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84765A1 -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84765A1
WO2020184765A1 PCT/KR2019/003307 KR2019003307W WO2020184765A1 WO 2020184765 A1 WO2020184765 A1 WO 2020184765A1 KR 2019003307 W KR2019003307 W KR 2019003307W WO 2020184765 A1 WO2020184765 A1 WO 202018476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harger
portable terminal
mobile terminal
folding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33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민웅
Original Assignee
최민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웅 filed Critical 최민웅
Publication of WO202018476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8476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holder capable of charging a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op regardless of the slope of a plug terminal hole.
  • a plug disposed on the adapter is combined with an external outlet to receive power through the outlet and Operates to charge the battery.
  • Korean Patent No. 1732170 (hereinafter referred to as'prior literature') filed earlier describes the contents of a charging adapter equipped with an angle adjustment cradle, and as shown in Fig. 1, the direction of the power terminal hole of the outlet When arranged in the diagonal direction, insert the power plug P of the adapter 20 into the power terminal hole of the outlet, and then insert the sliding member 14 of the cradle 10 into the sliding groove 24 of the adapter 20. Sliding accordingly so that the cradle 10 is in a horizontal state above the adapter 20.
  • the sliding member 14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24 and along the sliding groove 24, the sliding member ( By sliding 14),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cradle 10 to a desired angle.
  •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specified in the prior literature must carry a flat plate holder having a large area equivalent to the area of a portable terminal, so the user cannot basically carry it in a pocket or pocket of clothes, and the sliding member of the holder is powered. Since it is a method of sliding by inserting it into the sliding groove of the plug P, there is a problem that durability is weak becaus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neck of the sliding member is easily broken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and adjusting the holder.
  • the present invention i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an be inserted and us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plug terminal hole (horizontal or diagonal) of an outlet,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weight such as a tablet PC as well as a smartphone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mounted and charged.
  •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harger body for charging the mounted portable terminal by being plugged into an outlet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nd mounted on an upper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mount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er body,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aught and mounted.
  •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rotrusion further includes a folding mounting piece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harger body in a stat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ounting protrusion.
  • the folding mounting pieces are provided with a pair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have a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 the foldable mounting piece is hinged so that one side is rotatably inserted into a reces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er body.
  • a mounting groove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foldable mounting piec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inserted and caught in a state that is spread out of the charger body.
  • a folding cradle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harger body is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harger body.
  • the folding cradle is hinged at one end from the charger body, and the other end is finished with a slip preventing member so that it can be contacted and supported by the wall surface when it is unfolded away from the charger body.
  • the slip preventing member is made of silicone.
  • a charger body for charging the mounted portable terminal by being plugged into an outlet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And a folding mounting piece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harger bod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er body and having a mounting groove of the portable terminal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 the folding mounting pieces are provided with a pair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have a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 the folding mounting piece is provided only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 a mounting groove is further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o which the folding mounting piece is pivotally coupled in the charger body.
  •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easy to carry and can be plugged and us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plug terminal hole (horizontal or diagonal) of an outlet.
  • a general smartphone having a light weight but also a heavier portable terminal such as a tablet PC
  • the port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charger for both mounts are significantly improved.
  • 1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cradle combined charger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erected and mounted on a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terminal is laid on its side and mounted on a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folding mount of the char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cradle of the charger is ope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erected and mounted on a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a folding mount of a char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cradle of the charger is ope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terminal is erected and mounted on a char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opened state of a folding cradle of a char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mount of the charger is ope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a charger while the charger is plugged into the outlet when the plug terminal hole of the outlet is in a diagonal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harger for both a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laid on its side and mounted on a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g terminal 11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by inserting into a plug terminal hole of an outlet at one side of the charger body 100 made of a plastic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equipped.
  • a mounting protrusion 100a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harger body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200 such as a smartphone is held and mounted in a raised state.
  • the portable terminal 200 may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eing charged by the mounting protrusion 100a or laid on the side to be mounted on the charger body 100.
  • the portable terminal 200 when a user mounts a portable terminal 200 such as a tablet PC that has more weight than several smartphones or smartphones, the portable terminal 200 may be damaged by the plug falling out of the outlet 250 due to the load. There is.
  • a folding support piece 140 is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harger body 100 to be folded or unfolded from the charger body.
  • the folded support piece 140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as the plug is inserted.
