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121Y1 -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121Y1
KR200465121Y1 KR2020120004681U KR20120004681U KR200465121Y1 KR 200465121 Y1 KR200465121 Y1 KR 200465121Y1 KR 2020120004681 U KR2020120004681 U KR 2020120004681U KR 20120004681 U KR20120004681 U KR 20120004681U KR 200465121 Y1 KR200465121 Y1 KR 2004651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ortable terminal
frames
hing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두일
Original Assignee
둘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둘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둘툰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1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121Y1/ko
Priority to PCT/KR2013/00168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298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한 쌍의 휴대단말기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둘 이상의 휴대단말기를 하나의 단말기처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APPARATUS FOR COMBINING PORTABLE DEVICES}
본 고안은 서로 독립된 두 대의 휴대단말기를 함께 거치되도록 하여 두 대의 휴대단말기의 외관을 보호함과 동시에, 하나의 단말기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디어플레이어,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휴대단말기는 점진적인 기술발전을 통해 초기의 단순한 음악 및 동영상 재생, 음성 통화 및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에 더하여 일정관리, 뱅킹, 인터넷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고, 최근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의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실행 가능하도록 구현됨에 따라 일반PC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휴대단말기에서 오피스, ERP, 온라인 게임 등의 다양한 기능과 메뉴가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에는 휴대단말기의 한정된 리소스, 예를 들어 한정된 디스플레이, 통신 속도나 데이터 처리 속도의 한계, 배터리 과다소모 등의 하드웨어 측면에서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 특히 스마트폰 화면은 대략 4~5인치 대의 크기인 데 반에, 상기의 다양한 기능과 메뉴가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스마트폰으로 운용하기에 화면이 작아 답답한 부분이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기술 및 성능 개선에 따라 단말기 사용주기가 짧아지면서, 신형의 휴대단말기 구입 후 기존 단말기를 재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서로 독립된 두 대의 휴대단말기를 두 개의 프레임 형태의 거치대에 각각 안착하여 두 대의 휴대단말기의 외관을 동시에 보호하고,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한 힌지 형태의 결합구조로 연결함으로써 두 개의 휴대단말기를 물리적으로 결합시켜 하나의 형태로 휴대하며, 두 개의 휴대단말기 간 상호 통신할 수 있는 신호라인과 하나의 외부 접속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 및 동시 충전하여 하나처럼 운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제1측면에 따른 휴대단말기 결합장치는, 한 쌍의 휴대단말기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서로 독립된 두 대의 휴대단말기를 각각의 테두리 외관에 맞는 프레임 형태의 거치대에 안착한 후, 두 대의 휴대단말기의 외관을 동시에 보호하고, 두 거치대를 힌지 연결하여, 두 대의 휴대단말기를 마치 하나의 폴더형 휴대 단말기처럼 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 프레임 내측과 힌지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1,2 커넥터 접속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신호라인으로 휴대단말기 간 통신하여 두 대를 한 대처럼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으며, 하나의 데이터 및 충전용 외부접속구를 통해 외부케이블로 동시에 두 대의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다.
더불어 거치대에 안착된 두 개의 휴대단말기 간의 유선 혹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하나의 휴대단말기는 디스플레이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휴대단말기는 키패드, 메뉴 등으로 사용하여 하나의 기능을 두 개의 휴대단말기로 수행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한정된 리소스를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사용하지 않는 휴대단말기의 재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a및 도 1b는 각각 본 고안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결합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결합장치에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버튼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결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연장버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7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및 도 1b는 각각 본 고안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결합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결합장치에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버튼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결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연장버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a 및 도7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휴대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PC 등과 같은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결합장치(10)는 제1휴대단말기 테두리 외측을 감싸 고정하는 제1프레임(110)과, 제2휴대단말기 테두리 외측을 감싸 고정하는 제2 프레임(120)과, 상기 제1, 2 프레임(110, 120)을 서로 결합시키고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휴대단말기의 테두리 외측만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그 전방 및 후방은 모두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테두리 외측을 감싸면서 동시에 휴대단말기의 후면을 차폐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전방만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특히 제1프레임(110)와 제2프레임(120)이 도 1b에 도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휴대단말기의 후면 케이싱(미도시)을 분리한 상태로 휴대단말기를 제1프레임(110) 또는 제2프레임(120)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프레임(110, 120)은 실제 휴대단말기의 후면 케이싱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형태 외에도,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결합되어 휴대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될 수 있다. 또한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의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제1프레임(110)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맞는 크기 및 형상으로, 제2프레임(120)은 태블릿 PC에 맞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힌지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형태의 힌지축(132)과, 힌지축(132)에 힌지축(13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120)과 일체로 연결되는 힌지결합부(1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에 따라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에 연결된 힌지결합부(131)가 힌지축(132)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이 서로에 대해 회동 운동 가능하다.
