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42396A1 - 스마트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42396A1
WO2014042396A1 PCT/KR2013/008145 KR2013008145W WO2014042396A1 WO 2014042396 A1 WO2014042396 A1 WO 2014042396A1 KR 2013008145 W KR2013008145 W KR 2013008145W WO 2014042396 A1 WO2014042396 A1 WO 201404239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finger
main body
pres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814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대섭
Original Assignee
Lim Daesub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im Daesub filed Critical Lim Daesub
Publication of WO201404239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423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8Hand articles fastened to the wrist or to the arm or to the le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moun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phone mounting apparatus having a slip prevention function and a smartphone support function.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60954 discloses a technique of using an anti-slip strap for easy portability.
  •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7590 discloses a standable smartphone case that is used as a damage prevention and cradle.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many auxiliary cases having a cradle function. However, such an auxiliary case does not facilitate the holding state of the smartphone and can not prevent the fall in advanc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phone mounting apparatus that can provide a smartphone anti-slip function and a mounting function at the same time in one device.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phone mounting apparatus that can be used even when riding a bicycle or exercising by allowing the smartphone to be gripped more firmly.
  •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martphone mounting apparatus capable of supporting a smartphone, is formed to be detachable to the edge of the smartphone, each corner portion is cut to form an incision,
  • It provides a smartphone mounting device comprising a; finger-inserted portion is formed a support projection.
  • the smart phone mounting device and further comprises a wrist belt to be fitted to the wrist, the finger insertion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rist belt holder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wrist belt.
  • the finger inser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ntenna for receiving a communication signal or a broadcast signal.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llustrates that the space between the fingers fitted in the smart phon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shows that the finger is inserted into the smart phon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rear view showing that the spaced apart the finger parts provided in the smart phon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smart phone mou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llustrates a wrist belt provided in the smartphon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rist belt provided in the smartphon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martphon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300 is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smart phone 500, the finger fitting portion 20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300 Include.
  • the main body 300 and the finger fitting part 200 are elastically coupled. Therefore, it can be combined with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rubber or plastic materials, metal materials that provide elasticit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gured to elastically coupled through the spring (206).
  • the spring 206 by combining the spring 206 and the rope 208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save material cost and reduce the weight of the product. 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spring 206 is installed only on one side, and the other par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by the rope 208.
  • Hooks 207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pring 206 to engage with the rope 208.
  • One end of the rope 208 is formed with a rope fastening portion 205 formed with a ring to be coupled to the hook portion 207 of the spring 206.
  • the rope 208 is very strong an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thinnest one.
  • the rope 208 passes through each of the rope pipes 202 and the finger fitting through-pipes 209 to install the rope pipes 202 on three of four surfaces of the inner edge of the main body 300.
  • a rope pipe fixing part 201 for fixing the rope pipe 202, and forms a rope pipe groove portion 303 to which the rope pipe fixing part 201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 the spring 206 is installed to form a spring groove 302 to which the spring 206 can be seated.
  • the spring fixing part 30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pring groove part 302 so that the installed spring 206 does not flow.
  • the rope pipe 202 can be processed in any form of curved, straight, right angle, does not conduct electricity so as not to disturb the internal parts of the smart phone 500, using a material resistant to heat and impact It is preferable.
  • the rope pipe 202 is hollow is formed so that the rope 208 can pass through.
  • the finger insertion part 200 is installed in the corner part of the smart phone 500.
  • Finger fitting portion 200 is preferably used as a material with a cushion to ensure a good fit when the fingers are fitted, as well as to protect the smartphone 500 from impact.
  • the finger fitting part 200 is provided with a finger fitting part through tube 209 to allow the rope 208 to penetrate.
  • the finger through the through-pipe 209 may be formed a wrist belt holder 203 to the outside of the center so that the wrist belt engaging portion (not shown) can be fastened.
  • the finger fitting portion 200 is open to the wrist belt holder 203, the support protrusion 204 is formed to stand the smart phone 500 at both ends.
  • the finger fitting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n antenna for receiving a DMB broadcast or an antenna for receiving a communication signal such as WCDMA or LTE.
  • an antenna having a length suitable for a broadcast or communication purpose may be included in part or all of the finger fitting part 200.
  • the foreign matter prevention groove 21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oreign matter prevention fixing part 305 formed in the main body 300 so that foreign matter does not enter into the smartphone 500.
  • the foreign matter prevention fixing part 305 forms a rope hole to allow the rope 208 to pass through the main body 300.
  •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300, the support groove 304 is formed so that the support protrusion 204 is fitted so that the smart phone 500 can stand.
