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835B1 - 폴더블 메커니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메커니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835B1
KR102450835B1 KR1020217009291A KR20217009291A KR102450835B1 KR 102450835 B1 KR102450835 B1 KR 102450835B1 KR 1020217009291 A KR1020217009291 A KR 1020217009291A KR 20217009291 A KR20217009291 A KR 20217009291A KR 102450835 B1 KR102450835 B1 KR 102450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hinge
housing
folding
hinge
displa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9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118A (ko
Inventor
원쉬 시앤위
주오 장
쯔캉 펑
Original Assignee
우한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세미컨덕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한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세미컨덕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우한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세미컨덕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45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2Pivotal connections incorporating flexible connections, e.g. leaf spr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3Arrangements for projecting a virtual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더블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폴더블 메커니즘은 제1 폴딩힌지, 제2 폴딩힌지, 제3 폴딩힌지, 제4 폴딩힌지,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제3 하우징 및 제4 하우징을 포함한다. 다기능 폴더블 메커니즘은 인폴딩, 아웃폴딩 기능을 동시에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태블릿, 핸드폰, 노트북의 3종 디스플레이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메커니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폴더블 메커니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의 발전은 인류의 정신적, 물질적 욕구를 충족시키며, 특히 소형화된 전자장치, 예를 들어 핸드폰, 노트북 컴퓨터의 보급으로 사용자는 전자장치를 휴대하고, 수시로 꺼내 사용하기가 편리 해졌다. 전자장치의 폴딩 구조 설계는 대기 상태이거나 또는 운송 시, 휴대가 간편하도록 부피의 소형화를 충족시킬 수 있고, 사용 시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각 조작면을 동시에 펼칠 수 있다. 폴딩 설계 구조는 여러 개의 회전방향이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다중 각도로 회전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종종 많은 소자가 필요하여, 회전구조가 비교적 복잡하다.
현재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전자장치는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현재 플렉시블 OLED를 탑재한 주류 폴더블 메커니즘의 폴딩방식은 인폴딩과 아웃폴딩이나, 단 그 구조 형식은 아직까지 다기능의 사용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전계 발광 다이오드 전자장치의 폴딩 방식이 다기능의 사용 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없는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폴더블 메커니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폴딩힌지, 제2 폴딩힌지, 제3 폴딩힌지, 제4 폴딩힌지,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제3 하우징 및 제4 하우징을 포함하는 폴더블 메커니즘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폴딩힌지는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제2 폴딩힌지는 상기 제1 폴딩힌지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3 폴딩힌지는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제4 폴딩힌지는 상기 제3 폴딩힌지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각각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3 폴딩힌지와 회동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각각 상기 제2 폴딩힌지, 상기 제3 폴딩힌지와 회동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3 하우징은 각각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4 폴딩힌지와 회동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 하우징은 각각 상기 제2 폴딩힌지, 상기 제4 폴딩힌지와 회동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폴딩힌지는 상기 제2 폴딩힌지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제3 폴딩힌지는 상기 제4 폴딩힌지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이 서로 교차되는 위치는 연결부 또는 갭(gap)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플렉시블 연결블록이고, 상기 플렉시블 연결블록의 재질은 플렉시블 금속 또는 고무이다.
또한, 상기 제1 폴딩힌지의 길이는 상기 제1 폴딩힌지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3 하우징의 변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2 폴딩힌지의 길이는 상기 제2 폴딩힌지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2 하우징, 상기 제4 하우징의 변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3 폴딩힌지의 길이는 상기 제3 폴딩힌지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변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4 폴딩힌지의 길이는 상기 제4 폴딩힌지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3 하우징, 상기 제4 하우징의 변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다.
또한, 상기 제1 폴딩힌지는 상기 제2 폴딩힌지의 벤딩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제3 폴딩힌지는 상기 제4 폴딩힌지의 벤딩 방향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2 폴딩힌지, 상기 제3 폴딩힌지 및 상기 제4 폴딩힌지는 모두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벤딩 후 벤딩 부위의 과도 원호(transition arc)를 형성하기 위해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2 폴딩힌지, 상기 제3 폴딩힌지 및 상기 제4 폴딩힌지의 벤딩 각도는 모두 90도 내지 170도이다.
