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04109A1 -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04109A1
WO2018004109A1 PCT/KR2017/002576 KR2017002576W WO2018004109A1 WO 2018004109 A1 WO2018004109 A1 WO 2018004109A1 KR 2017002576 W KR2017002576 W KR 2017002576W WO 2018004109 A1 WO2018004109 A1 WO 201800410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erminal
display
unit
fix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257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승우
신덕하
Original Assignee
장승우
신덕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승우, 신덕하 filed Critical 장승우
Publication of WO201800410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0410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22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input display information or of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a corresponding information sourc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display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which is equipped with a mobile terminal in an integrated display device to display a screen with a display device of a larger size, and enables viewing of multimedia information for a long time even when power supply is difficult.
  • An integrated display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mobile terminal in an integrated display device to display a screen with a display device of a larger size, and enables viewing of multimedia information for a long time even when power supply is difficult.
  • Mobile terminals (mobile phones, PDAs, smartphones, etc.) are gradually increasing in size, but compared to tablets larger than 7 inches, the screen is small, causing eye fatigue. However, due to such a necessity, it is difficult to pay for the tablet because of the overlapping posi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 Korean Patent Registration 10-1542455 'Mobile Smartphone Docking System' is equipped with a smartphone on the docking system to independently display multiple displays on a smartphone and an external monitor, and can also use an external output device,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supply pow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smartphone docking system capable of viewing multimedia information for a long time.
  • a cradle for mounting a smartphone through a groove that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in a constant width o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and the smartphone docking to receive the video and audio data output from the smartphone to output to an external monitor
  • a mobile smartphone docking system comprising a system and a battery pack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smartphone docking system and an external monitor, wherein the smartphone docking system includes a printer and other external devices (multihub, external hard drive / external memory, etc.).
  • External memory unit consisting of a USB port is connected to) and a TF port is mounted MSD card and the SD port is mounted SD card;
  • An oper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smartphone docking system; Smartphone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smartphone via mUSB or USB; Mouse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mouse via USB; A keyboard connector connected to the keyboard via USB; Audio input / output section; A VGA port unit for VGA image data; An HDMI / DVI port connected to an external monitor through an HDMI port or a DVI port; And external first and second power input units for supplying necessary power to the smartphone connection unit, the HDMI / DVI port, the keyboard connection unit, the mouse connection unit, and the audio input / output unit.
  • the battery pack device comprises: a battery display unit displaying a battery remaining amount; A power display unit displaying a power supply operation state; External third and fourth power input unit for charging the battery pack or supply power; A docking system pow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a smartphone docking system through a first USB port; A monitor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nitor through a second USB port; External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third, fourth, fifth USB port; Consists of a touch signal input port to which a touch signal can be transmitted from the monitor, the smartphone docking system and the battery pack devic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martphone docking system, the external first power supply or second to the smartphone docking system When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by the battery pack is cut off.
  • the mobile smartphone docking system since the mobile smartphone docking system has a separate output device and transmits data through the mobile smartphone to the corresponding output device, the separate output device becomes the main, and the docking system is a kind of auxiliary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rtability is very low only by the role.
  • Korean Patent No. 10-1484045 'multi-display device for smartphone' is equipped with a smartphone on a docking station to allow independent display of multiple displays on a smartphone and an external monitor as well as to receive input from an external monitor.
  • a multi-display device for a smart phone comprising a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and a plurality of frame buffer drivers;
  • a docking station for docking the smartphone to output a plurality of image data input from the smartphone;
  • An external monitor configured to receive and display image data output from the docking station and to provide data on a touch position input from a user to the smartphone through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and the docking station is configured to input image data.
  • respective MHL terminals for output;
  • an image converter configured to convert MHL image data input from the smartphone into HDMI or VGA image data.
  • the portable large display device interlocked with the mobile terminal can simultaneously output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device can be easily carried by the user through a configuration with increased portability.
  • the integrated display assembly for the terminal is very urgen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and provides a display assembly for receiving image data stored or displayed in a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the image data on a separate large scree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assembly capable of easily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even while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tegrated display device.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securing the portability of the integrated display device as well as mounting it without harming the appearance.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lude a separate sound output device to assist inadequate voice output of an existing mobile terminal.
  • the integrated display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accommodated with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ultimedia data through the terminal to receive the image data output to the mobile terminal
  • a terminal connection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 docking unit;
  • a display module including a display unit including a display device larger than the display device held by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ler including a resizing module for resizing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docking unit and providing the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 the display module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 the display module further includes a cover portion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display module is integrally coupled at the side of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in a form in which the cover portion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It features.
  •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input unit capable of receiving image data from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a separate multimedi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rminal.
  • the display unit is configured as a touch display
  • the controller an application providing module for displaying a control window for controlling the image data is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on the display unit, the touch input to the display unit from the us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control module for performing the control displayed on the control window via a signal.
  • At least one operation button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operation button is located from the position facing the physical switch inside the accommodation portion so as to drive a physical switch located on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It further comprises a pushing bar extending to the operation button.
  •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shape transvers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tting shaft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is fixed to secure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cover in a parallel state Characterized in that.
  • the fixed shaf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 the guide groove is formed to be roun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xed shaft
  • the fixed shaft is inserted to be rotatable in the guide groove, the one side of the fixed shaft, orthogona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shaft extending in the direction.
  • the length of the fixed shaft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cover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fixed stat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by moving the fixed shaft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state coupled to the guide groove.
  • the rea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side of the one side further comprises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rear side, one end of the fixed shaft, protruding formed along the surface circumferen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rojections are further formed.
  • the fixing groove is furth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grooves penetrating to the front of the receiving portion, the docking portion, a voice input part for receiving voice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he guide groove from the voice input part And a voice transmission terminal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guide groove and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guide groove.
  • One side of the fixed shaft further includes a voic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voice data in contact with the voice transmission terminal.
