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168A -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 - Google Patents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168A
KR20150019168A KR20130095650A KR20130095650A KR20150019168A KR 20150019168 A KR20150019168 A KR 20150019168A KR 20130095650 A KR20130095650 A KR 20130095650A KR 20130095650 A KR20130095650 A KR 20130095650A KR 20150019168 A KR20150019168 A KR 20150019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rminal
folded
package
voip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5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수
Original Assignee
오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준수 filed Critical 오준수
Priority to KR20130095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9168A/ko
Priority to PCT/KR2014/007512 priority patent/WO2015023120A1/ko
Publication of KR20150019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59End-user terminal functionalities specially adapted for real-tim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착탈 가능하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터치)화면부보다 큰 크기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면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로 휴대 가능하면서도 노트북형 또는 태블릿형으로 선택 전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m-VoIP통화 처리장치 휴대패키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패키지 본체와, 제1접이부로 연결된 단말탈착부 및 제2접이부로 연결된 확장부로 구성되어 상기 단말탈착부와 확장부가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으로 접히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접힌 단말탈착부와 확장부가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모두 커버한다. 이러한 m-VoIP통화 처리장치 휴대패키지는 무선웹접속 기능과 웹서핑 기능을 구비하는 제1처리부가 패키지 본체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된 무선웹접속 기능을 통하여 m-VoIP통화가 가능하도록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처리부와 직렬통신케이블로 연결되어 제1처리부에서 무선웹접속 기능이 구동됨과 함께 제2처리부에서 m-VoIP통화 기능이 구동되어 직렬통신케이블을 통하여 상호 데이터 통신이 확립되고 무선인터넷망을 통한 m-VoIP통화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인 것이다.

Description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M-VoIP CALL METHOD USING WIRED SERIAL BUS COMMUNICATION, AND PORTABLE PACKAGE OF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모바일 IP(Mobile IP or IP mobility: IETF 표준 통신 프로토콜)의 무선인터넷망에 접속시키는 무선웹접속 기능과 웹서핑 기능의 제1처리부가 m-VoIP통화를 갖는 제2처리부와 직렬버스 데이터전송 신호규격의 통신에 의해 상호 데이터 통신이 확립되어 상기 제2처리부에 구비된 m-VoIP통화 기능이 처리되는 방법 및 그 처리장치의 휴대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생성기능을 가지면서 m-VoIP통화 기능을 구비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단말탈착부에서 착탈 가능하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화면부보다 큰 크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패키지 본체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내부에 있는 제1처리부가 모바일 IP를 사용하는 무선인터넷망에 접속시키는 무선웹접속 기능과 웹서핑 기능을 갖으며, 패키지 본체와 단말탈착부가 연결되어 날개처럼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패키지 본체의 일측과 단말탈착부의 일측을 접이방식으로 연결시키는 제1접이부가 있고, H자형 고정힌지축의 상하양쪽 4개의 끝을 중심으로 두 쌍의 톱니바퀴가 각각 원주를 따라 맞물려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어느 쪽으로든 회전하며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접이부가 패키지 본체의 일측과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확장부의 일측을 연결시켜서 단말탈착부와 확장부가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창이 있는 면인 전면을 커버하도록 접혀서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보호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로 멜빵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휴대 가능하면서도 노트북형 또는 태블릿형으로 선택 전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기술의 발달로 일반폰(피처폰)과 구별 짓는 가장 큰 특성으로 일반 사용자들 간에 범용 운영체제 및 개방형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개방성이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를 통해 확산되면서,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들도 표준화된 개발 환경을 제공받아 개방화된 운영체제를 통해 자유롭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받고 있다. 노트북 PC를 포함한 포터블 및 스마트 기기의 성능이 높아지고 모바일-IP망과 유선 IP망의 연동에 의한 무선인터넷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더 큰 디스플레이(표시화면), 타이핑을 수월하게 하는 키보드(쿼티 자판), 더 오래 쓸 수 있는 대용량 배터리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포터블 및 스마트 기기에게 이동성을 지원하는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동글(dongle: 컴퓨터의 입출력 접속구/포트에 연결되어 부가기능을 하는 장치) 형태의 무선인터넷 접속 장치도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종래의 2인치 내지 3인치 정도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들이 5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추세이며, 이것도 모자라 6인치, 9인치 크기를 갖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포터블 및 스마트 기기 등과 같은 단말기들이 제작되고 있으며, 단말기 자체에 쿼티(QWERTY) 자판을 구비한 단말기들도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가 커지면 커질수록 배터리 소모가 증대되고, 별도의 쿼티 자판 등을 구비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거나 디스플레이 크기가 줄어들게 되어 편리한 키보드와 대형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할 수밖에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동글(dongle) 형태의 무선인터넷 접속 장치에 의한 이동성은 제공되고 있지만 노트북 PC나 태블릿 크기의 포터블 기기에서 사용하게 되므로 너무 커서 mobile VoIP통화(여기서 통화는 단순한 음성통화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이다)가 불편하고 배터리가 빨리 소진되며 통화중 끊김 현상과 같은 통화의 단절과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mobile VoIP(m-VoIP)는 와이파이(Wi-Fi, 무선랜) 또는 3세대(3G)이후의 무선인터넷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바일인터넷전화(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말하며, 종래에 스카이프(Skype), 바이버(viber), 프링(fring), 탱고(tango), 님버즈(Nimbuzz), 라인(Line) 등과 같은 인터넷전화서비스를 단말기에 다운받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확장하여 추가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07863호(발명의 명칭 :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확장장치 ; 이하'인용발명'이라 함)가 있다.
