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433B1 -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433B1
KR102545433B1 KR1020210157368A KR20210157368A KR102545433B1 KR 102545433 B1 KR102545433 B1 KR 102545433B1 KR 1020210157368 A KR1020210157368 A KR 1020210157368A KR 20210157368 A KR20210157368 A KR 20210157368A KR 102545433 B1 KR102545433 B1 KR 102545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isplay
display device
panel
hinge
right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5233A (ko
Inventor
정민우
Original Assignee
정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우 filed Critical 정민우
Priority to KR1020210157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433B1/ko
Publication of KR20230085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을 포함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를 구성하는 좌·우측 패널을 연결하기 위해 작동편을 사선방향으로 위치한 후, 상기 작동편의 양단을 좌·우측 패널에 편심되게 편심축을 각각 결합하여 연결한 다음 좌·우측 패널을 접거나 펼칠때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좌·우측 패널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Hinges for smart display devices}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을 포함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를 구성하는 좌측 패널과 우측 패널을 연결하기 위해 작동편을 사선방향으로 위치한 후, 상기 작동편의 양단은 중심점에서 편심되게 편심축을 각각 결합하여 좌측·우측 패널을 접거나 펼칠때 동시에 서로 반대반향으로 회전하여 좌·우측 패널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펼쳤을 때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성이 우수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는 사용자가 이용 상황에 따라 접어서 이용하거나 펼쳐서 이용할 수 있어, 전자장치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는 폴더블 스마트폰, 태블릿, 디스플레이 패널을 접거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초소형 PC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폴더블 스마트폰(foldable smartphone)은 힌지가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의 힌지축으로 접히는 기기들은 더 넓은 태블릿과 같은 형태로 펼치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더 작은 접힌상태로도 이용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을 포함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 등에 장착된 힌지는 좌·우측 작동편이 마주보게 이격된 상태에서 좌·우측 작동편을 연결하기 위하여 하단에는 연결편의 좌·우 양측이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힌지를 접은 상태(a)에서 펼치면 좌·우측 작동편이 회전하는 동작중 좌·우측 작동편에 단차(b)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좌·우측 작동편의 회전각도가 동일한 각도로 펼쳐지는게 아니라 각도를 달리하여 펼쳐지기 때문에(c) 180°로 펼쳐지지않을 수 있으며, 180°로 펼쳐진 상태에서(d)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좌·우측 작동편이 작동하여 상하로 위치하여(f) 유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힌지는 좌·우측 작동편의 일측 단부에 맞물리도록 좌·우측 기어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작동편을 연결하도록 연결편이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좌·우측 작동편은 맞물린 기어를 통해 회전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진다.
상기 좌·우측 작동편은 좌·우측 기어가 맞물려 회전을 하기 때문에 반원형상으로 돌출되어있어 접은 상태에서는 좌·우측 작동편 사이가 필요이상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좌·우측 기어가 맞물려 회전을 하기 때문에 유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좌·우측 작동편을 펼치면 좌·우측 기어가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평면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것은 물론 좌·우측 기어때문에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2254550호 "폴드형 스마트폰 접철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을 포함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의 좌측 패널과 우측 패널을 힌지를 중심으로 접거나 펼치는 동작중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펼쳤을때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의 좌측 패널과 우측 패널을 연결하여 접거나 펼치는 힌지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좌측 패널과 우측 패널을 연결하기 위해 사선방향으로 작동편이 위치하고, 상기 작동편의 양단에 위치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좌·우측 패널에 편심축이 각각 결합되어 접거나 펼칠 때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는 좌·우측 패널에 작동편을 사선방향으로 위치한 다음 양단을 