  • the fixing protrusion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that converts the voice data into voice and outputs the voic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ic form of the integrated display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rear view projection of the integrated display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equipped with a support means on the back of the integrated display device.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peaker is attached to a fixed shaf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ic form of the integrated display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tegrated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o the accommodation unit 120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400 is accommodated, and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400 through a multimedi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 Terminal connection module 100 consisting of a docking unit 110 for receiving the image data output to the mobile terminal 400; and a display unit including a display device larger than the display device held by the mobile terminal 400 (
  •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100 is configured to receive at least one of image data and audio data by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400 to an integrated display device. 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400 includes a receiving unit 120 and a docking unit 110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400 through a multimedi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and receiving image data output to the mobile terminal 400.
  • the mobile terminal 400 includes a multimedia storage space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DA, and the like, and means a device capable of playing multimedia.
  • the mobile terminal 4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ultimedi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 data and audio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 multimedia transceivers include a VGA port utilizing a VGA (Video Graphics Array) terminal, a DVI port utilizing a DVI (Digital Video / Visual Interactive) terminal, and an HDMI port utilizing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terminal.
  • MHL Mobile High Definition Link
  • USB Universal Serial Bus
  • Receiving unit 120 is a mobile terminal 400 can be placed and stored, and to form a portable appearance and at the same time to protect the mobile terminal 400 synthetic resin or silicone that can ensure the light weight and durability
  • the shape of the cube is as shown in FIG.
  • the edges as shown in FIG. 1 (b) should be formed in a rounded shape.
  • the inside of the mobile terminal 400 to be easily stored in the same shape as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400 to form a storage space, or to form a sufficient storage space, but the mobile terminal 400 is stored
  • a method including a separate peeling member to fill the remaining space, a method of fixing by using a variable fixing means such as an elastic shaft may be utilized.
  • the accommodating part 120 is at least a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400 so as to control the mobile terminal 400 by inputting a touch signal through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400 even after the mobile terminal 400 is accommodated.
  • the side toward which the display device is directed should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t is preferable to form a thin film or plate so as to have a front surface so that a touch signal can be input even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art 120.
  • the mobile terminal 40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30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o open the upper surface so as to be injected from the upper surface, or to close the open upper surface as necessary.
  • the display module 200 has a display device larger than the display device held by the mobile terminal 400, and receives and displays image data inpu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400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100. It i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held by the module 200.
  • the display module 200 includes a display unit 210 including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ler 230 including a resizing module 231 for resizing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docking unit 110 and providing the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210. It is composed of
  • the display device refers to a display that can be used in portable video devices such as LCD, LED, IPS, AMOLED, etc.
  • the display device attached to the display module 200 should have a larger size than the display device held by the mobile terminal 400.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have a size of 7 inches or more generally used in tablets, netbooks and the like.
  • a controller 230 for providing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docking unit 110 to the display unit 210 is included.
  • the controller 230 in order to control the resolution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held by the mobile terminal 400 and the display device located in the display unit 210, before providing the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210.
  • the resizing module 231 to perform the resizing operation.
  • a battery 220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display unit 210 may be included.
  • a plate type Li-ion or plate type Li-polymer battery 220 of 3000 mAh or more is usually used. It is common to use. Therefore, such a battery 220 is generally locat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210 that can smoothly supply power to the display unit 210 and can be easily stored.
  • the battery 220 may supply power to not only the display 210 but all other parts. That is, the docking unit 110 may also b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battery 220 to charge the connected mobile terminal 400 and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external input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 Such a configuration is a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module 200,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odule 200 is direct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100 to form an integrated configuration, but additionally outside the display unit 210.
  • the cover unit 24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unit 240 that surrounds the cover unit 240 to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100.
  • the coupling of the display module 200 and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100 may be coupled by a hinge that rot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rot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rough the hinge, or rotated like a bellows or a rotating shaft.
  •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linkages.
  • This coupling method can rotate the display module 200 and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10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o position or display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100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400 to the side
  • the module 200 may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passing to the rear of the module 200.
  • a variety of known locking methods such as forming a locking means of the slot and the protrusion on the coupling portion for fixing the coupling can be utilized.
  • the mobile terminal 400 is coupl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100 to receive image data stored or reproduced in the mobile terminal 400 and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210 located in the display module 200.
  • the display unit 210 located in the display module 200.
  • FIG. 2 is a projection view of an integrated display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viewed from the rear.
  •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input unit 500 capable of receiving image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a separate multimedi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rminal.
  • the multimedi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may be a VGA port, an HDMI port, a DVI port, a USB port, or the like, and the separate multimedi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is not provided through the docking unit 110 located in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100.
  • the external input unit 500 may be formed at another position (for example, one side of the accommodation unit 120 or one side of the cover unit 240) of the integrated display device through a separate extension line. to be.
  • the display unit 210 is configured as a touch display
  • the controller 230 is an application providing module for displaying a control window on the display unit 210 to control the image data is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210 ( 232 and an operation control module 233 for performing the control displayed on the control window through the touch signal input to the display unit 210 from the user.
  • the display unit 210 as a touch type display, the user can directly input a command to the integrated display device through a touch input, and the controller 230 provides a control window to input the command more easily.
  • the application providing module 232 displayed on the display 210 and the operation control module 233 for performing a control displayed on the control window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signal input to the display 210 is configured.
  • the application providing module 232 serves to display a control window displayed on the touch type display and configured to be controlled through a touch input on the display unit 210, and the operation control module 233 looks at the user while viewing the touch type display. By determining the touch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screen, the touch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signal is determined, and the direction, distance, and the like where the touch signal is received are performed, and the corresponding control is performed.
  • the operation button 130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accommodation unit 120, the operation button 130 is a housing 120 to drive a physical switch located on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400. It further comprises a pushing bar 131 extending from the position facing the physical switch in the inner side) to the operation button 130.
  • the mobile terminal 400 has various physical switches (function keys) such as a power button and a volume control button.