한편 힌지축(132)의 상단에는 각각 결합돌기(133)가 판스프링 장치 등을 이용하여 결합홈(134)에 삽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결합홈(134)과 결합돌기(133)는 회전할 때에 일정 회전각도의 범위로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1,2 휴대단말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결합장치(10)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휴대단말기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0)에는 제1휴대단말기(210)가 결합되고, 제2프레임(120)에는 제2휴대단말기(220)가 결합될 수 있다. 두 휴대단말기를 연동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32)을 중심으로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을 서로 회동시켜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하고, 두 휴대단말기를 휴대하거나 하나의 휴대단말기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3의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휴대단말기의 후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을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130)의 상단에 펜결합구(170)가 형성되고, 힌지부(130)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펜기구(180)가 펜결합구(170)를 통해 힌지부(130) 내부로 수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펜기구(180)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에서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도성의 스타일러스펜, 또는 감압식 터치패널에서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타일러스펜 등이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펜기구(180)는 힌지부(13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며, 상단만 외부로 노출되어 착탈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 프레임(110, 120)에는 각각 제1 및 제2커넥터 접속단자(140, 15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커넥터 접속단자(140, 150)는 각각 제1 및 제2프레임(110, 120)의 내주연 일측에 형성되며, 휴대단말기 각각의 커넥터 접속구에 삽입하여 결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힌지부(130) 또는 제1 및 제2프레임(110, 1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외부 충전라인이나 데이터 케이블과 접속할 수 있는 외부 접속구(160)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접속구(160)는 예를 들어 힌지부(130)의 하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커넥터 접속단자(140, 150)는 힌지부(130)를 경유하여 각각 외부 접속구(160)를 통해 외부 장치와 전기적, 신호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되거나, 제1커넥터 접속단자(140)와 제2커넥터 접속단자(150)가 서로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2 커넥터 접속단자(140, 150)는 서로 힌지부(130)의 외부접속구(160)와 신호선으로 연결되는 회로로 구성되며, 힌지부(130) 외부접속구(160)에 외부 충전케이블을 연결하여 하나의 외부 접속구(160)를 통해 동시에 두 대의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힌지부(130)의 상단이나 일측면에 통신이나 전원 스위치를 구성하여, 힌지부(130) 하단의 외부 접속구(160)에 데이터이나 충전 케이블을 연결하여 외부 PC 등의 기기와 통신이나 외부전원을 통한 충전 수행 시, 제1 혹은 제2 휴대단말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외부통신이나 외부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제1, 2커넥터 접속단자(140, 150)와 상기 힌지부(130)를 경유하는 신호라인이 순차적으로 연통되어 제1,2 휴대단말기 간에 서로 각종 신호나 정보 등을 주고 받을 수 있고, 힌지부(130)의 외부접속구(160) 통해 외부 데이터나 전력을 스위치를 두고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2 커넥터 접속단자(140, 150)는 필수적 구성은 아니고, 그 위치에 휴대단말기의 커넥터 접속구에 대응하는 형상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추가로 제1,2 휴대단말기 간 통신을 하기 위해,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지만, 보다 효율적으로 구동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체 배터리를 구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는 힌지축(132)의 원통형에 공간을 마련하여 위치시키도록 하며, 배터리로 축전지를 사용하여 외부 충전기로 반복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내장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 충전기와 연결되는 힌지부(130)의 외부접속구(160)를 동해 외부 충전기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상기 배터리를 배분 충전하는 충전모듈을 더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힌지축(132) 내부에는 제1,2 휴대단말기 간 통신을 하기 위해, 각각 제1, 2커넥터 접속단자(140, 150)와 전기적, 신호적으로 연통되며, 제1, 2커넥터 접속단자(140, 15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미리 정의된 바에 따라 처리하여 제1, 2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통합운용장치가 수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결합장치(10)에는 연장버튼(135)이 구비될 수 있다. 연장버튼(135)은 휴대단말기의 측면 버튼을 간접 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휴대단말기가 휴대단말기 결합장치(10)에 결착된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되어 휴대단말기의 측면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 결착 시 제1프레임(110) 또는 제2프레임(120)에 의해 가려지는 휴대단말기의 측면 버튼(예를 들어, 볼륨버튼, 홀드버튼 등)을 직각 구조 등으로 연장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 버튼(135)은, 예를 들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0)의 일측에 그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탄성수단에 의해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되, 일단에 외력이 가해지면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동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 버튼(135)의 타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데, 경사면은 제1휴대단말기(2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할수록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연장 버튼(135)의 이동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버튼(135’)이 별도로 마련된다. 