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223A -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223A
KR20200109223A KR1020190059501A KR20190059501A KR20200109223A KR 20200109223 A KR20200109223 A KR 20200109223A KR 1020190059501 A KR1020190059501 A KR 1020190059501A KR 20190059501 A KR20190059501 A KR 20190059501A KR 20200109223 A KR20200109223 A KR 20200109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mounting
mobile terminal
cover
charg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창
Original Assignee
최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우창 filed Critical 최우창
Priority to KR1020190059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9223A/ko
Publication of KR20200109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2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는, 내부에 충전기 몸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휴대단말기가 올려진 상태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가장자리 일단부가 걸림되어져 거치되는 거치돌기가 소정 높이를 갖도록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Cover of electric charger for hold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중에 유통되는 휴대단말기의 충전기에 간편히 끼워 사용함으로써 충전기 상단에 휴대단말기를 올려 거치한 상태로 충전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충전 어댑터(또는 충전기)의 경우, 어댑터에 배치된 플러그가 외부에서 제공되는 콘센트와 결합되어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케이블로 연결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동작된다.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공항이나 기차역 등 공공장소에 비치된 콘센트를 통해 자신의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경우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를 바닥에 내려놓거나 충전 어댑터 위에 살짝 거치한 상태로 충전을 하고 있는데, 이때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해 휴대단말기가 플러그 위에서 떨어져 파손될 위험소지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나가던 사람이 부주의하게 휴대단말기를 발로 밟거나 차게 되면 고가의 휴대단말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이러한 휴대단말기를 거치한 상태로 충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거치대 겸용 충전기가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나, 기존에 사용하는 충전기 대신 거치대 겸용 충전기를 별도로 구매해야할 뿐만 아니라 거치대 부분의 부피가 커서 여행시 휴대가 용이하지 않는 등 여전히 많은 개선점이 남아있었다.
이를 위해 앞서 출원된 한국 등록특허 제1868828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에는 휴대형 정보 기기의 거치 기구에 대한 내용이 명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선행문헌의 거치 기구(30) 구성을 살펴보면, 충전기(20)로 스마트폰(10)을 충전하면서 스마트폰(10)을 거치 기구(30)에 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데, 충전기 본체(20)는 후면으로부터 상면(31), 2개의 측면(33), 하면(37) 및 전면(35)으로 이루어진 수용 공간에 삽입되고, 플러그(21)가 전면(35)으로부터 돌출되어 콘센트의 결합구(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충전기 본체(20)가 콘센트(1)에 지지되어 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충전기 본체(20)를 수용하는 거치 기구(30)도 콘센트(1)의 앞쪽에 배치되어 유지된다. 충전기의 케이블(23)을 스마트폰(10)의 충전 포트에 연결하여 충전을 하면서, 스마트폰(10)은 거치 기구의 연장면(40)과 상면(31)에 놓인다.
연장면(40)의 상단 테두리(41)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여기에 스마트폰(10)의 테두리가 놓이고 스마트폰(10)의 배면은 볼록하게 형성된 상면(3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충전 상태에서 지지 기구(30)에 놓인 상태에서 스마트폰(10)의 화면을 보면서 조작을 할 수 있고 메시지의 확인이나 동영상 감상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폰(10)과 지지 기구(30) 및 충전기 본체(10)의 질량에 따른 하중이 플러그(21)에 작용하고, 특히 플러그(21)의 삽입 지점에서 먼 위치에 놓이는 스마트폰(10)에 의한 수직 하중은 플러그(21)에 대해 편심 하중으로 작용하지만, 지지 기구의 전면(35)이 콘센트(1)의 표면과 맞닿아 편심 하중에 의한 회전 토오크를 지지함으로써 충전기의 플러그(21)가 컨센트 삽입구(2)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명시된 종래 구성은 휴대단말기의 충전기 외에 상당한 체적을 가지는 별도의 거치기구를 휴대해야 하고, 휴대 중 긴급히 충전을 할 때에도 거치 기구와 충전기를 꺼내 결합해야만 하는 등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여러 가지 불편한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가볍고 컴팩트한 디자인을 가지며 충전기의 몸체와 분리할 필요없이 항상 충전기 몸체에 결합된 상태로 휴대가 간편한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는, 일 실시예에 따라 내부에 충전기 몸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휴대단말기가 올려진 상태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가장자리 일단부가 걸림되어져 거치되는 거치돌기가 소정 높이를 갖도록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충전기 커버의 재질은 플라스틱으로 되며 하단부가 개방된 “
Figure pat00001
”자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충전기 커버의 겉면은 슬립방지부재가 씌어져 마감 처리된다.
