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34087A2 - 복합 힌지장치 및 이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복합 힌지장치 및 이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34087A2
WO2012134087A2 PCT/KR2012/001947 KR2012001947W WO2012134087A2 WO 2012134087 A2 WO2012134087 A2 WO 2012134087A2 KR 2012001947 W KR2012001947 W KR 2012001947W WO 2012134087 A2 WO2012134087 A2 WO 201213408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upper unit
lower unit
hinge
hing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194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134087A3 (ko
Inventor
한상헌
한영수
Original Assignee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280012659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416000A/zh
Publication of WO201213408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34087A2/ko
Publication of WO201213408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3408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mposite hinge device and a composite hinge device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llow the lower and upper units each having a lower and an upper display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o be rotatable by sliding each oth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und hinge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compound hinge device thereof, which allow a more convenient and various type of display unit to be used.
  • portable terminals generally have a flip type, a folder type, and a sliding type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and operation, and a portable type and a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are used.
  • two sliding bodies are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and the display unit and the key input unit are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on each of the sliding bodies.
  • Such a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may relatively move the sliding body in the front side to expose the display unit or the key input unit hidden in the rear side.
  • a slide-type portable terminal that can push up the front sliding body to expose the key input unit formed on the front of the rear sliding body.
  • there is also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expose the display formed on the front of the sliding body of the rear by moving the front sliding body formed with the key input portion down.
  • such a conventional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the display unit can be configured to be small as the key input unit is necessary because the information can be inputted or sent information by the key input unit.
  • the touch-type portable terminal has only one touch-type display unit on the front side, the user needs to view multimedia information such as watching a movie or TV or reading a book with a wider display unit at a time. It does not meet the need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upper and lower units having a touch-type display unit on the front, respectively, and the upper unit by connecting the lower and upper units with each other via a compound hinge means
  • the touch type display unit can be used in the smartphone mode, the laptop mode, or the tablet PC mode to correspond to the user using the portable termi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hinge device having a compound hinge device and a compound hinge device thereof to satisfy a desir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hinge device in which an upper unit is stacked on a lower unit and can be used in a smart phone mode, a notebook mode state, or a tablet PC mode state, wherein the upper unit has a lower portion.
  • a biaxial hinge means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wer unit and the upper unit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unit, and a connecting link bar rotatably provided by inserting and fixing the other end of the biaxial hinge means to one end thereof; One end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inner sid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link bar,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econd receiving groov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unit,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upper unit when the upper unit rotates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link bar.
  • It includes a hinge means provided to be provided, the biaxial hinge means and the link link bar and the hinge means By connecting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is connected to the cable provided for power supply and information flow, acces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upper unit is superimposed on the lower unit 12 so that it can be used in a smart phone mode, a notebook mode or a tablet PC mode.
  • a lower unit provided with a touch type lower display unit on an upper surface, an upper unit stack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unit, and an upper unit provided with an upper display unit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both sides of the lower unit to be rotatable;
  • Biaxial hinge means,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iaxial hinge means is rotatably connected, as well as a link link bar provided to rotatably connect the central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upper unit to the inner side by means of separate hinge means.
  • a complex hinge device and the lower unit and the upper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upply power and send information.
  • the upper unit is used in the smartphone mode superimposed on the lower unit during the call, and when inputt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the upper unit is rotated to have an angle from the lower unit through the biaxial hinge means
  • the upper unit is rotated through the hinge unit, which is used in a notebook mode, and when the wide display unit is required such as watching a movie, watching TV or reading a stored book, the upper unit is in a straight line with the lower unit.
  • the wiring of the cable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wiring hole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formed in the first hinge portion of the first fixed shaft of the biaxial hinge means,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connecting pivot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unit through a wiring hole formed in the fixed shaft of the hinge mean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ng link bar through the wiring hole and the connecting link bar formed on the fixed shaft.
  • the lower and upper units each having a touch-type display unit on the front, and the lower and upper units by means of the composite hinge means
  • the portable terminal By configuring the portable terminal to be rotatable while the upper unit slides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by connecting to each other, the touch-typ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user using the portable terminal, the smartphone mode, notebook mode, tablet PC It can be used in the mode state to have an effect that can satisfy the user's need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mpound hinge device and a compound hinge device thereof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briefly illustrating a cable connection stat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mplex hinge device shown in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complex hinge device shown in FIG. 1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complex hinge device shown in FIG. 1 is rotated for use in a notebook mode state.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composite hinge device of FIG. 1 is used in a tablet PC mode.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mplex hing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tablet PC mode.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complex hinge device illustrated in FIG. 6 is rotated to be used in a notebook mode state.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mplex hinge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unit is rotated while the upper unit slides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in order to use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composite hinge device shown in FIG. 8 in a notebook mode state.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complex hinge device shown in FIG. 8 is used in a notebook mode state.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composite hinge device shown in FIG. 8 is used in a tablet PC mode.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mplex hinge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unit slides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in order to use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complex hinge device shown in FIG. 12 in a notebook mode.
  • FIG. 1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complex hinge device shown in FIG. 12 is used in a notebook mode state.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composite hinge device shown in FIG. 12 is used in a tablet PC mode.
  • the composite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rotatably connect the lower unit and the upper unit as shown in FIG. 1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unit to rotate the upper unit.
  • the composite hinge device is provided so that one end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accommodation grooves (not shown)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side of the lower unit 12, respectively, and the pressing force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of the other end.
  • Rota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first hinge portion 18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hinge portion 18 is fixedly accommodated in the connecting first receiving groove (not show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one surface to be rotatable.
  • Biaxial hinge means consisting of a second hinge portion (20) and one end is fixedly receiv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not shown) for connec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ne side of the connecting rotating member (19).
  • the other end of the second hinge portion 20 of the biaxial hinge means 17 is inserted into one end fixed to the connecting link bar 21 is provided to be rotatable, and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link bar 21 One end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sid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numb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unit 15, respectively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groove (not shown), so that the upper unit 15 includes hinge means 22 provided to provide a pressing force to the upper unit 15 side when the connecting link bar 21 is rotated 180 degrees.
  • the first hinge portion 18, the pivot member 19 for connection, the hinge means 22, the link link bar 2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20 are the upper unit 15 and the lower unit 12 )
  • To connect and connect the cable 23 (see Fig. 2) provided for power supply and information flow in and out.
  • the first hinge portion 18 of the complex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of the connecting rotation member 19 of the connecting rotation member 19, as shown in FIG.
  • the surface is penetrated and the front surface is opened to be inserted through the first housing 18a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18b provided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first housing 18a, respectively.
  • First through holes are formed respectively, one surface of the first drive cam (18c) and a plurality of first drive cam surface (not shown)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first drive
  • a plurality of first fixed cam surfaces are formed on one sur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driving cam can be pressurized when the first driving cam surface of the cam 18c contacts and rotates on one surface thereof, and the lower unit 12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first receiving grooves formed at one end of both sides of the first case 13.
  • a first fixing cam 18d, a hole of the first fixing cam 18d, and a first driving cam which are formed to protrude so as to protrude, and are provided with a hole (not shown) penetrated in the center axis direction.
  • the connecting pivot member 19 has a first receiving groove formed therein for receiv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hinge portion 18 at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ide thereof, and has a water softening portion for receiving one end of the second hinge portion 20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 the second solvent receiving groove is forme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oft water receiving second receiving groove ar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a wiring path (not shown) formed to enable wiring of the cable 23. .
  • the second hinge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one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link bar 21 to be non-rotated, the bottom housing penetrates and the front surfac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the second housing 20a, 2 is inserted through each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20b provid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housing (20a), the second through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respectively, and one sur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second driving cam surfaces (not shown) are formed and rotated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cam 20c and the second driving cam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cam 20c, respectively.
  •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cam surfaces are formed in one sur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pressurize the 20c,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second receiving groove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ng rotating member 19, respectively.
  • a second fixed cam 20d provided with a perforated hole, a hole of the second fixed cam 20d, a second through hole of the second driving cam 20c,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20b. One end penetrates through and protrudes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20a.
  • a second locking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cable 23 can be wired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 the second fixing shaft 20e and the second fixing shaft 20e provided through the wiring hole 20f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groove of the second fixing shaft 20e so that the second fixing shaft 20e is fitted into the second housing 20a.