  • the physical function key is located
  • the pushing bar 131 extends from the portion to extend across the receiving part 120 to the front of the receiving part 120 is formed, and the front of the receiving part 120 easily controls the pushing bar 131.
  • At least one or more operation buttons 130 are positioned to be able to do so.
  • the pushing bar 131 is pressed or pushed in conjunction with this pushes the physical switch directly.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ushing bar 131, the bevel gear that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orce is composed of a joint in the middle, or by forming the push bar 131 itself to be abl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orce by bending a certain angle, the user Even if you do not have to press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120 is not forced to press the operation button 130 located in the front of the receiving portion 120 will be able to control the physical switch.
  • the operation button 130 may be formed at another position (for example, on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120 or one side of the cover portion 240, etc.) of the integrated display device through a separate extension line. to be.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upport means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integrated display device.
  • the integrated display device for the mobile terminal 400 is composed of two modules,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100 and the display module 200, and the two module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coupling part may be formed by a simple coupling. Hinge, pivot, bellows, etc. could be used.
  •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100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400 is located controls the image unit to provide the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210. Wherever you are, it doesn't matter. However, if necessary, the mobile terminal 400 may need to be manipulated or controlled even while displaying image data on the display 210.
  •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100 is always coupled in parallel with the display module 200. desirable. Therefore,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100 and the display module 200 need a means that can be fixed to maintain the combined in a parallel state.
  • a guide groove 260 and a guide groove 260 are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20 and the cover portion 240 in a transvers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further comprises a fixed shaft 270 for fixing the receiving portion 120 and the cover portion 240 in a parallel state.
  • the guide groove 260 when the guide groove 260 unfolds the receiving portion 120 and the cover portion 240 in a row, it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form transvers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rear.
  • the height at which the guide groove 260 is formed is not a problem at all,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guide grooves 260 is formed at least a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to form the support shaft 271 to be described later.
  • the guide groove 260 is fitted to the fixed shaft 270 to be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120 and the cover portion 240 in a parallel state. In other words, like the locking bar used to lock the opening door in the past, by fitting the fixed shaft 270 along the guide groove 260 can be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accommodating part 120 and the cover part 240 unfolded in parallel. will be.
  • the fixed shaft 270 may be modified as follows. First, the fixed shaft 27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60 to be rotatable, and the side of the fixed shaft 27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upport shaft 271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
  • the fixed shaft 27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60 to be rotatable.
  • the fixed shaft 270 should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 the guide groove 260 should also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 the side of the fixed shaft 27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upport shaft 271 extending in the orthogonal direction, the support shaft 271 serves as a support to support the rear surface in a reading table or an easel or the like.
  • the fixed shaft 270 may be rotated by being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260, at which time the support shaft 271 is further formed on the fixed shaft 270. That is, by varying the height of both side walls of the guide groove 26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otation range of the support shaft 271, and thus the support shaft 271 can be used as a support role.
  • the support shaft 271 of the rear of the receiving portion 120 and the cover portion 240 for the case in which the support shaft 271 is not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fixed shaft 270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260.
  • the recessed port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haft 271 so that the fixed shaft 270 may be rotated as necessary to position the support shaft 271 in the recessed state so as not to be caught. to be.
  • the length of the fixed shaft 270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cover portion 240
  • the fixed shaft 270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state coupled to the guide groove 260 to accommodate the receiving portion 120 and It is possible to change whether the cover portion 240 is fixed in a parallel state.
  • the maximum length of the fixed shaft 270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cover portion 240 even if the fixed shaft 270 is not removed from the guide groove 260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state coupled to the guide groove 260
  • the parallel state of the receiving portion 120 and the cover portion 240 can be controlled. Referring to the drawings, when the fixed shaft 270 is maximally pushed to the left in the guide groove 260, the fixed shaft 27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accommodation part 120. ) Can be rotated as if there is no, but when the fixed shaft 270 is pushed to the right as far as possible, the fixed shaft 270 interferes with the movement of the receiving part 120 and the receiving part 120 and the cover part ( The parallel state of 240 can be fixed.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peaker is attached to a fixed shaft.
  • the fixed shaft 270 is to enable the function of the fixed / support means as well as the rotational fixing and the speaker 274.
  • the voice data is outpu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but the speaker 274 output of the mobile terminal is difficult to distinguish various channels, and the speaker 274 made for the purpose of the call is very loud or very small. Problems such as crushing of sound when data is output could occur.
  • it is to form a fixing projection 272 that can use the fixed shaft 270 as a speaker 274.
  • the receiving portion 120 further includes a fixing groove 261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along an inner direction of the rear side at a boundary portion of on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120, and a fixing groove 261 at one end of the fixing shaft 270.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rojections 272 protruding along the surface circumferen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urther formed.
  • a fixing groove 261 formed at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rear side and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120 of the guide groove 260 and the end of the guide groove 26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depth.
  • the fixing shaft 270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272 protruding along the surface circumference at the end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261. That is, the size or shape of the fixing groove 261 and the fixing protrusion 272 is not limited separately, but the fixing protrusion 272 is fixed fixing groove (270) while the fixed shaft 270 can be rotated in the guide groove 260.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in a shape similar to a cylindrical shape so that it can be sufficiently fixed in the fitted state.
  • a plurality of through grooves 262 penetrating up to the front of the receiving unit 120 are further formed in the fixed groove 261, and the docking unit 110 receives voice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400.
  • a voice transmission terminal 112 extending from the voice input part 111 to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guide groove 260 and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guide groove 260.
  • the voice receiving terminal 273 for receiving the voice data in contact with the voice transmission terminal 112 is further included, the fixing projections 272 to convert the voice data to voice and output the speaker 274 Characterized in that is provided.
  • the fixing groove 26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grooves 262 penetrating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receiving portion 120, the through groove 262 is a speaker 274 provided in the fixing protrusion 272 The passage is formed to better transmit the voice output from the.