또한,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2 폴딩힌지, 상기 제3 폴딩힌지 및 상기 제4 폴딩힌지는 모두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상기 제3 하우징 및 상기 제4 하우징의 중력을 극복하고 그 상대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유지시키기 위한 일정 강도의 토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기 폴더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더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폴더블 메커니즘의 적어도 일측 표면에 설치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2 폴딩힌지, 상기 제3 폴딩힌지 및 상기 제4 폴딩힌지가 모두 편평한 상태를 유지 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태블릿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2 폴딩힌지는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3 폴딩힌지, 상기 제4 폴딩힌지는 바깥으로 접히는 경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마주보게 접혀 접합되고, 상기 제3 하우징과 상기 제4 하우징이 마주보게 접혀 접합되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듀얼 스크린 핸드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2 폴딩힌지는 안으로 접히고 상기 제3 폴딩힌지, 상기 제4 폴딩힌지는 편평한 상태를 유지 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노트북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과 대응 설치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며, 상기 제3 하우징, 상기 제4 하우징과 대응 설치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2 폴딩힌지 내에 각도 센서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2 폴딩힌지가 태블릿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노트북 디스플레이 상태로 벤딩 시, 상기 각도 센서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제어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과 대응 설치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가상 키보드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폴더블 메커니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여, 다기능 폴더블 메커니즘이 인폴딩, 아웃폴딩 기능을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로 태블릿, 핸드폰, 노트북의 3종 디스플레이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는데 있다. 폴더블 메커니즘의 설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상태의 다양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소자가 비교적 적고, 구조가 간단한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각도 회전을 통해 다기능 응용을 구현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태블릿 디스플레이 상태일 때의 정면 구조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태블릿 디스플레이 상태일 때의 배면 구조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핸드폰 디스플레이 상태일 때의 구조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노트북 디스플레이 상태일 때의 정면 구조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노트북 디스플레이 상태일 때의 배면 구조설명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첨부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체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하다. 본 출원 중의 실시예를 바탕으로,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은 전제하에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이하 각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방향용어, 예를 들어 [상], [하], [전], [후], [좌], [우], [내], [외], [측면] 등은 단지 첨부된 도면의 방향을 참고한 것일 뿐이며, 따라서, 사용된 방향용어는 본 발명을 설명 및 이해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구조가 유사한 유닛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첨부도면은 단지 상대적인 위치관계와 연결관계를 도식화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일부 부위의 층 두께는 이해를 돕기 위해 과장된 방식으로 표시하였으나, 도면 중의 층 두께가 실제 층 두께의 비례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폴더블 메커니즘(1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공한다. 상기 폴더블 메커니즘(1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태블릿, 핸드폰, 노트북의 3종 디스플레이 상태를 갖도록 인폴딩, 아웃폴딩 기능을 동시에 구비한다. 