  • the load of the charger and the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charger is applied to the end of the folding support piece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and supported by the folding support piece ( 140), and accordingly, it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even when several or more portable terminals 200 are mounted on the mounting protrusion 100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er body 100 Is understandable.
  • USB port 12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smartphone 200 is formed on either or both sides of the rear or side of the charger body 100, two USB ports are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also possible to charge two portable terminals at the same time by plugging each portable terminal 200 into the port 120.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folding mount of the char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mount of the charger is ope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oldable mounting pieces 13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er body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the folded mounting piece 130 is coupled to the hinge 130b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outside of the charger body 100, and the user can open the folded mounting piece 130 as shown in FIG. 7 as needed.
  • the user When the foldable mount is opened, as shown in FIG. 8, the user inserts the portable terminal 200 into the mounting groove 130a of the foldable mount 130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placed on the charger body 100. It is understandable that it can be supported stably.
  •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folding mount of the char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mount of the charger is ope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erected and mounted on a char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further integrally formed with a mounting protrusion 100a vertically upwardly with the folded mounting piece 130 at one end of the folded mounting piece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 FIG 9 is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mount is folded, in this case, the folding mount 130 is folded and enters the charger body 100, and only the mounting protrusion 100a protrudes upward from the charger body 100. Charging may be performed while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mounted so as to be caught in the protrusion 100a.
  • FIG. 10 is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mount is opened, and in some cases, when stably mounting a tablet PC having a size larger than that of several smartphones or smartphones, the folding mount 130 is attached to the charger body ( 100)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mounting protrusion 100a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lding mounting piece 130 is also rotated when it is opened outward.
  • the mounting protrusion 130a when the mounting protrusion 130a is rotated by a certain angle, it is caught by the charger body 100 and is constrained so that it cannot be rotated any more, so that the folding mounting piece 130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upright. In this state, the user can stably mount and charge several smartphones or tablet PCs in the mounting groove 130a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foldable mounting piece 130 that stands upward.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able mount of the charger is partially ope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that the foldable mount of the charger is ope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charger when the plug terminal hole of the outlet is in a diagonal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2 to 14 show the case where the plug terminal hole of the outlet 250 is disposed in a diagonal direction. This is an example.
  • the charger body 100 when the user first inserts the plug 110 of the charger into the plug terminal hole in the diagonal direction, the charger body 100 is also inserted into the outlet 250 in a state inclined by the same angle. It is understandable that when the 130 is unfolded, the foldable mounting piece 130 is unfolded as shown in FIG. 13.
  • the folding mounting piece 130 When the folding mounting piece 130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groove 130a of the unfolded folding mounting piece 130 and the mounting groove 130c formed in the charger body 100 are located on the horizontal line, At this time, the user is in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horizontally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130a of the foldable mounting piece 130 and the mounting groove 130c of the charger body 100 on the horizontal line, as shown in FIG. Just perform charg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r other embodiments, and as an example, it is possible to create the same effect even when chang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number, and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device. It is stated that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added and modified within the categ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는, 상면에 휴대단말기가 올려져 거치된 상태로 콘센트에 꽂아져 상기 거치된 휴대단말기를 충전하는 충전기 몸체; 및 상기 충전기 몸체의 상면에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휴대단말기의 하단부가 걸림되어져 거치되는 거치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 단자홀의 기울기에 상관없이 휴대단말기를 위에 올려 거치한 상태로 충전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충전 어댑터(또는 충전기)의 경우, 어댑터에 배치된 플러그가 외부에서 제공되는 콘센트와 결합되어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케이블로 연결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동작된다.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공항이나 기차역 등 공공장소에 비치된 콘센트를 통해 자신의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경우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를 바닥에 내려놓거나 충전 어댑터 위에 살짝 거치한 상태로 충전을 하고 있는데, 이때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해 휴대단말기가 플러그 위에서 떨어져 파손될 위험소지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나가던 사람이 부주의하게 휴대단말기를 발로 밟거나 차게 되면 고가의 휴대단말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이러한 휴대단말기를 거치한 상태로 충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거치대 겸용 충전기가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나, 콘센트의 플러그 단자홀 각도가 수평이 아니라 일정각도만큼 기울어진 형태인 경우에는 휴대단말기의 거치가 용이하지 않아 여전히 휴대단말기가 파손될 여지가 남아있었다.