  • the inner bottom surface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a wiring communication hole for wiring of the cable 23.
  • the hinge means 22 is inserted into the hinge means receiving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ng link bar 21, respectively, is rotated, the bottom surface is penetrated and the front opening is provided in the housing 22a and elastic members 22b which are provided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housing 22a, respectively, and are inserted therebetween, respectively, through-holes (not shown) are formed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and circumferential directions on one surface thereof.
  • a plurality of driving cam surfaces are formed, respectively, and the driving cam 22c provided with one surface and the driving cam surface of the driving cam 22c in contact with one surface to rotate the driving cam to pressurize the driving cam in one circumferential direction.
  • a plurality of fixed cam surfaces are respectively formed, and the other surface is protruded to be fixed and inserted into second receiving groove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second case 16 of the upper unit 15, respectively, and in the center axial direction.
  • Through 22d of fixed cams (not shown) are provided, the holes of the fixed cams 22d, the through holes of the drive cams 22c,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22b penetrate through the housing 22a.
  • It consists of a fixed shaft 22e and an intermittent member 22g which is fitted into the first locking groove of the fixed shaft 22e and provided to prevent the fixed shaft 22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22a, respectively.
  • connection link bar 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20 of the biaxial hinge means 17 so as to be rotatable, respectively.
  • connection link bar 21 ′ may be formed by forming a single cross-section of a 'c' shape.
  •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complex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mplex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lower portion having a display unit on each upper surface as shown in FIGS. 1 to 5.
  • the upper units 12 and 15 can be used as a smart phone type, a notebook type, or a tablet PC type to correspond to the user's selection through the composite hinge device.
  • the portable terminal 10 having the complex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a touch type lower display unit 11 on its upper surface as shown in FIGS. 1 to 5.
  • a biaxial hinge means 17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and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iaxial hinge means 17 as well as separate central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upper unit 15 on the inner side.
  • a composite hinge device comprising a connecting link bar 21 rotatably connected via a hinge means 22, and connecting the lower unit 12 and the upper unit 15 to supply power and information.
  • the upper unit 15 is used in the smartphone mode superimposed on the lower unit 12, and when inputt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the upper unit 15 is connected to the lower unit through the biaxial hinge means 17. After rotating to have an angle from 12), it is used in the notebook mode by rotating the upper unit 15 through the hinge means 22, and a wide display unit such as watching a movie or watching TV or reading a stored book. When required, the upper unit 15 is rotated so as to be i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12 so that the touch type lower and upper display units 11 and 14 form the same plane and are used in the tablet PC mode state. Is made possible.
  • the wiring of the cable 23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unit 12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onnecting pivot member 19.
  • the receiving groove (not shown) is provided with a cover (not shown) to accommodate the battery on the back detachably ( And a lower case 13 which is formed to be openable and closeable, and has first receiving grooves (not shown) formed at both ends thereof to accommodate one end of the biaxial hinge means 17, respectively. It consists of a touch type lower display unit 11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13).
  •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ower case 13 is the same structure as a known touch-type portable terminal,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upper unit 15 is provided with an upper display portion 1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link bar is superim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unit 12,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iaxial hinge means 17 of the composite hinge device
  • a separate hinge means 22 can be used in a notebook mode state when the hinge unit 22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12 in a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21 and a tablet when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link bar 21. It is provided to be usable in the PC mode state.
  • the upper unit 15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button (not shown)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so that it can be used in the smartphone mode to correspond to the nested on the lower unit 12 and the thermal link bar 21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 the second case 16 and the second case 16, which is provided in each of the second housing groove (not shown) are provided to be rotatable to accommodate the other end of the hinge means 22 is fixed to one end of the second case 16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is configured to be a touch-type upper display unit 14, which is provided to enable telephone calls and mail check.
  • the composite hinge device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mposite hin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upper unit 15 As shown in FIG.
  • the operation butto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unit 15 in the state of being superim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unit 12 it becomes possible to talk by operating in the same manner as the portable terminal of a general smart phone.
  • the upper unit Rotate 15 upward.
  • the user can use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composite hinge device in a notebook mode state.
  • the user wants to watch TV or watch a movie and read or read a book, that is, the lower display unit 11 and the upper unit provided in the lower unit 12.
  • the upper unit 15 is further rotated in the rearward direction so that the upper display portion 14 provided in the unit 15 is located in a straight line.
  • the upper unit 15 When the upper unit 15 is further rotate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12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unit 15 is shown in FIG. 5 through the first hinge portion 18 of the biaxial hinge means 17. As shown, the lower unit 110 and the upper unit 15 is maintained in a tablet PC mode of the straight state.
  • the portable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S. 8 to 11 is a portable terminal 100 having a complex hinge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having a touch type display unit on its front surface.
  • the upper and lower units and the lower and upper uni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unit is rotatable while being slid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It is configured to be used.
  • the portable terminal 100 having the complex hinge device includes a lower unit 110 having a lower type display unit 112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unit.
  • the upper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circuit through the circuit connection unit 19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110 and the bottom surface is slidab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the upper unit 130 is provided with a touch type upper display unit 132
  • Each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lower unit 110 and the upper unit 130 so that the upper unit 130 slides and rotates from the lower unit 110 to the lower unit.
  • the upper unit 130 is lower during the call unit Used in the smartphone mode superimposed on the 110, when inputt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the biaxial hinge means 150 is rotated by the upper unit 130 by rotating the upper unit 130 to have an angle from the lower unit 110, notebook mode state
  • the touch type lower and upper display units 112 and 132 may be rotated by rotating the upper unit 130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110.
  • Protruding guide means 170 is furth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upper unit 130.
  • the lower unit 11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having the composite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8 to 11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e battery is removable, It is accommodated, both sides are provided with a first case 111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not shown) formed to accommodate one end of the biaxial hinge means 150,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ase 111 Is composed of a touch type lower display unit 112.
  •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rst case 111 is the same structure as the known touch-type portable terminal,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upper unit 130 is superim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unit 110, both sides of the bottom is connected so as to slide along the lower unit 110 through the projection guide means 170, one side of the operation button
  • the second case 131 and the second case 131 is formed to be installable and grooves (not shown) ar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other end of the biaxial hinge means 150 of the composite hinge device on both sides, and the second case 131
  • the front of the display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is provided with a touch-type upper display unit 132 to enable the phone call and mail confirmation.
  • the biaxial hinge means 150 of the composite hinge device as shown in Figure 8, by connecting the lower and upper units rotatably as the upper unit 130 slides relative to the lower unit 110, the upper unit 130 ) Is rotated to have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110 to maintain the rotated state, and the upper unit 130 is installed on both sides so that it can rotate at an angle of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the provision of the pressing force is different That is, the right side of the lower unit and the left side of the upper unit is provided to provide the pressing force, respectively,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biaxial hinge means 150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and upper unit to the biaxial hinge means provided on the left side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biaxial hinge means 150 of the complex hinge device has a first housing 151 and a first housing 151 which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lower unit 110 through the bottom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thereof are opened.
  • the first elastic member 152 is inserted through each of the first elastic members 152 provided to be abl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nd a first through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movable part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first movable cam 153 having a cam surface (not shown) is formed and the first movable cam 153 in one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movable cam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cam 153 so as to pressurize the first movable cam when rotating.
  • a plurality of first driving cam surfaces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other surface has a square shape so as to be non-rotable by being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fixing groove (not shown) formed on one side of the link link bar 156.
  • Fixing piece (not shown) having a cross section of the protrusion is formed
  • the first fixing cam 154 is provided with a perforated first hole (not shown)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the first hole of the first fixing cam 154, and the first movable cam 153.
  • first fixing shaft 155 and the first fixing shaft 155 is formed to be fitted into the first locking groove of the first fixing shaft 155 to prevent the first fixed shaft 155 is separated from the first housing 151, respectively.
  • the first end member 151 and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fixing groove (not shown)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bar 156 is end-shaped end of the rectangular shape so as to be non-rotable by being fixed
  •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nd 131 is mounted in the groove of the second case 131 and is locked to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57 fixed to prevent separation. It is composed of a connecting shaft 158 formed with a departure prevention groove (not shown) as possible.