구동버튼(135’)은 제1프레임(110)의 내측면(휴대단말기(210)와 접하는 면)으로 노출되어, 휴대단말기(210)의 측면 버튼(210’)을 선택적으로 누르도록 구성된다. 구동 버튼(135’)의 일단은 평소에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유지되나, 연장 버튼(135)이 아래로 이동하면, 구동 버튼(135’)이 외부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구동 버튼(135’)의 타단에는 연장 버튼(135)의 타단에 형성된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갖는 요입홈이 형성되되, 요입홈의 위치는 연장 버튼(135)의 타단에 형성된 경사면과 요입홈의 경사면이 서로 일부분만 접하도록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연장 버튼(135)이 제1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이동하면, 연장 버튼(135)의 경사면을 통해 외력이 구동 버튼(135’)의 요입홈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전달된다. 전달된 외력은 요입홈의 경사면에 의하여 수평 성분을 갖게 되며, 그에 따라 구동 버튼(135’)이 제1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구동 버튼(135’)의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그리고 돌출된 구동 버튼(135’)은 휴대단말기(210)의 측면 버튼(210’)을 압박하여, 휴대단말기(210)의 측면 버튼이 눌러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장 버튼(135)의 구조는 실시예에 불과하고, 수직 방향 외력을 수평 방향으로 전환하여 전달할 수 있는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7a 및 7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결합장치(10)에 휴대단말기를 체결하여 사용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문서나 텍스트 편집 프로그램을 제1, 2 휴대단말기(210, 220)로 통합 운영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1휴대단말기(210)는 출력창(310)으로 사용하고, 제2휴대단말기(220)는 가상키보드(320)로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상키보드는 계산기, 게임 등 프로그램 형태에 따라 그에 적절한 숫자 키패드, 게임 컨트롤을 위한 키패드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휴대단말기(210)에는 택일적인 복수의 항목이 리스트로 표시되고, 이 중 선택된 항목에 대한 상세정보가 제2휴대단말기(220)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제1휴대단말기(210)와 제2휴대단말기(220) 중 어느 하나는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구동장치가 되고, 다른 하나는 구동장치로부터 표시될 이미지만을 받아 표시하거나, 가상키보드를 표시하여 입력받은 신호를 구동장치로 전송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휴대단말기(210)와 제2휴대단말기(220)가 연동하는 경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결합장치(10)를 통해 하나의 휴대단말기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두 휴대단말기의 연동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커넥터 접속단자(140, 150)를 통해 두 휴대단말기를 유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두 휴대단말기를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두 대의 휴대단말기로 수행하는 하나의 프로그램 혹은 작업은 휴대단말기 결합장치에 두 대의 휴대단말기가 결착된 상태에서, 하나의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응용 소프트웨어나 하나의 O/S가 될 수 있다. 또는 두 개의 응용 프로그램이 각각의 작업을 하나의 휴대단말기에서 단독으로 처리하는 것보다 두 대의 휴대단말기로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자원이나 모듈을 가지고 상호 통신하며 처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면, 두 개 혹은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도 하나의 작업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휴대단말기의 응용프로그램이 메모리, Disk, 카메라, Wifi모듈 등의 용량이나 성능이 부족하거나 없어 제2휴대단말기의 메모리, Disk, 카메라, Wifi모듈 등을 공유 사용하는 경우나, 제1휴대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과 제2휴대단말기의 메모리, Disk 관리 프로그램이 상호 송수신하여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4)

  1. 한 쌍의 휴대단말기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은,
    각각 휴대단말기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며, 휴대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도록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되는 형상을 갖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2. 한 쌍의 휴대단말기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은,
    각각 휴대단말기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며, 휴대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도록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의 프레임은,
    각각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대응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결합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3. 한 쌍의 휴대단말기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은,
    각각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대응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결합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연결되고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힌지결합부와;
    상기 힌지결합부의 회전을 지지하고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 내부에는 원통형의 빈 공간이 형성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내주면에는 각각 휴대단말기의 커넥터 접속구에 삽입되어 휴대단말기와의 데이터 교환 경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커넥터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커넥터 접속단자는,