  • the docking unit 110 includes a voice input part 111 for receiving voice data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400 or currently being reproduced, and from the voice input part 111 to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guide groove 260. It further includes a voice transmission terminal 112 extended to be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guide groove 260. That is, the voice data is input from the voice input part 111, and the input voice data is transmitted to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guide groove 260 through the voice transmission terminal 112. Therefore, the voice transmission terminal 112 serves as a kind of communication line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 the fixed shaft 270 further includes a voice receiving terminal 273 for receiving voice data in contact with the voice transmission terminal 112 at one side thereof, and the fixed protrusion 272 formed at the end of the fixed shaft 270 has voice.
  • a speaker 274 for converting data into voice and outputting the sound is provided. That is, when the voice transmitting terminal 112 and the voice receiving terminal 27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mobile terminal 400 may move the voice data to the fixed shaft 270, and the fixing protrusion formed at the end of the fixed shaft 270.
  • the speaker 274 is provided with a speaker 274 that converts the voice data into a voice that can be heard by the person 272, and finally outputs the voice data from the speaker 274 as voice, through the through groove 262.
  • the image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400 or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400 can be checked through a large screen at a lower price than the tab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도킹부로 구성되는 단말 연결모듈;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보유한 디스플레이장치보다 큰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도킹부에서 입력받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리사이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리사이징모듈을 포함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이 상기 단말 연결모듈의 측면에서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일체형 디스플레이장치에 모바일 단말기를 장착하여 더 큰 크기의 디스플레이장치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전력공급이 어려운 외부에서도 오랫동안 멀티미디어 정보 등의 시청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휴대폰, PDA, 스마트폰 등)는 점차 화면이 커지고 있는 추세이기는 하나, 7인치 이상의 태블릿과 비교하자면 화면이 작아 눈의 피로를 야기한다. 다만, 이러한 필요성으로 인해 태블릿을 구매하기에는 모바일 단말기와 중복되는 포지션 때문에 선뜻 비용을 지불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와 태블릿이 지원하는 무선통신 데이터 요금제의 경우, 별도로 가입하게 된다면 요금을 두 배 지불해야하며, 최근 대안으로 등장한 모회선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나눠쓰는 요금제를 사용하더라도 태블릿의 특성 상 모바일 단말기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사용하게 되어 금세 사용량 제한에 걸려 무선인터넷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등 제약이 많다.
또한, 태블릿의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시장과 비교하면 아직 크게 활성화되지는 못한 시장이기 때문에 지문인식이나 홍채인식 등의 고급 보안수단은 대부분 모바일 단말기에 집중되어있어 보안상 문제도 가지고 있다. 추가적으로, 소프트웨어면에서도 두 가지의 제품을 이용하는 경우 이중계정을 운용해야 하므로 데이터가 두 군데로 나눠져 위치하기 때문에 이를 관리하거나 상호 이동시키는 경우 불편함을 야기한다. 여기에 보편적인 모바일 단말기는 배터리의 제약으로 사용시간이 짧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보조 디스플레이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542455 ‘모바일 스마트폰 도킹시스템’은 도킹 시스템에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스마트폰과 외부 모니터에 각각 독립적인 다중 디스플레이를 하고, 아울러 외부 출력 장치 사용이 가능하지만 전력 공급이 어려운 외부에서도 오랫동안 멀티미디어 정보 등의 시청이 가능한 모바일 스마트폰 도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상면에 상측부에 일정한 폭으로 길게 연결되어 있는 홈을 통해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외부 모니터에 출력하는 스마트폰 도킹시스템과 상기 스마트폰 도킹시스템 및 외부 모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모바일 스마트폰 도킹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마트폰 도킹시스템은, 프린터와 기타 외부장치(멀티허브, 외장하드/외장메모리 등)가 연결되는 USB포트와 MSD카드가 장착되는 TF포트 및 SD카드가 장착되는 SD포트로 이루어진 외부 메모리부; 스마트폰 도킹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 mUSB 또는 USB를 통해 스마트폰과 연결되는 스마트폰연결부; USB를 통해 마우스와 연결되는 마우스연결부; USB를 통해 키보드와 연결되는 키보드연결부; 오디오 입/출력부; VGA 영상 데이터용 VGA 포트부; HDMI 포트 또는 DVI 포트를 통해 외부 모니터와 연결되는 HDMI/DVI 포트부; 및 상기 스마트폰연결부와 HDMI/DVI 포트와 키보드연결부와 마우스연결부와 오디오 입/출력부에 필요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제1, 2전원입력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하도록 인식시키는 페어링버튼(195)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팩 디바이스는, 배터리 잔여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표시부; 전원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표시부; 배터리팩을 충전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제3, 4전원입력부; 제1 USB 포트를 통해 스마트폰도킹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도킹시스템 전원공급부; 제2 USB 포트를 통해 모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니터 전원공급부; 제 3, 4, 5 USB 포트를 통해 외부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공급부; 모니터로부터 터치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터치신호 입력포트로 구성되되, 상기 스마트폰 도킹시스템과 배터리팩 디바이스는 착탈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스마트폰 도킹시스템에 상기 외부 제1전원부 또는 제2전원부에서 전력 공급될 경우 배터리팩에 의한 전력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모바일 스마트폰 도킹 시스템은 별도의 출력장치를 따로 보유하고, 해당 출력장치로 모바일 스마트폰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기 때문에 별도의 출력장치가 메인이 되고, 도킹 시스템은 일종의 보조 장치의 역할만을 하여 휴대성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한국 등록특허 제 10-1484045호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킹스테이션에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스마트폰과 외부 모니터에 각각 독립적인 다중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외부 모니터로부터의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근거리 통신부와 복수의 프레임 버퍼 드라이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을 도킹시켜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도킹 스테이션;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외부 모니터;로 구성되며,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영상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위한 각각의 MHL 단자;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MHL 영상 데이터를 HDMI 또는 VGA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도킹 스테이션이 디스플레이 장치와 별개로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휴대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치명적인 문제점을 극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된 휴대용 대형 디스플레이장치로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는 정보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고, 휴대성을 높인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매우 절실하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되거나 표시중인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별도의 대형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모바일 단말기를 연결한 채로도 모바일 단말기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휴대성을 보장함은 물론,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거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사운드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기존 모바일 단말기의 미흡한 음성 출력을 보조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도킹부로 구성되는 단말 연결모듈;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보유한 디스플레이장치보다 큰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도킹부에서 입력받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리사이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리사이징모듈을 포함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이 상기 단말 연결모듈의 측면에서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단말 연결모듈의 측면에 결합되는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이 상기 단말 연결모듈의 측면에서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단말 연결모듈에는, 별도의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를 통해 외부 