폴더블 메커니즘(10)의 설계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용상태의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소자가 비교적 적고, 구조가 단순한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각도 회전을 통해 다기능 응용을 구현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은 상기 폴더블 메커니즘(10)의 양측 표면에 설치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태블릿 디스플레이 상태일 때의 정면 구조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태블릿 디스플레이 상태일 때의 배면 구조설명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핸드폰 디스플레이 상태일 때의 구조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노트북 디스플레이 상태일 때의 정면 구조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노트북 디스플레이 상태일 때의 배면 구조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폴더블 메커니즘(10)은 제1 폴딩힌지(2), 제2 폴딩힌지(3), 제3 폴딩힌지(4), 제4 폴딩힌지(5), 제1 하우징(6), 제2 하우징(7), 제3 하우징(8) 및 제4 하우징(9)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폴딩힌지(2)는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제2 폴딩힌지(3)는 상기 제1 폴딩힌지(2)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3 폴딩힌지(4)는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이고; 상기 제4 폴딩힌지(5)는 상기 제3 폴딩힌지(4)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하우징(6)은 각각 상기 제1 폴딩힌지(2), 상기 제3 폴딩힌지(4)와 회동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7)은 각각 상기 제2 폴딩힌지(3), 상기 제3 폴딩힌지(4)와 회동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3 하우징(8)은 각각 상기 제1 폴딩힌지(2), 상기 제4 폴딩힌지(5)와 회동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 하우징(9)은 각각 상기 제2 폴딩힌지(3), 상기 제4 폴딩힌지(5)와 회동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폴딩힌지(2)는 상기 제2 폴딩힌지(3)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제3 폴딩힌지(4)는 상기 제4 폴딩힌지(5)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이 서로 교차되는 위치는 연결부(1) 또는 갭(gap)(11)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1)는 플렉시블 연결블록이고, 상기 플렉시블 연결블록의 재질은 플렉시블 금속 또는 고무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플렉시블 스테인리스강 재질로서, 벤딩 시 변형을 구현할 수 있고 복원이 가능하며, 응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갭(11)을 메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는 직사각형이며,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폴딩힌지(2)의 길이는 상기 제1 폴딩힌지(2)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1 하우징(6), 상기 제3 하우징(8)의 변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2 폴딩힌지(3)의 길이는 상기 제2 폴딩힌지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2 하우징(7), 상기 제4 하우징(9)의 변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3 폴딩힌지(4)의 길이는 상기 제3 폴딩힌지(4)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1 하우징(6), 상기 제2 하우징(7)의 변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4 폴딩힌지(5)의 길이는 상기 제4 폴딩힌지(5)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3 하우징(8), 상기 제4 하우징(9)의 변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폴딩힌지(2)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1 하우징(6), 상기 제3 하우징(8)의 변의 길이는 상기 제1 폴딩힌지(2)의 길이와 같고; 상기 제2 폴딩힌지(3)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2 하우징(7), 상기 제4 하우징(9)의 변의 길이는 상기 제2 폴딩힌지(3)의 길이와 같으며; 상기 제3 폴딩힌지(4)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1 하우징(6), 상기 제2 하우징(7)의 변의 길이는 상기 제3 폴딩힌지(4)의 길이와 같고; 상기 제4 폴딩힌지(5)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3 하우징(8), 상기 제4 하우징(9)의 변의 길이는 상기 제4 폴딩힌지(5)의 길이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폴딩힌지(2)는 상기 제2 폴딩힌지(3)의 벤딩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제3 폴딩힌지(4)는 상기 제4 폴딩힌지(5)의 벤딩 방향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폴딩힌지(2)와 상기 제2 폴딩힌지(3)의 벤딩방향은 상기 제3 폴딩힌지(4)와 상기 제4 폴딩힌지(5)의 벤딩방향과 반대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폴딩힌지(2)와 상기 제2 폴딩힌지(3)의 벤딩방향은 안으로 접히고, 상기 제3 폴딩힌지(4)와 상기 제4 폴딩힌지(5)의 벤딩방향은 바깥으로 접히거나, 또는 양자의 벤딩 방향이 서로 맞바뀐다. 사용 시, 먼저 상기 제1 폴딩힌지(2)와 상기 제2 폴딩힌지(3)를 안으로 접은 후, 상기 제3 폴딩힌지(4)와 상기 제4 폴딩힌지(5)를 바깥으로 접어 크로스 폴딩(cross folding)을 완성한다. 물론, 그 중 인폴딩과 아웃폴딩 방식은 단독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폴딩힌지(2), 상기 제2 폴딩힌지(3), 상기 제3 폴딩힌지(4) 및 상기 제4 폴딩힌지(5)는 모두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벤딩 후 벤딩 부위의 과도 원호(transition arc)를 형성하기 위해 평행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는 4개의 회전축이며, 그 중 중간의 2개의 회전축은 함께 연결되고, 그 상, 하단부는 각각 외측의 2개의 회전축과 힌지 결합되며, 힌지 결합 부위는 소정 강도의 토크를 지닌다. 