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354B1 -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함께 사용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함께 사용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354B1
KR101104354B1 KR1020110000646A KR20110000646A KR101104354B1 KR 101104354 B1 KR101104354 B1 KR 101104354B1 KR 1020110000646 A KR1020110000646 A KR 1020110000646A KR 20110000646 A KR20110000646 A KR 20110000646A KR 101104354 B1 KR101104354 B1 KR 101104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ata
portabl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수
Original Assignee
(주)베리파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리파인 filed Critical (주)베리파인
Priority to KR1020110000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함께 사용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전송 및 전화 통화 서비스를 중계하기 위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는 예를 들어,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 넷북 등으로 구비된다.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화 통화 서비스가 가능하다.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는 휴대용 중계 장치에 비해 외형이 크다.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는 휴대용 중계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휴대용 중계 장치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연결된다. 휴대용 중계 장치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의해 처리되는 다양한 기능들에 따른 운용 상태를 사용자에게 중계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중계 장치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화 발신 및 수신 등의 전화 통화 서비스 기능과, 전화번호부, 미디어 데이터 및, 배터리 정보 등의 데이터 전송 기능 등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중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성이 용이한 휴대용 중계 장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를 관리할 수 있도록 중계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함께 사용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PORTABLE RELEYING APPARATUS USING WITH PORTABLE MOBILE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중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이동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휴대용 중계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전송 및 통화 서비스를 위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예를 들어, 삼성전자 사의 갤럭시탭(GALUXY TAP), 애플 사의 아이패드(IPAD) 및, KT 사의 아이덴티티탭(IDENTITY TAP) 등과 같은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Tablet PC)와, 넷북(Netbook) 등의 모바일 컴퓨터가 빠른 속도로 보급 및 활용되고 있다.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는 모바일 컴퓨터로서 시간 및 장소에 구애없이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이 인터넷 및 전화 통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등과 유사한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는 3 세대 및 4세대의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및 영상 전화 서비스와 데이터 전송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등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및 인터넷 전화(mVoIP)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와이파이(WiFi)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 사의 상표명으로, IEEE 802.11 기반의 무선랜(WLAN) 연결과, 장치들 간의 연결 및,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PAN/LAN/WAN) 망의 구성 등을 지원한다.
현재의 많은 운영 체제들은 와이파이를 지원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폰, PDA, 데스크톱,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및 넷북 등을 이용해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무선 인터넷이 개방된 장소에서 무선 접속 장치(AP)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와이브로(WiBro)나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는 시속 약 120 ㎞ 이상 고속으로 이동 중인 차량이나 기차 안에서도 유선 인터넷 속도 이상으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기술이다. 와이브로(WiBro)는 국내 서비스 명칭이고, 모바일 와이맥스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명칭이다.
상술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는 대체적으로 약 7 내지 10 인치 정도의 화면 크기를 가지므로 외형이 크다. 이로 인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인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에 비해 휴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갤럭시탭, 아이패드 및 아이덴티티탭 등의 태블릿 PC의 사용자는 가방 등에 태블릿 PC를 보관하여 휴대하거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화 통화나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를 가방에서 꺼내고, 해당 기능을 활성화시켜야 되므로 사용하기에 매우 번거롭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편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휴대용 중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사이를 인터페이스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이 사용 가능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및 전화 통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중계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 및 그의 데이터 및 음성 통신 서비스를 위한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중계 장치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중계 장치는 사용자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간의 인터페이스를 중계하여,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 환경을 용이하게 한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휴대용 중계 장치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함께 사용된다.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전화 통화 및 데이터 전송이 발생되면, 상기 전화 통화 및 상기 데이터 전송에 따른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에서 상기 전화 통화 및 상기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화 및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 상태를 알려주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는 오디오 입출력부 및;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가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동기화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상기 전화 통화 및 상기 데이터 전송에 따른 운용 상태를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에서 처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배터리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는;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유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서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들 간에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로 보조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서 상기 충전부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는;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 미디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 가능하도록 데이터 변환하여 상기 오디오 입출력부로 출력하고, 상기 전화 통화 시, 상기 오디오 입출력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받아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입출력부는 외부 오디오 입출력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또는 무선 통신 솔루션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는 내장형 스피커 장치와 내장형 마이크 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와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간에 신호 및 데이터를 중계하도록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운용 상태를 중계하도록 처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와이파이 무선 송수신 솔루션 또는 