  • the protruding guide means 170, the guide groove 171 formed in the slide direction of the upper unit 130, respectively in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ase 111 of the lower unit 110, and the guide groove 171 ) Is inserted in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of the second case 131 of the upper unit 130 so that the upper unit 130 can move along the guide groove 171 when the upper unit 130 slides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110.
  • the guide groove 171 of the protruding guide means 170 is formed to the rear portion so that the upper unit 130 can be rotated at an angle of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110).
  • the circuit connecting portion (power supply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190 of the lower unit 110 and the upper unit 130 is no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iaxial hinge means 150, as shown in Figs.
  • the first front and rear terminal portions 191 and 191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case 111 of the lower unit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biaxial hinge means 150 of the upper unit 130 are not connected.
  • the upper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first shear terminal unit 191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ase 111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ase 131 as shown in FIG. 8.
  • the first case 111 of FIG. It is composed of a second terminal portion 192 provided to be connectable to the first rear terminal portion 191 'provided on the rear.
  • circuit connection unit 19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case (111, 131) 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191,191 ')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92, respectively,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nected using a cable.
  • FIGS. 12 to 15 are drawings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mplex hinge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200 having the complex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uch type lower display portion 211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slide grooves 213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 the lower unit 210 and the lower unit 210 are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n upper unit 230 having a touch type upper display unit 231, and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lower unit 210
  • Each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upper unit 230 so that the upper unit 230 is the upper unit 230 by sliding and rotating the lower unit 210 from the lower unit 210
  • the slide unit is rotated so as to be used in a notebook mode, and when a wide display unit is required such as watching a movie or watching TV or reading a stored book, the upper unit 230 slides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210.
  • a wide display unit such as watching a movie or watching TV or reading a stored book
  • the upper unit 230 slides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210.
  • the lower unit 210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provided with the composite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ommodate the battery detachably, the biaxial hinge means 250 on both sides And a first case 212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groove (not shown) to accommodate one end thereof, and a touch type lower display unit 211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ase 212.
  • Slide grooves 213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case 212 so that the upper unit 230 can be guided when the slide moves.
  •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rst case 212 has the same structure as a known touch-type portable terminal,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upper unit 230 is superim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unit 210 is connected to be movable along the slide groove 213,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o enable the install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on both sides and the biaxial hinge of the composite hinge device on both sides
  • the second case 232 provided with a groove (not shown)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other end of the hinge means 250, and the front of the second case 232 is displayed to correspond to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 a touch type upper display unit 231 is provided to enable a call and mail confirmation.
  • the biaxial hinge means 250 of the complex hinge device is rotatable as the upper unit 230 slides along the slide groove 213 of the lower unit 210 as shown in FIGS. 10 to 12.
  • the upper unit 230 is rotatably configured to have an angle according to the slid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210.
  • one end of the biaxial hinge means 250 of the complex hinge device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of the lower unit 210 so that the upper unit 230 is slidab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210, and the other end is
  • the upper unit 230 is pivot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210 by being rotatably connected while providing pressing force in front of both sides of the upper unit 130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used as a notebook type.
  • the upper unit 230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210 so that the upper display portion 211 provided in the upper unit 230 can maintain a flat state with the lower display portion 211. It is composed.
  • the upper unit 130 as shown in FIG. 8 is attached.
  • the operation butto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unit 130 in a state of being superim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unit 110 it becomes possible to talk by operating in the same manner as a mobile terminal of the general touch type.
  • the upper unit 130 when using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the composite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using as described above to input or store information or to create and send a large amount of characters, the upper unit ( When the 130 is pushed in one direction, the upper unit 130 slides through the protruding guide means 170 while the pressing force acts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lower unit 110 by the biaxial hinge means 150 and the biaxial hinge means. As shown in FIG. 9, the rear end of the upper unit 130 is rotated by the connection link bar 156 of the 150.
  • the upper unit 130 is connected by the link link bar 156 of the protruding guide means 170 and the biaxial hinge means 150.
  • the first movable cam 153, the first fixed cam 154,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152 of the biaxial hinge means 150 rotate to maintain the laptop mort state while the slide moves. do.
  • the upper unit 13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110 to maintain the notebook mode state, thereby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lower display unit 112 of the lower unit 110 and the upper display of the upper unit 130.
  •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nit 132 can be confirmed, so that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can be input more quickly.
  • the upper unit 130 may include the lower unit 110. After sliding with respect to, one end of the biaxial hinge means 150 connected to the lower unit 110 is rotated.
  • the upper unit 13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110 through the biaxial hinge means 150, and the lower unit 110 and the upper unit 130 become horizontal. Therefore, the lower display unit 112 and the upper display unit 132 provided on each upper surface of the lower and upper units 110 and 130 form the same surface to maintain the tablet PC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힌지장치 및 이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면에 각각 터치형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하부 및 상부유닛과, 상기 하부 및 상부유닛을 복합 힌지수단을 매개로 서로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상부유닛이 하부유닛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회동가능하도록 휴대 단말기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응되게 터치형 디스플레이부를 스마트폰 모드, 노트북 모드,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상부유닛이 하부유닛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하부유닛과 상부유닛의 양측면 일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는 이축 힌지수단과, 상기 이축 힌지수단의 타단을 타면 일단에 삽입 고정시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링크바와, 상기 연결링크바의 내측면 중앙부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유닛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2수용홈에 타단이 삽입 고정되어 상부유닛이 연결링크바에 대하여 180도 회동시 상부유닛측으로 가압력을 제공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힌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축 힌지수단과 연결링크바와 힌지수단은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을 접속 연결시켜 전원공급 및 정보 유,출입을 위해 구비되는 케이블을 배선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복합 힌지장치와 이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복합 힌지장치 및 이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본 발명은 복합 힌지장치 및 이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합 힌지장치를 통하여 상면에 각각 하부 및 상부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하부 및 상부유닛을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복합 힌지장치 및 이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는 외형이나 작동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플립 방식, 폴더 방식(folder-type) 및 슬라이딩 방식(sliding-type)이 있고, 폴더 방식 및 슬라이드방식의 휴대 단말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상기한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는 2개의 슬라이딩 몸체(제1,2유닛)를 상호 겹쳐서 배치하고, 슬라이딩 몸체 각각에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가 같은 방향으로 배치한다.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는 전방의 슬라이딩 몸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후면에 가려진 디스플레이부 또는 키 입력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전방의 슬라이딩 몸체를 위로 밀어 올려 후방의 슬라이딩 몸체 전면에 형성된 키 입력부를 노출 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 단말기가 있다.