인용발명은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결합되며, 양측면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포트(1a)가 구비된 메인 LCD패널(1); 상기 메인 LCD패널(1)의 일측 포트(1a)에 끼워지도록 일면에 커넥터가 구비된 제1 LCD패널(2); 상기 메인 LCD패널(1)의 타측 포트(1a)에 끼워지도록 일면에 커넥터가 구비된 제2 LCD패널(3); 및 상기 제1 및 제2 LCD패널(2, 3)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LCD패널(1)의 양측면 포트(1a)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메인 LCD패널(1)의 양측에 끼워지는 포트보호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확장장치인 것이며, 이러한 인용발명은 필요에 따라 메인 LCD패널(1)의 양측면에 제1 및 제2 LCD패널(2, 3)을 연결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옆으로 확장할 수 있어서, 필요에 따라 넓은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으나 실제로는 3개의 LCD패널로 나뉘어져 있는 것이기 때문에 하나의 LCD패널과 같이 표시하기 위하여 복잡한 프로세싱이 필요하게 되고, 제1 및 제2 LCD패널(2, 3)을 별도로 소지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LCD패널과 패널이 연결된 부분은 선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에 지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IP(Mobile IP or IP mobility: IETF 표준 통신 프로토콜)의 무선인터넷망에 접속시키는 제1처리부가 직렬버스 유선통신에 의해 제2처리부와 상호 연동하며, m-VoIP통화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단말탈착부에서 착탈 가능하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화면부보다 큰 크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패키지 본체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내부에 있는 제1처리부가 모바일 IP를 사용하는 무선인터넷망에 접속시키는 무선웹접속 기능과 웹서핑 기능을 갖으며, 패키지 본체와 단말탈착부가 연결되어 날개처럼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패키지 본체의 일측과 단말탈착부의 일측을 접이방식으로 연결시키는 제1접이부가 있고, H자형 고정힌지축의 상하양쪽 4개의 끝을 중심으로 두 쌍의 톱니바퀴가 각각 원주를 따라 맞물려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어느 쪽으로든 회전하며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접이부가 패키지 본체의 일측과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확장부의 일측을 연결시켜서 단말탈착부와 확장부가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창이 있는 면인 전면을 커버하도록 접혀서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보호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로 휴대 가능하면서도 노트북형 또는 태블릿형으로 선택 전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바일 IP를 사용하는 무선인터넷망에 접속시키는 무선웹접속 기능과 웹서핑 기능을 구비하는 제1처리부;와 패키지 본체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된 무선웹접속 기능을 통하여 m-VoIP통화가 가능하도록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처리부; 가 직렬버스 데이터전송 신호규격에 의한 통신 신호선들의 묶음케이블(이하에서 "직렬통신케이블"이라 한다)로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제1처리부에서 상기 무선웹접속 기능이 구동됨과 함께, 상기 제2처리부에서 상기 m-VoIP통화 기능이 구동되어 상기 직렬통신케이블을 통하여 상호 데이터 통신이 확립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상기 m-VoIP통화 기능을 조작시키는 하나 이상의 선택메뉴가 구비되고 상기 선택메뉴에 따른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터치)화면부가 구비되어 상기 무선인터넷망을 통한 m-VoIP통화가 수행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에 있어서,
모바일 IP를 사용하는 무선인터넷망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그램 (datagram)을 스트리밍(streaming)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단말탈착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화면부보다 큰 크기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패키지 본체와, 상기 패키지 본체의 일측과 단말탈착부의 일측을 접이방식으로 연결시켜서 패키지 본체와 단말탈착부가 날개처럼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하는 제1접이부와, 상기 패키지 본체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보조수단이 구비된 확장부와, 상기 패키지 본체와 상기 확장부가 상호 연결되어 날개처럼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단이 인접된 패키지 본체의 일측과 상기 확장부의 일측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H자형 고정힌지축의 상하양쪽 4개의 끝을 중심으로 두 쌍의 톱니바퀴가 각각 원주를 따라 맞물려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어느 쪽으로든 회전할 수 있으며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접이부로 구성되되, 상기 단말탈착부와 확장부가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창이 