블루투스 무선 송수신 솔루션으로 구비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운용 상태는; 적어도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와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간의 시간 수신 및 동기화, 전화 발신 및 수신, 전화번호부 수신 및 동기화, 문자 메시지 전송 및 수신과 수신 알림, 전자 메일 송신 및 수신과 수신 알림,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상태 확인, 전화번호 검색 및, 미디어 데이터 수신에 대한 신호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휴대용 중계 장치의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신호 동기화되고,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운용 상태에 따른 신호 및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호 전송하여,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화 통화 및 데이터 전송 기능을 처리하도록 사용자에게 중계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 간에 상기 기능을 중계하도록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에서 상기 기능을 처리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가 와이파이 무선 통신망 또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적어도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와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간의 시간 수신 및 동기화, 전화 발신 및 수신, 전화번호부 수신 및 동기화, 문자 메시지 전송 및 수신과 수신 알림, 전자 메일 송신 및 수신과 수신 알림,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상태 확인, 전화번호 검색 및, 미디어 데이터 수신에 대한 신호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중계 장치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대화면의 크기를 갖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휴대용 중계 장치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화 통화 서비스 및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중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중계 장치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 비해 소형으로 제공됨으로써, 휴대성이 용이하고,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화 통화 및 데이터 전송시에 발생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휴대용 중계 장치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액세서리 제품으로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차별화를 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제품의 판매 증가 및 영업적인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중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중계 장치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중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중계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초기 동작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중계 장치의 수신 중계를 처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중계 장치의 송신 중계를 처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중계 장치에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중계 장치에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홀를 검색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중계 장치의 데이터 전송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도 1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재생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중계 장치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 및 전화 통화 서비스를 중계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중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사용자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 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호 간의 전화 통화 서비스를 중계하고, 상호 간에 데이터 전송을 처리한다.
이를 위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Tablet PC), 넷북(netbook) 등으로 구비되며,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전송과, 영상 및 음성 전화 통화 서비스를 처리하고,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및 인터넷 전화(mVoIP) 서비스를 처리한다. 물론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이동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화 통화 서비스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모든 휴대용 전자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또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인터넷 전화 가능한 텔레비젼, 셋톱 박스 등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통신망은 3 세대(Generation : G) 및 4 세대 이동 통신망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망은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및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포함한다. 이동 통신망은 이동 통신사의 중계 기지국(10)에 연결되고, 무선 통신망은 무선 접속 장치(Wireless AP)(20)에 연결된다. 따라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중계기(10) 또는 무선 접속 장치(20)에 연결되어 전화 통화 서비스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 액정 표시 장치, 터치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등을 구비하고, 이러한 표시 장치(102)는 대체로 큰 크기의 화면을 갖는다.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약 7 인치 내지 10 인치 정도의 화면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휴대용 중계 장치(200)에 비해 휴대성이 저하된다.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휴대용 중계 장치(20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미도시됨)와 접속한다(S300).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휴대용 중계 장치(200)의 중계 기능을 사용하기 위하여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에서 중계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110)을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110)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휴대용 중계 장치(200)의 제조사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갤럭시탭의 경우에 구글(google) 사의 '안드로이드 마켓'으로 구비되고, 아이패드의 경우에 애플(apple) 사의 '앱스토어'로 구비될 수 있다. 또 어플리케이션(110)은 휴대용 중계 장치(200)의 제조사 웹페이지 등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이어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설치하고(S310, S320),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서 휴대용 중계 장치(200)의 중계 기능을 활성화시킨다(S330). 이 때,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와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무선 통신 솔루션 예를 들어, 와이파이 솔루션 또는 블루투스 솔루션의 기능이 활성화된다. 그 결과,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중계 장치(200)와 함께 사용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솔루션은 하드웨어로 구현 가능한 장치 뿐만 아니라, 동일한 기능을 처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110)이 활성화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에 비해 휴대성이 용이한 외형 및 크기를 갖는다. 예컨대, 휴대용 중계 장치(100)는 소형의 무선 기기로서, 바 타입(bar type)으로 제공된다.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에 의해 처리되는 다양한 기능들의 운용 상태를 사용자에게 중계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와의 시간 동기화와, 전화 발신, 전화 수신 등의 전화 통화 서비스 기능과, 전화번호부 수신, 미디어 데이터 수신, 배터리 정보 요청 및 수신 등의 데이터 전송 기능 등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중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성이 용이한 휴대용 중계 장치(200)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를 관리 및 운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중계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안테나(212)와, 데이터 송수신부(210)와, 데이터 변환부(214)와, 메모리부(208) 및, 제어부(202)를 포함한다. 또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입력부(204)와, 표시부(206) 및 오디오 입출력부(220)를 포함한다. 또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오디오 입력부(224) 및 오디오 출력부(222)를 포함한다. 또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230)와, 충전부(232) 및 배터리(234)를 포함한다.