또한, 다른 예로, 키입력부가 형성된 전방의 슬라이딩 몸체를 아래로 이동시켜 후방의 슬라이딩 몸체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는 키 입력부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거나 송부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키 입력부가 반드시 필요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작게 구성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키 입력부가 배제된 터치방식의 휴대 단말기가 개발되어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터치방식의 휴대 단말기는 전면에 하나의 터치형 디스플레이부만 구비하고 있으므로, 보다 많은 정보를 한 번에 보고자 할 경우 또는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부로 영화 또는 텔레비젼 시청 또는 독서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면에 각각 터치형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하부 및 상부유닛과, 상기 하부 및 상부유닛을 복합 힌지수단을 매개로 서로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상부유닛이 하부유닛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회동가능하도록 휴대 단말기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응되게 터치형 디스플레이부를 스마트폰 모드, 노트북 모드,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복합 힌지장치 및 이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유닛이 하부유닛에 포개어져 스마트폰 모드 상태 또는 노트북 모드 상태 또는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로 사용가능하도록 한 복합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이 하부유닛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하부유닛과 상부유닛의 양측면 일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는 이축 힌지수단과, 상기 이축 힌지수단의 타단을 타면 일단에 삽입 고정시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링크바와, 상기 연결링크바의 내측면 중앙부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유닛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2수용홈에 타단이 삽입 고정되어 상부유닛이 연결링크바에 대하여 180도 회동시 상부유닛측으로 가압력을 제공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힌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축 힌지수단과 연결링크바와 힌지수단은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을 접속 연결시켜 전원공급 및 정보 유,출입을 위해 구비되는 케이블을 배선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상부유닛이 하부유닛(12)에 포개어져 스마트폰 모드 상태 또는 노트북 모드 상태 또는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로 사용가능하도록 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면에 터치형 하부디스플레이부를 갖추어 구비되는 하부유닛과, 상기 하부유닛의 상면에 포개어지되, 상면에는 상부디스플레이부를 갖추어 구비되는 상부유닛과, 상기 하부유닛의 일단 양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는 이축 힌지수단과, 상기 이축 힌지수단의 타단에 일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내측면에 상부유닛의 양측면 중앙부를 별도의 힌지수단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연결링크바로 구성된 복합 힌지장치와, 상기 하부유닛과 상부유닛을 접속 연결시켜 전원공급 및 정보를 송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통화시에는 상부유닛이 하부유닛에 포개어진 스마트폰 모드 상태에서 사용하고, 많은 양의 정보를 입력시에는 이축 힌지수단을 통하여 상부유닛을 하부유닛으로부터 각도를 갖도록 회동시킨 후, 힌지수단을 통하여 상부유닛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노트북 모드 상태로 사용하며, 영화감상 또는 텔레비젼시청 또는 저장된 책을 읽을 경우 등과 같이 넓은 디스플레이부를 요할시에는 상부유닛을 하부유닛에 대하여 일직선 상태가 되도록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터치형 하부 및 상부디스플레이부가 동일면을 이루도록 하여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의 배선은 하부유닛에 일단이 접속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용회동부재에 타단이 삽입 고정된 이축 힌지수단의 제1힌지부 제1고정축에 형성된 배선용홀과 제2힌지부의 제2고정축에 형성된 배선용홀 및 연결링크바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링크바의 내측면에 구비된 힌지수단의 고정축에 형성된 배선공을 통하여 상부유닛과 접속 연결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 및 이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전면에 각각 터치형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하부 및 상부유닛과, 상기 하부 및 상부유닛을 복합 힌지수단을 매개로 서로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상부유닛이 하부유닛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회동가능하도록 휴대 단말기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응되게 터치형 디스플레이부를 스마트폰 모드, 노트북 모드,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 및 이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케이블 연결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상부유닛이 하부유닛에 대하여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가 노트북 모드상태로 사용되기 위해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가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가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가 노트북 모드상태로 사용되기 위해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가 노트북 모드상태로 사용되기 위해 상부유닛이 하부유닛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가 노트북 모드상태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가 태블릿(tablet)PC 모드상태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가 노트북 모드상태로 사용되기 위해 상부유닛이 하부유닛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가 노트북 모드상태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12에 도시된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가 태블릿(tablet)PC 모드상태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 및 이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유닛과 상부유닛을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상부유닛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부유닛을 회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복합 힌지장치는, 하부유닛(12)의 양측면 일단에 각각 형성된 제1수용홈(미도시함)에 일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하는 것에 대응되게 가압력을 제공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힌지부(18)와, 상기 제1힌지부(18)의 타단을 일면 하부측에 형성된 연결용제1수용홈(미도시함)에 고정되게 수용시켜 회동가능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용회동부재(19)와, 상기 연결용회동부재(19)의 일면 상부측에 형성된 연결용제2수용홈(미도시함)에 일단이 고정되게 수용되어 구비되는 제2힌지부(20)로 구성된 이축 힌지수단(17)과, 상기 이축 힌지수단(17)의 제2힌지부(20) 타단을 타면 일단에 삽입 고정시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링크바(21)와, 상기 연결링크바(21)의 내측면 중앙부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유닛(15)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2수용홈(미도시함)에 타단이 삽입 고정되어 상부유닛(15)이 연결링크바(21)에 대하여 180도 회동시 상부유닛(15)측으로 가압력을 제공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힌지수단(22)을 포함하되, 상기 제1힌지부(18)와 연결용회동부재(19)와 힌지수단(22)과 연결링크바(21) 및 제2힌지부(20)는 상부유닛(15)과 하부유닛(12)을 접속 연결시켜 전원공급 및 정보 유,출입을 위해 구비되는 케이블(23)(도 2 참조)을 배선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의 제1힌지부(1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용회동부재(19)의 연결용제1수용홈에 비회전되게 각각 삽입되되, 바닥면은 관통되고 전면은 개구되어 구비되는 제1하우징(18a)과, 상기 제1하우징(18a)에 탄성력을 제공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18b)를 각각 개재시켜 삽입되되, 중심축 방향으로는 제1관통공(도면부호 생략)이 각각 형성되고 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제1구동캠면(도면부호 생략)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1구동캠(18c)과, 상기 제1구동캠(18c)의 제1구동캠면에 일면 접촉하여 회전시 상기 제1구동캠을 가압가능하도록 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제1고정캠면(도면부호 생략)이 각각 형성되고, 타면에는 하부유닛(12)의 제1케이스(13) 양측면 일단에 형성된 제1수용홈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중심축방향으로는 관통된 홀(도면부호 생략)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제1고정캠(18d)과, 상기 제1고정캠(18d)의 홀과, 제1구동캠(18c)의 제1관통공과 제1탄성부재(18b)의 중앙부를 일단이 관통하여 제1하우징(18a)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되, 일단 외주면에는 제1걸림용홈(도면부호 생략)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심축방향으로는 케이블(23)을 배선가능하도록 배선구멍(18f)이 관통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1고정축(18e)과, 상기 제1고정축(18e)의 제1걸림용홈에 끼움되어 제1고정축(18e)이 제1하우징(18a)으로부터 각각 이탈되는 것을 방기하도록 구비되는 제1단속부재(18g)로 구성된다.
상기한 연결용회동부재(19)는 내측면 하부에 제1힌지부(18)의 타단을 수용하도록 연결용제1수용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2힌지부(20)의 일단을 수용하도록 연수용제2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용제1수용홈의 바닥면과 연수용제2수용홈의 바닥면은 케이블(23)을 배선가능하도록 형성된 배선로(미도시함)에 의해 연통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한 제2힌지부(20)는, 연결링크바(21)의 외측면 일단에 비회전되게 각각 삽입되되, 바닥면은 관통되고 전면은 개구되어 구비되는 제2하우징(20a)과, 상기 제2하우징(20a)에 탄성력을 제공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20b)를 각각 개재시켜 삽입되되, 중심축 방향으로는 제2관통공(도면부호 생략)이 각각 형성되고 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제2구동캠면(도면부호 생략)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2구동캠(20c)과, 상기 제2구동캠(20c)의 제2구동캠면에 일면 접촉하여 회전시 상기 제2구동캠(20c)을 가압가능하도록 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제2고정캠면(도면부호 생략)이 각각 형성되고, 타면에는 연결용회동부재(19)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된 연결용제2수용홈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중심축방향으로는 관통된 홀(도면부호 생략)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제2고정캠(20d)과, 상기 제2고정캠(20d)의 홀과, 제2구동캠(20c)의 제2관통공과 제2탄성부재(20b)의 중앙부를 일단이 관통하여 제2하우징(20a)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되, 일단 외주면에는 제2걸림용홈(도면부호 생략)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심축방향으로는 케이블(23)을 배선가능하도록 배선용홀(20f)이 관통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2고정축(20e)과, 상기 제2고정축(20e)의 제2걸림용홈에 끼움되어 제2고정축(20e)이 제2하우징(20a)으로부터 각각 이탈되는 것을 방기하도록 구비되는 제2단속부재(20g)로 구성된다.
상기한 연결링크바(21)는, 외측면 일단 즉 후단부에 이축 힌지수단(17)의 제2힌지부(20) 타단을 고정되게 수용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제2힌지부수용홈(미도시함)이 요설되고, 내측면 중앙부에는 힌지수단(22)의 일단을 고정되게 수용가능하도록 힌지수단용수용홈(미도시함)이 형성되며, 상기 제2힌지부수용홈과 힌지수단용수용홈의 내부 바닥면은 케이블(23)의 배선을 위해 배선용연통홀에 의해 서로 연통되게 구비된다.