있는 면인 전면을 커버하도록 접혀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상기 패키지 본체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된 무선웹접속 기능을 통하여 하드웨어(Hardware)방식 또는 소프트웨어(Software)방식의 m-VoIP통화 기능을 구비하는 제2처리부가, 모바일 IP를 사용하는 무선인터넷망에 접속시키는 무선웹접속 기능과 웹서핑 기능을 구비하는 제1처리부와 직렬통신케이블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처리부에서 상기 무선웹접속 기능이 구동됨과 함께, 상기 제2처리부에서 상기 m-VoIP통화 기능이 구동되어 상기 직렬통신케이블을 통하여 상호 데이터 통신이 확립되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상기 m-VoIP통화 기능을 조작시키는 하나 이상의 선택메뉴가 구비되고 상기 선택메뉴에 따른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화면부가 구비되어 상기 무선인터넷망을 통한 m-VoIP통화가 수행된다. 이에 따라 끊김 없는 m-VoIP통화가 가능하게 되며. 모바일 IP를 사용하는 무선인터넷망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그램을 스트리밍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단말탈착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화면부보다 큰 크기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패키지 본체와, 상기 패키지 본체의 일측과 단말탈착부의 일측을 접이방식으로 연결시켜서 패키지 본체와 단말탈착부가 날개처럼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하는 제1접이부와, 상기 패키지 본체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보조수단이 구비된 확장부와, 상기 패키지 본체와 상기 확장부가 상호 연결되어 날개처럼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단이 인접된 패키지 본체의 일측과 상기 확장부의 일측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H자형 고정힌지축의 상하양쪽 4개의 끝을 중심으로 두 쌍의 톱니바퀴가 각각 원주를 따라 맞물려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어느 쪽으로든 회전할 수 있으며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접이부로 구성되되, 상기 단말탈착부와 확장부가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창이 있는 면인 전면을 커버하도록 접혀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보호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확장부에 확장 배터리 및 별도의 키보드(쿼티 자판)를 구비할 수 있어서 물리적인 키 입력을 지원하므로 웹 서핑, 멀티미디어 재생 표시, 문서 작업 등의 작업 환경을 향상시키고, 또한 확장부에 보조수단으로 HDMI, USB, LAN(RJ45), Audio OUT Mic IN(Combo), Media Card Reader 등의 전기적 포트나 또는 전원입력 포트(AC Adapter IN)를 하나 이상으로 구비할 수 있어서 편의성을 증대시키면서도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로 접히므로 휴대가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착탈되는 단말탈착부와 키보드와 같은 보조수단이 구비된 확장부가 각각 제1접이부와 제2접이부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접을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향하여 상기 단말탈착부와 확장부가 접히면 디스플레이부 및 보조수단과 키보드 모두를 보호하게 되고, 휴대를 용이하게 하면서 m-VoIP통화를 할 수 있게 되고, 펼쳐지면 대형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면서 확장부의 키보드(QWERTY 자판)를 통해 키입력이 가능한 노트북 형태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을 향하여 단말탈착부와 확장부가 접히면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통해 터치 입력 및 표시가 가능한 태블릿 형태가 되므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노트북형, 태블릿형 및 멜빵을 사용한 휴대형으로 전향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는 확장부에 대용량의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대용량 배터리는 키보드, 디스플레이부 및 제1처리부와 제2처리부의 모두에게 제1접이부 및 제2접이부를 통하여 전원 공급이 가능하여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배터리를 장착하지 않아도 본 발명의 m-VoIP통화 처리장치 휴대패키지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오히려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다면 그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어서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배터리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이동통신 모뎀과 같은 고주파의 무선신호 발생 회로를 구성시키지 않으면 전자파로 인한 인체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아울러 패키지 본체의 일측에 H자형 고정힌지축을 중심으로 원주에 맞물려서 구성되는 톱니바퀴들로 형성되어 날개가 펼쳐지고 접히는 것처럼 되는 제2접이부를 통해 확장부가 연결되며, 또한 패키지 본체의 다른 일측에 제1접이부를 통해 단말탈착부가 접이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제2처리부를 통한 m-VoIP 통화를 실시하지 않을 때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상기 단말탈착부에 장착하여 