또한 상기 슬립방지부재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거치돌기의 저면에는 거치돌기와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충전기 몸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철 거치편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좌우 양측으로 한쌍이 구비되어 서로 대칭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충전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된 상태로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접철 거치편의 타단 중단부에는 충전기 몸체 밖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하단부가 끼워져 걸림될 수 있도록 거치홈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상기 충전기 커버는 신축성을 갖는 단일의 재질로 되고 전체적으로 링(ring) 구조로 된다.
또한 상기 신축성 재질은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 내부에 충전기 몸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휴대단말기의 거치홈이 형성된 접철 거치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좌우 양측으로 한쌍이 구비되어 서로 대칭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에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접철 거치편이 회동 결합된 반대측 충전기 커버에는 다른 하나의 거치홈이 더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볍고 컴팩트한 디자인을 가지며 충전기의 몸체와 분리할 필요없이 항상 충전기 몸체에 결합된 상태로 휴대가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볍고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인해 원재료 비용이 절감되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제품의 구매단가가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단말기 거치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를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 상에 휴대단말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세워서 거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7 또는 제 8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의 플러그 단자홀이 대각선 방향일 때, 충전기가 콘센트에 꽂힌 상태에서 휴대단말기가 충전기 커버 상에 거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 상에 휴대단말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세워서 거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충전기 커버(300)는 내부에 충전기 몸체(1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충전기 커버의 몸체(300a) 내부에 통공(300b)이 형성되고, 충전기 몸체 상부에는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돌기(300c)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충전기 커버의 몸체(300a)의 상면에는 한쌍의 접철 거치편(350)이 몸체 바깥쪽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350b)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접철 거치편(350)의 일단부에는 접철 거치편(350)과 수직하게 상방을 향해 거치돌기(300c)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접철 거치편(350)이 충전기 몸체(100)의 상면에 닫혀져 인입된 상태에서는 몸체 상방으로 거치돌기(300c)만이 돌출된 상태이므로 첨부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200)를 거치돌기(300c)를 이용하여 거치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충전기 커버(300)의 몸체(300a) 및 접철 거치편(330)의 재질은 모두 탄력성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공(300b)의 구조는 하단부가 전체적으로 “
Figure pat00002
”자 구조를 갖도록 개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라스틱 재질의 충전기 커버(300)의 하단부가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탄력성을 갖고, 상기 커버(300)의 통공(300b)을 통해 충전기의 몸체(100) 부분을 끼워 넣음에 따라 상기 커버(300)가 충전기 몸체(100) 둘레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지지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충전기 커버(300)가 끼워진 상태로 충전기(100)를 휴대하고 다니다가 휴대단말기(200)를 충전하고자 할 때에는 언제든지 커버(300)가 결합된 상태 그대로 충전기(100)를 벽면 등에 있는 콘센트(250)에 꽂은 후 상기 커버(300)의 상면에 휴대단말기(200)를 올려 거치함에 따라 첨부된 도 5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가장자리 일단부가 벽면에 지지됨과 아울러 타단부가 커버(300)의 거치돌기(300c)에 걸림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기 커버(300)의 겉면은 실리콘 등의 슬립방지부재가 씌어져 마감 처리되어있으므로 휴대단말기가 커버(300)에서 미끄러져 낙하 및 파손되는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2는 접철 거치편이 접혀진 상태로서, 이때는 접철 거치편(350)은 접혀져 충전기 몸체(100) 내부로 들어가 있고, 거치돌기(300c)만 충전기 몸체(100)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도 5와 같이 상기 거치돌기(300c)에 걸림되도록 휴대단말기(200)를 거치한 상태로 충전을 수행하면 된다.
