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29890A1 -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29890A1
WO2013129890A1 PCT/KR2013/001680 KR2013001680W WO2013129890A1 WO 2013129890 A1 WO2013129890 A1 WO 2013129890A1 KR 2013001680 W KR2013001680 W KR 2013001680W WO 2013129890 A1 WO2013129890 A1 WO 20131298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ir
portable terminal
frames
coupling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168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두일
Original Assignee
둘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120004681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465121Y1/ko
Application filed by 둘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둘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31298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298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2Pen holder integrated in the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Definitions

  • FIG. 8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nsion button shown in FIG.
  • FIG. 1 and 2 ar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and Figure 6 is a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coupling device having an extension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8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nsion button shown in FIG. 9 and 10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en coupling sphere 17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pen mechanism 180 is formed by forming an empty space in the connecting portion 130.
  • the pen coupling port 17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nnection portion 130.
  • the pen mechanism 180 may be a conductive stylus pen for detecting a touch on a capacitive touch panel, or a stylus pen for detecting a touch on a pressure sensitive touch panel. Accordingly, the pen mechanism 18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130, and only the upp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be detachable.
  • the extension button 135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irst frame 110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and the state of protruding to the outside by the elastic means is maintained.
  •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inside, a predetermined distance is moved,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it may be configured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gain.
  • the other end of the extended button 135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the inclined surface may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10).
  •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button 135 ' is formed with a recessed groove having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button 135, the position of the recessed groove and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button 135
  •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mouth grooves ar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ward so as to contact only a part of each other.
  • the extension button 135 moves to the inside of the first frame 110, an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recessed groove of the driving button 135 ′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xtension button 135.
  • the transmitted external force has a horizontal component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so that the driving button 135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frame 110 so that one end of the driving button 135' protrudes to the outside.
  • the protruding drive button 135 ′ may press the side button 210 ′ of the mobile terminal 210 so that the side button of the mobile terminal 210 may be pressed.
  • FIG. 7A and 7B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fastened to the portable terminal coupl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10 outputs the output window 310.
  • the second mobile terminal 220 may be used as the virtual keyboard 320.
  • the virtual keyboard may be a numeric keypad, a keypad for game control, and the like, depending on a program type such as a calculator and a game.
  • the coupling jack 137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not shown) protruding from the body of the coupling jack 137 instead of the coupling grooves 137a and 137b, and the rotation protrusions o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10 and 120.
  • a rotating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That is, any structure may be adopt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jack 137 as long as both ends of the coupling jack 137 may be rotatably coupled around specific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10 and 120, respectively. D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휴대단말기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둘 이상의 휴대단말기를 하나의 단말기처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본 발명은 서로 독립된 두 대의 휴대단말기를 함께 거치되도록 하여 두 대의 휴대단말기의 외관을 보호함과 동시에, 하나의 단말기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디어플레이어,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휴대단말기는 점진적인 기술발전을 통해 초기의 단순한 음악 및 동영상 재생, 음성 통화 및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에 더하여 일정관리, 뱅킹, 인터넷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고, 최근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의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실행 가능하도록 구현됨에 따라 일반PC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휴대단말기에서 오피스, ERP, 온라인 게임 등의 다양한 기능과 메뉴가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에는 휴대단말기의 한정된 리소스, 예를 들어 한정된 디스플레이, 통신 속도나 데이터 처리 속도의 한계, 배터리 과다소모 등의 하드웨어 측면에서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 특히 스마트폰 화면은 대략 4~5인치 대의 크기인 데 반에, 상기의 다양한 기능과 메뉴가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스마트폰으로 운용하기에 화면이 작아 답답한 부분이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기술 및 성능 개선에 따라 단말기 사용주기가 짧아지면서, 신형의 휴대단말기 구입 후 기존 단말기를 재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서로 독립된 두 대의 휴대단말기를 두 개의 프레임 형태의 거치대에 각각 안착하여 두 대의 휴대단말기의 외관을 동시에 보호하고,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한 힌지 형태의 결합구조로 연결함으로써 두 개의 휴대단말기를 물리적으로 결합시켜 하나의 형태로 휴대하며, 두 개의 휴대단말기 간 상호 통신할 수 있는 신호라인과 하나의 외부 접속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 및 동시 충전하여 하나처럼 운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휴대단말기 결합장치는, 한 쌍의 휴대단말기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독립된 두 대의 휴대단말기를 각각의 테두리 외관에 맞는 프레임 형태의 거치대에 안착한 후, 두 대의 휴대단말기의 외관을 동시에 보호하고, 두 거치대를 힌지 연결하여, 두 대의 휴대단말기를 마치 하나의 폴더형 휴대 단말기처럼 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 프레임 내측과 연결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1,2 커넥터 접속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신호라인으로 휴대단말기 간 통신하여 두 대를 한 대처럼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으며, 하나의 데이터 및 충전용 외부접속구를 통해 외부케이블로 동시에 두 대의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다.