보관할 수 있고, m-VoIP 통화를 실시할 때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단말탈착부로부터 분리하여 손에 잡고 귀에 대고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패키지 본체의 일측에 제2접이부가 H자형 고정힌지축의 상하양쪽 4개의 끝을 중심으로 두 쌍의 톱니바퀴가 각각 원주를 따라 맞물려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를 일정 각도로 세워놓고 상기 확장부의 키보드(쿼티자판)를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접이부의 H자형 고정힌지축은 상하양쪽 4개의 끝을 입구 또는 출구로 하여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도록 내부통로를 형성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으로 돌출된 단말탈착부에 접속된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제2처리부와 제1처리부(패키지 본체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가 함께 상호작용하여 공동으로 또는 각각 단독으로 확장부에 구비될 수 있는 전기적 포트들(HDMI, USB, LAN(RJ45), Audio OUT Mic IN(Combo), Media Card Reader 중의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포트들 또는 AC Adapter IN 전원입력 포트)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표시의 편의성 및 활용성을 증대시키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2는 인용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m-VoIP통화 처리장치 휴대패키지의 단말탈착부에서 분리된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터치)화면부와 제2접이부를 설명하며 예시하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m-VoIP통화 처리장치 휴대패키지의 전체적인 구성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사시도.
도5내지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m-VoIP통화 처리장치 휴대패키지의 패키징 과정을 예시하는 설명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m-VoIP통화 처리장치 휴대패키지의 단말탈착부와 멜빵에 의한 휴대 사용을 예시하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m-VoIP통화 처리장치 휴대패키지의 태블릿 형태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9은 본 발명에 의한 m-VoIP통화 처리장치 휴대패키지의 케이블 연결 배선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m-VoIP통화 처리장치 휴대패키지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4에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바일 IP(Mobile IP or IP mobility: IETF 표준 통신 프로토콜)를 사용하는 무선인터넷망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그램(datagram)을 스트리밍(streaming)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기(220)와,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220)의 (터치)화면부(225, 221)보다 큰 크기의 디스플레이부(110)가 구비된 패키지 본체(100)와,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220)가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단말탈착부(200)와, 상기 패키지 본체(100)의 일측과 단말탈착부(200)의 일측을 접이방식으로 연결시켜서 패키지 본체(100)와 단말탈착부(200)가 날개처럼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하는 제1접이부(210)와, 상기 패키지 본체(100)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220)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보조수단(입출력 장치 또는 확장입출력 포트)이 구비된 확장부(300)와, 상기 패키지 본체(100)와 상기 확장부(300)가 상호 연결되어 날개처럼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단이 인접된 패키지 본체(100)의 일측과 상기 확장부(300)의 일측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H자형 고정힌지축(344)의 상하양쪽 4개의 끝을 중심으로 두 쌍의 톱니바퀴(340)가 각각 원주를 따라 맞물려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어느 쪽으로든 회전할 수 있으며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접이부(31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m-VoIP통화 처리장치 휴대패키지는 상기 단말탈착부(200)와 확장부(300)가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창이 있는 면인 전면과 그 반대 면인 후면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동되어 접히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접혀진 상기 단말탈착부(200)와 확장부(300)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는 상기 모바일 IP를 사용하는 무선인터넷망에 접속시키는 무선웹접속 기능과 웹서핑 기능을 구비하는 제1처리부(500)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 후면의 패키지 본체(100)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220)의 내부에 구비되는 단계; 및