단말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외부입력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식 디스플레이로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제공모듈과,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된 터치신호를 통해 상기 제어창에 표시된 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제어모듈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기 수용부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버튼이 위치하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측면에 위치하는 물리적 스위치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서 상기 물리적 스위치와 마주보는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버튼까지 연장된 푸싱바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커버부의 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는 형태로 함입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커버부를 평행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축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고정축에 대응되도록 라운딩지게 함입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이 상기 가이드홈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고정축의 측면 일측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축의 길이는 상기 커버부의 길이와 대응되고, 상기 고정축을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커버부의 평행상태 고정 여부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후면과 일 측면의 경계부위에는, 후면의 내측 방향을 따라 함입 형성된 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의 일 단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표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홈에는, 상기 수용부의 정면까지 관통된 복수개의 관통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는 음성입력파트와, 상기 음성입력파트로부터 상기 가이드홈의 표면 일 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홈의 표면으로 노출된 음성전송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축의 일 측면에는, 상기 음성전송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음성수신단자가 더 포함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1) 모바일 단말기를 연결하여 보다 큰 화면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도킹부와 대형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
2) 모바일 단말기가 위치하는 단말 연결모듈의 외부에 별도의 물리키를 장착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경우에도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며,
3)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가로지르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고정축을 끼움 결합시킴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펼쳐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4) 고정축에 복수개의 스피커를 추가로 장착하여 음향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기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투영도.
도 3은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지지수단을 장착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고정축에 스피커를 부착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기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의 (a),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체형 디스플레이장치는 모바일 단말기(400)가 수용되는 수용부(120)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400)와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400)에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도킹부(110)로 구성되는 단말 연결모듈(100);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400)가 보유한 디스플레이장치보다 큰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210)와, 상기 도킹부(110)에서 입력받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리사이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로 제공하는 리사이징모듈(231)을 포함하는 컨트롤러(230)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디스플레이모듈(200)이 단말 연결모듈(100)의 측면에서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격적인 구성 설명 이전에 앞서, 본 설명에서 계속해서 사용하게 될 방향에 대한 설정을 미리 짚고 넘어가자면,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 디스플레이부(210)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면, 배터리(220)가 탑재된 방향을 후면, 디스플레이모듈(200)을 기준으로 단말 연결모듈(100)이 위치하는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을 측면, 지면과 맞닿는 방향을 하면, 하면의 반대 방향으로서, 단말 연결모듈(100)의 커버(300)가 위치하는 방향을 상면으로 칭한다.
먼저, 단말 연결모듈(100)은 모바일 단말기(400)를 일체형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하여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400)가 수용되는 수용부(120)와 모바일 단말기(400)와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를 통해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기(400)에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도킹부(110)로 구성된다.
모바일 단말기(4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의 멀티미디어 저장공간을 포함하며 멀티미디어의 재생이 가능한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400)에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외부 기기와 송수신 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송수신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송수신단자의 예를 들면, VGA(Video Graphics Array) 단자를 활용하는 VGA포트, DVI(Digital Video/Visual Interactive) 단자를 활용하는 DVI포트,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를 활용하는 HDMI포트,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를 활용하는 MHL(Mobile High Definition Link)포트 등이 사용되며, 특히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연결방식인 MHL포트를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도킹부(110)의 구성도 대응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수용부(120)는 모바일 단말기(400)가 놓여져 보관될 수 있는 것이며, 휴대가 가능한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모바일 단말기(400)를 보호해야하므로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합성수지나 실리콘, TPU 등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관의 형태는 이후 설명하게 될 디스플레이장치가 포함된 커버부(240)의 측면에 부착되어야 하므로, 바람직하게는 도 1(a)와 같은 육면체 형상 또는 도 1(b)와 같은 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드 처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 내부에는 모바일 단말기(400)가 용이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기(400)의 외관과 동일한 형태로 함입한 보관공간을 형성하거나, 충분한 보관공간을 형성하되, 모바일 단말기(400)가 보관되고 남은 공간을 메울 수 있도록 별도의 필링부재를 포함하는 방법, 탄성 샤프트 등의 가변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 등이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외에도 수용부(120)는 모바일 단말기(400)가 수용된 이후에도 모바일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터치신호를 입력하여 모바일 단말기(4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적어도 전면이자 모바일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장치가 향해있는 방면은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며, 수용부(120)에 수용된 상태로도 터치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전면을 되도록 얇은 막이나 판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모바일 단말기(400)가 상면으로부터 투입될 수 있도록 상면을 개방시키거나, 개방된 상면을 필요에 따라 폐쇄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커버(3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모듈(200)은 모바일 단말기(400)가 보유한 디스플레이장치보다 큰 디스플레이장치를 보유하는 것으로서, 앞선 단말 연결모듈(100)에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400)를 통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모듈(200)이 보유한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모듈(200)에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210)와, 도킹부(110)에서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리사이징하여 디스플레이부(210)로 제공하는 리사이징모듈(231)을 포함하는 컨트롤러(230)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LCD, LED, IPS, AMOLED 등의 휴대용 영상기기에 사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하며, 디스플레이모듈(200)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모바일 단말기(400)가 보유한 디스플레이장치보다 큰 사이즈를 가져야하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태블릿이나 넷북 등에 사용되는 7인치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킹부(110)에서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10)로 제공하는 컨트롤러(230)가 포함된다. 