이를 위해 앞서 출원된 한국 등록특허 제1732170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에는 각도 조절 거치대를 구비한 충전 어댑터에 대한 내용이 명시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의 전원 단자홀의 방향이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에는 콘센트의 전원 단자홀에 어댑터(20)의 전원 플러그(P)를 꽂은 다음, 거치대(10)의 슬라이딩 부재(14)를 어댑터(20)의 슬라이딩 홈(24)을 따라 슬라이딩시켜 어댑터(20)의 상방에서 거치대(1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콘센트의 전원 단자홀의 방향과 어댑터(20)의 전원 플러그(P)의 방향이 일치되도록 한 다음 슬라이딩 홈(24)에 슬라이딩 부재(14)를 끼워 슬라이딩 홈(24)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14)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거치대(1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러나 선행문헌에 명시된 종래 구성은 휴대단말기의 면적에 상당하는 넓은 면적을 가지는 평판 거치대를 반드시 휴대해야만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기본적으로 의복의 주머니나 포켓 속에 넣어 휴대할 수가 없고, 상기 거치대의 슬라이딩 부재를 전원 플러그(P)의 슬라이딩 홈에 끼워 슬라이딩하는 방식이므로 거치대를 옮기고 조정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 부재의 목 부분이 쉽게 부러질 우려가 크므로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콘센트의 플러그 단자홀 방향(수평 또는 대각선)에 상관없이 꽂아 사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태블릿 PC와 같은 중량감이 있는 휴대단말기도 모두 거치하여 충전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는, 일 실시예에 따라 상면에 휴대단말기가 올려져 거치된 상태로 콘센트에 꽂아져 상기 거치된 휴대단말기를 충전하는 충전기 몸체; 및 상기 충전기 몸체의 상면에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휴대단말기의 하단부가 걸림되어져 거치되는 거치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돌기의 저면에는 거치돌기와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충전기 몸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철 거치편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좌우 양측으로 한쌍이 구비되어 서로 대칭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충전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된 상태로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접철 거치편의 중단부에는 충전기 몸체 밖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하단부가 끼워져 걸림될 수 있도록 거치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충전기 몸체의 저면에는 일단이 상기 충전기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접철 거치대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접철 거치대는 충전기 몸체로부터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충전기 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펼쳐진 상태에서는 벽면과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타단이 슬립방지부재로 마감 처리된다.
또한 상기 슬립방지부재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면에 휴대단말기가 올려져 거치된 상태로 콘센트에 꽂아져 상기 거치된 휴대단말기를 충전하는 충전기 몸체; 및 상기 충전기 몸체의 상면에는 충전기 몸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휴대단말기의 거치홈이 형성된 접철 거치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좌우 양측으로 한쌍이 구비되어 서로 대칭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접철 거치편은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에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충전기 몸체에서 접철 거치편이 회동 결합된 반대측에는 거치홈이 추가로 더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고 콘센트의 플러그 단자홀 방향(수평 또는 대각선)에 상관없이 꽂아 사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무게가 가벼운 일반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태블릿 PC와 같은 보다 무거운 휴대단말기도 모두 거치하여 충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거치대 겸용 충전기의 휴대성과 내구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의 동작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를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상에 휴대단말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세워서 거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상에 휴대단말기가 옆으로 누워서 거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의 접철 거치편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상에 휴대단말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세워서 거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의 접철 거치편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상에 휴대단말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세워서 거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의 접철 거치편이 일부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의 플러그 단자홀이 대각선 방향일 때, 충전기가 콘센트에 꽂힌 상태에서 휴대단말기가 충전기 상에 거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 부호
100 : 충전기 몸체 110 : 플러그 단자
100a: 거치돌기 130 : 접철 거치편
130a, 130c: 거치홈 130b: 힌지
140 : 접철 지지편 200 : 휴대용 단말기