더불어 거치대에 안착된 두 개의 휴대단말기 간의 유선 혹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하나의 휴대단말기는 디스플레이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휴대단말기는 키패드, 메뉴 등으로 사용하여 하나의 기능을 두 개의 휴대단말기로 수행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한정된 리소스를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사용하지 않는 휴대단말기의 재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결합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결합장치에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버튼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결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연장버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결합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결합장치의 변형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결합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결합장치에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버튼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결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연장버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휴대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PC 등과 같은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결합장치(10)는 제1휴대단말기 테두리 외측을 감싸 고정하는 제1프레임(110)과, 제2휴대단말기 테두리 외측을 감싸 고정하는 제2 프레임(120)과, 상기 제1, 2 프레임(110, 120)을 서로 결합시키고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휴대단말기의 테두리 외측만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그 전방 및 후방은 모두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테두리 외측을 감싸면서 동시에 휴대단말기의 후면을 차폐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전방만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특히 제1프레임(110)와 제2프레임(120)이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휴대단말기의 후면 케이싱(미도시)을 분리한 상태로 휴대단말기를 제1프레임(110) 또는 제2프레임(120)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프레임(110, 120)은 실제 휴대단말기의 후면 케이싱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태 외에도,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결합되어 휴대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될 수 있다. 또한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의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제1프레임(110)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맞는 크기 및 형상으로, 제2프레임(120)은 태블릿 PC에 맞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연결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형태의 힌지축(132)과, 힌지축(132)에 힌지축(13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120)과 일체로 연결되는 힌지결합부(1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에 따라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에 연결된 힌지결합부(131)가 힌지축(132)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이 서로에 대해 회동 운동 가능하다.
한편 힌지축(132)의 상단에는 각각 결합돌기(133)가 판스프링 장치 등을 이용하여 결합홈(134)에 삽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결합홈(134)과 결합돌기(133)는 회전할 때에 일정 회전각도의 범위로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1,2 휴대단말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결합장치(10)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휴대단말기가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0)에는 제1휴대단말기(210)가 결합되고, 제2프레임(120)에는 제2휴대단말기(220)가 결합될 수 있다. 두 휴대단말기를 연동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32)을 중심으로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을 서로 회동시켜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하고, 두 휴대단말기를 휴대하거나 하나의 휴대단말기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4의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휴대단말기의 후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을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30)의 상단에 펜결합구(170)가 형성되고, 연결부(130)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펜기구(180)가 펜결합구(170)를 통해 연결부(130) 내부로 수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펜기구(180)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에서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도성의 스타일러스펜, 또는 감압식 터치패널에서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타일러스펜 등이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펜기구(180)는 연결부(13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며, 상단만 외부로 노출되어 착탈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 프레임(110, 120)에는 각각 제1 및 제2커넥터 접속단자(140, 15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커넥터 접속단자(140, 150)는 각각 제1 및 제2프레임(110, 120)의 내주연 일측에 형성되며, 휴대단말기 각각의 커넥터 접속구에 삽입하여 결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연결부(130) 또는 제1 및 제2프레임(110, 1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외부 충전라인이나 데이터 케이블과 접속할 수 있는 외부 접속구(160)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접속구(160)는 예를 들어 연결부(130)의 하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커넥터 접속단자(140, 150)는 연결부(130)를 경유하여 각각 외부 접속구(160)를 통해 외부 장치와 전기적, 신호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되거나, 제1커넥터 접속단자(140)와 제2커넥터 접속단자(150)가 