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84766A1 -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84766A1
WO2020184766A1 PCT/KR2019/003308 KR2019003308W WO2020184766A1 WO 2020184766 A1 WO2020184766 A1 WO 2020184766A1 KR 2019003308 W KR2019003308 W KR 2019003308W WO 2020184766 A1 WO2020184766 A1 WO 20201847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harger
mounting
mobile terminal
cover
charg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330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민웅
Original Assignee
최민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웅 filed Critical 최민웅
Publication of WO20201847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847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er cover for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charger for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charged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charger by simply inserting it into the charger of a portable terminal distributed on the market. It's about the cover.
  • a plug disposed on the adapter is combined with an external outlet to receive power through the outlet and Operates to charge the battery.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86882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ity literature”) filed earlier has specified the contents of a mounting mechanism for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 the mounting mechanism 30 of the prior literature shows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10 is mounted on the mounting mechanism 30 while charging the smartphone 10 with the charger 20, the charger body (2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consisting of the upper surface 31, the two side surfaces 33, the lower surface 37 and the front surface 35 from the rear, and the plug 21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35 to connect the outlet It is inserted into the sphere (2).
  • the charger main body 20 is supported by the outlet 1 to maintain its position, and the mounting mechanism 30 accommodating the charger main body 20 is also disposed and maintained in front of the outlet 1.
  • the smartphone 10 While charging by connecting the cable 23 of the charger to the charging port of the smartphone 10, the smartphone 10 is placed on the extension surface 40 and the upper surface 31 of the mounting mechanism.
  • the rim of the smartphone 10 is placed her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phone 10 is supported by the convex upper surface 31, thereby charging In the state, while being placed on the support mechanism 30, it is possible to manipulate while viewing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10, and to check messages or watch videos.
  • the load according to the mass of the smartphone 10, the support mechanism 30, and the charger body 10 acts on the plug 21, and in particular, the smartphone 10 placed at a position far from the insertion point of the plug 21
  • the vertical load caused by the plug 21 acts as an eccentric load, but the front surface 35 of the support mechanism contacts the surface of the outlet 1 to support the rotation torque by the eccentric load, so that the plug 21 of the charger is A configuration is specifi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opening 2.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has a light and compact design, and provides a charger cover for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that is convenient to carry while always connected to the charger body without having to separate it from the charger body. It aims to do.
  •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charger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so that the charger body can be inserted therein,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op surface.
  • One end of the edge of the hook is formed to protrude integrally so that the mounting projection to be mounted has a predetermined height.
  • the material of the charger cover is made of plastic, and the lower part is opened. It has a ”shape structure.
  • the outer surface of the charger cover is finished with a slip preventing member.
  • the slip preventing member is made of silicone.
  •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rotrusion further includes a folding mounting piece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harger body in a stat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ounting protrusion.
  • the folding mounting pieces are provided with a pair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have a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 the foldable mounting piece is hinged so that one side is rotatably inserted into a reces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er body.
  • a mounting groove is formed in the other end of the foldable mounting piec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inserted and caught in a state unfolded outside the charger body.
  • the charger cover is made of a single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has a ring structure as a whole.
  • the elastic material is made of silicone or rubber.
  •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embodiment, a through hole is formed so that the charger body can be fitted therein,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folding cradle having a mounting groove of the portable terminal. .
  • the folding mounting pieces are provided with a pair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have a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 the folding mounting piece is provided only on eith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 another mounting groove is further formed in the charger cover on the opposite side to which the folding mounting piece is pivotally coupled.
  •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lightweight and compact design, without the need to separate from the body of the charger is always coupled to the charger body, there is an effect very easy to carr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mounting mechanism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harger cover for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mount of the charger cover is open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mounting piece of the charger cover is open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terminal is erected and mounted on a charger cover according to a first or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mount of the charger cover is open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mount of the charger cover is opene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er cov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er cov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mount of the charger cover is opened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mount of the charger cover is opened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charger cover while the charger is plugged into the outlet when the plug terminal hole of the outlet is in a diago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seventh or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harger cover for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able mounting piece of the charger cover is open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able mounting piece of the charger cover is open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charger cover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tate that is erected and mounted.