상기한 힌지수단(22)은 연결링크바(21)의 내측면 중앙부에 형성된 힌지수단용수용홈(미도시함)에 비회전되게 각각 삽입되되, 바닥면은 관통되고 전면은 개구되어 구비되는 하우징(22a)과, 상기 하우징(22a)에 탄성력을 제공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22b)를 각각 개재시켜 삽입되되, 중심축 방향으로는 관통공(도면부호 생략)이 각각 형성되고 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구동캠면(도면부호 생략)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구동캠(22c)과, 상기 구동캠(22c)의 구동캠면에 일면 접촉하여 회전시 상기 구동캠을 가압가능하도록 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고정캠면(도면부호 생략)이 각각 형성되고, 타면에는 상부유닛(15)의 제2케이스(16) 양측면 중앙부에 형성된 제2수용홈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중심축방향으로는 관통된 홀(도면부호 생략)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고정캠(22d)과, 상기 고정캠(22d)의 홀과, 구동캠(22c)의 관통공과 탄성부재(22b)의 중앙부를 일단이 관통하여 하우징(22a)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되, 일단 외주면에는 걸림용홈(도면부호 생략)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심축방향으로는 케이블(23)을 배선가능하도록 배선공(22f)이 관통 형성되어 구비되는 고정축(22e)과, 상기 고정축(22e)의 제1걸림용홈에 끼움되어 고정축(22e)이 하우징(22a)으로부터 각각 이탈되는 것을 방기하도록 구비되는 단속부재(22g)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연결링크바(2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유닛의 양측면에 일단이 이축 힌지수단(17)의 제2힌지부(20)에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각각 구비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크바(21')는 단일체의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면에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하부 및 상부유닛(12,15)을 복합 힌지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되게 스마트폰 타입 또는 노트북 타입 또는 태블릿(tablet)PC 타입으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10)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터치형 하부디스플레이부(11)를 갖추어 구비되는 하부유닛(12)과, 상기 하부유닛(12)의 상면에 포개어지되, 상면에는 상부디스플레이부(14)를 갖추어 구비되는 상부유닛(15)과, 상기 하부유닛(12)의 일단 양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는 이축 힌지수단(17)과, 상기 이축 힌지수단(17)의 타단에 일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내측면에 상부유닛(15)의 양측면 중앙부를 별도의 힌지수단(2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연결링크바(21)로 구성된 복합 힌지장치와, 상기 하부유닛(12)과 상부유닛(15)을 접속 연결시켜 전원공급 및 정보를 송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케이블(23)을 포함하여, 통화시에는 상부유닛(15)이 하부유닛(12)에 포개어진 스마트폰 모드 상태에서 사용하고, 많은 양의 정보를 입력시에는 이축 힌지수단(17)을 통하여 상부유닛(15)을 하부유닛(12)으로부터 각도를 갖도록 회동시킨 후, 힌지수단(22)을 통하여 상부유닛(15)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노트북 모드 상태로 사용하며, 영화감상 또는 텔레비젼시청 또는 저장된 책을 읽을 경우 등과 같이 넓은 디스플레이부를 요할시에는 상부유닛(15)을 하부유닛(12)에 대하여 일직선 상태가 되도록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터치형 하부 및 상부디스플레이부(11,14)가 동일면을 이루도록 하여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케이블(23)의 배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유닛(12)에 일단이 접속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용회동부재(19)에 타단이 삽입 고정된 제1힌지부(18)의 제1고정축(18e)에 형성된 배선용홀(18f)과 제2힌지부(20)의 제2고정축(20e)에 형성된 배선용홀(20f) 및 연결링크바(21)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링크바(21)의 내측면에 구비된 힌지수단(22)의 고정축(22e)에 형성된 배선공(22f)을 통하여 상부유닛(15)과 접속 연결가능하게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하부유닛(12)은, 배면에 배터리를 장,탈착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미도시함)이 덮개(미도시함)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고, 양측면 일단에는 이축 힌지수단(17)의 일단을 수용가능하도록 각각 제1수용홈(미도시함)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하부케이스(13)와, 상기 하부케이스(13)의 상면에 설치되는 터치형 하부디스플레이부(11)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13)의 내부 구성은 공지의 터치형 휴대 단말기와 동일한 구조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상부유닛(15)은 상면에 상부디스플레이부(14)를 갖추어 상기 하부유닛(12)의 상면에 포개어져 복합 힌지장치의 이축 힌지수단(17)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링크바(21)의 내측면 중앙부에 별도의 힌지수단(22)을 하부유닛(12)에 대하여 회동시에는 노트북 모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연결링크바(21)에 대하여 회전시에는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로 사용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상부유닛(15)은 하부유닛(12)에 포개어지는 것에 대응되게 스마트폰 모드 상태로 사용가능하도록 상면 일측에는 작동버튼(도면부호 생략)이 갖추어지고 양측면 중앙부에는 열결링크바(21)에 일단이 고정된 힌지수단(22)의 타단을 각각 수용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제2수용홈(미도시함)이 각각 요설되어 구비되는 제2케이스(16)와, 상기 제2케이스(16)의 상면에 설치되어 작동버튼을 누름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디스플레이되어 전화통화 및 메일확인 등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터치형 상부디스플레이부(14)로 구성된다.
상기 복합 힌지장치는 상기한 본 발명의 복합 힌지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바,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걸려온 전화를 받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유닛(15)이 하부유닛(12)의 상면에 포개진 상태에서 상부유닛(15)의 상면에 구비된 작동버튼을 누름시켜 일반 스마트폰의 휴대 단말기와 동일하게 조작하는 것에 의해 통화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하는 중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 저장하거나 또는 많은 양의 문자를 작성하여 송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유닛(15)을 상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즉, 상기 상부유닛(15)을 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한 힌지장치의 이축 힌지수단(17) 제2힌지부(20)에 의해 연결링크바(21)와 함께 회동하여 노트북 모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유닛(15)의 상부디스플레이부(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상부유닛(15)을 힌지수단(22)을 축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도 회전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노트북 모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중에 텔레비젼 시청이나 영화를 단운 받아 감상 또는 저장된 책을 읽고자 할 경우 즉, 하부유닛(12)에 구비된 하부디스플레이부(11)와 상부유닛(15)에 구비된 상부디스플레이부(14)를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상부유닛(15)을 후방향으로 더 회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부유닛(15)을 하부유닛(12)에 대하여 후방향으로 더 회동시키게 되면, 상부유닛(15)은 이축 힌지수단(17)의 제1힌지부(18)를 통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유닛(110)과 상부유닛(15)은 일직선 상태의 태블릿(tablet)PC 모드상태를 유지게 된다.
따라서,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텔레비젼 또는 영화감상 또는 독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100)로서, 전면에 터치형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구비한 하부 및 상부유닛과, 상기 하부 및 상부유닛을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상부유닛이 하부유닛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회동가능하도록 이축 힌지수단으로 구성되어, 휴대 단말기의 사용 선택에 대응되게 터치형 디스플레이부를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100)는, 상면에 터치형 하부디스플레이부(112)를 갖추어 구비되는 하부유닛(110)과, 상기 하부유닛(110)의 상면에 회로연결부(190)를 통하여 회로 연결되어 저면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포개지되, 상면에는 터치형 상부디스플레이부(132)를 갖추어 구비되는 상부유닛(130)과, 상기 하부유닛(110)과 상부유닛(130)의 측면에 각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유닛(130)이 하부유닛(110)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 및 회동하는 것에 의해 상부유닛이 하부유닛에 대하여 각도를 갖도록 회동하거나 또는 터치형 하부 및 상부디스플레이부(112,132)가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축 힌지수단(150)을 갖는 복합 힌지장치를 포함하여, 통화시에는 상부유닛(130)이 하부유닛(110)에 포개어진 스마트폰 모드 상태에서 사용하고, 많은 양의 정보를 입력시에는 이축힌지수단(150)을 상부유닛(130)을 하부유닛(110)으로부터 각도를 갖도록 슬라이드 회동시켜 노트북 모드 상태로 사용하며, 영화감상 또는 텔레비젼시청 또는 저장된 책을 읽을 경우 등과 같이 넓은 디스플레이부를 요할시에는 상부유닛(130)을 하부유닛(110)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터치형 하부 및 상부디스플레이부(112,132)가 동일면을 이루도록 하여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상부유닛(130)이 하부유닛(110)에 대하여 슬라이드 하부유닛의 상면을 긁히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110)이동시 상부유닛(130)을 가이드가능하도록 하부유닛(110)의 상면 양측과 상부유닛(130)의 저면 양측에는 돌기형 가이드수단(170)이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100)의 하부유닛(110)은, 첨부된 도면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를 장,탈착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고, 양측면에는 이축 힌지수단(150)의 일단을 수용가능하도록 수용홈(미도시함)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1케이스(111)와, 상기 제1케이스(111)의 상면에 설치되는 터치형 하부디스플레이부(11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케이스(111)의 내부 구성은 공지의 터치형 휴대 단말기와 동일한 구조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상부유닛(130)은 하부유닛(110)의 상면에 포개어지되, 저면 양측면은 돌기형 가이드수단(170)을 통하여 하부유닛(1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면 일측에는 작동버튼을 설치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면에는 복합 힌지장치의 이축 힌지수단(150) 타단을 수용가능하도록 홈(미도시함)이 요설되어 구비되는 제2케이스(131)와, 상기 제2케이스(131)의 전면에는 작동버튼을 누름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디스플레이되어 전화통화 및 메일확인 등이 가능하도록 한 터치형 상부디스플레이부(132)가 구비된다.