250 : 콘센트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상에 휴대단말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세워서 거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상에 휴대단말기가 옆으로 누워서 거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먼저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 재질로 된 충전기 몸체(100)의 일측에는 콘센트의 플러그 단자홀에 꽂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 단자(110)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충전기 몸체의 상부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200)가 올려진 상태로 걸림되어져 거치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갖는 거치돌기(100a)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거치돌기(100a)에 의해 충전 중인 상태로 휴대단말기(200)를 길이방향으로 길게 세우거나 옆으로 눕혀서 충전기 몸체(100) 위에 올려 거치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여러 대의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보다 중량감이 있는 태블릿 PC 등의 휴대단말기(200)를 거치하는 경우 하중에 의해 플러그가 콘센트(250)로부터 빠져 낙하함으로써 휴대단말기(200)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4 및 도 5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기 몸체(100)의 저면에는 충전기 몸체로부터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접철 지지편(140)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접철 지지편(140)을 편 상태로 콘센트(250)의 플러그 단자홀에 충전기를 꽂으면 플러그가 꽂힘에 따라 상기 접철 지지편(140)이 벽면에 접촉 지지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철 지지편의 벽면과 접촉 지지되는 끝단에는 실리콘 등의 슬립방지부재(140a)가 씌어져 마감 처리되어 있음에 따라 충전기 및 상기 충전기에 거치된 휴대단말기의 하중이 상기 접철 지지편(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충전기 몸체(100) 상면에 여러 대 또는 보다 무게가 있는 휴대단말기(200)를 올려 거치돌기(100a)에 거치한 경우에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충전기 몸체(100)의 후면 또는 측면 어느 일측이나 양측 모두에는 스마트폰(200)의 충전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USB 포트(120)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2개의 USB 포트(120)에 각각 휴대단말기(200)를 꽂음으로써 2대의 휴대단말기를 동시에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의 접철 거치편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몸체(100)의 상면에 한쌍의 접철 거치편(130)을 구비한다. 상기 접첩 거치편(130)은 충전기 몸체(100) 바깥쪽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130b)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도 7과 같이 접철 거치편(130)을 열 수 있다.
상기 접철 거치편을 연 상태에서는 도 8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200)를 접철 거치편(130)의 거치홈(130a)에 끼워 거치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200)가 충전기 몸체(100)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의 접철 거치편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상에 휴대단말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세워서 거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접철 거치편(130)의 일단부에는 접철 거치편(130)과 수직하게 상방을 향해 거치돌기(100a)가 일체로 더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접철 거치편(130)이 충전기 몸체(100)의 상면에 닫혀져 인입된 상태에서는 몸체 상방으로 거치돌기(100a)만이 돌출된 상태이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200)를 거치돌기(100a)를 이용하여 충전기 몸체(100) 상에 올려 거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철 거치편(130)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접철 거치편이 접혀진 상태로서, 이때는 접철 거치편(130)은 접혀져 충전기 몸체(100) 내부로 들어가 있고, 거치돌기(100a)만 충전기 몸체(100)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거치돌기(100a)에 걸림되도록 휴대단말기(200)를 거치한 상태로 충전을 수행하면 된다.
한편 도 10은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로서, 간혹 여러 대의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보다 크기가 큰 태블릿 PC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처럼 접철 거치편(130)을 충전기 몸체(100) 바깥쪽으로 열어젖히면 상기 접철 거치편(13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거치돌기(100a)도 함께 회동되어짐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거치돌기(130a)가 일정 각도만큼 회동되어지면 충전기 몸체(100)에 걸림되어져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도록 구속되므로 접철 거치편(130)이 상방으로 기립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상방으로 기립된 접철 거치편(130)의 중단부에 형성된 거치홈(130a)에 여러 대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안정적으로 거치 및 충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의 접철 거치편이 일부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의 플러그 단자홀이 대각선 방향일 때, 충전기가 콘센트에 꽂힌 상태에서 휴대단말기가 충전기 상에 거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의 플러그 단자홀이 대각선 방향일 때, 충전기가 콘센트에 꽂힌 상태에서 휴대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보인다.
앞서 도 2 내지 도 11이 콘센트의 플러그 단자홀(도면 미도시)이 수평한 상태를 가정한 것과 달리 도 12 내지 도 14는 콘센트(250)의 플러그 단자홀이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일 경우의 실시예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먼저 대각선 방향의 플러그 단자홀에 충전기의 플러그(110)를 끼우게 되면 충전기 몸체(100)도 같은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콘센트(250)에 끼워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접철 거치편(130)을 펴게 되면 첨부된 도 13과 같이 접철 거치편(130)이 펼쳐지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철 거치편(130)을 열어젖히면 상기 펼쳐진 접철 거치편(130)의 거치홈(130a)과 충전기 몸체(100)에 형성되어 있는 거치홈(130c)은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때 사용자는 도 14와 같이 상기 접철 거치편(130)의 거치홈(130a)와 수평선상에 있는 충전기 몸체(100)의 거치홈(130c)에 휴대단말기(200)를 수평하게 거치한 상태로 충전을 수행하면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지 앞서 기술된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일례로 장치의 세부 구성이나 개수 및 배치 구조를 변경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구성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을 명시하는 바이다.