상기 패키지 본체(100)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220)의 내부에 구비된 무선웹접속 기능을 통하여 m-VoIP통화를 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제2처리부(600)가 멀티미디어 단말기(220)의 내부에 구비되는 단계; 및 상기 제1처리부(500)와 제2처리부(600)가 직렬버스 데이터전송 신호규격에 의한 통신 신호선들의 묶음케이블(직렬통신케이블)(700)로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제1처리부(500)의 무선웹접속 기능이 구동됨과 함께, 상기 제2처리부(600)의 m-VoIP통화 기능이 구동되어 상기 직렬통신케이블(700)을 통하여 상호 데이터 통신이 확립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220)에 상기 m-VoIP통화 기능을 조작시키는 하나 이상의 선택메뉴(222)가 구비되고 상기 선택메뉴(222)에 따른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터치)화면부(221 또는 225)가 구비되어, 연장(직렬통신)케이블(223)로 확장될 수도 있어서 상기 무선인터넷망을 통한 m-VoIP통화가 수행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Mobile IP가 적용되어 구현되는 무선인터넷(Wireless Internet)은 무선통신망(mobile wireless network)을 통해 송수신되는 3G, 4G, 5G, WiBro 또는 Wi-Fi(무선랜)의 IP기반의 패킷데이터 서비스인 것이고, 상기 제1처리부(500)는 누구나 소스코드를 접할 수 있도록 개방(Open Source)되거나 또는 소스코드를 접할 수 없도록 폐쇄(Non Open-Platform)된 "범용 운영체제(General Purpose Operating System: Android계열, Windows계열, Linux계열, iOS계열 등)"에 의해 구동 및 제어되는 범용 시스템(General Purpose System)이거나, 또는 비실시간성의 임베디드 운영체제(Non Real Time Embedded OS: Embedded Linux계열이나 Embedded Windows계열)를 사용하는(탑재한)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인 것이며, 상기 제2처리부(600)는 Firmware나 실시간 운영체제(RTOS:Real Time OS: pSOS, VxWorks, QNX 등)를 사용하는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이거나 또는 비실시간성의 임베디드 운영체제(Non Real Time Embedded OS: Embedded Linux계열이나 Embedded Windows계열)를 사용하는(탑재한)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인 것이며, 상기 "웹서핑 기능"은 웹브라우저(Web Browser)(Internet Explorer, Opera, Safari, Mozilla FireFox, Google Chrome, KMeleon, Netscape 중의 하나 이상인 것) 또는 왑(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브라우저(Browser)로 구성되며, 상기 직렬버스 데이터전송 신호규격은 SDIO(Secure Digital Input Output), USB(Universal Serial Bus),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SATA(Serial Advance Technology Attachment), I2C(Inter Integrated Circuit, "I square C") 중의 하나 이상인 것이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패키지 본체(100)는 가죽이나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고, 열 전도율 및 강도가 높은 금속 또는 비금속 등의 경질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며, 도 3과 도 7, 도 11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220)는 상기 단말탈착부(200)에 탈착(붙였다 떼었다 함)될 수 있으면서 제1접이부(210)를 통과하는 케이블(4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본체(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10)는 멀티미디어 단말기(220)의 (터치)화면부(221 또는 225)보다 크고,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220)의 (터치)화면부(221 또는 225)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확대 또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해상도에 맞게 확장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모듈을 포함하여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 기능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을 받아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220)로 전달하는 입력 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탈착부(200)는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키지 본체(100)에 구성된 디스플레이부(110)와는 별도로 상기 패키지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된 것으로, 반복적인 접고 펴기가 가능하고 펴진 상태를 기준으로 양방향 접기가 가능한 제1접이부(210)에 의해 패키지 본체(10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키지 본체(100)의 디스플레이부(110) 옆으로 제1접이부(210)가 펴진 상태로 패키지 본체(100)로부터 돌출되어 단말탈착부(20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말탈착부(200)는 제1접이부(210)의 접히는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접힐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이라 함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면을 의미하며, 디스플레이부(110) 전면의 반대 면이 후면이다.