중심점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결합하여 좌·우측 패널을 접거나 펼치는 동작중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는 종래와 같이 기어를 사용하지 않아 돌출된 부분이 없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힌지 및 좌·우측 패널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에 의해 좌·우측 패널사이 간격을 최소화하여 좌·우측 패널을 접었을때 종래의 동일한 좌·우측 패널보다 면적을 최소화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힌지는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수가 적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힌지가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순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힌지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가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해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가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에 장착되어 접힌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에 작동편의 연결상태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를 접거나 펼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가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해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가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에 장착되어 접힌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을 포함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1)의 좌측 패널(4)과 우측 패널(3)에 연결하도록 설치하여 접거나 펼치는 동작중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100) 부분이 돌출되지 않도록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1)의 좌측 패널(2)과 우측 패널(3)을 연결하여 접거나 펼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100)는 좌측 패널(2)과 우측 패널(3)의 중심점(8, 8')을 기준으로 편심축(9, 9')을 각각 형성한 상태에서 좌측 패널(2)과 우측 패널(3)을 연결하기 위해 사선방향으로 작동편(7)이 위치하고, 상기 작동편(7)의 양단은 편심축(9, 9')에 각각 결합되어 좌·우측 패널(2, 3)을 접거나 펼칠 때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좌측 패널(2)과 우측 패널(3) 전면에 결합되는 작동편(7)은, 일단이 상기 좌·우측 패널(2, 3)을 접거나 펼치는 동작시 항상 좌측 패널(2) 전면의 중심점(8) 하부에 위치하는 좌측 패널(2)의 편심축(9)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좌우측 패널(2, 3)을 접거나 펼치는 동작시 항상 우측 패널(3) 전면의 중심점(8) 상부에 위치하는 우측 패널(3)의 편심축(9')에 결합되어, 상기 좌·우측 패널(2, 3)을 접거나 펼치는 동작시 작동편(7)이 항상 사선방향으로 위치하며, 좌·우측 패널(2, 3)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전면에 부착된 작동편(7)과 교차되게 설치된 작동편을 더 포함한다.
상기 좌측 패널(2)에 위치한 편심축(9)과 우측 패널(3)에 위치한 편심축(9')은 위치 또는 높이를 달리하는 게 바람직하다.
따라서 좌·우측 패널(2, 3)에 위치한 편심축(9, 9')의 각도도 서로 달리하여 좌·우측 패널을 접거나 펼칠때 작동편(7)이 좌·우측 패널(2, 3)을 연결한 상태에서 밀거나 당겨 좌·우측 패널(2, 3)이 동일한 각도로 회전한다.
또한, 좌·우측 패널(2, 3) 사이에는 작동편(7)등이 노출되지않도록 커버(6)가 결합된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좌측 패널(2)과 우측 패널(3)을 연결하는 작동편(7)의 편심축(9, 9')은 위치는 변경이 가능하다.
즉, 좌측 패널(2)의 편심축(9)과 우측 패널(3)의 편심축(9')에 작동편의 양단을 편심되게 각각 연결하여 접거나 펼칠때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접거나 펼쳐진다.
상기 편심축(9, 9')의 위치 변경은 좌·우측 패널(2, 3)의 간격 및 좌·우측 패널(2, 3)크기에 따라 변경하여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유도한다.
도 7은 본 발명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를 접거나 펼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1)중 하나인 스마트폰의 좌·우측 패널(2, 3)의 전면과 배면에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100)가 설치되면 작동편(7)의 양단이 좌·우측 패널(3)에 편심되게 편심축(9, 9')이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좌·우측 패널(2, 3)을 접을 경우 작동편(7)에 의해 좌·우측 패널(2, 3)이 연결되어 있어, 좌측 패널(2)은 우측 방향으로, 우측 패널(3)은 좌측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여 좌·우측 패널(2, 3)이 접혀진다.
반대로 좌·우측 패널을 펼치는 경우에는 작동편(7)에 의해 좌·우측 패널(2, 3)이 연결되어 있어, 좌측 패널(2)은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고, 우측 패널(3)은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좌·우측 패널(2, 3)이 펼쳐진다.
본 발명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100)는 좌·우측 패널(2, 3)을 작동편(7)에 의해 양단을 각각 편심되게 연결하여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펼친상태에서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이다.