서로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2 커넥터 접속단자(140, 150)는 서로 연결부(130)의 외부접속구(160)와 신호선으로 연결되는 회로로 구성되며, 연결부(130) 외부접속구(160)에 외부 충전케이블을 연결하여 하나의 외부 접속구(160)를 통해 동시에 두 대의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130)의 상단이나 일측면에 통신이나 전원 스위치를 구성하여, 연결부(130) 하단의 외부 접속구(160)에 데이터이나 충전 케이블을 연결하여 외부 PC 등의 기기와 통신이나 외부전원을 통한 충전 수행 시, 제1 혹은 제2 휴대단말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외부통신이나 외부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제1, 2커넥터 접속단자(140, 150)와 상기 연결부(130)를 경유하는 신호라인이 순차적으로 연통되어 제1,2 휴대단말기 간에 서로 각종 신호나 정보 등을 주고 받을 수 있고, 연결부(130)의 외부접속구(160) 통해 외부 데이터나 전력을 스위치를 두고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2 커넥터 접속단자(140, 150)는 필수적 구성은 아니고, 그 위치에 휴대단말기의 커넥터 접속구에 대응하는 형상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추가로 제1,2 휴대단말기 간 통신을 하기 위해,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지만, 보다 효율적으로 구동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체 배터리를 구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는 힌지축(132)의 원통형에 공간을 마련하여 위치시키도록 하며, 배터리로 축전지를 사용하여 외부 충전기로 반복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내장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 충전기와 연결되는 연결부(130)의 외부접속구(160)를 동해 외부 충전기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상기 배터리를 배분 충전하는 충전모듈을 더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힌지축(132) 내부에는 제1,2 휴대단말기 간 통신을 하기 위해, 각각 제1, 2커넥터 접속단자(140, 150)와 전기적, 신호적으로 연통되며, 제1, 2커넥터 접속단자(140, 15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미리 정의된 바에 따라 처리하여 제1, 2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통합운용장치가 수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결합장치(10)에는 연장버튼(135)이 구비될 수 있다. 연장버튼(135)은 휴대단말기의 측면 버튼을 간접 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휴대단말기가 휴대단말기 결합장치(10)에 결착된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되어 휴대단말기의 측면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 결착 시 제1프레임(110) 또는 제2프레임(120)에 의해 가려지는 휴대단말기의 측면 버튼(예를 들어, 볼륨버튼, 홀드버튼 등)을 직각 구조 등으로 연장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 버튼(135)은, 예를 들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0)의 일측에 그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탄성수단에 의해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되, 일단에 외력이 가해지면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동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 버튼(135)의 타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데, 경사면은 제1휴대단말기(2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할수록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연장 버튼(135)의 이동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버튼(135’)이 별도로 마련된다. 구동버튼(135’)은 제1프레임(110)의 내측면(휴대단말기(210)와 접하는 면)으로 노출되어, 휴대단말기(210)의 측면 버튼(210’)을 선택적으로 누르도록 구성된다. 구동 버튼(135’)의 일단은 평소에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유지되나, 연장 버튼(135)이 아래로 이동하면, 구동 버튼(135’)이 외부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구동 버튼(135’)의 타단에는 연장 버튼(135)의 타단에 형성된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갖는 요입홈이 형성되되, 요입홈의 위치는 연장 버튼(135)의 타단에 형성된 경사면과 요입홈의 경사면이 서로 일부분만 접하도록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연장 버튼(135)이 제1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이동하면, 연장 버튼(135)의 경사면을 통해 외력이 구동 버튼(135’)의 요입홈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전달된다. 전달된 외력은 요입홈의 경사면에 의하여 수평 성분을 갖게 되며, 그에 따라 구동 버튼(135’)이 제1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구동 버튼(135’)의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그리고 돌출된 구동 버튼(135’)은 휴대단말기(210)의 측면 버튼(210’)을 압박하여, 휴대단말기(210)의 측면 버튼이 눌러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장 버튼(135)의 구조는 실시예에 불과하고, 수직 방향 외력을 수평 방향으로 전환하여 전달할 수 있는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7a 및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결합장치(10)에 휴대단말기를 체결하여 사용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문서나 텍스트 편집 프로그램을 제1, 2 휴대단말기(210, 220)로 통합 운영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1휴대단말기(210)는 출력창(310)으로 사용하고, 제2휴대단말기(220)는 가상키보드(320)로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상키보드는 계산기, 게임 등 프로그램 형태에 따라 그에 적절한 숫자 키패드, 게임 컨트롤을 위한 키패드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휴대단말기(210)에는 택일적인 복수의 항목이 리스트로 표시되고, 이 중 선택된 항목에 대한 상세정보가 제2휴대단말기(220)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제1휴대단말기(210)와 제2휴대단말기(220) 중 어느 하나는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구동장치가 되고, 다른 하나는 구동장치로부터 표시될 이미지만을 받아 표시하거나, 가상키보드를 표시하여 입력받은 신호를 구동장치로 전송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휴대단말기(210)와 제2휴대단말기(220)가 연동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결합장치(10)를 통해 하나의 휴대단말기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두 휴대단말기의 연동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커넥터 접속단자(140, 150)를 통해 두 휴대단말기를 유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두 