한편 도 3은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로서, 간혹 여러 대의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보다 크기가 큰 태블릿 PC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처럼 접철 거치편(350)을 몸체 바깥쪽으로 열어젖히면 상기 접철 거치편(35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거치돌기(300c)도 함께 회동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거치돌기(300c)가 일정 각도만큼 회동되어지면 충전기 몸체(100)에 걸림되어져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도록 구속되므로 접철 거치편(350)이 상방으로 기립한 상태가 됨은 이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상방으로 기립된 접철 거치편(330)의 중단부에 형성된 거치홈(350a)에 여러 대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안정적으로 거치 및 충전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접철 거치편(350) 부분을 제외한 충전기 커버(300)의 재질이 실리콘 또는 고무의 신축성 재질로 되고 전체적으로 링(ring) 구조로 되어서도 앞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링 구조의 충전기 커버(300)를 항상 충전기 몸체(100)에 끼운 상태로 용이하게 휴대할 수가 있으며, 필요시 간편하게 충전기를 콘센트(250)에 꽂은 후 휴대단말기(200)를 제 2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충전기 커버(300)의 상면에 있는 거치돌기(300c)에 거치하거나 또는 접철 거치편(350)을 열어젖힌 후 상기 접철 거치편(350)의 거치홈(350a)에 휴대단말기(200)를 거치하여 충전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를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 3 실시예에 따라 제 1 실시예의 구성에서 거치돌기(300c)를 생략하여서도 동일한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며, 휴대단말기(200)를 충전할 때에는 도 6과 같이 접철 거치편(350)을 열어젖힌 후, 상기 접철 거치편(350)의 거치홈(350a)에 휴대단말기(200)를 끼워 거치한 후 충전을 수행하면 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성으로 상기 도 6의 제 3 실시예의 구성에서 충전기 커버(300)의 몸체(300a) 구조가 내부에 통공(300b)을 갖는 전체적으로 링(ring) 구조로 형성할 때에도 동일한 기능의 수행이 가능함은 이해 가능하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구성으로 상기 도 6의 제 3 실시예의 구성에서 접철 거치편이 생략된 구조를 도시한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구성으로 상기 도 7의 제 4 실시예의 구성에서 접철 거치편이 생략된 구조를 도시한다.
한편 첨부된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의 접철 거치편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7 또는 제 8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의 플러그 단자홀이 대각선 방향일 때, 충전기가 콘센트에 꽂힌 상태에서 휴대단말기가 충전기 커버 상에 거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앞서 도 2 내지 도 9가 콘센트의 플러그 단자홀(도면 미도시)이 수평한 상태를 가정한 것과 달리 도 10 내지 도 12는 콘센트(250)의 플러그 단자홀이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일 경우의 실시예이다.
먼저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충전기 커버(300)는 제 7 실시예에 따라 충전기 커버(300)의 상면에서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으로 하나의 접철 거치편(350)만이 구비되고, 상기 접철 거치편(350)의 일단은 충전기 커버(300)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거치홈(350a)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접철 거치편(350)의 거치홈(350a)에 대응되는 충전기 커버(300)의 일측에는 다른 하나의 거치홈(350c)이 더 형성된다.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대각선 방향의 플러그 단자홀에 충전기의 플러그(110)를 끼우게 되면 충전기 몸체(100)도 같은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콘센트(250)에 끼워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접철 거치편(350)을 펴게 되면 첨부된 도 10과 같이 접철 거치편(350)이 펼쳐지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철 거치편(350)을 열어젖히면 상기 펼쳐진 접철 거치편(350)의 거치홈(350a)과 충전기 커버 몸체(300a)에 형성되어 있는 거치홈(350c)이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때 사용자는 도 12와 같이 상기 접철 거치편(350)의 거치홈(350a)와 수평선상에 있는 충전기 커버 몸체(300a)의 거치홈(350c)에 휴대단말기(200)를 수평하게 거치한 상태로 충전을 수행하면 된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구성으로 상기 도 10의 제 7 실시예의 구성에서 충전기 커버(300)의 몸체(300a) 구조가 내부에 통공(300b)을 갖는 전체적으로 링(ring) 구조로 형성할 때에도 동일한 기능의 수행이 가능함은 이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지 앞서 기술된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일례로 장치의 세부 구성이나 개수 및 배치 구조를 변경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구성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을 명시하는 바이다.