안테나(212)는 무선 통신망(예를 들어,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과 연결되고, 이를 통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와 상호 데이터 전송 및 전화 통화를 위한 송신 및 수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무선 송수신 솔루션으로서, 안테나(212)로부터 수신 신호를 받아들거나 송신 신호를 안테나(212)로 출력한다.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예컨대, 와이파이 솔루션 또는 블루투스 솔루션로 구비되고, 디지털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즉,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수신 신호를 안테나(212)를 경유하여 받아들이고, 안테나(212)를 경유하여 무선 통신망으로 디지털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또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수신된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및 SDIO(Secure Digital Input/Output) 통신 규격의 신호를 제어부(202)로 제공하고, 안테나(212)로부터 수신된 PCM(Pulse Code Modulation) 규격의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부(214)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PCM 데이터는 전화 음성 신호 또는 미디어 데이터 등에 대응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데이터 변환부(214)는 오디오 코덱 장치로 구비되며, 데이터 송수신부(210)로부터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받아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AUDIO_OUT)로 변환하여 오디오 입출력부(220) 및 오디오 출력부(222)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변환부(214)는 제어부(202)의 제어를 받아서 데이터 송수신부(21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PCM)를 받아서 재생 가능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AUDIO_OUT)로 복원하여 오디오 입출력부(220) 및 오디오 출력부(222)로 제공한다. 또 데이터 변환부(214)는 오디오 입력부(224)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MIC_IN)를 받아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202)로 제공한다.
제어부(202)는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등으로 구비되고, 본 발명의 휴대용 중계 장치(200)의 제반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한다. 즉, 제어부(202)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와 휴대용 중계 장치(200)가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동기화하도록 제어하고,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기능들 예를 들어, 전화 통화 및 데이터 전송에 따른 운용 상태를 휴대용 중계 장치(200)에서 처리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02)는 데이터 송수신부(210), 데이터 변환부(212), 메모리부(208), 표시부(206), 충전부(232) 및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한다. 제어부(202)는 UART 및 SDIO 통신 규격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부(210)와 연결된다. 제어부(202)는 메모리부(208)에 저장된 데이터(DATA)를 억세스하거나, 메모리부(208)로 데이터(DATA)를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02)는 입력부(204)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KEY_IN)를 받아서 전화번호 입력, 전화 수신, 전화 발신, 메뉴 선택 등을 처리하도록 제어하고, 휴대용 중계 장치(200)의 제반 동작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206)를 제어한다. 제어부(202)는 배터리(234)를 충전하거나, 인터페이스부(230)에 연결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보조 전원 공급에 따른 충전부(232)를 제어하고, 충전부(232)로부터 배터리(234)의 충전 상태에 따른 배터리 정보(BATT)를 받아서 표시부(206)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휴대용 중계 장치(200)의 중계를 위한 제어부(202)의 제어 및 처리 동작에 따른 내용은 도 5 내지 도 11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메모리부(208)는 예컨대,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억세스 가능한 램(RAM)과, 휴대용 중계 장치의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롬(ROM)을 포함한다. 이 프로그램은 인터페이스부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프로그램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중계되어 무선 통신망을 통해 자동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 메모리부(208)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와 휴대용 중계 장치(200) 간의 처리 동작에 대응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억세스하거나 저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전화번호부, 미디어 데이터, 문자 메시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206)는 제어부(202)의 제어를 받아서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한다. 표시부(206)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LCD) 장치로 구비된다. 물론 표시부(206)는 터치 패드를 갖는 터치 패드 표시 장치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06)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와 동기된 시간을 표시하고,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화, 문자 메시지 및 전자 메일 등이 수신되면, 이를 알려주는 정보를 표시하고, 메모리부(208)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를 표시하고,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배터리 정보(BATT)를 표시한다. 