또한 상기 단말탈착부(200)는 일면에 멀티미디어 단말기(220)를 고정시키는 케이스가 구비되거나 멀티미디어 단말기(220)를 접촉시킬 수 있는 자석 또는 접착부가 구비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단말기(220)를 내포할 수 있는 포켓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확장부(300)는 H자형 고정힌지축의 상하양쪽 4개의 끝을 중심으로 두쌍의 톱니바퀴(340)가 각각 원주를 따라 맞물려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제2접이부(310)에 의해 패키지 본체(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확장부(300)는 특히 디스플레이부(110)의 아래에 인접된 패키지 본체(100)에 연결된 것이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부(110)의 아래라 함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정보가 표시되는 전면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아래 끝줄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노트북 형태로 사용 시 제2접이부(310)의 H자형 고정힌지축(344)과 두쌍의 톱니바퀴(340)의 맞물림과 지지작용을 통한 각도 조절 회전에 의해 사용자의 눈높이에 알맞게 기울어져 세워진 디스플레이부(110)의 아래에 키보드(320)가 구비된 확장부(3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10)의 아래에 인접된 패키지 본체(100)에 제2접이부(310)를 통해 확장부(300)가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확장부(300)는 도 4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패키지 본체(100)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220)의 확장입출력포트 또는 입출력장치로 작동되며 중간이 접히는 접이식 키보드(32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220), 디스플레이부(110), 키보드(320), 패키지 본체(100)에 모두 전원 공급이 가능한 확장 배터리(330)가 내장될 수 있으며, 일측에 물건 수납이 가능한 서랍이나 지갑 형태의 보관함(35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부(300)는 상기 패키지 본체(100)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입출력 장치의 전기적 포트로써 확장된 HDMI포트, USB포트, LAN(RJ45)포트, Audio OUT Mic IN(Combo)포트, Media Card Reader포트, 전원입력 포트(AC Adapter IN)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부(3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패키지 본체(100)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22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360)를 통해 접속되는 입출력장치의 "하드웨어 회로 및 이를 구동시키는 드라이버 프로그램"이 상기 제1처리장치 내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어서 멀티미디어 단말기(220)의 제2처리부(600)에 구비되는 m-VoIP통화 기능이 직렬통신케이블(700)을 통해서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 제2접이부(310)의 H자형 고정힌지축(344)은 상하양쪽 4개의 끝을 입구 또는 출구로 하여 상기 확장부(300)에 구성될 수 있는 키보드(320), 배터리(330) 또는 인터페이스부(360)를 패키지 본체(100)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22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신호전송 또는 전원공급의 케이블(400)이 관통할 수 있도록 내부통로를 형성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H자형 고정힌지축(344)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아래에 인접된 패키지 본체(100)를 확장부(300)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패키지 본체(100)와 확장부(300)의 일단에 각각 구성된 두쌍의 톱니바퀴(340)의 회전 중심축으로 작동하며 상기 상기 두쌍의 톱니바퀴(340)가 서로 맞물려있는 힘에 의해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든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회전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처리부(500)가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220)의 내부에 구비가 될 시에는 상기 단말탈착부(200)에 체결된 멀티미디어 단말기(220)와 연결시키는 케이블(400)과 접속되는 단자(343)가 상기 단말탈착부(200)에 구비될 수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343)를 통해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220)의 전기적 입출력신호가 상기 확장부(300)의 전기적 포트인 인터페이스부(360)에 도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제1처리부(500)가 상기 패키지 본체(100)에 구비될 시에는 접속시키는 단자(343)가 필요없이 바로 직접 제1처리부(500)로부터 전기적 입출력신호가 제2접이부(310)를 통과하여 상기 확장부(300)의 전기적 포트인 인터페이스부(360)에 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2접이부(310)의 각도유지 작용에 의해서 본 발명에 의한 처리장치 휴대패키지가 노트북 형태로 사용될 때에는 확장부(300)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으로 접힐 때와 반대로 후면으로 접힐 때를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자동으로 확장부(300)의 키보드(320) 사용을 조절하여 확장부(300)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으로 접혀 휴대 형태로 되거나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으로 접혀 도 8로 도시한 바와 같은 태블릿 형태로 될 때에는 키보드(320)의 사용이 제한되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와 같이 단말탈착부(200)에 접속된 멀티미디어 단말기(220)와 본 발명에 의한 처리장치 휴대패키지의 디스플레이부(110), 키보드(320), 제1처리부(500), 제2처리부(600), 확장 배터리(3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키지 본체(100) 내부에 케이블(400)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케이블(400)은 제1접이부(210), 제2접이부(310) 내부에도 포함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제1접이부(210) 또는 제2접이부(310)의 외부로 돌출되어 휴대용 단말기(220)의 외부포트 연결 방식에 따른 커넥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키지 본체(100)의 일측과 단말탈착부(200)의 일측에는 접힌 확장부(300) 및 접힌 단말탈착부(200)의 접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120, 121)가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부(120, 121)는 도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접힌 확장부(300) 