외측의 2개의 회전축은 중간의 2개의 회전축과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면서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하여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3개의 회전축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중간의 회전축은 각각 외측의 2개의 회전축과 힌지 결합되고, 그 구조 형식은 4개의 회전축과 유사하나, 단 다른 점은 4개의 회전축은 상하 양단이 더욱 확실하게 외측의 2개의 회전축과 힌지 결합될 수 있는 반면, 3개의 회전축은 힌지 결합 부위에서 엇갈리게 설치되어야 한다는데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2개의 회전축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2개의 회전축이 상호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므로 역시 상기 목적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 방식은 상기 3개의 회전축 연결 방식을 참고할 수 있다. 회전축의 수량이 증가할수록, 벤딩 후 벤딩 부위의 과도 원호가 더욱 평활해진다는 점에 유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폴딩힌지(2), 상기 제2 폴딩힌지(3), 상기 제3 폴딩힌지(4) 및 상기 제4 폴딩힌지(5)의 벤딩 각도는 모두 360도이며, 바람직하게는 90도 내지 170도로 설정한다. 상기 제1 폴딩힌지(2), 상기 제2 폴딩힌지(3), 상기 제3 폴딩힌지(4) 및 상기 제4 폴딩힌지(5)의 벤딩 각도에 제한을 두지 않을 경우, 인폴딩 및 아웃폴딩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크로스 폴딩(cross folding)을 완성하거나 또는 인폴딩 및 아웃폴딩 방식을 단독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폴딩힌지(2), 상기 제2 폴딩힌지(3), 상기 제3 폴딩힌지(4) 및 상기 제4 폴딩힌지(5)는 모두 상기 제1 하우징(6), 상기 제2 하우징(7), 상기 제3 하우징(8) 및 상기 제4 하우징(9)의 중력을 극복하여 그 상대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유지시키기 위한 소정 강도의 토크를 구비하여,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폴더블 메커니즘(1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더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은 상기 폴더블 메커니즘(10)의 적어도 일측 표면에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은 상기 폴더블 메커니즘(10)의 양측 표면에 설치되며, 이렇게 하면 양면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폴더블 메커니즘(10)의 구체적인 구조를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갖는 태블릿, 핸드폰, 노트북의 3종 디스플레이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폴딩힌지(2), 상기 제2 폴딩힌지(3), 상기 제3 폴딩힌지(4) 및 상기 제4 폴딩힌지(5)가 모두 편평한 상태를 유지 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은 태블릿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낸다. "태블릿"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상기 폴더블 메커니즘(10)의 상기 제1 폴딩힌지(2), 상기 제2 폴딩힌지(3), 상기 제3 폴딩힌지(4) 및 상기 제4 폴딩힌지(5)는 모두 편평한 상태에 놓이며, 상기 제1 하우징(6), 상기 제2 하우징(7), 상기 제3 하우징(8)과 상기 제4 하우징(9)의 상부 표면은 동일한 평면에 놓이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은 4개의 하우징(6, 7, 8, 9)의 상부 표면에 부착되며, 4개의 하우징(6, 7, 8, 9)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에 평면의 지지력을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폴딩힌지(2), 상기 제2 폴딩힌지(3)는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3 폴딩힌지(4), 상기 제4 폴딩힌지(5)는 바깥으로 접힌 경우, 상기 제1 하우징(6)과 상기 제2 하우징(7)이 마주보게 접혀 접합되고, 상기 제3 하우징(8)과 상기 제4 하우징(9)이 마주보게 접혀 접합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은 듀얼 스크린 핸드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냄으로써,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정면과 반대면이 모두 화면을 갖는 양면 풀 스크린 "핸드폰"을 형성하며, 이때 장치 가장자리의 치수는 1배 축소되어 휴대에 유리하며,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폴딩힌지(2), 상기 제2 폴딩힌지(3)가 안으로 접히고 상기 제3 폴딩힌지(4), 상기 제4 폴딩힌지(5)는 편평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 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은 노트북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제1 하우징(6), 상기 제2 하우징(7)과 대응 설치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에 "노트북"의 키보드로써의 가상의 키보드가 표시되고, 상기 제3 하우징(8), 상기 제4 하우징(9)과 대응 설치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에 "노트북"의 스크린으로써의 화면이 표시된다. 