또 표시부(206)는 전화번호부 검색,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전화 발신, 문자 메시지 발신, 전자 메일 발신에 대응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들을 선택하거나 실행시키는 다양한 메뉴 및 소프트웨어 키패드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입력부(204)는 예를 들어, 다수의 키패드를 포함하고, 표시부(206)에 출력된 메뉴를 선택하거나 핫 키 등에 대응되는 입력 신호(KEY_IN)를 제어부(204)로 출력한다. 물론 입력부(204)는 표시부(206)가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경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에 의해 표시부(206)에 출력되는 소프트웨어 키패드일 수도 있다.
오디오 입출력부(220)는 데이터 변환부(214)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AUDIO_OUT)를 받아서 외부의 오디오 출력 장치(미도시됨)로 제공하고, 외부의 오디오 입력 장치(미도시됨)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MIC_IN)를 받아서 데이터 변환부(214)로 전달하는 커넥터로 구비된다. 물론 오디오 입출력부(220)는 무선 송수신 솔루션 예를 들어, 블루투스 솔루션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의 오디오 입출력 장치는 블루투스 이어폰, 블루투스 헤드셋 등으로 제공되고, 오디오 입출력부(220)는 블루투스 헤드셋과 상호 간에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공한다.
오디오 입력부(224)는 내장형 마이크 장치로 구비되어,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MIC_IN)를 데이터 변환부(214)로 제공하고, 오디오 출력부(222)는 내장형 스피커 장치로 구비되어, 데이터 변환부(214)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230)는 예를 들어, USB 통신 포트로 구비되어, 케이블을 통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나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외부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장치, 노트북 컴퓨터 및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30)는 제어부(202)의 제어를 받아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 상호 간에 데이터(DATA1)를 전송한다. 또 인터페이스부(230)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되어, 배터리(234)로 전원(DC_IN)을 공급하여 충전한다. 또 인터페이스부(230)는 배터리(234)로부터 충전된 전원(DC_OUT)을 받아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배터리(미도시됨)로 충전 전원을 공급한다. 이 경우,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보조 배터리로서 역할을 한다.
충전부(232)는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전원(DC_IN)을 받아서 배터리(234)를 충전한다. 충전부(232)는 배터리(234)로부터 충전된 전원(DC_OUT)을 받아서 인터페이스부(230)에 연결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 충전부(232)는 배터리(234)의 충전 상태에 따른 충전 정보(BATT)를 제어부(202)로 제공한다.
그리고 배터리(234)는 예컨대, 충전 가능한 니켈수소(Ni-MH) 전지 등으로 구비되며, 휴대용 중계 장치(200)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거나 인터페이스부(230)에 연결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보조 전원 또는 충전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와 연결된다.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에서 운용되는 다양한 기능에 대응하여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 다양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서도 휴대용 중계 장치(200)를 이용하여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전화 통화 서비스 및 데이터 전송 등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중계 장치의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들이다. 이 수순들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에서 어플리케이션(11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휴대용 중계 장치(200)와 자동으로 신호 동기화가 이루어져 처리되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110)과 휴대용 중계 장치(200)의 제어부(202)에 의해 제어 및 처리된다. 또 이 수순들은 시간 흐름에 따라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지, 다양한 형태로 시간 흐름의 변경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단계들의 수순 위치 또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중계 장치 간에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이 수순은 두 장치(100, 200)들 간의 시간 동기화 및 전화번호부 전송을 위한 것으로, 단계 S400에서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망과 연결되고,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이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와 휴대용 중계 장치(200) 간에 시간을 동기화하는 것으로, 휴대용 중계 장치(200)의 전원 온(on) 시에 시간 동기화가 처리된다. 또 시간 동기화는 주기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 시간 정보는 제어부(202)에 의해 메모리부(208)에 저장되고, 표시부(206)에 표시된다. 그 결과,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에서 이루어지는 전화 통화, 문자 메시지, 메신저 수신, 전자 메일 등의 수신 시간 및 발신 시간 등이 일치하게 된다.