휴대단말기를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결합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결합장치의 변형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위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결합장치에서, 연결부(1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부(130)는, 제1, 2 프레임(110, 120)을 서로 결합시키고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제1, 2 프레임(110, 120)과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잭(13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잭(137)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 양단에는 제1, 2 프레임(110, 12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결합잭(137)의 몸체로부터 일정 깊이 이상 요입 형성되는 결합홈(137a, 137b)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37a, 137b)은 제1, 2 프레임(110, 120)에 형성되는 후술할 회동돌기(139a, 139b)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동돌기(139a, 139b)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결합잭(137)에는 결합홈(137a,137b) 대신에 결합잭(137)의 몸체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제1, 2프레임(110, 120)에는 회동돌기(139a, 139b) 대신에 회동홈(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결합잭(137)의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제1, 2 프레임(110, 120)의 특정 위치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구조라도 결합잭(137) 양단에 채용 가능하다.
그리고 제1, 2 프레임(110, 120)의 외측 테두리에는,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회동돌기(139a, 139b)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프레임(110)에 형성되는 회동돌기(139a)와 제2프레임(120)에 형성되는 회동돌기(139b)는 서로 적어도 한 쌍을 이루고, 한 쌍의 회동돌기(139a, 139b)에 각각 하나의 결합잭(137)이 결합된다.
회동돌기(139a, 139b)는 제1, 2프레임(110, 120)의 외측 테두리의 바깥쪽에 형성되며, 결합잭(137)의 양단의 회동중심이 된다. 물론 회동돌기(139a, 139b)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잭(137)의 양단 형상에 따라 외측 테두리의 내측으로 요입되는 회동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결합잭(137)과 제1, 2 프레임(110, 120)이 한 쌍의 회동중심을 중심으로 상대 회동 하면서, 한 쌍의 회동중심은 서로 동일한 거리(결합잭(137)의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를 유지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프레임(110, 120)은 두 가지 상태 사이에서 위치 이동하게 된다. 먼저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잭(137)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제1, 2프레임(110, 120)이 배열되면서, 제1, 2프레임(110, 120)은 동일 평면상에 테두리의 한 변이 이웃하게 나열되는 펼친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제1, 2프레임(110, 120)과 결합잭(137)이 서로 일직선으로 나열된 상태에서는 제1, 2프레임(110, 120)이 펼친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펼친상태에서는 제1, 2프레임(110, 120)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확인하고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결합잭(137)과 제1, 2프레임(110, 120)이 서로 알파벳 Z 형태로 접혀져 제1, 2프레임(110, 120)이 서로 완전히 포개어지는 접힌상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장치(10)가 가장 컴팩트하게 유지되어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두 대의 휴대단말기로 수행하는 하나의 프로그램 혹은 작업은 휴대단말기 결합장치에 두 대의 휴대단말기가 결착된 상태에서, 하나의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응용 소프트웨어나 하나의 O/S가 될 수 있다. 또는 두 개의 응용 프로그램이 각각의 작업을 하나의 휴대단말기에서 단독으로 처리하는 것보다 두 대의 휴대단말기로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자원이나 모듈을 가지고 상호 통신하며 처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면, 두 개 혹은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도 하나의 작업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휴대단말기의 응용프로그램이 메모리, Disk, 카메라, Wifi모듈 등의 용량이나 성능이 부족하거나 없어 제2휴대단말기의 메모리, Disk, 카메라, Wifi모듈 등을 공유 사용하는 경우나, 제1휴대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과 제2휴대단말기의 메모리, Disk 관리 프로그램이 상호 송수신하여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1)

  1. 한 쌍의 휴대단말기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은,
    휴대단말기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며 휴대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도록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되는 형상, 또는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결합되며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대응하는 판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연결되고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힌지결합부와;
    상기 힌지결합부의 회전을 지지하고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 내부에는 원통형의 빈 공간이 형성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내주면에는, 각각 휴대단말기의 커넥터 접속구에 삽입되어 휴대단말기와의 데이터 교환 경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커넥터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커넥터 접속단자는,
    상기 연결부를 경유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통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 내부에는,
    상기 한 쌍의 커넥터 접속단자와 각각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고, 상기 한 쌍의 커넥터 접속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미리 정의된 바에 따라 처리하여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통합운용장치가 수납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 일측에는,