가상의 키보드를 터치함으로써 "노트북" 키보드의 신호 입력을 완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폴딩힌지(2), 상기 제2 폴딩힌지(3) 내에 각도 센서(미도시)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1 폴딩힌지(2), 상기 제2 폴딩힌지(3)가 태블릿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노트북 디스플레이 상태로 벤딩 시, 다시 말해 상기 제1 폴딩힌지(2), 상기 제2 폴딩힌지(3)가 180도로부터 170도 이하로 벤딩 시, 상기 각도 센서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으로 제어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제1 하우징(6), 상기 제2 하우징(7)과 대응 설치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에 가상 키보드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폴더블 메커니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여, 다기능 폴더블 메커니즘이 인폴딩, 아웃폴딩 기능을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로 태블릿, 핸드폰, 노트북의 3종 디스플레이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는데 있다. 폴더블 메커니즘의 설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상태의 다양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소자가 비교적 적고, 구조가 간단한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각도 회전을 통해 다기능 응용을 구현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식일 뿐이며, 본 기술분야의 보통 기술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약간의 개선 및 수식을 더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선과 수식 역시 본 발명의 보호범위로 간주하여야 한다.
1: 연결부 2: 제1 폴딩힌지
3: 제2 폴딩 힌지 4: 제3 폴딩힌지
5: 제4 폴딩힌지 6: 제1 하우징
7: 제2 하우징 8: 제3 하우징
9: 제4 하우징 10: 폴더블 메커니즘
11: 갭 2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100: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1)

  1. 폴더블 메커니즘에 있어서,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1 폴딩힌지;
    상기 제1 폴딩힌지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는 제2 폴딩힌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3 폴딩힌지;
    상기 제3 폴딩힌지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는 제4 폴딩힌지;
    각각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3 폴딩힌지와 회동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 하우징;
    각각 상기 제2 폴딩힌지, 상기 제3 폴딩힌지와 회동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 하우징;
    각각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4 폴딩힌지와 회동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3 하우징;
    각각 상기 제2 폴딩힌지, 상기 제4 폴딩힌지와 회동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4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딩힌지는 상기 제2 폴딩힌지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제3 폴딩힌지는 상기 제4 폴딩힌지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이 서로 교차되는 위치는 연결부 또는 갭(gap)이고,
    상기 연결부는 플렉시블 연결블록이고, 상기 플렉시블 연결블록의 재질은 플렉시블 금속 또는 고무인 폴더블 메커니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딩힌지의 길이는 상기 제1 폴딩힌지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3 하우징의 변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2 폴딩힌지의 길이는 상기 제2 폴딩힌지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2 하우징, 상기 제4 하우징의 변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3 폴딩힌지의 길이는 상기 제3 폴딩힌지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변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4 폴딩힌지의 길이는 상기 제4 폴딩힌지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3 하우징, 상기 제4 하우징의 변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은 폴더블 메커니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딩힌지는 상기 제2 폴딩힌지의 벤딩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제3 폴딩힌지는 상기 제4 폴딩힌지의 벤딩 방향과 동일한 폴더블 메커니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2 폴딩힌지, 상기 제3 폴딩힌지 및 상기 제4 폴딩힌지는 모두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벤딩 후 벤딩 부위의 과도 원호(transition arc)를 형성하기 위해 평행하게 설치되는 폴더블 메커니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2 폴딩힌지, 상기 제3 폴딩힌지 및 상기 제4 폴딩힌지의 벤딩 각도는 모두 90도 내지 170도인 폴더블 메커니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2 폴딩힌지, 상기 제3 폴딩힌지 및 상기 제4 폴딩힌지는 모두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상기 제3 하우징 및 상기 제4 하우징의 중력을 극복하고 그 상대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유지시키기 위한 일정 강도의 토크를 가지는 폴더블 메커니즘.