  • the rope pipe fixing part 201 is fixed to the rope pipe groove 303 formed in the main body 300, and the finger fitting part 200 is disposed at the cutout portion at which each corner of the main body 300 is cut.
  • FIG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nger fitted portion provided in the smart phon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finger inserted into the smart phon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rear view showing that the space between the finger parts provided in the smart phon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pace between the finger fitting portion 200 provided in the smart phon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aced apart from the incision of each corner of the main body 300 is formed It becomes possible. Through such a space, any finger can be inser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four cutouts and the finger fitting part 200 formed at the corner of the smart phone 500 so as not to slip.
  • Figure 6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mounting the smart phon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pport groove 304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main body 300, a total of eight around each corner cutout so as to fit the support protrusion 204.
  • a guide part may be further formed to guide the support protrusion 204 to the support groove 304.
  • two or more grooves may be formed in each corner so that a desired angle can be selected when the smartphone is mounted.
  • Figure 7 illustrates a wrist belt provided in the smartphon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equipped with a wrist belt provided in the smartphon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is shown.
  • the wrist belt 400 forms a left and right two using a soft material without a sense of rejection of the part that touches the wrist, and each end of the wrist belt hook portion 401 to hang on the four wrist belt holder (203) Form.
  • Wrist belt engaging portion 401 is a rope type to hang the rope on the other hand to form a detachable portion 402 to be detachable.
  • a wrist belt fixing part 403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wrist belt locking part 401 opposite to the wrist belt fixing part 403 to be fastened to the wrist belt fixing part 403.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of course, th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se fitted to the edge of the smartphone as a smartphone accessory.
  • the material of the main body 300 can be configured to be elastic. In this case, it can be applied to smartphones of various sizes.
  • the smartphone mou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perates as follows.
  • the finger when the user uses the mounting function, the finger can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by mov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it can be used as a holder for supporting the smart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지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모서리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각 모퉁이부분이 절개되어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와 인접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 방향으로 지지홈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절개부와 탄성결합되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으로 소정각도 회전후 상기 본체의 지지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손가락 끼움부;를 포함하여 미끄럼방지 및 거치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스마트폰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거치장치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끄러짐 방지 기능 및 스마트폰 지지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화기능 이외에 무선인터넷 접속, 동영상 재생, 카메라 기능 등 여러가지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도 점점 대형화되어가면서 스마트폰의 크기 또한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대형 스마트폰은 큰 화면을 통해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답답하지 않고 시원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스마트폰의 휴대성은 떨어지게 된다. 더욱이 스마트폰을 손에 들고 사용하는 시간이 점점 길어지게 되는 추세인데, 견고하게 스마트폰을 파지하지 못할 경우 떨어뜨려 스마트폰이 파손되거나 훼손될 위험성이 더욱 커지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60954호에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미끄럼 방지 스트랩을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대형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수단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7590호는 파손방지와 거치대로 사용되는 스탠딩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도 거치대 기능을 가진 보조케이스들이 많이 나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보조케이스는 스마트폰의 파지상태를 용이하게 하지 못하여 낙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미끄럼 방지기능 및 거치기능을 각각 갖춘 스마트폰 악세서리는 있었지만, 2가지 기능을 동시에 갖춘 스마트폰 악세서리가 존재하지 않아 미끄럼 방지기능을 위해 이러한 기능을 갖춘 별도의 케이스를 구매하여야 하며, 스마트폰 거치를 위해 또다른 거치수단을 구매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장치로 스마트폰 미끄럼 방지기능 및 거치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보다 견고하게 스마트폰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자전거를 타거나 운동시에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지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모서리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각 모퉁이부분이 절개되어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와 인접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 방향으로 지지홈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절개부와 탄성결합되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으로 소정각도 회전후 상기 본체의 지지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손가락 끼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장치는, 손목에 끼울 수 있도록 손목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끼움부는, 상기 손목벨트의 끝단과 결합하는 손목벨트홀더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가락 끼움부는, 통신신호 또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가락을 끼워 넣을 수 있는 스마트폰을 제공함으로써 손가락 끼움부에 손가락을 끼워 미끄러짐을 방지함으로써 스마트폰의 낙하로 인한 파손이나 훼손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가락 끼움부를 스마트폰의 뒤쪽면으로 이동시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 거치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 탈부착하는 손목벨트를 제공하여 자전거나 조깅 같은 운동시에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구비된 손가락 끼움부가 이격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손가락이 삽입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구비된 손가락 끼움부가 이격된 것을 도시한 후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가 거치되는 작동을 도시한 것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구비되는 손목벨트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구비되는 손목벨트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리고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 /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는, 스마트폰(500)의 모서리를 따라 배치되는 본체(300)와, 상기 본체(300)와 결합되는 손가락 끼움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300)와 손가락 끼움부(200)은 탄성결합된다. 따라서, 탄성을 제공하는 고무재질이나 플라스틱재질,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료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스프링(206)을 통하여 탄성결합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스프링(206)과 로프(208)를 결합시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재료비를 절약하고 제품의 무게를 줄이도록 하였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면에만 스프링(206)을 설치하고 나머지부분은 로프(208)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였다.