특히, 컨트롤러(230)의 기본적인 기능으로서, 모바일 단말기(400)가 보유한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부(210)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해상도 차이를 제어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10)로 제공하기 이전에 리사이징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리사이징모듈(231)을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 외에도 색감의 차이를 보정하거나 영상 데이터의 출력 방향을 회전시키는 등 일반적으로 별도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기능을 추가적으로 부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디스플레이부(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20)(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때 배터리(220)의 경우 보통 3000mAh 급 이상의 판형 Li-ion 또는 판형 Li-polymer 배터리(220)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배터리(220)는 디스플레이부(210)로의 전원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한 디스플레이부(210)의 후면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배터리(220)는 디스플레이부(210)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부로의 전원공급도 가능하다. 즉, 도킹부(110)에도 배터리(2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400)를 충전시킬 수도 있으며 후술할 외부입력부(500)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이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일반적인 구성이며, 본 발명에서는 단말 연결모듈(100)의 측면에 이러한 디스플레이모듈(200)이 직접 결합되어 일체형 구성을 형성하기도 하지만,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부(210)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부(240)를 더 포함하여 커버부(240)가 단말 연결모듈(100)의 측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모듈(200)과 단말 연결모듈(100)을 결합에 있어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는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힌지를 통해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거나, 자바라나 회동축과 같이 회동될 수 있는 연결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결합방식은 디스플레이모듈(200)과 단말 연결모듈(100)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400)를 연결한 단말 연결모듈(100)을 측면에 위치시키거나 디스플레이모듈(200)의 후방으로 넘기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결합의 고정을 위해 결합부위에 슬롯과 돌기 형태의 걸림수단을 형성하는 등 공지의 다양한 잠금방법이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기본 구성을 통해 단말 연결모듈(100)에 모바일 단말기(400)를 결합시켜 모바일 단말기(400)에 저장된 혹은 재생중인 영상 데이터를 수신해 디스플레이모듈(200)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태블릿과는 달리 별도의 고급 중앙처리장치가 없더라도 대형 화면으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2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투영도이다.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단말 연결모듈(100)에는 별도의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를 통해 외부 단말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외부입력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설될 수 있다. 이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VGA포트, HDMI포트, DVI포트, USB포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단말 연결모듈(100)에 위치하는 도킹부(110)를 통하지 않더라도 이 별도의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를 통해 외부 단말(컴퓨터, TV, 스마트TV, 모니터, 셋탑박스 등)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외부입력부(500)를 더 포함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외부입력부(50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400)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도 다른 외부 단말을 연결하여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외부입력부(500)는 별도의 연장선 등을 통해 일체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다른 위치(예를 들어 수용부(120)의 일 측 또는 커버부(240)의 일 측 등)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10)는 터치식 디스플레이로 구성되고, 컨트롤러(230)는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210)로 제공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창을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제공모듈(232)과,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부(210)에 입력된 터치신호를 통해 제어창에 표시된 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제어모듈(2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10)를 터치식 디스플레이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입력을 통해 일체형 디스플레이장치에 직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컨트롤러(230)는 이러한 명령을 더욱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제어창을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제공모듈(232)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10)에 입력된 터치신호를 통해 제어창에 표시된 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제어모듈(2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어플리케이션제공모듈(232)에서는 터치식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터치 입력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제어창을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동작제어모듈(233)에서는 터치식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터치신호를 파악하여, 해당 터치신호가 수신된 위치와 이동한 방향, 거리 등을 판단하고 그에 대응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수용부(120)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버튼(130)이 위치하며, 조작버튼(130)은 모바일 단말기(4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물리적 스위치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수용부(120)의 내측에서 물리적 스위치와 마주보는 위치로부터 조작버튼(130)까지 연장된 푸싱바(13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400)의 측면에는 전원버튼, 음량조절버튼 등의 다양한 물리적 스위치(기능키)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400)가 도킹부(110)에 연결되어 수용부(120)에 놓여지게 되면,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키를 누르기가 매우 까다로워지는데,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리적 기능키가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되 수용부(120)를 가로질러 수용부(120)의 전면까지 연장된 푸싱바(131)가 형성되는 것이며, 수용부(120)의 전면에는 이러한 푸싱바(131)를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버튼(130)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 조작버튼(130)을 사용자가 누르거나 밀게 되면, 푸싱바(131)가 이에 연동하여 눌리거나 밀리게 되어 물리적 스위치를 직접 누르게 된다. 그러므로 푸싱바(131)의 경우 힘의 방향을 변환할 수 있는 베벨기어가 중간에 이음부로 구성되거나 푸싱바(131) 자체를 특정한 각도로 꺾어 힘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수용부(120)의 사이공간에 억지로 비집고 넣어 누르는 수고를 하지 않더라도 수용부(120)의 전면에 위치한 조작버튼(130)을 조작하여 물리적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작버튼(130)는 별도의 연장선 등을 통해 일체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다른 위치(예를 들어 수용부(120)의 일 측 또는 커버부(240)의 일 측 등)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지지수단을 장착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앞선 설명에서 모바일 단말기(400)용 일체형 디스플레이장치는 단말 연결모듈(100)과 디스플레이모듈(200)의 두 가지 모듈로 구성되되, 두 모듈은 서로 결합되며, 그 결합부는 단순 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힌지나 회동축, 자바라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고 하였다. 물론 디스플레이부(210)가 이 장치의 메인인 만큼 모바일 단말기(400)가 위치하는 단말 연결모듈(100)은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10)에 제공하도록 제어한 이후부터는 단말 연결모듈(100)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던 간에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210)에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도중에도 모바일 단말기(400)를 조작하거나 제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웹서핑과 같은 작업에 있어서 단순히 웹서핑을 큰 화면으로 즐기고자 하는 경우가 그 예인데, 이 경우에는 항시 단말 연결모듈(100)이 디스플레이모듈(200)과 평행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말 연결모듈(100)과 디스플레이모듈(200)이 평행한 상태로 결합된 것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수단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용부(120) 및 커버부(240)의 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는 형태로 함입 형성된 가이드홈(260)과, 가이드홈(260)에 끼움 결합되어 수용부(120) 및 커버부(240)를 평행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축(2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가이드홈(260)은 수용부(120)와 커버부(240)를 일렬로 펼쳐놓았을 때, 그 후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는 형태로 함입 형성한 것이다. 가이드홈(260)이 형성되는 높이는 어떠한 높이라도 크게 문제는 없지만 후술할 지지축(271)의 형성을 위해서는 적어도 하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이드홈(260)에는 수용부(120) 및 커버부(240)를 평행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축(270)을 끼움 결합한다. 즉, 과거 여닫이문을 잠글 때 사용한 잠금바와 같이, 가이드홈(260)을 따라 고정축(270)을 끼워 결합시킴으로써 수용부(120)와 커버부(240)를 평행하게 펼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고정축(270)은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첫 번째로써 고정축(270)은 가이드홈(260)에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고정축(270)의 측면 일 측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축(27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그것이다.