    상기 힌지부를 경유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통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 내부에는,
    상기 한 쌍의 커넥터 접속단자와 각각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고, 상기 한 쌍의 커넥터 접속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미리 정의된 바에 따라 처리하여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통합운용장치가 수납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 일측에는,
    상기 한 쌍의 커넥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에 대한 외부장치로부터의 전력공급 또는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외부접속구가 형성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 내부에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외부접속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한 쌍의 커넥터 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한 쌍의 휴대단말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각에는,
    휴대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되는 버튼으로 외력을 선택적으로 가하도록 하는 연장버튼이 하나 이상 구비되는,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KR2020120004681U 2012-03-02 2012-06-04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KR2004651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1680 WO2013129890A1 (ko) 2012-03-02 2013-02-28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002 2012-03-02
KR20120022002 2012-03-02
KR20120002138 2012-03-19
KR2020120002138 2012-03-19
KR20120003048 2012-04-16
KR2020120003048 2012-04-16
KR2020120003261 2012-04-22
KR20120003261 2012-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121Y1 true KR200465121Y1 (ko) 2013-02-04

Family

ID=5073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681U KR200465121Y1 (ko) 2012-03-02 2012-06-04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1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849A1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브이알이지이노베이션 접이식 가상현실 뷰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2308B2 (ja) * 1995-06-30 1999-01-06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バッテリケース実装構造
KR20020080590A (ko) * 2001-04-16 2002-10-26 주식회사 알파텔레콤 펜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커버를 구비한개인 정보단말기
JP2008085705A (ja) 2006-09-28 2008-04-10 Kyocera Corp 携帯電子機器
US7743999B1 (en) * 2006-03-14 2010-06-29 Griffin Technology, Inc.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external access por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2308B2 (ja) * 1995-06-30 1999-01-06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バッテリケース実装構造
KR20020080590A (ko) * 2001-04-16 2002-10-26 주식회사 알파텔레콤 펜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커버를 구비한개인 정보단말기
US7743999B1 (en) * 2006-03-14 2010-06-29 Griffin Technology, Inc.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external access port
JP2008085705A (ja) 2006-09-28 2008-04-10 Kyocera Corp 携帯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849A1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브이알이지이노베이션 접이식 가상현실 뷰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61616B1 (en) Electronic device
KR101917683B1 (ko) 휴대 전자기기
TW201202954A (en) Intelligent platform with an exchangeable intelligent core
JP2019502141A (ja) デュアルスクリーン端末、画面表示方法及び装置
KR20150004714A (ko)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IL199906A (en) Wireless modular communicator
KR2020004725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202887066U (zh) 一种新型分体式平板电脑
TW201610831A (zh) 多屏顯示裝置
JP7146951B2 (ja) 移動端末機および移動端末機を備える電子機器
US85533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KR20210113880A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 장치, 그리고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12584004A (zh) 电子设备
CN111837378A (zh) 移动终端及具有移动终端的电子设备
CN206322080U (zh) 智能终端扩展坞
KR20110113243A (ko) 이동 단말기
KR200465121Y1 (ko)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CN202003261U (zh) 一种可通过手机遥控的平板电脑
CN110290240B (zh) 电子装置的摄像头组件和电子装置
KR20140003908A (ko) 이중회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WO2013129890A1 (ko)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KR20150019168A (ko)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
KR102639610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80004477A1 (en) Integrated display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20140144552A (ko) 입력부를 구비하는 커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