단계 S402에서 전화번호부를 업데이트할 지를 판별한다. 즉, 휴대용 중계 장치(200)에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 전화번호부를 요청하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휴대용 중계 장치(200)와 신호 동기화되어 전화번호부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에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화번호부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부(208)에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휴대용 중계 장치(20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로부터 하나의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선택하면,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 전화를 발신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이 수순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 전화 수신 또는 문자 메시지가 수신시, 휴대용 중계 장치(200)에서 이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단계 S410에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에서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또는 전자 메일, 메신저 정보 등)가 수신되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중계 장치(200)로 수신된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발신자 전화번호 또는 발신자 전자메일 주소 등)와 호(call) 신호를 전송하여 두 장치(100, 200)들 간의 신호를 동기화한다. 단계 S412에서 수신된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또는 전자 메일)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206)에 표시하고 동시에 오디오 출력부(22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또는 전자 메일, 메신저 정보 등)가 수신되었음을 알린다.
단계 S414에서 입력부(204)를 통해 수신된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또는 전자 메일, 메신저 정보 등)를 확인하면, 단계 S416에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호 신호를 전달받아서 오디오 입출력부(220 또는 222, 224)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하거나 또는 문자 메시지(또는 전자 메일, 메신저 정보 등)의 내용을 표시부(206)에 표시한다.
다른 예로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문자 메시지의 수신 상태를 알리는 신호만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중계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문자 메시지의 수신 상태만을 확인하고, 문자 메시지의 내용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에서 확인한다.
도 7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이 수순은 문자 메시지(또는 전자 메일) 전송 또는 전화 발신을 위한 것으로, 단계 S420에서 입력부(204)를 통해 문자 메시지(또는 전자 메일)을 작성하거나, 수신자의 전화번호(또는 전자 메일 주소)를 입력하면, 단계 S422에서 입력된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 때,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전송된 정보를 통해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발신 통화 동작을 처리하고,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입력된 정보를 표시부(206)에 표시한다. 여기서, 발신 통화의 경우 휴대용 중계 장치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발신 상태에 따른 발신음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 출력부(222 또는 220)로 출력한다.
단계 S424에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에서 문자 메시지 전송 또는 발신 통화가 연결되면, 이에 대응해서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문자 메시지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오디오 입출력부(220 또는 222, 224)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하도록 처리한다. 물론 문자 메시지 내용 입력 및 문자 메시지 전송은 휴대용 중계 장치(200)에서 처리되지 않고,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에서 직접 처리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이 수순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단계 S430에서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 배터리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현재 배터리(미도시됨)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중계 장치(200)로 배터리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432에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배터리 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수신하고, 단계 S434에서 표시부(206)에 배터리 정보를 표시한다.
이어서 단계 S436에서 배터리 정보를 통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배터리가 재충전이 필요한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 배터리가 재충전해야 할 상태이면, 단계 S438에서 배터리를 충전할 필요가 있음을 요구하는 정보를 표시부(206)에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배터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배터리 충전이 필요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이 수순은 전화번호부에서 하나의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한 것으로, 단계 S440에서 입력부(204)를 통해 하나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단계 S442에서 메모리부(208)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서 검색하여, 입력된 전화번호와 일치되는 것을 표시부(206)에 표시한다. 이 때, 입력된 전화번호는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숫자 일부 또는 전부일 수 있으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성명의 일부 또는 전부일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표시된 전화번호를 선택함으로써, 휴대용 중계 장치(200)를 이용하여 도 7에 도시된 전화 발신 수순(단계 S420 내지 단계 S426)을 처리할 수 있다. 물론 이 전화번호 검색 수순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로부터 검색이 가능하다. 이 경우,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다시 휴대용 중계 장치(200)로 제공한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이 수순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기 위한 수순으로, 단계 S450에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 미디어 데이터를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 단계 S452에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내부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미디어 데이터 리스트를 전송한다. 이에 휴대용 중계 장치(200)의 표시부(206)에는 미디어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되고, 이 미디어 데이터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면, 단계 S454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받아들인다. 단계 S456에서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부(214)를 통해 재생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로 변환하고, 단계 S58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 때,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표시부(206) 및 오디오 출력부(220 또는 222)를 통해 재생된 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출력한다.