상기한 복합 힌지장치의 이축 힌지수단(15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및 상부유닛을 회동가능하게 연결시켜 상부유닛(130)이 하부유닛(110)에 대하여 슬라이드 하면서 상부유닛(130)이 하부유닛(110)에 대하여 각도를 갖도록 회동하여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상부유닛(130)이 하부유닛에 대하여 180도 각도로 회동가능하도록 양측면에 설치되되, 가압력의 제공은 서로 다르게 즉, 하부유닛의 우측과 상부유닛의 좌측에 각각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바, 이하에서는 하부 및 상부유닛의 우측에 구비되는 이축 힌지수단(150)에 대하여 설명하며 좌측에 구비되는 이축 힌지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한 복합 힌지장치의 이축 힌지수단(150)은 바닥면은 관통되고 전면은 개구되어 하부유닛(110)의 수용홈에 삽입 구비되는 제1하우징(151)과, 상기 제1하우징(151)에 탄성력을 제공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152)를 각각 개재시켜 삽입되되, 중심축 방향으로는 제1관통공(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제1가동캠면(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1가동캠(153)과, 상기 제1가동캠(153)의 제1동캠면에 일면 접촉하여 회전시 상기 제1가동캠을 가압가능하도록 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제1구동캠면(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연결링크바(156)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도면부호 생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에 의해 비회전가능하도록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고정편(도면부호 생략)이 돌출 형성되며, 중심축방향으로는 관통된 제1홀(도면부호 생략)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제1고정캠(154)과, 상기 제1고정캠(154)의 제1홀과, 제1가동캠(153)의 제1관통공과 제1탄성부재(152)의 중앙부를 일단이 관통하여 제1하우징(15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되, 일단 외주면에는 제1걸림용홈(도면부호 생략)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1고정축(155)과, 상기 제1고정축(155)의 제1걸림용홈에 끼움되어 제1고정축(155)이 제1하우징(151)으로부터 각각 이탈되는 것을 방기하도록 구비되는 제1단속부재(151)와, 상기 연결링크바(156)의 타단에 형성된 연결고정홈(도면부호 생략)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에 의해 비회전가능하도록 일단은 사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타단 외주면에는 제2케이스(131)의 홈에 실장되어 고정된 이탈방지부재(157)에 걸림되어 이탈방지가능하도록 이탈방지홈(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 연결축(158)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돌기형 가이드수단(170)은, 하부유닛(110)의 제1케이스(111) 상면 양측 선단부에 상부유닛(13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171)과, 상기 가이드홈(171)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부유닛(130)이 하부유닛(1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시 가이드홈(171)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부유닛(130)의 제2케이스(131) 저면 양측 전단부와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미도시함)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공지 공용의 기술로서 현재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돌기형 가이드수단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한 돌기형 가이드수단(170)의 가이드홈(171)은 상부유닛(130)이 하부유닛(110)에 대하여 180도 각도로 회동가능하도록 후면부까지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하부유닛(110)과 상부유닛(130)의 회로연결부(전원공급 및 정보송수신)(190)는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축 힌지수단(150)의 일단이 연결되지 않는 하부유닛(110)의 제1케이스(111) 전후면에 구비되는 제1전,후단용 단자부(191,191')와, 상기 상부유닛(130)의 이축 힌지수단(150)의 타단이 연결되지 않는 제2케이스(131)의 전면에 도 8과 같이 상부유닛(130)이 하부유닛(110)에 포개진 상태에서 제1케이스(111)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전단용 단자부(191)와 접속 연결되고, 상부유닛(1130)이 하부유닛(130)에 대하여 노트북 모드 상태 또는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로 슬라이드 회동된 상태에서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111)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1후단용 단자부(191')와 접속 연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단자부(192)로 구성된다.
물론, 이러한 회로연결부(19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1,2케이스(111,131)의 전후면 및 전면에 각각 제1전,후단용 단자부(191,191')와 제2단자부(192)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며, 케이블을 이용하여 접속 연결할 수도 있도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200)는 상면에 터치형 하부디스플레이부(211)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슬라이드 홈(213)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하부유닛(210)과, 상기 하부유닛(210)을 상면에 포개어지되, 상면에는 터치형 상부디스플레이부(231)를 갖추어 구비되는 상부유닛(230)과, 상기 하부유닛(210)의 양측면 일측에 각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부유닛(230)의 양측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유닛(230)이 하부유닛(210)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 및 회동하는 것에 의해 상부유닛이 하부유닛에 대하여 각도를 갖도록 회동하거나 또는 터치형 하부 및 상부디스플레이부(211,231)가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축 힌지수단(250)을 갖는 복합 힌지장치를 포함하여, 통화시에는 상부유닛(230)이 하부유닛(210)에 포개어진 스마트폰 모드 상태에서 사용하고, 많은 양의 정보를 입력시에는 이축 힌지수단(250)을 통하여 상부유닛(230)을 하부유닛(210)으로부터 각도를 갖도록 슬라이드 회동시켜 노트북 모드 상태로 사용하며, 영화감상 또는 텔레비젼시청 또는 저장된 책의 내용을 읽고자 할 경우 등과 같이 넓은 디스플레이부를 요할시에는 상부유닛(230)을 하부유닛(210)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터치형 하부 및 상부디스플레이부(211,231)가 동일면을 이루도록 하여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200)의 하부유닛(210)은, 배터리를 장,탈착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고, 양측면에는 이축 힌지수단(250)의 일단을 수용가능하도록 수용홈(미도시함)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1케이스(212)와, 상기 제1케이스(212)의 상면에 설치되는 터치형 하부디스플레이부(211)로 구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212)의 양측면에는 상부유닛(230)이 슬라이드 이동시 가이드가능하도록 슬라이드 홈(213)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케이스(212)의 내부 구성은 공지의 터치형 휴대 단말기와 동일한 구조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상부유닛(230)은 하부유닛(210)의 상면에 포개어져 슬라이드 홈(213)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면 일측에는 작동버튼을 설치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면에는 복합 힌지장치의 이축 힌지수단(250) 타단을 수용가능하도록 홈(미도시함)이 요설되어 구비되는 제2케이스(232)와, 상기 제2케이스(232)의 전면에는 작동버튼을 누름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디스플레이되어 전화통화 및 메일확인 등이 가능하도록 한 터치형 상부디스플레이부(231)가 구비된다.