  • the charger cov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ough hole 300b inside the body 300a of the charger cover so that the charger body 100 can be inserted therein. Is formed, and a mounting protrusion 300c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harger body to mount the mobile phone.
  •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300a) of the charger cover is hinged (350b) is coupled to a pair of foldable mounting pieces 350 to be rotatable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d the folding mounting at one end of the foldable mounting piece (350)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ounting protrusion 300c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iece 350 and vertically toward the upper side.
  • the folding mounting piece 350 is cl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er body 100 and inserted, only the mounting protrusion 300c protrudes above the body,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provided as shown in FIG. It can be mounted using the mounting protrusion 300c.
  • the material of the body 300a and the foldable mounting piece 330 of the charger cover 300 may be made of elastic plastic, and the structure of the through hole 300b has a lower end overall " It is open to have a ”shape structure.
  • the lower end of the charger cover 300 made of plastic material has an open structure, it has elasticity, and the cover by inserting the body 100 of the charger through the through hole 300b of the cover 300 It is understandable that 300 is elastically fitted and supported around the charger body 100.
  • the user carries the charger 100 with the charger cover 300 inserted, and whenever he/she wants to charge the portable terminal 200, the cover 300 is attached to the wall.
  • the mobile terminal 20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300 after being plugged into the outlet 250 on the back, one end of the edge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supported on the wall as shown in FIG. 5 and the other end Can be stably supported by being caught by the mounting protrusion 300c of the cover 300.
  • the outer surface of the charger cover 300 is covered with a slip prevention member such as silicone and is finished, an accident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slides from the cover 300 and falls and is damaged can be prevented.
  • Figure 2 is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mount is folded, in this case, the folding mount 350 is folded and enters the charger body 100, and only the mounting protrusion 300c protrudes upward from the charger body 100. As shown in 5, charging may be performed while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mounted so as to be caught by the mounting protrusion 300c.
  • Figure 3 is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mount is opened, and occasionally, in the case of stably mounting a tablet PC having a size larger than that of several smartphones or smartphones, the folding mount 350 is placed outside the body as shown in FIG.
  • the mounting protrusion 300c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lding mounting piece 350 is also rotated together.
  • the mounting protrusion 300c is rotated by a certain angle, it is caught by the charger body 100 and is constrained so that it cannot be rotated any more, so it is understood that the folding mounting piece 350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upright.
  • the user may stably mount and charge several smartphones or tablet PCs in the mounting groove 350a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foldable mounting piece 330 standing upward.
  • the attached Figure 4 i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4,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terial of the charger cover 300 excluding the foldable cradle 350 par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f silicone or rubber. And even if the overall ring (ring) structure can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the user can easily carry the charger cover 300 of the ring structure in a state that is always inserted into the charger body 100, and if necessary, simply plug the charger into the outlet 250 and then connect the portable terminal 200 to the second.
  •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mounting protrusion 300c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er cover 300 or in the mounting groove 350a of the foldable mounting piece 350 after opening the foldable mounting piece 350. 200) and charge it.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able mounting piece of the charger cover is open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where the foldable mounting piece of the charger cover is opened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er cov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harger cove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After opening the foldable mounting piece 350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350a of the foldable mounting piece 350, and then charging is performed.
  • FIG. 7 is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ructure of the body 300a of the charger cover 300 is a ring having a through hole 300b therein.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same function can be performed even when formed into a structure.
  • FIG. 8 is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folding cradle is omitt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FIG. 6.
  • FIG. 9 is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folding cradle is omitt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FIG. 7.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able holder of the charger cover is opened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state that the foldable holder of the charger cover is opened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charger cover while the charger is inserted into the outlet when the plug terminal hole of the outlet is in a diago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seventh or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 FIGS. 10 to 12 show the case where the plug terminal hole of the outlet 250 is disposed in a diagonal direction. This is an example.
  • the charger cov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only one folding mounting piece 350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er cover 300 to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 One end of the foldable mounting piece 350 is hinge-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er cover 300 so as to be rotatable, and a mounting groove 350a is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 another mounting groove (350c)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charger cover 300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groove (350a) of the folding mounting piece (350).