또는 단말탈착부(200)의 일단과, 접힌 확장부(300) 또는 단말탈착부(200)의 일단에 인접되는 패키지 본체(100) 일측을 연결하는 지퍼(ZIPPER)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지퍼 대신 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자석으로도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처리장치 휴대패키지는 단말탈착부(200)에 멀티미디어 단말기(2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로 접속되고, 패키지 본체(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220)의 화면부(221)보다 큰 크기이면서 터치 모듈이 구비되어 입출력이 가능하며, 상기 제1접이부(210)와 제2접이부(3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과 후면으로 접힐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접힌 확장부(300)가 상기 고정부(120, 121)에 의해 접힌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어서, 상기 확장부(300)와 단말탈착부(200)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으로 접힌 상태로 휴대되며, 상기 확장부(300)와 단말탈착부(200)가 펼쳐진 상태에서 노트북 형태로 이용되고, 상기 확장부(300)와 단말탈착부(200)가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으로 접힌 상태에는 태블릿 형태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접이부(310)의 각도유지 작용에 의해서 처리장치 휴대패키지의 형태가 노트북 형태인지 아니면 휴대 형태나 태블릿 형태인지를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으로 각 형태에 따른 키보드(320)나 배터리(330) 또는 인터페이스부(360)의 사용이 제어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패키지 본체 110:디스플레이부 120, 121:고정부
200:단말탈착부 210:제1접이부 220:멀티미디어 단말기
221:화면부 222:선택메뉴 223:연장(직렬통신)케이블
224:멜빵끈 300:확장부 310:제2접이부
320:키보드 330:(확장) 배터리 340:두쌍의 톱니바퀴
343:단자 344:H자형 고정힌지축 350:보관함
360:인터페이스부 400:케이블 500:제1처리부
600:제2처리부 700:직렬통신케이블

Claims (9)

  1. 모바일 IP(Mobile IP or IP mobility)를 사용하는 무선인터넷망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그램을 스트리밍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단말탈착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화면부보다 큰 크기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패키지 본체와,
    상기 패키지 본체의 일측과 단말탈착부의 일측을 접이방식으로 연결시켜서 패키지 본체와 단말탈착부가 날개처럼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하는 제1접이부와,
    상기 패키지 본체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보조수단이 구비된 확장부와,
    상기 패키지 본체와 상기 확장부가 상호 연결되어 날개처럼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단이 인접된 패키지 본체의 일측과 상기 확장부의 일측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H자형 고정힌지축의 상하양쪽 4개의 끝을 중심으로 두 쌍의 톱니바퀴가 각각 원주를 따라 맞물려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어느 쪽으로든 회전할 수 있으며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접이부로 구성되되,
    상기 단말탈착부와 확장부가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창이 있는 면인 전면을 커버하도록 접혀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IP를 사용하는 무선인터넷망에 접속시키는 무선웹접속 기능과 웹서핑 기능을 구비하는 제1처리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의 패키지 본체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단계; 및
    상기 패키지 본체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된 무선웹접속 기능을 통하여 m-VoIP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제2처리부가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단계; 및
    상기 제1처리부와 제2처리부가 직렬버스 데이터전송 신호규격에 의한 통신 신호선들의 묶음케이블(직렬통신케이블)로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제1처리부의 무선웹접속 기능이 구동됨과 함께, 상기 제2처리부의 m-VoIP통화 기능이 구동되어 상기 직렬통신케이블을 통하여 상호 데이터 통신이 확립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상기 m-VoIP통화 기능을 조작시키는 하나 이상의 선택메뉴가 구비되고 상기 선택메뉴에 따른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화면부가 구비되어 상기 무선인터넷망을 통한 m-VoIP통화가 수행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되는 입출력장치의 하드웨어 회로부 및 이를 구동시키는 드라이버부가 상기 제1처리장치의 내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접이부의 H자형 고정힌지축은 상하양쪽 4개의 끝을 입구 또는 출구로 하여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도록 내부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단말탈착부에 결합된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입력 또는 출력장치로 작동되며 중간이 접히는 접이식 키보드가 구비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키보드에 전원 공급이 가능한 확장 배터리가 내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본체 내부에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접이식 키보드 및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에 구성될 수 있는 전기적 포트는 상기 패키지 본체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HDMI포트, USB포트, LAN(RJ45)포트, Audio OUT Mic IN(Combo)포트, Media Card Reader포트, 전원입력 포트(AC Adapter IN) 중의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obile IP가 적용되어 구현되는 무선인터넷(Wireless Internet)은 무선통신망(mobile wireless network)을 통해 송수신되는 3G, 4G, 5G, WiBro 또는 Wi-Fi(무선랜)의 IP기반의 패킷데이터 서비스인 것이고, 상기 제1처리부(500)는 누구나 소스코드를 접할 수 있도록 개방(Open Source)되거나 또는 소스코드를 접할 수 없도록 폐쇄(Non Open-Platform)된 "범용 운영체제(General Purpose Operating System: Android계열, Windows계열, Linux계열, iOS계열 등)"에 의해 구동 및 제어되는 범용 시스템(General Purpose System)이거나, 또는 비실시간성의 임베디드 운영체제(Non Real Time Embedded OS: Embedded Linux계열이나 Embedded Windows계열)를 사용하는(탑재한)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인 것이며,