스프링(206)의 양 끝단은 로프(208)와 결합되도록 후크부(207)가 형성된다.
로프(208)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206)의 후크부(207)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고리를 형성한 로프체결부(205)가 형성된다.
여기서, 로프(208)는 강도가 매우 강하며 최대한 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프(208)는 각 로프관(202),손가락 끼움부 관통관(209)을 통과하여 본체(300) 내부 가장자리의 4면중 3면에 로프관(202)을 설치한다.
이를 위해 상기 로프관(202)을 고정시키는 로프관고정부(201)를 구비하고, 상기 로프관고정부(201)를 삽입 체결할 수 있는 로프관홈부(303)를 형성한다.
한편, 본체(300)의 가장자리중 스프링(206)이 설치되는 나머지 1면에는 상기 스프링(206)이 안착할 수 있는 스프링홈부(302)를 형성한다. 또한, 설치된 스프링(206)이 유동되지 않도록 스프링홈부(302) 중심부에 스프링고정부(301)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로프관(202)은 곡선,직선,직각의 어떠한 형태로도 가공이 가능하며, 스마트폰(500) 내부부품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전기 전도가 되지 않으며, 열과 충격에 강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프관(202)은 중공이 형성되어 로프(208)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한다.
손가락 끼움부(200)는, 스마트폰(500)의 모퉁이부분에 설치된다. 손가락 끼움부(200)는 쿠션이 있는 소재로 사용하여 손가락을 끼웠을때 착용감이 좋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500)을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가락 끼움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로프(208)가 관통할 수 있도록 손가락 끼움부 관통관(209)이 설치된다.
한편, 손가락 끼움부 관통관(209)에는 손목벨트걸림부(미도시)가 체결 될 수 있도록 중심부 바깥쪽으로 손목벨트홀더(203)를 형성할 수 있다.
손가락 끼움부(200)는 손목벨트홀더(203) 부분은 개방되며, 양쪽 끝에 스마트폰(500)을 세울 수 있도록 지지돌기(20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가락 끼움부(20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DMB 방송수신을 위한 안테나 또는 WCDMA, LTE 등의 통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여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방송용 또는 통신용 등 용도에 맞는 길이의 안테나를 상기 손가락 끼움부(200)의 일부 또는 전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500)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본체(300)에 형성된 이물질방지고정부(305)에 대응되도록 이물질방지홈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이물질방지고정부(305)에는 로프구멍을 형성하여 본체(300)를 로프(208)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체(300)의 뒤쪽면에는, 스마트폰(500)을 세울 수 있도록 지지돌기(204)가 끼워지도록 지지홈(304)을 형성한다.
본체(300)에 형성된 로프관홈부(303)에 로프관고정부(201)를 고정하며 손가락 끼움부(200)는 본체(300)의 각 모퉁이가 절개된 절개부에 배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구비된 손가락 끼움부가 이격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손가락이 삽입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구비된 손가락 끼움부가 이격된 것을 도시한 후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구비된 손가락 끼움부(200)가 본체(300)의 각 모퉁이의 절개부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공간을 통해 스마트폰(500) 모퉁이에 형성된 4개의 절개부와 손가락 끼움부(200) 사이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소정 위치에 어느 손가락이든 끼워 넣을 수 있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가 거치되는 작동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손가락 끼움부(200)를 스마트폰(500)의 뒷면쪽으로 이동시켜 스마트폰(500)의 뒷면쪽 지지홈(304)에 손가락 끼움부(200)의 지지돌기(204)를 삽입하여 스마트폰(5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홈(304)는 본체(300)의 뒷면에 각 모퉁이 절개부 주위에 2개씩 총 8개를 형성하여 지지돌기(204)를 끼울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홈(304)까지 지지돌기(204)가 안내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폰이 거치될 때 원하는 각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각 모퉁이에 2개이상으로 복수개의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구비되는 손목벨트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구비되는 손목벨트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손목벨트(400)는 손목에 닿는 부분을 거부감이 없는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하여 좌우 2개를 형성하며 각 한쪽 끝에는 손목벨트홀더(203) 4곳에 걸도록 손목벨트걸림부(401)를 형성한다.