  9. 제1항에 따른 폴더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메커니즘의 적어도 일측 표면에 설치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2 폴딩힌지, 상기 제3 폴딩힌지 및 상기 제4 폴딩힌지가 모두 편평한 상태를 유지 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태블릿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2 폴딩힌지는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3 폴딩힌지, 상기 제4 폴딩힌지는 바깥으로 접히는 경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마주보게 접혀 접합되고, 상기 제3 하우징과 상기 제4 하우징이 마주보게 접혀 접합되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듀얼 스크린 핸드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2 폴딩힌지는 안으로 접히고 상기 제3 폴딩힌지, 상기 제4 폴딩힌지는 편평한 상태를 유지 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노트북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과 대응 설치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며, 상기 제3 하우징, 상기 제4 하우징과 대응 설치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2 폴딩힌지 내에 각도 센서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1 폴딩힌지, 상기 제2 폴딩힌지가 태블릿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노트북 디스플레이 상태로 벤딩 시, 상기 각도 센서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제어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과 대응 설치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7009291A 2020-05-19 2020-06-29 폴더블 메커니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0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424334.7 2020-05-19
CN202010424334.7A CN111637147B (zh) 2020-05-19 2020-05-19 一种可折叠机构及其显示装置
PCT/CN2020/098729 WO2021232542A1 (zh) 2020-05-19 2020-06-29 一种可折叠机构及其显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118A KR20210145118A (ko) 2021-12-01
KR102450835B1 true KR102450835B1 (ko) 2022-10-04

Family

ID=7233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291A KR102450835B1 (ko) 2020-05-19 2020-06-29 폴더블 메커니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98662B2 (ko)
EP (1) EP4155560A4 (ko)
JP (1) JP7235425B2 (ko)
KR (1) KR102450835B1 (ko)
CN (1) CN111637147B (ko)
WO (1) WO20212325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7147B (zh) * 2020-05-19 2021-06-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机构及其显示装置
EP4180907A4 (en) * 2020-12-02 2024-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CN112967610B (zh) * 2021-03-16 2023-01-3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TWI774316B (zh) * 2021-04-12 2022-08-11 光磊科技股份有限公司 多向多關節轉折件及其顯示裝置
US20220375388A1 (en) * 2021-05-19 2022-11-24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rightness or Color Control in Foldable Displays
CN115550480A (zh) * 2021-06-30 2022-12-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及电子设备
TWI769055B (zh) * 2021-08-17 2022-06-2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N113849039A (zh) * 2021-09-28 2021-12-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转轴组件以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921B1 (ko) * 2013-07-26 2015-06-01 이용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 방법
US20170220072A1 (en) 2016-01-29 2017-08-03 Lenovo (Beijing) Limited Fold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6757B2 (en) * 2002-09-17 2008-11-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oldable display, input device provided with the display and foldable keyboard, and personal computer provided with the input device
US20070279315A1 (en) 2006-06-01 2007-12-06 Newsflex,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876790B1 (ko) * 2006-11-29 2009-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휴대 통신 장치
US8082631B2 (en) * 2007-06-19 2011-12-27 Nokia Corporation Folding mechanism for compact device
US8539705B2 (en) 2008-08-13 2013-09-24 Edward Bullister Crossfold electronic device
JP2010266752A (ja) 2009-05-15 2010-11-25 Ricoh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40375530A1 (en) 2010-08-10 2014-12-25 Stephen E. Delaporte Reconfigurable touch screen computing device
EP2753050A4 (en) 2011-08-29 2015-05-06 Nec Casio Mobile Comm Ltd MOBILE TERMINAL
KR101452872B1 (ko) * 2013-01-11 2014-11-03 (주) 프렉코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장치
JP6230241B2 (ja) 2013-02-26 2017-11-1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機器
CN203150022U (zh) * 2013-03-25 2013-08-21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05164602A (zh) 2013-04-30 2015-12-16 富士通株式会社 多分割框体的结合装置以及具备该结合装置的电子装置