    상기 제2처리부(600)는 Firmware나 실시간 운영체제(RTOS:Real Time OS: pSOS, VxWorks, QNX 등)를 사용하는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이거나 또는 비실시간성의 임베디드 운영체제(Non Real Time Embedded OS: Embedded Linux계열이나 Embedded Windows계열)를 사용하는(탑재한)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인 것이며, 상기 "웹서핑 기능"은 웹브라우저(Web Browser)(Internet Explorer, Opera, Safari, Mozilla FireFox, Google Chrome, KMeleon, Netscape 중의 하나 이상인 것) 또는 왑(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브라우저(Browser)로 구성되며, 상기 직렬버스 데이터전송 신호규격은 SDIO(Secure Digital Input Output), USB(Universal Serial Bus),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SATA(Serial Advance Technology Attachment), I2C(Inter Integrated Circuit, "I square C") 중의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본체의 일측 및 단말탈착부의 일측에 접힌 확장부 및 접힌 단말탈착부의 접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입력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제1접이부와 제2접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과 후면으로 접히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접힌 확장부 또는 단말탈착부가 상기 고정부에 의해 접힌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확장부 또는 단말탈착부가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으로 접힌 상태로 휴대되며,
    상기 확장부 또는 단말탈착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노트북 형태로 이용되고,
    상기 확장부 또는 단말탈착부가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으로 접힌 상태에는 태블릿 형태로 이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
KR20130095650A 2013-08-12 2013-08-12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 KR20150019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5650A KR20150019168A (ko) 2013-08-12 2013-08-12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
PCT/KR2014/007512 WO2015023120A1 (ko) 2013-08-12 2014-08-12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5650A KR20150019168A (ko) 2013-08-12 2013-08-12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168A true KR20150019168A (ko) 2015-02-25

Family

ID=5246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5650A KR20150019168A (ko) 2013-08-12 2013-08-12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19168A (ko)
WO (1) WO201502312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271A1 (ko) * 2019-02-22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WO2020171266A1 (ko) * 2019-02-22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WO2022010195A1 (ko) * 2020-07-08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462B1 (ko) * 2006-11-27 2008-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 분리형 유엠피씨 장치 및 연동방법
KR101223279B1 (ko) * 2007-08-02 2013-01-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동 전화 단말기 모듈 및 멀티미디어 단말기 모듈의 결합및 분리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에서의 결합및 분리 방법
KR101104354B1 (ko) * 2011-01-04 2012-01-16 (주)베리파인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함께 사용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
KR101288865B1 (ko) * 2011-04-14 2013-07-23 주식회사 팬택 통신 방법 및 무선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271A1 (ko) * 2019-02-22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WO2020171266A1 (ko) * 2019-02-22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WO2022010195A1 (ko) * 2020-07-08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3120A4 (ko) 2015-04-23
WO2015023120A1 (ko) 2015-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90575A1 (zh) 双屏终端、屏幕显示方法及装置
TWI663498B (zh) 混合式計算裝置、設備及系統
WO2015147519A1 (ko) 휴대 장치
CN106034168A (zh) 可拆装屏幕的移动设备
JP2013544392A (ja) 端末装置
JP2002366255A (ja) 小型表示パネルを有するノート型コンピュータ
CN112533106B (zh) 电子设备
CN103080866A (zh) 信息处理终端
CN103686051A (zh) 一种便携式通信装置、一种智能手表和一种通信系统
KR20150019168A (ko)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휴대패키지
US20040214601A1 (en) Radio modem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CN105141714B (zh) 第一移动设备、外接设备和第二移动设备
TWI388186B (zh) 通訊裝置
CN203761495U (zh) 一种便携式通信装置、一种智能手表和一种通信系统
CN210573499U (zh) 一种保护套
WO2019206109A1 (zh) 移动终端
CN104378577A (zh) 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CN103489431B (zh) 一种显示终端
US20110102348A1 (en) Dual wireless communicator and human interface device
WO2010002190A2 (ko) 일측 단말의 제어로 타 단말의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및 그 인터페이스 방법
CN111405088B (zh) 终端设备
KR20140003908A (ko) 이중회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CN103970200A (zh) 一种设备及电子设备
JP2003229935A (ja) 携帯電子機器
WO2013129717A1 (ko)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