다른 예로서, 미디어 데이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재생하고, 휴대용 중계 장치는 실시간으로 재생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받아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휴대용 중계 장치는 부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보다 간단한 하드웨어 구성으로 처리 가능하다.
즉, 단계 S460에서 휴대용 중계 장치(200)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 미디어 데이터를 요청하면, 단계 S462에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복수 개의 미디어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미디어 데이터 리스트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중계 장치(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휴대용 중계 장치(200)의 표시부(206)에는 미디어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된다. 단계 S464에서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전송된 미디어 데이터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단계 S466에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어서 단계 S468에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재생된 미디어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중계 장치(200)로 실시간 스트리밍한다. 이어서 단계 S470에서 휴대용 중계 장치(200)는 스트리밍된 미디어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220 또는 222)로 출력한다. 이는 휴대용 중계 장치(200)가 예컨대, 블루트스 헤드셋과 유사한 방식으로 스트리밍된 미디어 데이터를 받아서 오디오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중계 장치(100)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200)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서도 전화 통화 서비스 및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함께 사용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102 : 표시 화면
110 : 어플리케이션 200 : 휴대용 중계 장치
202 : 제어부 204 : 입력부
206 : 표시부 208 : 메모리부
210 : 안테나 212 : 데이터 송수신부
214 : 데이터 변환부 220 : 오디오 입출력부
222 : 오디오 출력부 224 : 오디오 입력부
230 : 인터페이스부 232 : 충전부
234 : 배터리

Claims (12)

  1.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함께 사용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에 있어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동기화된 시간을 표시하고,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전화 통화 또는 데이터 전송이 발생되면 상기 전화 통화 또는 상기 데이터 전송에 따른 알림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데이터는 전화번호부와 미디어 데이터 및 문자 메시지를 포함하는 표시부와;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입력 신호를 발생하되, 전화번호 입력과 전화 수신과 전화 발신 및 상기 표시부에 출력된 메뉴의 선택에 대한 키입력을 행하는 입력부와;
    상기 동기화된 시간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화 또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 상태를 알려주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는 오디오 입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 가능하도록 데이터 변환하여 상기 오디오 입출력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시간 및 신호 동기화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상기 전화 통화 및 상기 데이터 전송에 따른 운용 상태를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에서 처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배터리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는;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유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서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들 간에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로 보조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서 상기 충전부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입출력부는 외부 오디오 입출력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또는 무선 통신 솔루션으로 구비되되;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는 내장형 스피커 장치와 내장형 마이크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와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간에 신호 및 데이터를 중계하도록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운용 상태를 중계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와이파이 무선 송수신 솔루션 또는 블루투스 무선 송수신 솔루션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운용 상태는;
    적어도 상기 휴대용 중계 장치와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간의 시간 수신 및 동기화, 전화 발신 및 수신, 전화번호부 수신 및 동기화, 문자 메시지 전송 및 수신과 수신 알림, 전자 메일 송신 및 수신과 수신 알림,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상태 확인, 전화번호 검색 및, 미디어 데이터 수신에 대한 신호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10000646A 2011-01-04 2011-01-04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함께 사용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 KR101104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646A KR101104354B1 (ko) 2011-01-04 2011-01-04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함께 사용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646A KR101104354B1 (ko) 2011-01-04 2011-01-04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함께 사용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354B1 true KR101104354B1 (ko) 2012-01-16

Family