  • the charger body 100 When the user wants to charge the mobile terminal, if the plug 110 of the charger is first inserted into the plug terminal hole in the diagonal direction, the charger body 100 is also inserted into the outlet 250 with the same angle inclined. It is understandable that when the folded mounting piece 350 is unfolded in the state, the folded mounting piece 350 is unfolded as shown in FIG. 10.
  • the mounting groove 350a of the unfolded folding mounting piece 350 and the mounting groove 350c formed in the charger cover body 300a are located on the horizontal line.
  • the user horizontally mounts the portable terminal 200 in the mounting groove 350a of the foldable mounting piece 350 and the mounting groove 350c of the charger cover body 300a on the horizontal line. You just need to perform charging in the state.
  • FIG. 11 is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ructure of the body 300a of the charger cover 300 has a through hole 300b therein.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same function can be performed even when formed into a structur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r other embodiments, and as an example, it is possible to create the same effect even when chang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number, and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device. It is stated that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added and modified within the categ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는, 내부에 충전기 몸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휴대단말기가 올려진 상태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가장자리 일단부가 걸림되어져 거치되는 거치돌기가 소정 높이를 갖도록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중에 유통되는 휴대단말기의 충전기에 간편히 끼워 사용함으로써 충전기 상단에 휴대단말기를 올려 거치한 상태로 충전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충전 어댑터(또는 충전기)의 경우, 어댑터에 배치된 플러그가 외부에서 제공되는 콘센트와 결합되어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케이블로 연결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동작된다.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공항이나 기차역 등 공공장소에 비치된 콘센트를 통해 자신의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경우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를 바닥에 내려놓거나 충전 어댑터 위에 살짝 거치한 상태로 충전을 하고 있는데, 이때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해 휴대단말기가 플러그 위에서 떨어져 파손될 위험소지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나가던 사람이 부주의하게 휴대단말기를 발로 밟거나 차게 되면 고가의 휴대단말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이러한 휴대단말기를 거치한 상태로 충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거치대 겸용 충전기가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나, 기존에 사용하는 충전기 대신 거치대 겸용 충전기를 별도로 구매해야할 뿐만 아니라 거치대 부분의 부피가 커서 여행시 휴대가 용이하지 않는 등 여전히 많은 개선점이 남아있었다.
이를 위해 앞서 출원된 한국 등록특허 제1868828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에는 휴대형 정보 기기의 거치 기구에 대한 내용이 명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선행문헌의 거치 기구(30) 구성을 살펴보면, 충전기(20)로 스마트폰(10)을 충전하면서 스마트폰(10)을 거치 기구(30)에 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데, 충전기 본체(20)는 후면으로부터 상면(31), 2개의 측면(33), 하면(37) 및 전면(35)으로 이루어진 수용 공간에 삽입되고, 플러그(21)가 전면(35)으로부터 돌출되어 콘센트의 결합구(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충전기 본체(20)가 콘센트(1)에 지지되어 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충전기 본체(20)를 수용하는 거치 기구(30)도 콘센트(1)의 앞쪽에 배치되어 유지된다. 충전기의 케이블(23)을 스마트폰(10)의 충전 포트에 연결하여 충전을 하면서, 스마트폰(10)은 거치 기구의 연장면(40)과 상면(31)에 놓인다.
연장면(40)의 상단 테두리(41)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여기에 스마트폰(10)의 테두리가 놓이고 스마트폰(10)의 배면은 볼록하게 형성된 상면(3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충전 상태에서 지지 기구(30)에 놓인 상태에서 스마트폰(10)의 화면을 보면서 조작을 할 수 있고 메시지의 확인이나 동영상 감상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폰(10)과 지지 기구(30) 및 충전기 본체(10)의 질량에 따른 하중이 플러그(21)에 작용하고, 특히 플러그(21)의 삽입 지점에서 먼 위치에 놓이는 스마트폰(10)에 의한 수직 하중은 플러그(21)에 대해 편심 하중으로 작용하지만, 지지 기구의 전면(35)이 콘센트(1)의 표면과 맞닿아 편심 하중에 의한 회전 토오크를 지지함으로써 충전기의 플러그(21)가 컨센트 삽입구(2)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명시된 종래 구성은 휴대단말기의 충전기 외에 상당한 체적을 가지는 별도의 거치기구를 휴대해야 하고, 휴대 중 긴급히 충전을 할 때에도 거치 기구와 충전기를 꺼내 결합해야만 하는 등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여러 가지 불편한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가볍고 컴팩트한 디자인을 가지며 충전기의 몸체와 분리할 필요없이 항상 충전기 몸체에 결합된 상태로 휴대가 간편한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는, 일 실시예에 따라 내부에 충전기 몸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휴대단말기가 올려진 상태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가장자리 일단부가 걸림되어져 거치되는 거치돌기가 소정 높이를 갖도록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충전기 커버의 재질은 플라스틱으로 되며 하단부가 개방된 “
Figure PCTKR2019003308-appb-I000001
”자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충전기 커버의 겉면은 슬립방지부재가 씌어져 마감 처리된다.