100 : 충전기 몸체 110 : 플러그 단자
200 : 휴대용 단말기 250 : 콘센트
300 : 충전기 커버 300a: 충전기 커버 몸체
300b: 통공 300c : 거치돌기
350 : 접철 거치편 350a: 거치홈
350b: 힌지 350c: 거치홈

Claims (14)

  1. 내부에 충전기 몸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휴대단말기가 올려진 상태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가장자리 일단부가 걸림되어져 거치되는 거치돌기가 소정 높이를 갖도록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커버의 재질은 플라스틱으로 되며 하단부가 개방된 “
    Figure pat00003
    ”자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커버의 겉면은 슬립방지부재가 씌어져 마감 처리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부재는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돌기의 저면에는 거치돌기와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충전기 몸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철 거치편을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좌우 양측으로 한쌍이 구비되어 서로 대칭된 형상을 갖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충전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된 상태로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거치편의 타단 중단부에는 충전기 몸체 밖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하단부가 끼워져 걸림될 수 있도록 거치홈이 형성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커버는 신축성을 갖는 단일의 재질로 되고 전체적으로 링(ring) 구조로 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재질은 실리콘 또는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11. 내부에 충전기 몸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휴대단말기의 거치홈이 형성된 접철 거치편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좌우 양측으로 한쌍이 구비되어 서로 대칭된 형상을 갖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거치편은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에만 구비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거치편이 회동 결합된 반대측 충전기 커버에는 다른 하나의 거치홈이 더 형성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KR1020190059501A 2019-05-21 2019-05-21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KR20200109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501A KR20200109223A (ko) 2019-05-21 2019-05-21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501A KR20200109223A (ko) 2019-05-21 2019-05-21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889A Division KR102015548B1 (ko) 2019-03-12 2019-03-12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223A true KR20200109223A (ko) 2020-09-22

Family

ID=72707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501A KR20200109223A (ko) 2019-05-21 2019-05-21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92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9882B2 (en) Sliding/swing-type portable apparatus having self-retaining function
US20050255895A1 (en) Adaptable charging cradle with speak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20220029449A1 (en) Luggage Having Charging Port
CN105049691B (zh) 拍摄装置及终端
CN103475834B (zh) 一种智能手机及其外置微投影仪
CN103312846A (zh) 用于便携式电话的通用扩展坞
KR101892546B1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KR20130082285A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EP1594293A2 (en) Sliding/swing-type portable apparatus having self-retaining function
CN105530346A (zh) 一种手机壳
KR102005296B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US9807483B1 (en) Mobile device case with foldable speaker system
CN210007730U (zh) 移动终端
KR102306596B1 (ko)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KR20170127899A (ko) 태양전지패널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충전장치
KR102015548B1 (ko)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US7636590B2 (en) Self-cradl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200109223A (ko)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KR101794164B1 (ko)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US20200103989A1 (e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system
US985783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CN104917226A (zh) 隐藏式手机支架移动电源
KR20170003319U (ko) 보조 배터리팩 수납을 겸용한 휴대폰 단말기 수납 케이스
JP5338002B1 (ja) 電子機器を収納するフォルダー
JP3762126B2 (ja) 携帯通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