우선, 고정축(270)이 가이드홈(260)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를 위해 고정축(27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며, 가이드홈(260) 또한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 고정축(270)의 측면 일 측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축(271)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는데, 이 지지축(271)은 독서대 또는 이젤 등에서 후면을 받치도록 하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고정축(270)은 가이드홈(260)에 끼움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는데, 이 때 고정축(270)에 지지축(271)이 더 형성되는 것이다. 즉, 가이드홈(260)의 양 측벽 높이를 달리함으로써 지지축(271)의 회동범위를 제어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지지축(271)을 지지대 역할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축(270)을 가이드홈(26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지지축(271)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위해 수용부(120)와 커버부(240)의 후면 중 지지축(271)의 위치에 지지축(271)과 대응되는 형태로 함입부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고정축(270)을 회동시켜 지지축(271)을 이 함입부에 넣은 상태로 위치시켜 걸리적거리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두 번째로써, 고정축(270)의 길이는 커버부(240)의 길이와 대응되고, 고정축(270)을 가이드홈(26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시켜 수용부(120) 및 커버부(240)의 평행상태 고정 여부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축(270)의 최대 길이를 커버부(240)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한다면, 고정축(270)을 가이드홈(260)으로부터 제거하지 않더라도 가이드홈(26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시켜 수용부(120) 및 커버부(240)의 평행상태 고정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자면 가이드홈(260)에서 고정축(270)을 좌측으로 최대한 밀어 이동된 경우에는 고정축(270)이 수용부(120)의 이동을 간섭하지 못하므로 기존의 고정축(270)이 없던 형태와 같이 회동될 수 있으나, 고정축(270)을 우측으로 최대한 밀어 이동된 경우에는 고정축(270)이 수용부(120)의 이동을 간섭하여 수용부(120)와 커버부(240)의 평행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고정축에 스피커를 부착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고정축(270) 및 가이드홈(260)의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축(270)을 고정/지지수단의 기능 뿐만 아니라 회동고정 및 스피커(274)의 기능을 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앞선 구성에서는 음성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였으나, 모바일 단말의 스피커(274) 출력으로는 다양한 채널의 구분이 힘들고, 통화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스피커(274)인 만큼 음량이 매우 크거나 매우 작은 음성 데이터가 출력될 때 소리가 뭉개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고정축(270)을 스피커(274)로 사용할 수 있는 고정돌기(272)를 형성한 것이다.
먼저, 고정돌기(272)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용부(120)의 후면과 일 측면의 경계부위에는 후면의 내측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함입 형성된 고정홈(261)을 더 포함하고, 고정축(270)의 일 단부에는 고정홈(261)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표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27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가이드홈(260) 중 수용부(120)의 후면과 일 측면의 경계부위이자, 가이드홈(260)의 단부에는 일정 길이와 일정 깊이로 함입 형성된 고정홈(261)이 형성된다. 또 고정축(270)에는 이 고정홈(261)과 대응되는 위치인 단부에서 표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272)가 더 형성된다. 즉, 이 고정홈(261) 및 고정돌기(272)의 크기나 형태는 별도의 제한은 없으나, 고정축(270)이 가이드홈(260)에서 회동될 수 있으면서도 고정돌기(272)가 고정홈(261)에 끼워진 상태로 충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원통형태와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고정홈(261)에는 수용부(120)의 정면까지 관통된 복수개의 관통홈(262)이 더 형성되고, 도킹부(110)는, 모바일 단말기(40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는 음성입력파트(111)와, 음성입력파트(111)로부터 가이드홈(260)의 표면 일 측까지 연장되어 가이드홈(260)의 표면으로 노출된 음성전송단자(112)를 더 포함하며, 고정축(270)의 일 측면에는, 음성전송단자(112)와 접촉하여 음성데이터를 수신하는 음성수신단자(273)가 더 포함되고, 고정돌기(272)에는 음성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27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고정홈(261)에는 수용부(120)의 후면으로부터 정면까지 관통된 복수개의 관통홈(26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관통홈(262)은 고정돌기(272)에 구비된 스피커(274)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좀 더 잘 전달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킹부(110)에는 모바일 단말기(400)에 저장되어있거나 현재 재생중인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는 음성입력파트(111)와, 음성입력파트(111)로부터 가이드홈(260)의 표면 일 측까지 연장되어 가이드홈(260)의 표면으로 노출된 음성전송단자(112)를 더 포함한다. 즉, 음성입력파트(111)에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전송단자(112)를 통해 가이드홈(260)의 표면 일측 까지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음성전송단자(112)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일종의 통신선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고정축(270)에는 일 측면에 음성전송단자(112)와 접촉하여 음성데이터를 수신하는 음성수신단자(273)가 더 포함되며, 고정축(270)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272)에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274)가 구비된다. 즉, 음성전송단자(112)와 음성수신단자(273)가 접촉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40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고정축(270)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고정축(270)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272)에는 음성 데이터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성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스피커(274)가 구비되므로, 최종적으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274)에서 음성으로 출력하게 되며, 앞서 관통홈(262)을 통해 수용부(120)의 정면으로 음성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게 됨으로써 기존에 문제가 되었던 음성의 전달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모바일 단말기(400)보다 출력 및 크기가 큰 스피커(274)를 채용하게 되므로, 실감나는 음향 채널의 적용과 음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태블릿과 비교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모바일 단말기(400)에 저장되거나 모바일 단말기(400)에서 표시중인 영상을 대형 스크린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단말 연결모듈
110: 도킹부
111: 음성입력파트
112: 음성전송단자
120: 수용부
130: 조작버튼
131: 푸싱바
200: 디스플레이모듈
210: 디스플레이부
220: 배터리
230: 컨트롤러
231: 리사이징모듈
232: 어플리케이션제공모듈
233: 동작제어모듈
240: 커버부
260: 가이드홈
261: 고정홈
262: 관통홈
270: 고정축
271: 지지축
272: 고정돌기
273: 음성수신단자
274: 스피커
300: 커버
400: 모바일 단말기
500: 외부입력부

Claims (8)

  1.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도킹부로 구성되는 단말 연결모듈;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보유한 디스플레이장치보다 큰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도킹부에서 입력받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리사이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리사이징모듈을 포함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이 상기 단말 연결모듈의 측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되,