또한 상기 슬립방지부재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거치돌기의 저면에는 거치돌기와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충전기 몸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철 거치편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좌우 양측으로 한쌍이 구비되어 서로 대칭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충전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된 상태로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접철 거치편의 타단 중단부에는 충전기 몸체 밖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하단부가 끼워져 걸림될 수 있도록 거치홈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상기 충전기 커버는 신축성을 갖는 단일의 재질로 되고 전체적으로 링(ring) 구조로 된다.
또한 상기 신축성 재질은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 내부에 충전기 몸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휴대단말기의 거치홈이 형성된 접철 거치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좌우 양측으로 한쌍이 구비되어 서로 대칭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에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접철 거치편이 회동 결합된 반대측 충전기 커버에는 다른 하나의 거치홈이 더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볍고 컴팩트한 디자인을 가지며 충전기의 몸체와 분리할 필요없이 항상 충전기 몸체에 결합된 상태로 휴대가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볍고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인해 원재료 비용이 절감되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제품의 구매단가가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단말기 거치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를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 상에 휴대단말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세워서 거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7 또는 제 8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의 플러그 단자홀이 대각선 방향일 때, 충전기가 콘센트에 꽂힌 상태에서 휴대단말기가 충전기 커버 상에 거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 부호
100 : 충전기 몸체 110 : 플러그 단자
200 : 휴대용 단말기 250 : 콘센트
300 : 충전기 커버 300a: 충전기 커버 몸체
300b: 통공 300c : 거치돌기
350 : 접철 거치편 350a: 거치홈
350b: 힌지 350c: 거치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 상에 휴대단말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세워서 거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충전기 커버(300)는 내부에 충전기 몸체(1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충전기 커버의 몸체(300a) 내부에 통공(300b)이 형성되고, 충전기 몸체 상부에는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돌기(300c)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충전기 커버의 몸체(300a)의 상면에는 한쌍의 접철 거치편(350)이 몸체 바깥쪽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350b)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접철 거치편(350)의 일단부에는 접철 거치편(350)과 수직하게 상방을 향해 거치돌기(300c)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접철 거치편(350)이 충전기 몸체(100)의 상면에 닫혀져 인입된 상태에서는 몸체 상방으로 거치돌기(300c)만이 돌출된 상태이므로 첨부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200)를 거치돌기(300c)를 이용하여 거치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충전기 커버(300)의 몸체(300a) 및 접철 거치편(330)의 재질은 모두 탄력성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공(300b)의 구조는 하단부가 전체적으로 “
Figure PCTKR2019003308-appb-I000002
”자 구조를 갖도록 개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라스틱 재질의 충전기 커버(300)의 하단부가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탄력성을 갖고, 상기 커버(300)의 통공(300b)을 통해 충전기의 몸체(100) 부분을 끼워 넣음에 따라 상기 커버(300)가 충전기 몸체(100) 둘레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지지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충전기 커버(300)가 끼워진 상태로 충전기(100)를 휴대하고 다니다가 휴대단말기(200)를 충전하고자 할 때에는 언제든지 커버(300)가 결합된 상태 그대로 충전기(100)를 벽면 등에 있는 콘센트(250)에 꽂은 후 상기 커버(300)의 상면에 휴대단말기(200)를 올려 거치함에 따라 첨부된 도 5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가장자리 일단부가 벽면에 지지됨과 아울러 타단부가 커버(300)의 거치돌기(300c)에 걸림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기 커버(300)의 겉면은 실리콘 등의 슬립방지부재가 씌어져 마감 처리되어있으므로 휴대단말기가 커버(300)에서 미끄러져 낙하 및 파손되는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2는 접철 거치편이 접혀진 상태로서, 이때는 접철 거치편(350)은 접혀져 충전기 몸체(100) 내부로 들어가 있고, 거치돌기(300c)만 충전기 몸체(100)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도 5와 같이 상기 거치돌기(300c)에 걸림되도록 휴대단말기(200)를 거치한 상태로 충전을 수행하면 된다.