    상기 한 쌍의 커넥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에 대한 외부장치로부터의 전력공급 또는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외부접속구가 형성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 내부에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외부접속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한 쌍의 커넥터 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한 쌍의 휴대단말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각에는,
    휴대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되는 버튼으로 외력을 선택적으로 가하도록 하는 연장버튼이 하나 이상 구비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소정길이로 길게 연장되고 일단과 타단이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잭;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외측 테두리에 요입되거나 돌출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잭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회동중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은,
    상기 결합잭의 상기 한 쌍의 회동중심에 대한 회동에 따라, 서로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이웃하여 배열되는 펼친상태와, 서로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두께방향으로 완전히 포개어지는 접힌상태로 변형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PCT/KR2013/001680 2012-03-02 2013-02-28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WO201312989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2002 2012-03-02
KR10-2012-0022002 2012-03-02
KR20120002138 2012-03-19
KR20-2012-0002138 2012-03-19
KR20120003048 2012-04-16
KR20-2012-0003048 2012-04-16
KR20-2012-0003261 2012-04-22
KR20120003261 2012-04-22
KR20-2012-0004681 2012-06-04
KR2020120004681U KR200465121Y1 (ko) 2012-03-02 2012-06-04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9890A1 true WO2013129890A1 (ko) 2013-09-06

Family

ID=4908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1680 WO2013129890A1 (ko) 2012-03-02 2013-02-28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31298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1812A4 (en) * 2015-10-06 2018-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590A (ko) * 2001-04-16 2002-10-26 주식회사 알파텔레콤 펜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커버를 구비한개인 정보단말기
US20090040399A1 (en) * 2007-08-08 2009-02-12 Chih-Hung Kao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digital images
KR20100069162A (ko) * 2008-12-16 2010-06-24 유상규 멀티 디스플레이 구조의 휴대 단말기
US7743999B1 (en) * 2006-03-14 2010-06-29 Griffin Technology, Inc.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external access por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590A (ko) * 2001-04-16 2002-10-26 주식회사 알파텔레콤 펜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커버를 구비한개인 정보단말기
US7743999B1 (en) * 2006-03-14 2010-06-29 Griffin Technology, Inc.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external access port
US20090040399A1 (en) * 2007-08-08 2009-02-12 Chih-Hung Kao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digital images
KR20100069162A (ko) * 2008-12-16 2010-06-24 유상규 멀티 디스플레이 구조의 휴대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1812A4 (en) * 2015-10-06 2018-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5075B2 (en) Successively layered modular construction for a portable computer system
TWI594128B (zh) 可更換智慧核心元件之智慧平台
CN103207768A (zh) 双屏幕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20040080899A1 (en) Computer system including a function-expanding pad and a function-expanding pad connecting unit
JP2005158013A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のキーボード拡充シート
WO2013122368A1 (ko) 위치 정보 입력이 가능한 키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키보드 시스템
EP3811179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tand member
KR20210113880A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 장치, 그리고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20124194A (ko) 착탈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겸용 화면출력장치
CN100365537C (zh) 电子设备
WO2013129890A1 (ko)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CN105141714A (zh) 第一移动设备、外接设备和第二移动设备
WO2015023120A4 (ko)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CN102999092B (zh) 具有触控板的电子装置
WO2018004109A1 (ko)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CN110417953B (zh) 移动终端
CN102999091B (zh) 一种可分离式电子设备
KR200465121Y1 (ko)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KR102078618B1 (ko) 입력부를 구비하는 커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140003908A (ko) 이중회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CN111775575B (zh) 打印设备
WO2013129717A1 (ko)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US20240031467A1 (en) Mobile terminal,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CN218383907U (zh) 集成扩展坞功能的蓝牙输入装置
CN202230410U (zh) 具有触控板的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543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543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