    상기 수용부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버튼이 위치하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측면에 위치하는 물리적 스위치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서 상기 물리적 스위치와 마주보는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버튼까지 연장되되, 특정한 각도로 꺾어 힘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형성된 푸싱바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커버부의 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는 형태로 함입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커버부를 평행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연결모듈에는,
    별도의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를 통해 외부 단말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외부입력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식 디스플레이로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제공모듈과,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된 터치신호를 통해 상기 제어창에 표시된 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제어모듈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고정축에 대응되도록 라운딩지게 함입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이 상기 가이드홈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고정축의 측면 일측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의 길이는 상기 커버부의 길이와 대응되고,
    상기 고정축을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커버부의 평행상태 고정 여부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후면과 일 측면의 경계부위에는,
    후면의 내측 방향을 따라 함입 형성된 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의 일 단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표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에는,
    상기 수용부의 정면까지 관통된 복수개의 관통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는 음성입력파트와,
    상기 음성입력파트로부터 상기 가이드홈의 표면 일 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홈의 표면으로 노출된 음성전송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축의 일 측면에는,
    상기 음성전송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음성수신단자가 더 포함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PCT/KR2017/002576 2016-06-29 2017-03-10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WO201800410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321 2016-06-29
KR1020160081321A KR101691771B1 (ko) 2016-06-29 2016-06-29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4109A1 true WO2018004109A1 (ko) 2018-01-04

Family

ID=5773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2576 WO2018004109A1 (ko) 2016-06-29 2017-03-10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004477A1 (ko)
KR (1) KR101691771B1 (ko)
WO (1) WO20180041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3813B1 (en) * 2021-07-21 2022-12-20 Rockwell Collins, Inc. Touchscreen display panel gripping mechanism and bezel
US11856289B1 (en) * 2023-06-12 2023-12-26 Yes Yes Media Limited Portable media capture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6361A (ko) * 2006-11-22 2008-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구조
KR200454809Y1 (ko) * 2011-02-10 2011-07-28 정준엽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37638A (ko) * 2010-10-12 2012-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
KR101564030B1 (ko) * 2014-09-26 2015-10-29 김용운 입출력장치를 분담하는 앱을 탑재한 스마트 기기 탑재시스템 및 분담 제어방법
KR20150127476A (ko) * 2014-05-07 2015-11-17 김봉기 휴대용 단말기 화면공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0675B2 (en) * 2007-03-14 2013-12-17 Power2B, Inc. Interactive devices
US9753489B2 (en) * 2015-04-16 2017-09-05 General Enchantment LLC Physical electronic bulletin board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6361A (ko) * 2006-11-22 2008-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구조
KR20120037638A (ko) * 2010-10-12 2012-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
KR200454809Y1 (ko) * 2011-02-10 2011-07-28 정준엽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27476A (ko) * 2014-05-07 2015-11-17 김봉기 휴대용 단말기 화면공유장치
KR101564030B1 (ko) * 2014-09-26 2015-10-29 김용운 입출력장치를 분담하는 앱을 탑재한 스마트 기기 탑재시스템 및 분담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771B1 (ko) 2016-12-30
US20180004477A1 (en)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9219B1 (en) Method and apparatus having multiple display devices
US7663805B2 (en) Eyewear display and media device interconnection system
TWI594128B (zh) 可更換智慧核心元件之智慧平台
TW459192B (en)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provided with the same
JP4190496B2 (ja) パソコンの無線人間・機械会話装置
WO2020196941A1 (ko) 롤러블 이동 단말기
WO2012060585A2 (ko) 단말기 장치
WO2015115806A1 (ko)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KR100723903B1 (ko) 전자기기
WO2012134087A2 (ko) 복합 힌지장치 및 이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11570917B2 (en) Portable monitor and peripherals hub system
WO202108591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lot antenna module
WO2013122368A1 (ko) 위치 정보 입력이 가능한 키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키보드 시스템
WO2018004109A1 (ko)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WO2015102465A1 (ko)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CN100365537C (zh) 电子设备
WO2012108626A2 (en)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attaching portable terminal
CN113970957A (zh) 便携式显示器和外围设备集线器系统
WO2020246811A1 (ko) 탄성구동체
KR100313581B1 (ko) 휴대폰용 도킹장치
WO2015023120A1 (ko)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WO2020145444A1 (ko) 이동 단말기
WO2013129890A1 (ko)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WO2020190100A1 (ko) 듀얼 디스플레이 및 키보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090069918A1 (en) Portable digit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203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203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