손목벨트걸림부(401)는 밧줄을 거는 비너형식이며 한편에 탈부착하도록 탈부착부(402)를 형성한다.
여기서, 손목벨트걸림부(401) 반대쪽 일측에는 손목벨트고정부(403)을 타측에는 손목벨트고정부(403)가 체결되도록 손목벨트홈부(404)를 형성하여 손목에 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 1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500)과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장치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스마트폰 악세서리로서 스마트폰 가장자리에 끼워지는 케이스 형태로 본 발명의 거치장치를 구현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또한, 본체(300)의 소재가 탄성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사이즈의 스마트폰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사용자가 미끄럼방지기능을 이용할 때에는, 각 본체 외부 모퉁이에 있는 손가락 끼움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손가락을 손가락 끼움부와 본체 외부 절개부 사이로 끼워 넣는다. 이때,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늘어났다가 복원되면서 손가락에 의한 스마트폰의 견고한 파지상태가 형성된다.
이후, 사용자가 거치기능을 이용할 때에는, 손가락 끼움부를 본체 뒤쪽면으로 이동하여 지지홈에 삽입하여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스마트폰을 지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모서리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각 모퉁이부분이 절개되어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와 인접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 방향으로 지지홈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절개부와 탄성결합되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으로 소정각도 회전후 상기 본체의 지지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손가락 끼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거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장치는, 손목에 끼울 수 있도록 손목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끼움부는, 상기 손목벨트의 끝단과 결합하는 손목벨트홀더가 형성되는, 스마트폰 거치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끼움부는, 통신신호 또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거치장치.
PCT/KR2013/008145 2012-09-12 2013-09-10 스마트폰 거치장치 WO201404239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1078 2012-09-12
KR10-2012-0101078 2012-09-12
KR1020130058756A KR101344639B1 (ko) 2012-09-12 2013-05-24 스마트폰 거치장치
KR10-2013-0058756 2013-05-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42396A1 true WO2014042396A1 (ko) 2014-03-20

Family

ID=4998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8145 WO2014042396A1 (ko) 2012-09-12 2013-09-10 스마트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44639B1 (ko)
WO (1) WO20140423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422A1 (ko) * 2015-12-23 2017-06-29 여창기 매직 스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923B1 (ko) * 2014-08-14 2016-01-18 고영봉 휴대기기 보호대
KR101753173B1 (ko) 2015-06-25 2017-07-04 고재송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8667A (ko) * 2006-08-25 2008-02-28 윤일성 휴대폰용 손가락 거치대
KR200451201Y1 (ko) * 2008-09-30 2010-12-09 김태훈 핸드폰 손걸이
WO2011135028A2 (en) * 2010-04-28 2011-11-03 James Low Johnston Positioning devices
KR20120005267U (ko) * 2011-01-11 2012-07-19 조성목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57B1 (ko) *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8667A (ko) * 2006-08-25 2008-02-28 윤일성 휴대폰용 손가락 거치대
KR200451201Y1 (ko) * 2008-09-30 2010-12-09 김태훈 핸드폰 손걸이
WO2011135028A2 (en) * 2010-04-28 2011-11-03 James Low Johnston Positioning devices
KR20120005267U (ko) * 2011-01-11 2012-07-19 조성목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422A1 (ko) * 2015-12-23 2017-06-29 여창기 매직 스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4639B1 (ko)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6422B2 (en) Cantilevered snap fit case
US9438299B2 (en) Stretchable strap cover for electronic device
WO2013048041A2 (ko)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WO2016137288A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WO2014014194A1 (ko)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
US20130105662A1 (en) Easily Attachable/Detachable, Multi-Function Support For A Tablet Personal Computer
WO2019103338A1 (ko) 휴대기기용 홀더
WO2014042396A1 (ko) 스마트폰 거치장치
WO2017111422A1 (ko) 매직 스트랩
WO2015182948A1 (ko)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WO2013191314A1 (ko) 휴대폰 케이스
WO2016163659A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WO2015080417A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핸드그립
WO2016088945A1 (ko) 휴대기기 케이스
WO2017135725A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용 지지대
WO2016068399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CN205596176U (zh) 一种多用途手机支架
WO2014021496A1 (ko) 태블릿 컴퓨터 케이스 겸 거치대
KR101486068B1 (ko)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
WO2020011031A1 (zh) 一种带支架补光的无线充供电装置
KR200483316Y1 (ko) 스마트폰 거치대
CN213305722U (zh) 一种带触控功能蓝牙耳机
WO2016035913A1 (ko) 스마트 기기 부착장치
WO2013133519A1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WO2010079896A2 (ko) 스타일러스 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369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369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