이때, 전원공급 및 정보 송수신을 위한 회로연결부는 상기한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복합 힌지장치의 이축 힌지수단(250)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유닛(230)이 하부유닛(210)의 슬라이드 홈(21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른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부유닛(230)이 하부유닛(2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에 따른 각도를 갖도록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복합 힌지장치의 이축 힌지수단(250)은 하부유닛(210)의 가이드홈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부유닛(230)이 하부유닛(2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부유닛(130)의 양측면 전방에 각각 가압력을 제공하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부유닛(230)이 하부유닛(210)에 대하여 각도 조절가능하게 회동하여 노트북 타입으로 휴대 단말기를 사용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유닛(230)이 하부유닛(210)에 대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부유닛(230)에 구비되는 상부디스플레이부(211)가 하부디스플레이부(211)와 평면 상태를 유지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걸려온 전화를 받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유닛(130)이 하부유닛(110)의 상면에 포개진 상태에서 상부유닛(130)의 상면에 구비된 작동버튼을 누름시켜 일반 터치타입의 휴대 단말기와 동일하게 조작하는 것에 의해 통화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용하는 중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 저장하거나 또는 많은 양의 문자를 작성하여 송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유닛(130)을 일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부유닛(130)은 이축 힌지수단(150)에 의해 하부유닛(110)의 상면측으로 가압력이 작용하면서 돌기형 가이드수단(170)을 통하여 슬라이드 이동함과 아울러 이축 힌지수단(150)의 연결링크바(156)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유닛(130)의 후단부가 회동하게 된다.
이후, 상부유닛(130)을 하부유닛(110)의 후방측으로 더 밀게 되면, 상기 상부유닛(130)은 돌기형 가이드수단(170)과 이축 힌지수단(150)의 연결링크바(156)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이축 힌지수단(150)의 제1가동캠(153)과 제1고정캠(154) 그리고 제1탄성부재(152)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하여 노트북 모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유닛(130)이 하부유닛(110)에 대하여 회동되어 노트북 모드 상태를 유지하므로써, 하부유닛(110)의 하부디스플레이부(112)를 통하여 정보를 입력하고 상부유닛(130)의 상부디스플레이부(132)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많은 양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텔레비젼 시청이나 영화를 단운 받아 감상 또는 저장된 책을 읽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유닛(130)을 하부유닛(1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하부유닛(110)에 연결된 이축 힌지수단(150)의 일단을 회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축 힌지수단(150)을 통하여 상부유닛(130)을 하부유닛(110)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것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유닛(110)과 상부유닛(130)은 수평상태가 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하부 및 상부유닛(110,130)의 각 상면에 구비된 하부디스플레이부(112)와 상부디스플레이부(132)가 동일 면을 이루어 태블릿(tablet)PC 모드상태를 유지게 된다.
따라서, 보다 넓은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텔레비젼 또는 영화감상 또는 독서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10)

  1. 상부유닛(15)이 하부유닛(12)에 포개어져 스마트폰 모드 상태 또는 노트북 모드 상태 또는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로 사용가능하도록 한 복합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15)이 하부유닛(12)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하부유닛(12)과 상부유닛(15)의 양측면 일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는 이축 힌지수단(17)과;
    상기 이축 힌지수단(17)의 타단을 타면 일단에 삽입 고정시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링크바(21)와;
    상기 연결링크바(21)의 내측면 중앙부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유닛(15)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2수용홈에 타단이 삽입 고정되어 상부유닛(15)이 연결링크바(21)에 대하여 180도 회동시 상부유닛(15)측으로 가압력을 제공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힌지수단(22)을 포함하되,
    상기 이축 힌지수단(17)과 연결링크바(21)와 힌지수단(22)은 상부유닛(15)과 하부유닛(12)을 접속 연결시켜 전원공급 및 정보 유,출입을 위해 구비되는 케이블(23)을 배선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복합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힌지수단(17)은, 하부유닛(12)의 양측면 일단에 각각 형성된 제1수용홈에 일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하는 것에 대응되게 가압력을 제공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힌지부(18)와, 상기 제1힌지부(18)의 타단을 일면 하부측에 형성된 연결용제1수용홈에 고정되게 수용시켜 회동가능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용회동부재(19)와, 상기 연결용회동부재(19)의 일면 상부측에 형성된 연결용제2수용홈에 일단이 고정되게 수용되어 구비되는 제2힌지부(20)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용회동부재(19)는 내측면 하부에 제1힌지부(18)의 타단을 수용하도록 연결용제1수용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2힌지부(20)의 일단을 수용하도록 연수용제2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용제1수용홈의 바닥면과 연수용제2수용홈의 바닥면은 케이블(23)을 배선가능하도록 형성된 배선로에 의해 연통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연결링크바(21)는, 외측면 일단에 이축 힌지수단(17)의 제2힌지부(20) 타단을 고정되게 수용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제2힌지부수용홈이 요설되고, 내측면 중앙부에는 힌지수단(22)의 일단을 고정되게 수용가능하도록 힌지수단용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힌지부수용홈과 힌지수단용수용홈의 내부 바닥면은 케이블(23)의 배선을 위해 배선용연통홀에 의해 서로 연통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힌지장치.
  3. 상부유닛(15)이 하부유닛(12)에 포개어져 스마트폰 모드 상태 또는 노트북 모드 상태 또는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로 사용가능하도록 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면에 터치형 하부디스플레이부(11)를 갖추어 구비되는 하부유닛(12)과;
    상기 하부유닛(12)의 상면에 포개어지되, 상면에는 상부디스플레이부(14)를 갖추어 구비되는 상부유닛(15)과;
    상기 하부유닛(12)의 일단 양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는 이축 힌지수단(17)과, 상기 이축 힌지수단(17)의 타단에 일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내측면에 상부유닛(15)의 양측면 중앙부를 별도의 힌지수단(2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연결링크바(21)로 구성된 복합 힌지장치와;
    상기 하부유닛(12)과 상부유닛(15)을 접속 연결시켜 전원공급 및 정보를 송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케이블(23)을 포함하여,
    통화시에는 상부유닛(15)이 하부유닛(12)에 포개어진 스마트폰 모드 상태에서 사용하고, 많은 양의 정보를 입력시에는 이축 힌지수단(17)을 통하여 상부유닛(15)을 하부유닛(12)으로부터 각도를 갖도록 회동시킨 후, 힌지수단(22)을 통하여 상부유닛(15)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노트북 모드 상태로 사용하며, 영화감상 또는 텔레비젼시청 또는 저장된 책을 읽을 경우 등과 같이 넓은 디스플레이부를 요할시에는 상부유닛(15)을 하부유닛(12)에 대하여 일직선 상태가 되도록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터치형 하부 및 상부디스플레이부(11,14)가 동일면을 이루도록 하여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23)의 배선은 하부유닛(12)에 일단이 접속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용회동부재(19)에 타단이 삽입 고정된 이축 힌지수단(17)의 제1힌지부(18) 제1고정축(18e)에 형성된 배선용홀(18f)과 제2힌지부(20)의 제2고정축(20e)에 형성된 배선용홀(20f) 및 연결링크바(21)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링크바(21)의 내측면에 구비된 힌지수단(22)의 고정축(22e)에 형성된 배선공(22f)을 통하여 상부유닛(15)과 접속 연결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힌지수단(17)은 하부유닛(12)의 양측면 일단에 각각 형성된 제1수용홈에 일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하는 것에 대응되게 가압력을 제공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힌지부(18)와, 상기 제1힌지부(18)의 타단을 일면 하부측에 형성된 연결용제1수용홈에 고정되게 수용시켜 회동가능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용회동부재(19)와, 상기 연결용회동부재(19)의 일면 상부측에 형성된 연결용제2수용홈에 일단이 고정되게 수용되고 타단은 연결링크바(21)의 일단 내측면에 삽입 고정되어 연결링크바(21)측으로 가압력을 제공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힌지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바는, 상부유닛의 양측면에 일단이 이축 힌지수단(17)의 제2힌지부(20)에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각각 구비되거나, 또는 'ㄷ'자 단면 형상의 단일체로 형성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7. 상부유닛이 하부유닛에 포개어져 스마트폰 모드 상태 또는 노트북 모드 상태 또는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로 사용가능하도록 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면에 터치형 하부디스플레이부(112)를 갖추어 구비되는 하부유닛(110)과;
    상기 하부유닛(110)의 상면에 회로연결부(190)를 통하여 회로 연결되어 저면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포개지되, 상면에는 터치형 상부디스플레이부(132)를 갖추어 구비되는 상부유닛(130)과;
    상기 하부유닛(110)과 상부유닛(130)의 측면에 각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유닛(130)이 하부유닛(110)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 및 회동하는 것에 의해 상부유닛이 하부유닛에 대하여 각도를 갖도록 회동하거나 또는 터치형 하부 및 상부디스플레이부(112,132)가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축 힌지수단(150)을 갖는 복합 힌지장치를 포함하여,