1: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 2: 좌측 패널
3: 우측 패널 6: 커버
7: 작동편 8, 8': 중심점
9, 9': 편심축 100: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

Claims (3)

  1.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1)의 좌측 패널(2)과 우측 패널(3)을 연결하여 접거나 펼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100)에 있어서,
    상기 좌측 패널(2)과 우측 패널(3)의 중심점(8, 8')을 기준으로 편심축(9, 9')을 각각 형성한 상태에서 좌측 패널(2)과 우측 패널(3)을 연결하기 위해 사선방향으로 작동편(7)이 위치하고, 상기 작동편(7)의 양단은 편심축(9, 9')에 각각 결합되어 좌·우측 패널(2, 3)을 접거나 펼칠 때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좌측 패널(2) 및 우측 패널(3) 전면에 결합되는 작동편(7)은, 일단이 상기 좌·우측 패널(2, 3)을 접거나 펼치는 동작시 항상 좌측 패널(2) 전면의 중심점(8) 하부에 위치하는 좌측 패널(2)의 편심축(9)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좌·우측 패널(2, 3)을 접거나 펼치는 동작시 항상 우측 패널(3) 전면의 중심점(8') 상부에 위치하는 우측 패널(3)의 편심축(9')에 결합되어, 상기 좌·우측 패널(2, 3)을 접거나 펼치는 동작시 작동편(7)이 항상 사선방향으로 위치하며, 좌·우측 패널(2, 3)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전면에 부착된 작동편(7)과 교차되게 설치된 작동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
KR1020210157368A 2021-11-16 2021-11-16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 KR102545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368A KR102545433B1 (ko) 2021-11-16 2021-11-16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368A KR102545433B1 (ko) 2021-11-16 2021-11-16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233A KR20230085233A (ko) 2023-06-14
KR102545433B1 true KR102545433B1 (ko) 2023-06-20

Family

ID=86744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368A KR102545433B1 (ko) 2021-11-16 2021-11-16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4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89726A1 (en) * 2010-05-28 2011-12-0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Hinge mechanism
KR101678498B1 (ko) 2014-07-21 2016-12-06 신진철 확장화면형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692B1 (ko) * 2011-03-28 2012-12-18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복합 힌지장치 및 이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40033901A (ko) * 2012-09-11 2014-03-19 김영철 양방향 힌지 결합체
KR101686740B1 (ko) * 2015-06-02 2016-12-16 고영상 접철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891568B1 (ko) * 2016-12-01 2018-08-27 주식회사 이랜텍 연동형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54550B1 (ko) 2020-04-22 2021-05-20 서영수 폴드형 스마트폰 본체 다단 절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89726A1 (en) * 2010-05-28 2011-12-0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Hinge mechanism
KR101678498B1 (ko) 2014-07-21 2016-12-06 신진철 확장화면형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233A (ko)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07750A1 (zh) 折叠装置及电子设备
KR102450835B1 (ko) 폴더블 메커니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62277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폴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EP3842647A1 (en) Rotating shaft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TWM562989U (zh) 連動定位結構及可撓式電子裝置
US20170138103A1 (en) Pivoting mechanism
TWM551804U (zh) 鉸鏈及具有該鉸鏈的折疊式電子裝置
TW202010952A (zh) 滑動式鉸鏈及具有其的電子裝置
CN205657718U (zh) 折叠机构及移动终端
US20130250492A1 (en) Multi-display hinge assembly
WO2023273574A1 (zh) 一种转动机构、支撑装置以及折叠屏终端
CN110778598A (zh) 折叠屏内折同步转动机构及电子设备
JP7407739B2 (ja) 回動軸体及び電子機器
WO2020177708A1 (zh) 链节、铰链以及移动终端
KR20200018176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
TW201533560A (zh) 具有收納功能的電子裝置
TW202142085A (zh) 折疊式電子裝置
TW202121107A (zh) 電子裝置
KR102545433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
KR102278840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접는 방법
TWM619429U (zh) 鉸鏈結構及具有其的電子裝置
CN218934999U (zh) 铰链组件及可折叠的电子设备
CN110502072A (zh) 一种电子设备
KR102358664B1 (ko) 캠기어방식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
CN110456863B (zh) 一种带有屏幕的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