이가 있다. 이동전화기의 소형화에 따라 분실의 우려가 많음으로 인하여 이동전화기를 목걸이에 체결하고 이 목걸이를 목에 걸어 둠으로써 분실의 위험을 방지하고 또한 신호음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가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전화 배선의 일단에 이동전화기의 잭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형성되고 타단에 이어폰등의 스피커가 형성되어 구성되며, 이동전화기를 직접 손에 들지 않고도 통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이동전화기용 목걸이 및 핸즈프리는 각각의 용도 내지 사용 목적에 따라 별도로 제작되어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이동전화기의 사용자는 이들을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핸즈프리의 취급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목걸이는 이동전화기를 목에 걸어 상시 사용하므로 별도의 보관이나 취급이 필요치 않으나 핸즈프리는 통화대기 상태에서는 이를 별도로 보관, 취급하고 통화중인 상태에서만 취부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하기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사용시 전화 배선이 꼬이거나 묶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핸즈프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핸즈프리를 상시 사용되는 목걸이에 결합시켜 핸즈프리를 보관,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 동시에 배선이 꼬이거나 묶여질 우려가 없는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가 결합된 목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체결구가 형성된 목걸이부와, 배선의 일단에 이동전화기 잭에 끼워지는 플러그가 형성되고 타단에 스피커가 형성된 핸즈프리부로 구성되는 것이 있어서,
상기 목걸이부에 표면으로부터 관통공으로 통하는 적어도 2 이상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핸즈프리부의 배선이 상기 구멍과 구멍사이에서 상기 관통공에 내장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목걸이부 11. 관통공
12. 체결구 13. 걸이끈
14, 15. 구멍
20. 핸즈프리부 21. 배선
22. 플러그 23. 스피커
30. 클립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목걸이부(10)와 핸즈프리부(20)으로 대별 구성된다.
상기 목걸이부(10)는 내부에 관통공(11)이 형성된 것으로 하며, 일단에 체결구(12)가 형성된다. 체결구(12)는 상기 목걸이부(10)와 이동전화기를 체결하는 수단으로서, 통상의 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걸이끈(13)에 의하여 이동전화기와 체결된다.
또한 상기 목걸이부(10)의 표면에는 내부 관통공(11)과 통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멍(14)(15)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핸즈프리부(20)의 배선(21)이 상기 구멍(14)과 구멍(15) 사이에서 상기 관통공(11)의 내부에 내장된다.
상기 핸즈프리부(20)는 전화 배선(21)의 일단에 이동전화기 잭에 끼워지는 플러그(22)가 형성되고 타단에 이어폰 등의 스피커(23)가 형성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핸즈프리부(20)의 배선(21)이 상기 목걸이부(10)에 형성된 구멍(14)과 구멍(15) 사에에서 목걸이부(10)의 내부 관통공(11)에 내장되는 상태로 목걸이부(10)와 핸즈프리부(20)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구멍(14)(15)은 핸즈프리부(20)의 플러그(22) 및 스피커(23)에 비하여 그 직경이 작기 때문에 핸즈프리부(20)가 목걸이부(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목걸이부(10)와 핸즈프리부(20)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목걸이부(10)의 구멍(14)(15) 부분에 상기 핸즈프리부(20)의 배선(21)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클립(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의 이동전화기의 사용상태도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걸림끈(13)에 의하여 이동전화기(40)에 체결된 목걸이부(10)를 목에 걸고, 핸즈프리부(20)의 플러그(22)를 이동전화기(40)의 잭(41)에 삽입한 상태에서, 통화대기중에는 핸즈프리부(20)의 스피커(23)가 구멍(15)를 중심으로 하향된 상태로 유지되며 통화시에는 점선으로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스피커(23)만 귀에 꼽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핸즈프리부를 상시 목에 걸어 사용되는 목걸이부에 결합시켜 핸즈프리를 보관하기에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핸즈프리의 배선이 꼬이거나 묶여질 우려가 없다. 또한 핸즈프리 사용시에도 스피커만을 귀에 꼽거나 빼면 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체결구가 형성된 목걸이부와, 배선의 일단에 이동전화기 잭에 끼워지는 플러그가 형성되고 타단에 스피커가 형성된 핸즈프리부로 구성되는 것이 있어서, 상기 목걸이부에 표면으로부터 관통공으로 통하는 적어도 2 이상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핸즈프리부의 배선이 상기 구멍과 구멍사이에서 상기 관통공에 내장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가 결합된 목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이 형성된 부분에 상기 배선과 목걸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가 결합된 목걸이.
KR2020000007636U 2000-03-17 2000-03-17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가 결합된 목걸이 KR200193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636U KR200193523Y1 (ko) 2000-03-17 2000-03-17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가 결합된 목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636U KR200193523Y1 (ko) 2000-03-17 2000-03-17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가 결합된 목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523Y1 true KR200193523Y1 (ko) 2000-08-16

Family

ID=1964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636U KR200193523Y1 (ko) 2000-03-17 2000-03-17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가 결합된 목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5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319B1 (ko) 멀티미디어용 휴대기기의 커넥터
US6731956B2 (en) Retractable cord for a mobile phone or other wireless device
KR200193523Y1 (ko)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가 결합된 목걸이
KR200248700Y1 (ko) 핸드프리 장치
KR200170099Y1 (ko)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
KR200399222Y1 (ko)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KR200359031Y1 (ko) 핸드폰용 이어폰 연결구
KR200252883Y1 (ko) 휴대전화기용 다목적 목걸이줄
KR200397054Y1 (ko) 이어폰 목걸이의 이어폰 와이어 고정 장치
KR200200176Y1 (ko) 헤어 핀 이어폰
KR200181929Y1 (ko) 휴대폰용 목걸이형 핸드프리 이어폰
KR20070105606A (ko) 휴대폰의 핸즈프리용 이어마이크폰의 수납 케이스
KR200243074Y1 (ko) 무선전화기용 악세사리 체결구
KR200327971Y1 (ko) 목걸이형 이어폰-마이크 조립체의 결합장치
KR100531493B1 (ko) 휴대전화 케이스
CN210093458U (zh) 用于挂耳机的辅助挂钩和手机
KR200363213Y1 (ko)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KR200441351Y1 (ko) 핸드폰 줄 홀더
KR200175159Y1 (ko) 이어폰 마이크 부착장치
KR200240637Y1 (ko) 휴대폰 걸이용 이어폰 목걸이
JP2998618B2 (ja) 携帯無線電話機
KR200343173Y1 (ko) 휴대전화 케이스
KR200180375Y1 (ko) 펜던트형 핸즈 프리
KR200233019Y1 (ko) 목걸이형 이어폰-마이크 세트
KR200221529Y1 (ko) 커플용 핸드프리 이어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