    통화시에는 상부유닛(130)이 하부유닛(110)에 포개어진 스마트폰 모드 상태에서 사용하고, 많은 양의 정보를 입력시에는 이축힌지수단(150)을 상부유닛(130)을 하부유닛(110)으로부터 각도를 갖도록 슬라이드 회동시켜 노트북 모드 상태로 사용하며, 영화감상 또는 텔레비젼시청 또는 저장된 책을 읽을 경우 등과 같이 넓은 디스플레이부를 요할시에는 상부유닛(130)을 하부유닛(110)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터치형 하부 및 상부디스플레이부(112,132)가 동일면을 이루도록 하여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130)이 하부유닛(1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시 하부유닛의 상면을 긁히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유닛(130)을 가이드가능하도록 하부유닛(110)의 상면 양측과 상부유닛(130)의 저면 양측에는 돌기형 가이드수단(17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9. 상부유닛이 하부유닛에 포개어져 스마트폰 모드 상태 또는 노트북 모드 상태 또는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로 사용가능하도록 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면에 터치형 하부디스플레이부(211)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슬라이드 홈(213)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하부유닛(210)과;
    상기 하부유닛(210)을 상면에 포개어지되, 상면에는 터치형 상부디스플레이부(231)를 갖추어 구비되는 상부유닛(230)과
    상기 하부유닛(210)의 양측면 일측에 각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부유닛(230)의 양측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유닛(230)이 하부유닛(210)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 및 회동하는 것에 의해 상부유닛이 하부유닛에 대하여 각도를 갖도록 회동하거나 또는 터치형 하부 및 상부디스플레이부(211,231)가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축 힌지수단(250)을 갖는 복합 힌지장치를 포함하여,
    통화시에는 상부유닛(230)이 하부유닛(210)에 포개어진 스마트폰 모드 상태에서 사용하고, 많은 양의 정보를 입력시에는 이축 힌지수단(250)을 통하여 상부유닛(230)을 하부유닛(210)으로부터 각도를 갖도록 슬라이드 회동시켜 노트북 모드 상태로 사용하며, 영화감상 또는 텔레비젼시청 또는 저장된 책의 내용을 읽고자 할 경우 등과 같이 넓은 디스플레이부를 요할시에는 상부유닛(230)을 하부유닛(210)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터치형 하부 및 상부디스플레이부(211,231)가 동일면을 이루도록 하여 태블릿(tablet)PC 모드 상태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힌지장치의 이축 힌지수단(250)은 하부유닛(210)의 가이드홈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부유닛(230)이 하부유닛(2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부유닛(130)의 양측면 전방에 각각 가압력을 제공하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부유닛(230)이 하부유닛(210)에 대하여 각도 조절가능하게 회동하여 노트북 타입으로 휴대 단말기를 사용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유닛(230)이 하부유닛(210)에 대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부유닛(230)에 구비되는 상부디스플레이부(211)가 하부디스플레이부(211)와 평면 상태를 유지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CT/KR2012/001947 2011-03-28 2012-03-19 복합 힌지장치 및 이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WO2012134087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126598A CN103416000A (zh) 2011-03-28 2012-03-19 复合铰链装置及具有该复合铰链装置的便携式终端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590A KR101213692B1 (ko) 2011-03-28 2011-03-28 복합 힌지장치 및 이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2011-0027590 2011-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4087A2 true WO2012134087A2 (ko) 2012-10-04
WO2012134087A3 WO2012134087A3 (ko) 2013-01-03

Family

ID=4693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1947 WO2012134087A2 (ko) 2011-03-28 2012-03-19 복합 힌지장치 및 이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13692B1 (ko)
CN (1) CN103416000A (ko)
WO (1) WO2012134087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2981A (en) * 2013-12-17 2015-08-12 Lenovo Singapore Pte Ltd Expandable Display
WO2015199713A1 (en) * 2014-06-27 2015-12-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ing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member
WO2016013840A1 (ko) * 2014-07-21 2016-01-28 신진철 확장화면형 이동 단말기
WO2019139785A1 (en) * 2018-01-12 2019-07-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wer cable and computing devices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6839A1 (en) * 2013-07-30 2015-02-05 Intel Corporation Hinge assembly
KR102094889B1 (ko) * 2013-08-28 2020-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927844B2 (en) * 2014-05-23 2018-03-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 assembly for a computing device
KR101678498B1 (ko) * 2014-07-21 2016-12-06 신진철 확장화면형 이동 단말기
WO2016047855A1 (ko) * 2014-09-25 2016-03-31 김용운 입출력 화면 설정이 자유로운 앱을 탑재한 스마트 기기 및 분담 제어방법
CN105630076A (zh) * 2014-10-30 2016-06-01 王澄熙 双屏幕电子装置
WO2019104463A1 (zh) * 2017-11-28 2019-06-0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折叠机构及电子装置
KR102545433B1 (ko) * 2021-11-16 2023-06-20 정민우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131Y1 (ko) * 2002-06-29 2002-10-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단말기
US20030109230A1 (en) * 2001-08-29 2003-06-12 Matias Duarte Sliding display apparatus
KR20060095777A (ko) * 2003-11-26 2006-09-0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절첩식 휴대 단말
US20060238970A1 (en) * 2005-04-21 2006-10-26 Mikko Ukonaho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ynchronising hinge
KR20100057639A (ko) * 2007-09-13 2010-05-3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9230A1 (en) * 2001-08-29 2003-06-12 Matias Duarte Sliding display apparatus
KR200291131Y1 (ko) * 2002-06-29 2002-10-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단말기
KR20060095777A (ko) * 2003-11-26 2006-09-0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절첩식 휴대 단말
US20060238970A1 (en) * 2005-04-21 2006-10-26 Mikko Ukonaho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ynchronising hinge
KR20100057639A (ko) * 2007-09-13 2010-05-3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통신 단말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2981A (en) * 2013-12-17 2015-08-12 Lenovo Singapore Pte Ltd Expandable Display
US9727295B2 (en) 2013-12-17 2017-08-08 Lenovo (Singapore) Pte. Ltd. Extendable display mechanism
GB2522981B (en) * 2013-12-17 2018-04-18 Lenovo Singapore Pte Ltd Expandable Display
WO2015199713A1 (en) * 2014-06-27 2015-12-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ing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member
US9933814B2 (en) 2014-06-27 2018-04-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ing device with a rotable display member
WO2016013840A1 (ko) * 2014-07-21 2016-01-28 신진철 확장화면형 이동 단말기
WO2019139785A1 (en) * 2018-01-12 2019-07-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wer cable and computing devices using the same
US10373724B1 (en) 2018-01-12 2019-08-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wer cables, computing devices using the same,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16000A (zh) 2013-11-27
KR101213692B1 (ko) 2012-12-18
KR20120109212A (ko) 2012-10-08
WO2012134087A3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34087A2 (ko) 복합 힌지장치 및 이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1741721B (zh) 用于双滑动型便携式通信设备的滑动装置
KR101098618B1 (ko) 복합 개폐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3418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US8073502B2 (en) Hinged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with a double action hinge
WO2013191384A1 (e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terminal
WO2014035047A1 (en) Docking station
WO2020138988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KR1007412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WO2009099275A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use in portable device having two units siliding with respect to each other
WO2020246811A1 (ko) 탄성구동체
US20080125198A1 (en) Portable multimedia communication apparatus
WO2009151297A2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슬라이드형 휴대용 정보기기
KR20050050334A (ko)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WO2012157873A2 (ko)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WO2011105705A2 (ko) 회전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6508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55892A (ko) 바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작동 방법
WO2010128715A1 (ko) 폴더형 휴대폰용 힌지모듈
EP1594291B1 (en) Sliding/folding-type portable apparatus
KR100365797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6850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0755B1 (ko)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3504B1 (ko) 그립감이 향상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CN201440678U (zh) 推拉结构移动终端外壳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7645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7645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