Claims (12)

  1. 상면에 휴대단말기가 올려져 거치된 상태로 콘센트에 꽂아져 상기 거치된 휴대단말기를 충전하는 충전기 몸체; 및
    상기 충전기 몸체의 상면에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휴대단말기의 하단부가 걸림되어져 거치되는 거치돌기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돌기의 저면에는 거치돌기와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충전기 몸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철 거치편을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좌우 양측으로 한쌍이 구비되어 서로 대칭된 형상을 갖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충전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된 상태로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거치편의 타단 중단부에는 충전기 몸체 밖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하단부가 끼워져 걸림될 수 있도록 거치홈이 형성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6. 제 1 내지 5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몸체의 저면에는 일단이 상기 충전기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접철 거치대가 더 구비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거치대는 충전기 몸체로부터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충전기 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펼쳐진 상태에서는 벽면과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타단이 슬립방지부재로 마감 처리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부재는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9. 상면에 휴대단말기가 올려져 거치된 상태로 콘센트에 꽂아져 상기 거치된 휴대단말기를 충전하는 충전기 몸체; 및
    상기 충전기 몸체의 상면에는 충전기 몸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휴대단말기의 거치홈이 형성된 접철 거치편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좌우 양측으로 한쌍이 구비되어 서로 대칭된 형상을 갖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에만 구비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몸체에서 접철 거치편이 회동 결합된 반대측에는 거치홈이 더 형성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PCT/KR2019/003307 2019-03-12 2019-03-21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WO202018476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888A KR102005296B1 (ko) 2019-03-12 2019-03-12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KR10-2019-0027888 2019-03-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4765A1 true WO2020184765A1 (ko) 2020-09-17

Family

ID=6820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3307 WO2020184765A1 (ko) 2019-03-12 2019-03-21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5296B1 (ko)
WO (1) WO20201847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7836A (ko) 2021-12-10 2023-06-19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가능한 스마트폰 거치대 겸용 무선 충전기
KR20230112871A (ko) 2022-01-21 2023-07-28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 거치대
KR20230122202A (ko) 2022-02-14 2023-08-22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가능한 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 거치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732A (ko) * 2008-04-28 2009-11-02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핸드폰 충전기
KR20110120003A (ko) * 2010-04-28 2011-11-03 주인선 충전기 부착용 핸드폰 충전기
KR200469096Y1 (ko) * 2013-05-28 2013-09-17 홍현주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JP2017147807A (ja) * 2016-02-16 2017-08-24 フクダ電子株式会社 据置型機器
KR101788469B1 (ko) * 2016-09-12 2017-10-20 장세식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732A (ko) * 2008-04-28 2009-11-02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핸드폰 충전기
KR20110120003A (ko) * 2010-04-28 2011-11-03 주인선 충전기 부착용 핸드폰 충전기
KR200469096Y1 (ko) * 2013-05-28 2013-09-17 홍현주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JP2017147807A (ja) * 2016-02-16 2017-08-24 フクダ電子株式会社 据置型機器
KR101788469B1 (ko) * 2016-09-12 2017-10-20 장세식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296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84765A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WO2018070764A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WO2014034998A1 (en) Back cover for mobile terminals
WO2013165053A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WO2014088168A1 (ko) 휴대단말 충전장치
WO2014181915A1 (ko) 내구성과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킨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WO2013081222A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단말케이스
WO2015108228A1 (ko) 전자기기 다량 충전장치
WO2019103338A1 (ko) 휴대기기용 홀더
CN103475039A (zh) 用于便携式终端的多充电装置
WO2020204398A1 (ko) 스마트 테이블
WO2020111406A1 (ko) 거치대겸 셀카봉
WO2011052851A1 (ko) 휴대 가능한 거치대 겸용 충전 배터리 팩
WO2015115806A1 (ko)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WO2014035047A1 (en) Docking station
WO2019022452A1 (ko) 보조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WO2017061789A1 (ko) 휴대용 배터리 및 충전기구
WO2014208853A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WO2020122508A1 (ko)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보관함
WO2017179771A1 (en) Portable keyboard
WO2016072723A1 (ko) 마그네트가 내장된 이동식 저장 장치
WO2020184766A1 (ko)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KR20200109222A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WO2022108376A1 (ko) 독서대
WO2014112667A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193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193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193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1.04.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193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