ID=4561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646A KR101104354B1 (ko) 2011-01-04 2011-01-04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함께 사용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3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78B1 (ko) * 2012-01-26 2014-02-05 하병용 휴대 단말기 연동 보조 단말기 및 그 보조 단말기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
WO2015023120A1 (ko) * 2013-08-12 2015-02-19 Oh June Soo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KR20150054703A (ko) * 2013-11-12 2015-05-20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착용 가능 컴퓨팅 디바이스로의 알림 재전송
WO2017171756A1 (en) * 2016-03-30 2017-10-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dicator to indicate a state of a personal assistant application
US9787130B2 (en) 2012-06-19 2017-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charg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230A (ko) * 2008-01-10 2009-07-15 왑스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단말기 및 블루투스 통신 방법
KR20100129676A (ko) * 2009-05-30 2010-12-09 황재엽 핸드헬드 태블릿피씨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230A (ko) * 2008-01-10 2009-07-15 왑스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단말기 및 블루투스 통신 방법
KR20100129676A (ko) * 2009-05-30 2010-12-09 황재엽 핸드헬드 태블릿피씨 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78B1 (ko) * 2012-01-26 2014-02-05 하병용 휴대 단말기 연동 보조 단말기 및 그 보조 단말기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
US10374450B2 (en) 2012-06-19 201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charg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9787130B2 (en) 2012-06-19 2017-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charg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11368039B2 (en) 2012-06-19 202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charg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O2015023120A1 (ko) * 2013-08-12 2015-02-19 Oh June Soo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KR20150054703A (ko) * 2013-11-12 2015-05-20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착용 가능 컴퓨팅 디바이스로의 알림 재전송
CN104679232A (zh) * 2013-11-12 2015-06-03 谷歌公司 将通知重定向到可穿戴计算设备
US9203252B2 (en) 2013-11-12 2015-12-01 Google Inc. Redirecting notifications to a wearable computing device
KR101629875B1 (ko) * 2013-11-12 2016-06-14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착용 가능 컴퓨팅 디바이스로의 알림 재전송
CN104679232B (zh) * 2013-11-12 2018-02-13 谷歌有限责任公司 将通知重定向到可穿戴计算设备
WO2017171756A1 (en) * 2016-03-30 2017-10-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dicator to indicate a state of a personal assistant application
US10580266B2 (en) 2016-03-30 2020-03-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dicator to indicate a state of a personal assistant application
CN109076271B (zh) * 2016-03-30 2021-08-03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用于指示个人辅助应用的状态的指示器
CN109076271A (zh) * 2016-03-30 2018-12-2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用于指示个人辅助应用的状态的指示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9605B2 (en) Communication between a host device and an accessory via an intermediate device
US7996496B2 (en) Remote user interface in multiphone environment
CN101207412B (zh) 一种控制蓝牙手机的电视机
US20130219098A1 (en) Mobile Device Docking Station
US9300777B2 (en) Headset base with holder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9644216A (zh) 一种蓝牙通信的方法及终端
KR101104354B1 (ko)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함께 사용하는 휴대용 중계 장치
EP2652937A1 (en) Docking station for a handheld telecommunication device
CN109548184B (zh) 连接移动终端与蓝牙设备的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CN103391121A (zh) 多设备配对和连接蓝牙设备的方法
CN101286768A (zh) 一种控制蓝牙手机的遥控器
WO2013030736A1 (en) Docking system with automatic music playback via bluetooth
US20110009112A1 (en) Multifunction remote control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ethod using the same
WO2010122907A1 (ja) データ転送機能を有する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動作制御方法
US20120137024A1 (en)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peripher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3891258B (zh) 具有经由蓝牙的自动音乐回放的对接系统
CN203118191U (zh) 移动终端遥控装置
US20170078467A1 (en) Cordless phone apparatus, cordless phone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CN102970426B (zh) 一种移动终端通信控制方法及装置
JP5583168B2 (ja) ネットワーク変換装置
CN102665005A (zh) 无线多媒体终端
CN202602764U (zh) 无线多媒体终端
US20180241868A1 (en) Mobile to Landline Dialer
JP4932676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通信装置、携帯電話機、通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230319174A1 (en) Smart wearable solar device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