한편 도 3은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로서, 간혹 여러 대의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보다 크기가 큰 태블릿 PC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처럼 접철 거치편(350)을 몸체 바깥쪽으로 열어젖히면 상기 접철 거치편(35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거치돌기(300c)도 함께 회동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거치돌기(300c)가 일정 각도만큼 회동되어지면 충전기 몸체(100)에 걸림되어져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도록 구속되므로 접철 거치편(350)이 상방으로 기립한 상태가 됨은 이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상방으로 기립된 접철 거치편(330)의 중단부에 형성된 거치홈(350a)에 여러 대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안정적으로 거치 및 충전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접철 거치편(350) 부분을 제외한 충전기 커버(300)의 재질이 실리콘 또는 고무의 신축성 재질로 되고 전체적으로 링(ring) 구조로 되어서도 앞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링 구조의 충전기 커버(300)를 항상 충전기 몸체(100)에 끼운 상태로 용이하게 휴대할 수가 있으며, 필요시 간편하게 충전기를 콘센트(250)에 꽂은 후 휴대단말기(200)를 제 2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충전기 커버(300)의 상면에 있는 거치돌기(300c)에 거치하거나 또는 접철 거치편(350)을 열어젖힌 후 상기 접철 거치편(350)의 거치홈(350a)에 휴대단말기(200)를 거치하여 충전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를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 3 실시예에 따라 제 1 실시예의 구성에서 거치돌기(300c)를 생략하여서도 동일한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며, 휴대단말기(200)를 충전할 때에는 도 6과 같이 접철 거치편(350)을 열어젖힌 후, 상기 접철 거치편(350)의 거치홈(350a)에 휴대단말기(200)를 끼워 거치한 후 충전을 수행하면 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성으로 상기 도 6의 제 3 실시예의 구성에서 충전기 커버(300)의 몸체(300a) 구조가 내부에 통공(300b)을 갖는 전체적으로 링(ring) 구조로 형성할 때에도 동일한 기능의 수행이 가능함은 이해 가능하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구성으로 상기 도 6의 제 3 실시예의 구성에서 접철 거치편이 생략된 구조를 도시한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구성으로 상기 도 7의 제 4 실시예의 구성에서 접철 거치편이 생략된 구조를 도시한다.
한편 첨부된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7 또는 제 8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의 플러그 단자홀이 대각선 방향일 때, 충전기가 콘센트에 꽂힌 상태에서 휴대단말기가 충전기 커버 상에 거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앞서 도 2 내지 도 9가 콘센트의 플러그 단자홀(도면 미도시)이 수평한 상태를 가정한 것과 달리 도 10 내지 도 12는 콘센트(250)의 플러그 단자홀이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일 경우의 실시예이다.
먼저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충전기 커버(300)는 제 7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300)의 상면에서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으로 하나의 접철 거치편(350)만이 구비되고, 상기 접철 거치편(350)의 일단은 충전기 커버(300)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거치홈(350a)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접철 거치편(350)의 거치홈(350a)에 대응되는 충전기 커버(300)의 일측에는 다른 하나의 거치홈(350c)이 더 형성된다.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대각선 방향의 플러그 단자홀에 충전기의 플러그(110)를 끼우게 되면 충전기 몸체(100)도 같은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콘센트(250)에 끼워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접철 거치편(350)을 펴게 되면 첨부된 도 10과 같이 접철 거치편(350)이 펼쳐지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철 거치편(350)을 열어젖히면 상기 펼쳐진 접철 거치편(350)의 거치홈(350a)과 충전기 커버 몸체(300a)에 형성되어 있는 거치홈(350c)이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때 사용자는 도 12와 같이 상기 접철 거치편(350)의 거치홈(350a)와 수평선상에 있는 충전기 커버 몸체(300a)의 거치홈(350c)에 휴대단말기(200)를 수평하게 거치한 상태로 충전을 수행하면 된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구성으로 상기 도 10의 제 7 실시예의 구성에서 충전기 커버(300)의 몸체(300a) 구조가 내부에 통공(300b)을 갖는 전체적으로 링(ring) 구조로 형성할 때에도 동일한 기능의 수행이 가능함은 이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지 앞서 기술된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일례로 장치의 세부 구성이나 개수 및 배치 구조를 변경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구성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을 명시하는 바이다.