KR20200139848A (ko) * 2013-08-30 2020-12-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CN103501383A (zh) * 2013-09-17 2014-01-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柔性屏幕的工作模式的切换方法及其移动终端
JP5922726B2 (ja) 2014-08-26 2016-05-2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の屈曲構造および電子機器
KR102226694B1 (ko) * 2014-09-01 2021-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WO2016095138A1 (zh) * 2014-12-17 2016-06-2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电子装置
KR102471237B1 (ko) 2015-01-21 2022-1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CN104867406B (zh) 2015-04-08 2018-05-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面板、显示装置及穿戴设备
KR102287583B1 (ko) * 2015-04-08 2021-08-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72724B1 (ko) 2015-11-18 2023-09-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70079549A (ko) * 2015-12-30 2017-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33269B1 (ko) 2016-01-18 2022-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N105867533B (zh) * 2016-03-28 2020-06-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TWM555067U (zh) * 2016-11-14 2018-02-01 創王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器及具有可撓式顯示器的裝置
US10485115B1 (en) * 2018-06-22 2019-11-19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hinge defining an asymmetrical service loop for a flexible display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US10852769B2 (en) * 2018-10-29 2020-12-01 Dell Products, L.P. Display management for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KR20200129215A (ko) * 2019-05-07 2020-1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32362A (ko) * 2019-05-17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접힘 이벤트에 기반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46095A (ko) * 2019-10-17 2021-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671422A (zh) * 2019-11-05 2020-01-10 东莞市宏联电子有限公司 一种转动装置和柔性屏设备
CN111416893B (zh) * 2020-03-13 2021-03-16 西安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可折叠屏幕和终端设备
KR20210119223A (ko) * 2020-03-24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1637147B (zh) * 2020-05-19 2021-06-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机构及其显示装置
CN111474988A (zh) * 2020-05-27 2020-07-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KR20220013766A (ko) * 2020-07-27 2022-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921B1 (ko) * 2013-07-26 2015-06-01 이용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 방법
US20170220072A1 (en) 2016-01-29 2017-08-03 Lenovo (Beijing) Limite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55560A1 (en) 2023-03-29
EP4155560A4 (en) 2024-05-08
US11698662B2 (en) 2023-07-11
CN111637147A (zh) 2020-09-08
US20220283608A1 (en) 2022-09-08
JP7235425B2 (ja) 2023-03-08
KR20210145118A (ko) 2021-12-01
CN111637147B (zh) 2021-06-01
JP2022536883A (ja) 2022-08-22
WO2021232542A1 (zh)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835B1 (ko) 폴더블 메커니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
CN108122492B (zh) 可折叠显示器的折叠装置和具有该折叠装置的显示装置
KR101269288B1 (ko) 멀티-패널 전자 디바이스의 스크린 크기 또는 스크린 해상도에 기초한 파라미터의 서버에 대한 전송
US8971029B2 (en) Multi-display hinge assembly
US7616435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ver turnable 360 degrees relative to a body thereof
KR101276916B1 (ko) 구성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멀티-패널 디바이스
KR101318511B1 (ko) 구성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멀티-패널 디바이스
US20180314299A1 (en) Bendable mobile terminal
CN106371509B (zh) 一种电子设备
MX2012003110A (es) Dispositivo visualizador de area de pantalla variable.
CN108874041B (zh) 一种显示装置及显示方法
US11262793B2 (en) Folding-type electronic device
KR20110069803A (ko) 경사계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2413137B1 (ko) 회전축 및 전자 기기
US20070084014A1 (en) Hinge structur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066165A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엘리먼트의 위치 및 방향을 표시하는 방법
EP4210305A1 (en) Rotating mechanism and foldable terminal
US11449096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20210001624U (ko) 접이식 휴대용장치 지지대
KR20040025624A (ko) 듀얼 슬라이드 표시장치
US9086849B2 (en) Electronic equipment
CN110456863B (zh) 一种带有屏幕的电子设备
KR102545433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
CN216434801U (zh) 一种可实现双向翻转的双屏转动机构
CN216382217U (zh) 一种折叠式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