Claims (14)

  1. 내부에 충전기 몸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휴대단말기가 올려진 상태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가장자리 일단부가 걸림되어져 거치되는 거치돌기가 소정 높이를 갖도록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커버의 재질은 플라스틱으로 되며 하단부가 개방된 “
    Figure PCTKR2019003308-appb-I000003
    ”자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커버의 겉면은 슬립방지부재가 씌어져 마감 처리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부재는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돌기의 저면에는 거치돌기와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충전기 몸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철 거치편을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좌우 양측으로 한쌍이 구비되어 서로 대칭된 형상을 갖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충전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된 상태로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거치편의 타단 중단부에는 충전기 몸체 밖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하단부가 끼워져 걸림될 수 있도록 거치홈이 형성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커버는 신축성을 갖는 단일의 재질로 되고 전체적으로 링(ring) 구조로 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재질은 실리콘 또는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11. 내부에 충전기 몸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휴대단말기의 거치홈이 형성된 접철 거치편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좌우 양측으로 한쌍이 구비되어 서로 대칭된 형상을 갖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에만 구비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거치편이 회동 결합된 반대측 충전기 커버에는 다른 하나의 거치홈이 더 형성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PCT/KR2019/003308 2019-03-12 2019-03-21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WO202018476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889A KR102015548B1 (ko) 2019-03-12 2019-03-12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KR10-2019-0027889 2019-03-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4766A1 true WO2020184766A1 (ko) 2020-09-17

Family

ID=6777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3308 WO2020184766A1 (ko) 2019-03-12 2019-03-21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5548B1 (ko)
WO (1) WO202018476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732A (ko) * 2008-04-28 2009-11-02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핸드폰 충전기
KR20110120003A (ko) * 2010-04-28 2011-11-03 주인선 충전기 부착용 핸드폰 충전기
KR101285084B1 (ko) * 2012-05-02 2013-07-17 (주)엠에이피테크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JP2017147807A (ja) * 2016-02-16 2017-08-24 フクダ電子株式会社 据置型機器
KR101788469B1 (ko) * 2016-09-12 2017-10-20 장세식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732A (ko) * 2008-04-28 2009-11-02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핸드폰 충전기
KR20110120003A (ko) * 2010-04-28 2011-11-03 주인선 충전기 부착용 핸드폰 충전기
KR101285084B1 (ko) * 2012-05-02 2013-07-17 (주)엠에이피테크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JP2017147807A (ja) * 2016-02-16 2017-08-24 フクダ電子株式会社 据置型機器
KR101788469B1 (ko) * 2016-09-12 2017-10-20 장세식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548B1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819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using
WO2016186284A1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WO2013191384A1 (e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terminal
WO2020184765A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WO2022114515A1 (ko) 전자기기용 액세서리
WO2019190213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WO2013151255A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30038400A (ko) 분리식 평면 패널 컬러 표시 장치
WO2011052851A1 (ko) 휴대 가능한 거치대 겸용 충전 배터리 팩
WO2020138988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WO2019103338A1 (ko) 휴대기기용 홀더
WO2013129763A1 (ko) 거치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WO2015115806A1 (ko)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WO2016013841A1 (ko)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WO2012108662A2 (en) Slim-type portable device
WO2020184766A1 (ko)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WO2016088945A1 (ko) 휴대기기 케이스
US20130286364A1 (en) Multimedia player and projector
WO2018190545A1 (ko) 휴대폰 케이스
WO2017135725A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용 지지대
WO2019107744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WO2018004109A1 (ko)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WO2014112667A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200109223A (ko)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WO2019124849A1 (ko) 접이식 가상현실 뷰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194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194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194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1.04.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194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